<nopad> {{{#!wiki style="margin:0 auto; text-align:center; border-radius:8px; word-break:keep-all; background: linear-gradient(160deg, #4B0082, #663399, #4B0082 10%, #000, #4B0082 20%, transparent 30% 70%, #4B0082 80%, #000, #4B0082 90%, #663399, #4B0082), linear-gradient(20deg, #4B0082, #663399, #4B0082 10%, #000, #4B0082 20%, transparent 30% 70%, #4B0082 80%, #000, #4B0082 90%, #663399, #4B0082), linear-gradient(0deg, #000); color:#ddd; padding:0 5px 5px; border: 1px solid #4B0082; letter-spacing: -0.5px;" [[데블스 플랜| {{{#!wiki style="margin-top:3px;display:inline-block;min-width:20%;min-height:2em"{{{#!folding [ 시리즈 ] {{{#!wiki style="margin: -2px -1px 0" | 시리즈 | |||
<nopad> 데블스 플랜 | <nopad> 데블스 플랜: 데스룸 | 데블스 플랜3 | }}}}}}}}}{{{#!wiki style="margin-top:3px;display:inline-block;min-width:25%;min-height:2em" {{{#!folding [ 플레이어 ] {{{#!wiki style="margin: -2px -1px 0" | <nopad> 시즌 1 |
<bgcolor=#201C16> 시즌 2 | ||||
시즌 3 | ||||
- [ 줄거리 ]
- [ 관련 문서 ]
- ||<tablebgcolor=#1c1d1f><bgcolor=#16134F><tablewidth=100%><width=10000><nopad>데블스 플랜||
공개 전 정보 · 참가 플레이어 · 에피소드 목록 · 게임 규칙 · 진행 결과 · 평가 및 반응 · 여담 · 제작진 <bgcolor=#201C16>데블스 플랜: 데스룸 공개 전 정보 · 참가 플레이어 · 에피소드 목록 · 게임 규칙 · 진행 결과 · 평가 및 반응 · 여담 · 제작진 시즌 3 공개 전 정보 · 참가 플레이어 · 에피소드 목록 · 게임 규칙 · 진행 결과 · 평가 및 반응 · 여담 · 제작진 기타 틀 · 넷플릭스 · TEO · 정종연 · 스페이스카우보이 · 벽바둑
- [ 음반 목록 ]
- ||<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 [ 참여 음반 ]
- ||<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 [ 관련 문서 ]
- ||<tablewidth=100%><width=1000><colbgcolor=#f6917d,#f6917d><colcolor=#fff,#fff><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ddd,#373c40> 활동 ||<width=90%>공연 및 행사 | 광고 및 화보 | 음반 | 직캠 (이달의 소녀) | 노래방 수록곡 | 데블스 플랜 ||
팬덤 KKOTI | 응원법 | 굿즈 콘텐츠 콘텐츠 | 유튜브 | Weverse | 숏폼 | 지켜츄 | 오떼르 기타 깨물하트 | 수상 경력 | 별명 | 주식회사 츄 | 사건 사고
1. 데블스 플랜: 데스룸
[[데블스 플랜: 데스룸| '''[[데블스 플랜: 데스룸/참가 플레이어|데스룸 참가 플레이어 명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스포일러 포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츄 가수 Day1 탈락 | 이승현 인플루언서 Day2 탈락 | 박상연 대학생 Day2 탈락 | 이세돌 바둑기사 Day3 탈락 | |
파일:플레이어2 규현 정사각형.png | ||||
김하린 의사 Day3 탈락 | '''[[저스틴 H. 민/데블스 플랜| 저스틴 H. 민 ]]'''연기자Day4 탈락 | 티노 보드게임 유튜버 Day4 탈락 | 규현 가수 Day5 탈락 | |
강지영 아나운서 Day5 탈락 | 손은유 변호사 Day6 탈락 | 세븐하이 포커 플레이어 Day6 탈락 | 최현준 모델 Day6 탈락 | |
윤소희 연기자 준우승 | 정현규 인플루언서 우승 |
츄 Chuu |
|
{{{-1 걸그룹 멤버로 데뷔해 솔로 활동 중인 8년차 가수 츄! |
||<tablebgcolor=#fff><width=50%><table align=center><rowbgcolor=#201C16><rowcolor=#fff><nopad> DAY1 ||<nopad> DAY7 ||
메인매치 통과 감옥동 수감 감옥매치 탈락 | 게스트 / 관전 |
1.1. 방영 전
{{{#!wiki style="margin:10px" 참가자 소개 개인 인터뷰 영상 中 |
- 2024년 12월 5일 규현과 함께 출연 기사가 보도 되었다. #
- 공식 예고편에서는 첫 번째 메인매치에서 강지영, 규현, 손은유와 함께 파랑팀이 된 것으로 보이나 팀원들과 함께 레드팀을 찾는 모습과 이세돌이 입장할 때 인사한 걸 제외하면 분량이 아예 없다. 플레이어 14인 중 가장 적은 분량 때문에 일각에선 첫 번째 탈락자가 츄 아니냐는 우려 섞인 반응이 나왔다.
1.2. 1일차
|
DAY1 |
'''[[데블스 플랜: 데스룸/1일차#부패 경찰|
파랑 팀의 일반 경찰로 배정되었으나 별다른 손을 쓰지 못 하고 패배했다. 중간에 우연히 도둑 윤소희가 지나간 장소에 근접했지만 부패 경찰 정현규에 의해 다른 곳으로 유도되었고, 도둑인 티노가 다른 파란 팀 경찰들에게 츄가 부패 경찰이라고 페이크를 쳐서 혼란의 희생양이 되기도 했다. 부패경찰 투표에서도 손은유의 입장에 따라 규현을 지목하면 검거가 가능했지만 본인의 촉에 따라 강지영을 투표하여 검거에도 실패했다.
MAIN MATCH : 부패 경찰
]]'''파랑 팀의 일반 경찰로 배정되었으나 별다른 손을 쓰지 못 하고 패배했다. 중간에 우연히 도둑 윤소희가 지나간 장소에 근접했지만 부패 경찰 정현규에 의해 다른 곳으로 유도되었고, 도둑인 티노가 다른 파란 팀 경찰들에게 츄가 부패 경찰이라고 페이크를 쳐서 혼란의 희생양이 되기도 했다. 부패경찰 투표에서도 손은유의 입장에 따라 규현을 지목하면 검거가 가능했지만 본인의 촉에 따라 강지영을 투표하여 검거에도 실패했다.
감옥동에 다른 플레이어들과 함께 도착하고, 생각보다 좋은 시설에 만족해한다. 저녁 식사로 통밀빵과 우유가 나오고, 그래도 맛은 있다며 만족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토끼트리오
'''[[데블스 플랜: 데스룸/1일차#하나 빼기|
동점자 규칙으로 인해 초반부 승리가 큰 의미를 얻지 못하는 상황임에도 초반에 승리를 반복하다 정작 가장 중요한 생존 라운드에서는 낮은 카드가 없어 빠른 탈출에 실패하는 일이 반복되었고, 12라운드에는 김하린과 이세돌 중 생존자를 선택해야 되는 상황에서 이세돌을 생존시키며 게임에서 제외시켰다. 결국 3명만 남은 가운데 15라운드에서 저스틴민과 같이 2를 제출해 자폭 후 16라운드에서 3을 써버리는 치명적인 실수를 통해 자력 생존의 기회를 잃었고, 마지막 18라운드에서도 김하린에게 딜을 성사시키지 못하며[1] 결국 데블스 플랜의 첫 탈락자가 되었다.
PRISON MATCH : 하나 빼기
]]'''동점자 규칙으로 인해 초반부 승리가 큰 의미를 얻지 못하는 상황임에도 초반에 승리를 반복하다 정작 가장 중요한 생존 라운드에서는 낮은 카드가 없어 빠른 탈출에 실패하는 일이 반복되었고, 12라운드에는 김하린과 이세돌 중 생존자를 선택해야 되는 상황에서 이세돌을 생존시키며 게임에서 제외시켰다. 결국 3명만 남은 가운데 15라운드에서 저스틴민과 같이 2를 제출해 자폭 후 16라운드에서 3을 써버리는 치명적인 실수를 통해 자력 생존의 기회를 잃었고, 마지막 18라운드에서도 김하린에게 딜을 성사시키지 못하며[1] 결국 데블스 플랜의 첫 탈락자가 되었다.
{{{#!wiki style="margin: 10px" - 탈락 인터뷰 |
1.3. 7일차
참가자들 중 혼자 가장 마지막으로 입장했다. 2일차부터 6일차까지의 참사(...)에 대해 아무 것도 몰랐기에 모두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로 대했다. 부패 경찰이었던 규현이 강지영을 3번 배신했다는 이야기, 그런 규현을 손은유가 탈락시켰다는 이야기, 정현규가 감옥동에서 힘들었다는 이야기 등을 흥미롭게 들으며 관심을 보였다.점심 식사 이후, 다른 플레이어들과 함께 관전자로서 결승전을 모니터로 지켜봤다.
1.4. 총평
캐스팅 공개 당시부터 화려한 스펙을 지닌 타 플레이어들에 비해 플레이 측면에서는 기대할 수 없어 전체 플레이어 중 최약체로 인식되었고, 기존 방송에서 비춰진 그녀의 지나치게 순진무구한 점이 서바이벌에서는 치명타로 작용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었다. 그리고 그 예상대로 변수를 만들지도 못하고 1일차에 탈락했다.데스룸의 메인 시스템이 시즌 1과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 시발점이기도 하다. 상금매치가 메인매치와 분리되어 있고, 감옥 매치가 없던 시즌 1에선 상대적 약자가 자진해서 감옥행을 자처했을 정도로 감옥은 뛰어난 플레이어들의 상금매치 참여로 인한 최종 상금 적립 목적과 더불어 히든 미션에 도전하지 않는 이상 당일 생존은 무조건 보장된다는 이점이 있었다. 거기다 최대한 마지막까지 최다 인원 생존을 목표로 삼은 궤도의 신념이 시즌 내내 분위기를 지배하며 플레잉 측면에서 무언가를 기대할 수 없는 소위 약체 포지션인 플레이어들도 후반 생존이 가능한 환경이 조성되었고, 이로 인해 연합의 머릿수를 채워주는 조건만으로도 생존이 보장될 수 있었다.[2] 그러나 데스룸의 경우 하루에 최소 무조건 1명은 탈락해야 하는 감옥 매치의 등장으로 자연스럽게 상대적으로 게임 자체에 두각을 보이지 못하는 플레이어들의 장기 생존이 지난 시즌 대비 훨씬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었고, 이는 해당 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참가자인 츄가 첫 탈락자로 선정되면서 바로 현실화되었다.
꾸준한 방송 활동으로 인지도는 상위권에 속했던 만큼 확실한 아군을 만들어 연합전을 펼치는 방법도 있었지만 정치적인 면에서도 두각을 보이지 못했고[3], 그 와중에 메인매치에서의 본인의 촉과 감옥매치에서 본인이 둔 수도 전부 어긋나며 허무하게 떠났다. 아무것도 보여주지 못한 채 첫 회차의 탈락자가 됐다는 점에서 이전 정종연 PD의 두뇌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첫 번째 여성 탈락자들인 재경, 권주리, 윤태진, 캐스퍼를 떠올리는 시청자들도 일부 있었다. 특히 재경은 저 당시 아이돌 활동을 하던 때라 더더욱 비슷한 면이 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데스룸이 여러 플레이어들의 비합리적인 태도, 제작진의 개입으로 인한 최악의 결말을 맞이하면서 사실은 누구보다 빨리 탈출에 성공한 숨겨진 승자로 재평가를 받았다.[4] 아무것도 못하고 오자마자 탈락했지만 애초부터 다른 플레이어들에 비해 스펙이 빈약했기에[5] 조기 탈락해도 그럴 수 있는 결과고, 장기 생존하면 그 자체로 대박이라는 게 사전 예상이었으니 출연이 딱히 독이 된 것은 아니다.[6] 그리고 마지막까지 웃는 얼굴로 퇴장하며 좋은 마무리를 보여주면서 다른 연예인 출연자와는 달리 처음부터 끝까지 이미지 손상도 없었다.
1.5. 여담
- 처음에 출연 제의를 받고 엄청 망설였다고 한다. 플레이어로서 잘 하고 싶었는데 혹여 못할까봐 망설임이 컸다고. 하지만 스스로에게 대한 도전이라고 생각하고 캐스팅에 응했다고 한다.
- 1일차 첫번째 탈락자에 사전 연합도 없다는 빈약한 작중 행적은 물론, 아이돌이란 직업 특성 탓에 참가자들 중 유일하게 방영 후 관련 홍보 활동이나 비하인드가 없다시피하다.
- 6월 3일 김하린의 Q&A 영상에서 말하기로는, 1일차 감옥동 수감 당시 꽁꽁 얼어붙은 한강 위로 고양이가 걸어다닙니다를 패러디한 애교를 선보였으나 본편에선 편집되었다고 한다. # 이 사실이 알려지자 츄 팬덤은 물론 데플 팬덤도 이런 장면을 감히 편집했다며 제작진측의 감이 죽었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1.6. 관련 인터뷰
1.7. 플레이어간의 접점
- 강지영 - 2022년 6월 2일, 강지영이 MC로 진행한 킹받는 뉴스쇼에 게스트로 출연하였다. #
- 규현 - 아이돌 선후배 관계로 더 짠내투어, RUN.WAV 등 예능 프로그램에서 MC와 게스트로 조우했다.
- 김하린, 이승현, 최현준 - 동갑
- 세븐하이, 규현, 김하린, 이승현, 최현준 - 토끼띠 띠동갑.
[1] 동점자 규칙을 고려할 때 18라운드에서 김하린은 이미 생존이 확정된 시점이었다. 그래서 김하린이 2 대신 다른 숫자를 내었다면, 츄는 득점에 성공하면서 탈락에서 벗어나고 대신 저스틴민이 탈락했을 것이다.[2] 실제로 츄와 가장 비슷한 조건을 지녔던 승관이 당시 이런 기조와 감옥 시스템의 수혜를 받아 파이널 직전 메인매치까지 살아남기도 했다.[3] 그러나 분위기 메이커를 자처했어도 지난 시즌의 승관의 절차를 따라갔을지는 의문인데, 플레이어들이 지난 시즌을 학습하고 참가했다는 점, 동시에 지난 시즌에 궤도가 활용한 시스템의 허점들에 대한 역효과 역시 파악하고 있었다는 점 때문이다. 이는 플레이어들의 입장이 완료되고 진행된 이세돌의 인터뷰에서도 드러나는데, 본인이 입장했을 때 알고 있던 출연자는 츄 정도였어서 인지도만큼은 상위권임을 보여줬으나 그 역시 "나는 츄의 팬이지만 게임은 별개다"라며 선을 그었다.[4] 이 역시 더 지니어스:룰 브레이커의 프로그램 조기 탈락한 재경과 비슷한데, 장기 생존한 방송인들이 크고 작은 문제점 노출로 비난 여론에 시달렸던 것과 달리 방송인이지만 유일한 조기 탈락자인 재경은 어떠한 이미지 손상도 입지 않았다.[5] 츄는 명문대는커녕 대학 진학 자체도 하지 않아 최종 학력이 고졸이고, 고등학교마저도 한림예고로 특목고, 자사고는 물론 인문계 일반고도 아니다. 지난 시즌에도 고학력자들이 많았지만 특히 이번 시즌에 참가한 플레이어들 대다수는 서울대, 카이스트, 의과대학, 로스쿨 등 한국에서도 상위 1% 내외에 들어가는 학력을 가진 사람들이고, 고졸인 티노는 데블스 플랜의 정체성인 보드게임을 전문적으로 리뷰하는 유튜버, 중학교도 중퇴한 이세돌은 두뇌를 극한으로 사용하는 바둑에서 1인자까지 올랐던 프로 선수다. 그 외에도 미국 명문대 출신인 강지영과 저스틴, 경희대 출신 규현, 한양대 예체능 출신이지만 프로 포커 선수로 활동하는 세븐하이 등 츄를 아득히 넘는 사람들로만 가득 차 있다. 그렇다고 츄가 어릴 때부터 학교 성적이 매우 뛰어났다거나 지능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거나 하는 썰도 나온 적 없었다. 즉, 정말로 도전을 위해서 참가한 것이지 우승을 기대할 만한 플레이어는 전혀 아니었다. 오죽하면 참가 사실이 알려지자 팬들이 "츄가 데블스 플랜에 나온다고? 왜?"라며 우려하는 반응을 보였을 정도였다.[6] 그래서 팬들 사이에서도 조기탈락 예상 1순위로 많이 꼽히기도 한 웃지 못할 여론도 있었다.[7] 더 지니어스 시리즈까지 확장할 경우 재경에 이은 두 번째 출연자가 된다. 소사이어티 게임 시리즈의 고우리는 당시 그룹 활동 종료 후 현직 걸그룹 멤버가 아닌 배우 신분으로 참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