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10:58

청나라 치하 티베트

청나라 치하 티베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bgcolor=#DA251C><tablebordercolor=#29166F><tablewidth=100%>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티베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4E109><colbgcolor=#240d70> 상징 설산사자기 · 티베트/문장
역사 역사 전반 · 토번 · 구게 왕국 · 청나라 치하 티베트 · 티베트 왕국 · 티베트 독립운동 · 티베트 노동수용소
대외관계 티베트 망명정부
경제 티베트 스랑
문화 티베트 불교 · 요리 · 티베트어 · 티베트 문자 · 티베트 의학 · 종(건축물)
인물 송첸감포 · 적송덕찬 · 가르친링 · 달라이 라마 5세 · 판첸 라마 9세 · 판첸 라마 10세 · 달라이 라마 13세 · 달라이 라마 14세 · 게둔 최키 니마 · 팔덴 갸초 · 까루 린포체
지리 티베트 고원 · 칭하이 호 · 라싸시 · 르카쩌시
민족 티베트족
기타 티베토필리아 · 판첸 라마 · 달라이 라마 · 포탈라궁 · 노블링카 · 티베탄 마스티프 · 티베탄 테리어 · 라사압소
}}}}}}}}} ||


티베트의 역사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0.5px"
<rowcolor=#fff> 라다크 응아리 암도 위짱 시킴 부탄
<colbgcolor=#000><colcolor=#ffcc1c> 고대 다르드인 샹슝 왕국 테유랑 문화 레프차 부족 유목
쿠샨 제국 코코노르 왕국
강족 / 갈족
유목 얄룽 왕국
샹슝 왕국 저족 샹슝 왕국
토욕혼 얄룽 왕국 몬율 왕국
토번 토번
송찬간포
토번
티쏭데짼 - 푸곌 왕조
9~13세기 라다크 왕국
구게-푸랑
탕구트
서하
티베트 분열기
종파 형성기
몽골 침입 라다크 왕국 구게 왕국
푸랑 왕국
원 제국
선정원
원나라 치하 티베트
사캬왕조
토착왕조 팍모드루파 왕조
린풍파 왕조
짱파 왕조
겔룩파
달라이라마
호쇼트 칸국 달라이 라마 3세 / [[알탄 칸|
알탄 칸
]]
남걀 왕조
[[포탈라궁|
간덴 포드랑
]]
달라이 라마 5세
두룩 데시 정권
[[포탈라궁|
간덴 포드랑
]]
달라이 라마 7세
시킴 왕국
준가르 칸국
청간섭기 - 암반 준가르-청·티베트 전쟁
청나라 치하 티베트
[[포탈라궁|
간덴 포드랑
]] 칼룬 통치기
분열기
시크 제국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구르카-청·티베트 전쟁
청나라 치하 티베트
[[포탈라궁|
간덴 포드랑
]] 암반 통치기
구르카 왕조 동인도회사령
인도 제국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시킴 왕국
1904~1948년 [[영국의 티베트 침공|
영국의 침입
]] · [[청나라 치하 티베트|
청의 암도·캄 일부 편입
]]
달라이 라마 13세
티베트 대봉기
인도 제국
시킴 번왕국
부탄 번왕국
티베트
달라이 라마 13세 · 달라이 라마 14세
1949년~ 인도 자치령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 칭하이성 쓰촨성
[[티베트 망명정부|
티베트 망명정부
]]
인도 자치령
시킴 왕국
부탄 왕국
인도 공화국
잠무 카슈미르 주
라다크 연방 직할지
인도 공화국
시킴 주
}}}}}}}}}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의 대외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류큐 왕국 국장.svg
류큐 왕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청나라 치하 몽골 청나라 치하 티베트
당나라 · 송나라 · 명나라 · 중화인민공화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티베트|[[파일:티베트 문장.svg|width=35]]]] '''{{{#FFFF00 [[티베트|{{{#FFFF00 티베트}}}]]{{{#FFFF00 의}}} [[티베트 망명정부#외교|{{{#FFFF00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아메리카·유럽·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과거의 대외관계
청나라 치하 티베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다자관계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중화권·러시아·만주
과거의 대외관계
중앙아시아
청나라 치하 티베트
청나라 치하 몽골
}}}}}}}}} ||

1. 개요2. 전개3. 청나라의 멸망(1912년) 이후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티베트청나라의 관계에 대한 문서.

청나라 통치하의 티베트라고 하면 달라이 라마 7세 겔상 갸초의 재위기간(1720년)부터 신해혁명(1912년)까지를 다룬다.

2. 전개

과거의 해석은, 만주족중국의 다른 야심찬 이민족 정복자들처럼 그들 지배의 통치나 정당화에 중국식 방법을 적용했고, 그 결과로 사실상 문명화된 중국인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해석은 청나라의 실상을 제대로 반영했다 보기 힘들다. 청 통치자들은 일인 다역의 역할을 했다. 그들은 여러 부류의 신민들(만주족, 몽골인, 티베트인, 한인)을 동시에 각기 다른 방식으로 다스렸다. 청나라황제는 중국 백성에게는 천자였고, 몽골인에게는 중의 칸(대칸)이었으며, 티베트인에게는 차크라바르틴(전륜성왕)이었다. 청나라는 다양하면서도 다민족적인 세계 제국이었다.

이번원(理藩院)은 만주어로 '바깥 지역을 통치하는 기구'를 뜻한다. 이번원은 중국 본토의 외부 지역, 즉 몽골과 티베트 등을 관리하기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중화제국 역사상 최초의 행정 기관이었다. 6부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이번원은 수도에 관청을 두고 있었으며, 이번원에 소속된 지방 관료들의 규모도 거대했다. 한족 지식층은 거의 모두 이번원에서 배제되었고, 대부분은 중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들로 행정이 운용되었다.
《하버드 중국사 청》윌리엄 T. 로

달라이 라마 5세 롭상 갸초가 죽은(1682년) 후, 후임 선정을 두고 호쇼트부의 탠진징길갤뽀[1] 라짱[2]과 섭정인 상게 걈초[3]가 마찰을 빚었다. 1697년 상게 갸초는 창양 갸초[4]를 찾아내 달라이 라마 6세로 내세웠으나, 상게 갸초와 준가르의 군주 갈단 칸 사이의 접촉을 주시하고 있었던 청나라의 성조 강희제는 라짱 칸을 지지했다. 티베트에서 호쇼트부의 통치력을 회복시키고자 노력했던 라짱 칸은 그 기세를 몰아 1705년에 섭정이었던 상게 갸초를 살해한 후, 달라이 라마 6세 창양 갸초를 청나라로 호송했다. 하지만 도중에 창양 갸초가 사망하자 25세의 승려 예셰 갸초[5]를 달라이 라마 6세로 옹립했다. 강희제는 달라이 라마 6세 예셰 갸초를 책봉함으로써 호쇼트부를 지지했다. 그러나 라짱 칸의 행보에 불만을 품은 청해(코코 노르) 호쇼트 세력과 살해당한 상게 갸초의 지지세력은, 1708년 티베트 동부 리탕[6]에서 태어난 창양 갸초의 환생자 겔샹 갸초[7]를 달라이 라마 7세로 옹립해야한다고 주장하면서 준가르를 끌어들였다. 1715년 강희제는 겔샹 갸초를 납치하여 서녕에 있는 쿰붐[8] 사원에 연금시키고, 그에게 관심을 보이면서 상황을 관망했다.

1717년 겨울, 티베트에서의 정치적 영향력을 회복하려고 한 준가르의 군주 체왕 랍탄이 달라이 라마 7세의 보호를 명분으로 체링 돈돕 휘하의 병력 6,000명을 라싸에 보내 호쇼트군을 격파하고 라짱 칸을 살해한 뒤, 상게 갸초의 잔당과 결탁했다. 이때 준가르군은 살육과 약탈, 방화를 일삼았다. 한편으로는 소규모 부대를 청나라군의 수중에 있는 쿰붐 사원에 보내 달라이 라마 7세 겔샹 갸초를 탈취하여 라싸에 있는 체렝 돈돕 휘하 준가르군에 합류할 것을 지시했지만 계획이 틀어져 탈취하는데 실패했다. 하지만 청해 호쇼트가 달라이 라마 7세를 호송해오는 중이라고 선전했다.

체왕 랍탄은 반라짱파 귀족인 탁체파[9]에게 '사쿙'[10]이라는 칭호를 하사하고, 그를 정부(간덴 포브랑)의 수반으로 내세웠다. 그러나 실권은 섭정 노릇을 하던 준가르군 지휘관 체링 돈돕에게 있었다. 당시 선교사가 라싸의 점령자들인 준가르군이 1718년 내내 티베트 사람들에게 전례가 없는 잔학 행위를 벌였다고 비판할만큼 체링 돈돕을 위시한 준가르인들은 공포통치를 자행했다. 라싸의 주민들은 달라이 라마 7세 겔샹 갸초를 데려 오지도 않고, 공포통치만을 일삼는 준가르군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죽은 라짱 칸의 호쇼트부 잔존 세력과 함께 청나라에 도움을 요청했다.

이에 강희제는 호광총독[11] 어런터이[12], 시위[13] 서렁[14] 등에게 청나라군을 이끌고 라싸로 가게끔 했으나, 이들은 7월부터 카라우수[15]에서 벌어진 준가르군과의 야전에서 참패했다. 이 전투에서 어런터이를 잃은 청나라군은 퇴각했으나 윤8월 초순, 준가르군에게 포위를 당한 요새에서 굶주림과 전투 등으로 괴멸당했다.

강희제는 청해 호쇼트 세력을 회유하여 그들의 협력을 약속받는 한편 달라이 라마 7세 겔샹 갸초를 책봉했다. 1720년 9월 청나라군은 청해 호쇼트군과 겔샹 갸초를 쿰붐 사원에서 라싸로 데려왔고, 준가르 세력을 제압했다. 이로써 티베트는 준가르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청나라의 세력권 안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겔샹 갸초는 1720년 11월 혹은 1721년포탈라궁에서 달라이 라마 7세로 공식 즉위했다. 청나라군은 1723년까지 라싸의 치안 유지를 명분으로 체류했으며, 준가르와의 긴장관계를 해소한 뒤 철병했다. 그러나 청해 호쇼트의 수장인 롭상 단진[16]은 자신이 티베트의 왕('갤뽀')이 되고자 무력을 행사했다. 달라이 라마 7세 정권의 까론[17]들은 섭정 선정에 앞서 이번원에게 청나라에 대한 지지 입장을 표명했다. 까론들은 청나라에 군사 원조까지 요청했는데, 세종 옹정제의 명령으로 1724년 청나라군이 다시 파병되어 청해 호쇼트부를 압박하고, 티베트로 진군하면서 롭상 단진은 준가르로 도피했다.[18] 이로써 청나라는 내외 몽골에 이어 청해 지역의 몽골까지 장악하게 되었다.

청나라의 옹정제는 논의 끝에, 과거 호쇼트부의 라짱 칸에 의해 아리[19]의 총독이자 까론으로 임명되어 반준가르 노선을 견지하면서 청나라군을 지원했었던 캉첸내[20]를 총리서장사무[21]로 삼았다. 그러나 달라이 라마 7세 정권 내의 반대파, 즉 친준가르파는 청나라의 대신이 라싸에 도착하기 직전 친청파인 캉첸내를 죽이고, 달라이 라마 7세의 권위를 내세우며 청나라에 정부 승인을 요청했다. 한편 친캉첸내파, 즉 친청파였던 까론 포라내[22]는 달라이 라마 7세와 그 실세들이 준가르 및 롭상 단진과 야합했다고 청 조정에 고발하면서, 병력 지원을 요청하는 한편 판첸 라마를 옹립했다. 준가르의 군주 갈단 체링이 자신의 지위를 확립하기 위해 달라이 라마 7세와의 접촉을 시도하자, 옹정제는 1728년에 군대를 파견하여 친준가르파를 압박하고 달라이 라마 7세 겔샹 갸초를 내지(쓰촨성)와 가까운 곳인 캄 지방의 리탕 사원에 연금시켰다. 청나라는 겔룩파의 후원자와 라싸 방위라는 명분으로 2,000명의 청나라군을 주둔시키고 티베트측에 물자나 주둔비를 부담시키지 않았다. 1729년 준가르를 대대적으로 공략해서 긴장관계를 해소한 청나라는 주둔군을 500명으로 감축했고, 고종 건륭제는 즉위 직후 완전한 철군을 원했으나 티베트 정부가 주둔 연장을 요청하면서 임시 연장의 형태로 지배를 확립해나갔다.

친청파인 포라내의 사후, 그의 차남 규르메남걀[23]이 자위를 세습했는데, 그는 캉첸내 계열 인사들의 지지를 받으며 청나라의 종주권을 폐기하고자 했다. 규르메남걀은 1748년 건륭제를 설득해서 라싸의 청나라군을 100여 명으로 감축시켰다. 청나라가 라싸에 파견한 암반[24]들은 사실상 무방비 상태에 놓였고, 나아가 건륭제는 준가르 사절의 티베트 방문까지 허가했다. 그러나 규르메남걀의 계획은 친청파 인사들에 의해 암반들에게 입수되었고, 암반 푸칭(fucing)과 랍돈(labdon)은 규르메남걀과 그 수행단을 유인해 암살했다. 살아남은 롭상 태시는 암반 및 기타 청나라 사람들을 살해하고, 준가르로 도피하고자 했으나 실패했다. 이에 분노한 건륭제는 달라이 라마 7세 겔샹 갸초를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대군을 티베트에 진주시켰으며, 1751년 1월, 만주족 장군인 반디(bandi)가 라싸에 들어와 <주장선후장정>(西藏吉後摩程)을 체결했다. 이 장정을 통해 청나라는 암반이 병력을 거느리고, 내정에 개입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했다.

1788년1791년 구르카-청 전쟁 이후, 건륭제는 암반의 상주만으로는 티베트를 통치하기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인지했다. 전쟁 기간 중 달라이 라마와 네 명의 까론이 암반과 상의없이 사안들을 처리했기 때문이다. 건륭제는 <장내선후장정> 29조를 만들어 금병체첨(金瓶製簽) 및 암반의 인사권 및 외교권 개입을 허용했다. 결국 18세기 말, 티베트는 전례없이 정치적 자주성과 독립성이 훼손되었고, 달라이 라마와 청나라 황제 사이의 최왼[25] 관계는 종교적 차원을 넘어서는 정치적, 행정적인 관계로 강화되었다.

청나라의 황제는 티베트 불교의 수장인 달라이 라마를 스승으로 모시기도 했다.(최왼 관계) 물론 자치권을 상당히 부여하기는 했지만 청나라와 준가르의 격렬한 충돌 가운데 번부가 되었고, 그에 수반하는 대신(amban)이 상주했다. 그 외 만주족을 비롯하여 어원커족, 나나이족, 다우르족도 청나라의 통치 과정에서 티베트 불교를 믿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건륭제는 《만주원류고》를 편찬하면서 '만주'라는 이름은 만주족으로 불리기 이전의 여진족 및 만주 지역의 퉁구스 제족이 티베트 불교를 통하여 믿게 된 문수보살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러허성[26]에 피서산장을 건설할 때 사원들 중 일부는 티베트 건축물과 비슷하게 짓기도 했다. 티베트는 청나라와 네팔 사이의 전쟁에서 청나라군에 원병을 해주기도 했다. 또한 청나라가 티베트를 통치하다보니 주변 국가들인 네팔, 시킴, 부탄을 복속시켰으며, 남서부 국경으로는 무굴 제국과 접했다. 그리고 접해있진 않았으나 지리적으로 무굴 제국령인 벵골아삼 등과 근접하다보니 티베트를 통해 무굴 제국 동부와도 교류를 했다.

내몽골 지역의 몽골계 제부는 청나라 초기인 태종 숭덕제의 치세때 일찍 복속되었고, 지리적으로 만주와 가까이 접한 곳이었기에 서로 교류하면서 영향을 주고 받았다. 만주족이 티베트 불교를 받아들인 것과 만주 문자를 창제한 것 역시 내몽골의 영향이 가장 컸다. 원대부터 몽골인들이 만주와 중국 대륙을 점령하면서 베이징에 대도를 세웠고, 북쪽에는 상도를 세웠다. 황금씨족은 상도와 대도를 통해 만주, 몽골, 중국을 지배하면서 동시에 이들의 정세를 알아볼 수 있었다. 이 시기에 원나라는 티베트에서 티베트 불교 및 티베트 문화의 일부를 받아들였고, 외몽골과 내몽골, 중가리아의 문화는 티베트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내몽골과 만주는 티베트와 마찬가지로 티베트 불교권이라는 공통점이 있었으나, 청나라 강남 지역의 한족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반만 감정을 바탕으로, 티베트 불교를 무시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았다. 그래서 태평천국 운동 당시 적지않은 수의 티베트 불교 사원이 파괴되었다.

3. 청나라의 멸망(1912년) 이후

훗날 티베트는 대영제국러시아 제국의 간섭을 받고, 짧은 시기 동안 영국의 보호령이 되면서 동시에 청나라로부터 벗어나려는 생각도 했었다. 1911년 신해혁명이 발발해 1912년 청나라가 무너지면서 티베트는 자연스럽게 청나라와 중화민국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었다.

중화민국 시기에 티베트는 실질적으로 독립했으나 중국은 티베트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티베트를 중국의 고유 영역으로 간주했다. 또한 티베트는 세계 열강들에게 미승인국으로 취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둥베이(동북, 즉 만주)에 중심을 둔 중화인민공화국이 제2차 국공내전에서 승리하여 중화민국을 대만 섬으로 쫓아냈다. 그후 6.25 전쟁의 와중이었던 1951년 중공군이 티베트를 침공하여 병합했다.

4. 관련 문서



[1] བསྟན་འཛིན་ཇིང་གིར་རྒྱལ་པོ. 징길갤뽀란 '징길' 대왕이라는 뜻으로, 칭기즈 칸을 의미한다.[2] ལྷ་བཟང༌།[3] སངས་རྒྱས་རྒྱ་མཚོ།[4] ཚངས་དབྱངས་རྒྱ་མཚོ[5] ཡི་ཤེས་རྒྱ་མཚོ[6] ལི་ཐང[7] བསྐལ་བཟང་རྒྱ་མཚོ་[8] སྐུ་འབུམ[9] སྟག་རྩེ་པ[10] ས་སྐྱོང[11] 湖廣總督, hūguwang ni uheri kadalara amban[12] erentei, 額倫特[13] 侍衛, hiya[14] sereng, 色楞[15] kara usu, ནག་ཆུ།. 지금의 살윈강(떵뤈강) 상류 부근.[16] 호쇼트부의 제1대 군주인 구시 칸의 손자였다.[17] བཀའ་བློན[18] 1725년에 청나라군은 롭상 단진을 붙잡아 처형했다.[19] མངའ་རིས[20] ཁང་ཆེན་ནས[21] 總理西藏事務[22] ཕོ་ལྷ་ནས[23] གྱུར་མེད་རྣམ་རྒྱལ[24] 대신. amban[25] མཆོད་ཡོན་, Chöyön[26] 현재의 청더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