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10:57

청궁급 호위함

청궁급에서 넘어옴
파일:대만 국기.svg 현대의 대만 해군 함선 파일:대만 해군 깃발.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잠수함
(SS)
<colbgcolor=#fefefe,#191919>하이신급, 하이룽급, 하이쿤급
구잠함 추장급, 춰장급, 칭장급, 추지안급
고속정
(PC)
PCA급, PCL급
미사일 고속정
(PG)
하이우급, 룽장급, 광화 6호급
초계함
(FF)
정안급M, 가오안급M, 린안급M, 핑준급, 진장급, 퉈장급
호위구축함
(DE)
중정급 타이호급, 타이캉급, 타이위안급
호위함
(FF)
신양급, 후이양급, 지양급M, 밍추안/펑지아M, 쳉쿵급, 캉딩급, {경호위함}
구축함 구축함
(DD)
프로젝트 T.306.5 설계안, 린푸, 단양급, 뤄양급, 펀양급, 안양급, 샹양급, 차오양급
방공 구축함
(DDG)
지룽급
상륙정 허샨급, 허펑급, LCI, LCVP, LCM-6
상륙함 LPD 위산급
LSD 둥하이급, 전하이급 중정(애쉬랜드)급, 쑤하이급
LST 중정급, 충호급, 충하이급
LSM 메이전급
LSSL 리안지급
소해함 융진급, 융양급, 융촨급
수송함 윈펑급
군수지원함 우이급, 판시급
황색 글자: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쳉쿵급 호위함.png
成功級巡防艦[1]
1. 개요2. 제원3. 목록

1. 개요

청궁급은 10척으로 이루어진 대만 해군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이다. 여기서 8척은 면허생산됐고, 2018년에 미 해군이 운영하던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 2척을 추가 매입해 청궁급으로 분류하여 운용하고 있다. 함번은 PFG로 시작한다.[2]

2. 제원

成功級巡防艦
청궁급 호위함
만재배수량 4,169t
전장 138m
전폭 14.31m
가스 터빈 제너럴 일렉트릭 LM2500-30 2기
최고 속력 29kn (약 54km/h) 정도
승조원 235명
전자 장비 사격통제장치 Mk.92
음파탐지기 SQS-56
대공 레이더 AN/SPS-49
대함 레이더 AN/SPS-55
전자전 장비 통제용 SLQ-32(V)2
채프 발사대 Mk.36 SRBOC
어뢰 기만체계 AN/SLQ-25 닉시
무장 대공 미사일 SM-1 전용 Mk.13 발사대 1문[3]
대함 미사일 슝펑 II/III 4발
어뢰 Mk.46 경어뢰 ?발
어뢰 발사관 3연장 324mm급 Mk.32 2문
주포 오토멜라라 76mm 62구경장 함포 1문
부포 보포스 40mm 70구경장 포 2문[4]
팰렁스 6연장 20mm CIWS 1문
헬기 S-70C 2기

3. 목록

함명은 옛 중국의 무인이나 탐험가의 이름에서 따왔다. 추가 도입된 2척은 대만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는 청 말기 관료의 이름을 따왔다.

처음 도입한 7척은 당시 실정에 따라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 따른 로마자 표기를, 취역이 다소 늦은 8번함 톈단함은 통용병음에 따른 로마자 표기를 쓰는 반면,[5] 추가 도입된 2척은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 한어병음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한어병음에 따른 로마자 표기가 부여되었다.
함번 함명 기공 진수 취역
PFG2-1101 청궁[6]
(Cheng Kung)
1990년 12월 21일 1991년 10월 5일 1993년 5월 7일
PFG2-1103 정허[7]
(Cheng Ho)
1991년 10월 29일 1992년 10월 15일 1994년 3월 28일
PFG2-1105 지광[8]
(Chi Kuang)
1992년 10월 30일 1993년 10월 3일 1995년 3월 4일
PFG2-1106 웨페이[9]
(Yueh Fei)
1993년 9월 5일 1994년 8월 28일 1996년 2월 26일
PFG2-1107 쯔이[10]
(Tzu I)
1994년 8월 7일 1995년 7월 13일 1997년 1월 9일
PFG2-1108 반차오[11]
(Pan Chao)
1995년 7월 25일 1997년 7월 3일 1997년 12월 16일
PFG2-1109 장첸[12]
(Chang Chien)
1995년 12월 4일 1997년 5월 14일 1998년 12월 1일
PFG2-1110 톈단[13]
(Tian Dan)
2001년 2월 22일 2002년 10월 17일 2004년 3월 11일
FFG-50 → PFG-1112 테일러
(Taylor)

밍촨[14]
(Ming Chuan)
1983년 5월 5일 1983년 11월 5일 2018년 11월 8일
FFG-51 → PFG-1115 게리
(Gary)

펑자[15]
(Feng Jia)
1982년 12월 18일 1983년 11월 19일 2018년 11월 8일

[1] 성공급순방함. 사진은 PFG2-1109 장첸[2] Patrol + Frigate + Guided Missile[3] 하이궁에 의해 대체될 예정[4] PFG-1110 톈단 제외[5] 한어병음으로도 성조 표기를 제외하면 통용병음과 똑같이 Tiandan이긴 하지만 당시 대만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 통용병음이었으므로 통용병음에 따른 표기로 보아야 한다.[6] 정성공[7] 정화[8] 척계광[9] 악비[10] 곽자의[11] 반초[12] 장건[13] 전단[14] 유명전(劉銘傳, 1836~1896), 청 말기 대만성 초대 순무를 역임한 인물이다.[15] 구봉갑(丘逢甲, 1864~1912), 타이완 민주국 수립 당시 부총통을 맡은 청의 관료이다. 말년에는 반청 혁명활동을 지원하였고, 신해혁명에 가담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