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 개요
次妃둘째 왕비라는 뜻이다. 한국사 공통적으로 차비(次妃)라는 칭호가 쓰이지만, 고구려에서는 소후(小后), 신라에서는 소비(小妃)/후비(後妃)라고도 했다.[1]
2. 설명
왕의 첫번째 정실부인과 공존한 두번째 정실부인이지 첩이 아니다. 그래서 차비는 정실을 여럿 두는게 가능한 시기에만 존재했고, 정실을 한명만 두는 게 자리 잡은 조선 초기 이후로는 존재할 수 없었다.한국사에서 차비(次妃)/소후(小后)/후비(後妃)로 수식되거나 될 뻔했다는 기록이 있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고구려 대무신왕의 차비(次妃) 차비 해씨
- 고구려 산상왕의 소후(小后) 후녀
- 고구려 중천왕의 소후(小后)가 될 뻔한 관나부인
- 고구려 안원왕의 소후(小后) 중부인, 소부인
- 신라 진흥왕의 소비(小妃) 소비 부여씨
- 신라 진평왕의 후비(後妃) 승만부인
- 신라 혜공왕의 차비(次妃) 창창부인
- 신라 문성왕의 차비(次妃)가 될 뻔한 장보고의 딸
- 신라 경문왕의 차비(次妃) 차비 김씨
- 신라 경순왕의 후비(後妃) 낙랑공주
- 고려 인종의 차비(次妃) 선평왕후[2]
- 조선 태조의 차비(次妃) 신덕왕후[3]
[1] 삼국사기, 삼국유사와 달리 화랑세기 필사본에서는 후비(後妃)가 후궁을 가리키는 단어로 나오지만 이는 위서이기 때문에 거짓이다.[2] 이자겸의 딸들이 폐비가 되고 새로이 왕비가 돼서 계비도 맞지만 고려사의 기록과 선평왕후보다 늦게 왕비가 된 공예왕후가 제1왕후였던걸 봐선 차비도 맞다.[3] 계비로도 기록되긴 하지만 통상적으로 계비는 왕이 왕비와 이혼이나 사별한 뒤 새로운 왕비를 가리킨다. 신덕왕후는 차비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하지만 신의왕후는 조선 건국 전에 사망했으므로 사실상 신덕왕후가 원비나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