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竹同? ~ 1182년(명종 12)
고려 무신정권 때 농민 봉기인 전주 관노비의 난의 주동자.
2. 생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내란 | 주도 세력 |
왕규의 난 | <colbgcolor=#ffffff,#670000> 왕규 | |
김훈 최질의 난 | 김훈, 최질 | |
이자의의 난 | 이자의 | |
이자겸, 척준경 암살 미수 사건 | 인종, 지녹연, 안보린 | |
이자겸의 난 | 이자겸 | |
묘청의 난 | 묘청 | |
이고의 난 | 이고 | |
철주민란 | 철주 농민들 | |
창주민란 | 창주 농민들 | |
성주민란 | 성주 농민들 | |
김보당의 난 | 김보당 | |
제1차 개경승도의 난 | 개경 승도들 | |
조위총의 난 | 조위총 | |
석령사의 난 | 석령사 | |
망이·망소이의 난 | 망이, 망소이 | |
손청의 난 | 손청 | |
김순부·김숭의 난 | 김순부, 김숭 | |
관성현·부성현 농민반란 | 관성현, 부성현 농민들 | |
관노비의 난 | 죽동 | |
조원정의 난 | 조원정 | |
동경민란 | 이의민 | |
김사미·효심의 난 | 김사미, 효심 | |
만적의 난 | 만적 | |
명주 민란 | 명주 농민들 | |
김준거·김준광의 난 | 김준거, 김준광 | |
금초의 난 | 금초 | |
진주민란 | 진주 노비들 | |
금주 잡족의 난 | 잡족인들 | |
밀성 관노들의 난 | 밀성 관노비들 | |
이비 패좌의 난 | 이비, 패좌 | |
경주 별초군의 난 | 경주지방 야별초군들 | |
신라부흥모의 | 동경 사람들 | |
수창궁 사변 | 희종 | |
최광수의 난 | 최광수 | |
제2차 개경승도의 난 | 개경 승도들 | |
이장대의 난 | 이장대 | |
한순·다지의 난 | 한순, 다지 | |
충주 노군의 난 | 충주 노군들 | |
이통의 난 | 이통 | |
필현보의 난 | 필현보, 홍복원 | |
이연년 형제의 난 | 이연년 | |
안열의 난 | 안열 | |
애도·갈도 민란 | 애도, 갈도 백성들 | |
원진의 난 | 원진 | |
최탄의 난 | 최탄 | |
삼별초의 난 | 삼별초 | |
강윤명의 난 | 강윤명 | |
숭겸의 난 | 숭겸 | |
사용과 김성의 난 | 사용, 김성 | |
서울 관악산 농민 봉기 | 서울 관악산 농민들 | |
조일신의 난 | 조일신 | |
정세운 암살 사건 | 김용, 안우, 이방실 | |
흥왕사의 변 | 김용, 기황후 | |
합주 사노들의 난 | 합주 사노들 | |
김저의 난 | 김저 | |
참고: 고려시대의 정변 | }}}}}}}}} |
1182년에 진대유가 죽동 등 여러 노비들을 핍박하자 이에 분한 죽동이 여러 노비들을 데리고 난을 일으켰다.
이에 조정은 관찰사를 보내 그들을 회유하려 했지만 죽동 등 여러 노비들은 회유를 받지 않고 관찰사를 돌려보냈다.
이에 조정은 진압군을 보내서 진압하라 했지만 40일 동안 뚫리지 않았다.[1] 그런데 관노비들 사이에서 내부분열이 일어나면서 점차 흔들리더니 무장한 중들에 의해 결국 피살되었다.
3. 대중매체에서
- 2022년 신작인 박시백의 고려사에서는 진대유가 계속 노비들을 모질게 굴자 난을 일으키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러다가 관찰사가 상황을 파악하고 이들에게 항복하라고 설득하는데 죽동은 ”우리를 위로하겠다고 왔으면서 항복을 하라고요? 그렇게는 못하겠수다.“라고 거절하고는 안찰사를 돌려보낸다. 그러다 한 장교가 이미 조정과 손을 잡았고 무장한 중들을 데리고서 죽동 등 10명의 주동자들을 죽이면서 등장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