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한 외교공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 동아시아 | ||||
| 대만대표부 종로구 세종대로 149 | 몽골 용산구 독서당로 95 | 일본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A동 | 중국 중구 명동2길 27 | |
| 동남아시아 | ||||
| 동티모르 마포구 마포대로 109 | 라오스 용산구 대사관로11길 30-4 | 말레이시아 용산구 독서당로 129 | 미얀마 용산구 한남대로28길 12 | |
| 베트남 종로구 종로5길 58 | 브루나이 종로구 자하문로 133 | 싱가포르 중구 세종대로 136 | 인도네시아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380 | |
| 캄보디아 중구 세종대로 55 | 태국 용산구 대사관로 42 | 필리핀 용산구 회나무로 80 | ||
| 남아시아 | ||||
| 네팔 성북구 선잠로2길 19 | 방글라데시 용산구 장문로6길 17 | 스리랑카 중구 동호로10길 39 | 아프가니스탄 용산구 독서당로 90 | |
| 인도 용산구 독서당로 101 | 파키스탄 강남구 도산대로 169 | |||
| 서아시아 | ||||
| 레바논 용산구 장문로 37 | 바레인 중구 한강대로 416 | 사우디아라비아 용산구 녹사평대로26길 37 | 아랍에미리트 용산구 독서당로 118 | |
| 아제르바이잔 중구 퇴계로 97 | 오만 종로구 새문안로3길 9 | 요르단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 이라크 용산구 한남대로40길 33 | |
| 이란 용산구 장문로 45 | 이스라엘 종로구 청계천로 11 | 카타르 용산구 장문로 48 | 쿠웨이트 용산구 장문로 34 | |
| 중앙아시아 | ||||
| 우즈베키스탄 종로구 돈화문로11가길 99 | 카자흐스탄 용산구 장문로 53 | 키르기스스탄 종로구 자하문로 125-12 | 타지키스탄 용산구 유엔빌리지2길 37 | |
| 투르크메니스탄 용산구 장문로 62 | ||||
| 유럽 | ||||
유럽연합대표부 중구 한강대로 416 | ||||
| 서유럽 | ||||
| 네덜란드 중구 정동길 21-15 | 룩셈부르크 중구 삼일대로 363 | 벨기에 용산구 이태원로45길 23 | 아일랜드 종로구 종로1길 42 | |
| 영국 중구 세종대로19길 24 | 프랑스 서대문구 서소문로 43-12 | |||
| 남유럽 | ||||
| 교황청 종로구 자하문로26길 19 | 그리스 중구 청계천로 86 | 루마니아 용산구 장문로 50 | 불가리아 용산구 한남대로 102-8 | |
| 세르비아 중구 세종대로 55 | 스페인 용산구 한남대로36길 17 | 이탈리아 용산구 한남대로 98 | 크로아티아 중구 퇴계로 97 | |
| 튀르키예 중구 동호로20나길 40 | 포르투갈 중구 한강대로 416 | |||
| 중부유럽 | ||||
| 독일 중구 한강대로 416 | 스위스 종로구 송월길 77 | 슬로바키아 용산구 한남대로10길 28 | 슬로베니아 용산구 이태원로55나길 11 | |
| 오스트리아 종로구 종로 1 | 체코 종로구 종로1길 50 더케이트윈타워 B동 | 폴란드 종로구 삼청로 20-1 | 헝가리 종로구 삼청로 20-1 | |
| 북유럽 | ||||
| 노르웨이 중구 정동길 21-15 | 덴마크 중구 한강대로 416 | 라트비아 용산구 한남대로36길 29 | 리투아니아 종로구 종로 1 | |
| 스웨덴 중구 소월로 10 | 에스토니아 중구 한강대로 416 | 핀란드 종로구 종로 1 | ||
| 동유럽 | ||||
| 러시아 중구 서소문로 11길 43 | 벨라루스 용산구 이태원로45길 51 | 우크라이나 용산구 이태원로45길 21 | 조지아 용산구 이태원로27길 30 | |
| 아메리카 | ||||
| 북아메리카 | ||||
| 멕시코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 미국 종로구 세종대로 188 | 캐나다 중구 정동길 21 | 퀘벡 종로구 종로1길 42 | |
| 중앙아메리카·카리브 | ||||
| 과테말라 중구 세종대로 55 | 도미니카 공화국 중구 세종대로 73 | 엘살바도르 중구 세종대로 55 | 온두라스 종로구 청계천로 11 | |
| 코스타리카 중구 퇴계로 97 | 쿠바 중구 세종대로4길 25 | 파나마 종로구 경희궁길 49 | ||
| 남아메리카 | ||||
| 베네수엘라 종로구 세종대로 149 | 볼리비아 중구 세종대로 55 | 브라질 종로구 청와대로 73 | 아르헨티나 용산구 녹사평대로 206 | |
| 에콰도르 종로구 종로 47 | 우루과이 중구 퇴계로 97 | 칠레 중구 퇴계로 97 | 콜롬비아 종로구 종로 1 | |
| 파라과이 중구 세종대로 55 | 페루 중구 세종대로 55 | |||
| 아프리카 | ||||
| 북아프리카 | ||||
| 리비아 용산구 장문로 51 | 모로코 용산구 장문로 32 | 수단 용산구 장문로6길 12 | 알제리 용산구 회나무로 81 | |
| 이집트 용산구 독서당로 114 | 튀니지 용산구 장문로6길 8 | |||
| 동아프리카 | ||||
| 르완다 용산구 회나무로41길 5 | 에티오피아 성북구 성북로 80 | 탄자니아 중구 퇴계로 97 | 케냐 용산구 회나무로44길 38 | |
| 서아프리카 | ||||
| 가나 용산구 독서당로 120 | 나이지리아 용산구 장문로6길 13 | 세네갈 중구 퇴계로 97 | 시에라리온 용산구 장문로9가길 39 | |
| 코트디부아르 중구 세종대로 55 | ||||
| 중앙아프리카 | ||||
| 가봉 용산구 이태원로 239 | 콩고민주공화국 용산구 회나무로 73-1 | |||
| 남아프리카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용산구 독서당로 104 | 앙골라 성북구 선잠로5길 14 | 잠비아 용산구 장문로 51 | ||
| 오세아니아 | ||||
| 뉴질랜드 중구 정동길 21-15 | 파푸아뉴기니 종로구 삼봉로 81 | 호주 종로구 종로 1 | ||
| 가나다순. 대표부는 가장 마지막에 기재. 명예 영사관은 기재하지 아니함. | ||||
| <colbgcolor=#da251d><colcolor=#ffff00> 주대한민국 베트남 대사관 Đại sứ quán Việt Nam tại Đại Hàn Dân Quốc | |
| | |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123 (삼청동 28-37) |
| 업무 시간 | 월~금요일: 오전 9:00~오후 5:30 |
| 상급기관 | 베트남 외교부 |
| 공관장 | 부 호 (Vũ Hồ) |
| 홈페이지 | |
1. 개요
베트남이 대한민국에 세운 외교공관.2. 역사
- 참조: 한국-베트남 관계
두 나라가 직접 교류를 하게 된 것은 2차 대전 이후 서로 독립을 하게 된 이후부터였다. 한국 전쟁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같은 분단국가였던 남베트남(베트남 공화국)을 우선 수교국으로 지정한 후 1956년 국교를 수립했다. 반공을 내세운 당시 대한민국은 당연히 북베트남(베트남 민주 공화국)과는 적대적일 수밖에 없었으며 그 때문에 북베트남은 북한과만 교류를 했고 남한(대한민국)과는 한동안 수교를 하지 않았다. 남베트남과 대한민국은 각각 수도인 사이공과 서울에 대사관을 설치했다. 이후 베트남 전쟁이 일어나면서 대한민국은 남베트남에 대규모의 병력을 파견하였다. 1973년 파리 평화협정으로 인해 베트남 전쟁에서 남베트남을 돕던 한국군은 철수하였으며 그 이후로도 국교를 유지해오다가 1975년 베트남이 완전히 공산 통일되면서 국교가 자연스럽게 단절되었다. 북베트남과 같은 공산진영 국가로서 원래부터 교류해오던 북한과는 당연히 공산통일 이후에도 교류를 지속하였다.[2]
그러다가 베트남이 공산통일 이후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비효율성과 서방세계(특히 미국)의 경제제재 등으로 지속적인 경제난을 겪으면서 이를 타개하기 위해 개혁개방 정책(이른바 '도이모이' 정책)을 펼치게 되고 한국도 노태우 대통령이 '북방정책'을 통해 공산권과의 교류를 시도하면서 두 나라 사이에는 국교 재개에 대한 논의가 오고 갔다. 이러한 분위기를 타고 베트남은 다른 대부분의 공산권 국가들(북한, 쿠바 등 제외)과 함께 1988년 서울 올림픽에 참가하였으며 마침내 한국과 베트남은 1992년 12월에 국교를 다시 수립했다.
3. 건물 및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123(2021년 11월 신축 완공)
대중교통으로 접근하기가 좋지 않다. 연계 대중교통 수단은 마을버스인 서울 버스 종로02 단 하나 뿐이다. 이 버스를 타면 1호선 종각역과 3호선 안국역, 5호선 종로3가역으로 갈 수 있다. 참고로 이 노선은 오전 특정 시간대(주로 아침 1교시 시작 전)에는 등교하는 성균관대 학생들로 북적이니 해당 시간대에는 이용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대사관에서 서쪽으로 좀 떨어져 있는 곳에 서울 버스 종로11이 정차하기는 하지만 종로11번 정류장에서 대사관까지 가는 길이 오르막길인데다가 거리도 종로02번 정류장보다 더 멀어 불편하다.[3]
감사원 건너편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