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3 22:38:46

조 헨드리

죠 헨드리에서 넘어옴
파일:top10nxt_nm2024_ntwk--2bd9faab7a8a2f713d0b61424ad0186b.jpg
JOE HENDRY

1. 프로필2. 개요3. 커리어
3.1. ICW (2013 ~ 2019)3.2. 디스커버리 레슬링 (2014 ~ 2023)3.3. 뉴 제너레이션 레슬링 (2015 ~ 2018)3.4. 왓컬처 프로 레슬링 / 디파이언트 레슬링 (2016 ~ 2018)3.5. ROH (2016)3.6. 임팩트 레슬링 (2018 ~ 2019)3.7. ROH 복귀 (2018 ~ 2022)3.8. I believe in Joe Hendry in TNA (2022 ~ )3.9. WWE (2014, 2024 ~ )
3.9.1. 타 단체 소속으로 레슬매니아를 장식하다
4. 평가
4.1. 경기력4.2. 엔터테인먼트
5. 기타6. 둘러보기

1. 프로필

파일:JoeHendry_May2025.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0000> TNA WRESTLING
링네임 Joseph S. Hendry
Joe Hendry
본명 Joe Samuel Hendry[1]
조 새뮤얼 헨드리
생년월일 1988년 5월 1일 ([age(1988-05-01)]세)
출신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코틀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코틀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에든버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장 185cm
체중 104kg (252lbs)
별명 The Local/Global Hero
The Man Who is Better Than Damien Sandow
The King of the Entrances
252 Pounds of Pure Motivation
The Prestigious One
유형 파워하우스 + 테크니션 + 쇼맨
피니쉬 무브 크리스마스 기프트[2]
더블 헨드리 락
프리크 오브 네이쳐[3]
헨드리 락
헨드리 슬램
스탠딩 오베이션[4]
주요 커리어 BWR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아이언맨 헤비메탈웨이트 챔피언 1회
Defiant 인터넷 챔피언 1회
Defiant 월드 챔피언 1회
Fight Forever 맨즈 월드 챔피언 1회
ICW 태그팀 챔피언 1회
MAW 태그팀 챔피언 1회
프라이드 레슬링 N7 챔피언 1회
NGW 태그팀 챔피언 1회
PWE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PWU All-Ulster 챔피언 2회
Reckless Intent 월드 챔피언 1회
Reckless Intent UK 챔피언 1회
Respect Pro Wrestling 챔피언 1회
SWA 래이어드 오브 더 링 챔피언 1회
SWE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임팩트 레슬링 글래스고 컵 토너먼트 우승 (2023)
임팩트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 1회[5]
TNA 월드 챔피언 1회
WCPW/Defiant 챔피언 1회
Unlimited[6] 로얄럼블 우승 (2023)
디스커버리 레슬링 Y 디비전 챔피언 1회
테마곡 Prestigious
I C Double Me And You (2013~2019)[7]
I Believe In Joe Hendry (2019~)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2. 개요

파일:056_NXT_07092024MP_30737--6621e9d824bf3e8a53a13a0eb5dfe75b.jpg
Say his name and he appears
그의 이름을 부르면 그가 나타나죠
I believe in Joe Hendry
나는 조 헨드리를 믿어요
Anytime, Anywhere, on any show.
언제든, 어디서든, 어느 쇼에서든.

스코틀랜드TNA 소속 프로레슬러.

TNA 입성 후 그동안 보기 드물었던 특유의 쌈마이 감성을 앞세운 기믹과 열광적인 관중 반응을 바탕으로 단체의 뜨거운 감자가 되었고, NXT와의 협업에서 강렬한 데뷔를 통해 2024년 중반기부터 프로레슬링계 화제의 중심에 선 프로레슬러. 2024년 7월 NXT 시청률 상승의 일등공신이자 동시에 NXTNA 체제를 대표하는 선수이기도 하다.

3. 커리어

영국 출신의 아마추어 경력이 있는 선수. 초기엔 영국에서 활동 중인 레슬러들에게 트레이닝을 받으며 데뷔 준비를 하고 있었고 2013년에 데뷔해 영국 무대에서 활동하며 커리어를 늘렸다.

3.1. ICW (2013 ~ 2019)

2013년 헨드리는 인세인 챔피언십 레슬링(ICW)에 정기적으로 출연하기 시작했으며, 제임스 R. 케네디의 스테이블인 케네디 행정부의 일원으로 처음 소개되었다. 그는 빅 다모와 대립했고, 이후 케네디 행정부의 동료 케니 윌리엄스와 대립했다. 윌리엄스가 이 기간 동안 ICW 제로-G 챔피언십에서 우승해 헨드리는 타이틀을 놓고 여러 차례 맞붙었지만 이기지 못했다. 2015년 4월 6일, 헨드리는 프로레슬링 얼스터에서 열린 ICW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에서 드류 갤러웨이에게 도전했지만 패배했다. 여담으로 이 대회에서는 EVOLVE와 DGUSA 오픈 더 프리덤 게이트 타이틀도 걸려 있었다.

헨드리는 나중에 데이비 보이와 함께 태그 팀 더 로컬 파이어를 결성했다. 그들은 함께 ICW 태그 팀 타이틀 토너먼트(폴로 프로모터스가 벨트를 획득한 후 회사를 떠난 후 새로운 챔피언을 가리는 대회)에 참가했으며, 2016년 7월 31일 슈그스 후즈 파티 3에서 결승전에서 마이크 버드와 와일드 보어를 꺾고 공석이 된 ICW 태그 팀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그들은 2016년 9월 11일 사다리 경기에서 폴로 프로모터스에게 타이틀을 빼앗겼다.

2019년 6월 16일, 헨드리는 ICW I Ain't Yer Pal, 딕페이스에서 앤디 와일드를 이겼다. 2019년 7월 27일, 헨드리는 슈그스 후즈 파티 6의 나이트 1 싱글 매치에서 레이튼 버자드에게 패한 후 ICW를 떠났다.

3.2. 디스커버리 레슬링 (2014 ~ 2023)

헨드리는 2014년 디스커버리 레슬링에 데뷔하여 마티 스컬과 팀을 이루어 크라이메 타이(JTG & 섀드 개스퍼드)를 물리쳤다. 가끔씩 등장해 그라도, 영 벅스, 데미안 오코너, 타미 드리머 등과 맞붙다가 루이스 기르반의 Y 디비전 챔피언십에서 도전권을 획득했지만 패배했다.

헨드리는 달튼 캐슬, 케니 윌리엄스, 티모시 대처, 전 챔피언 기르반을 상대로 승리하며 타이틀 경쟁에 다시 뛰어들었다.

2019년 10월 6일, 헨드리는 조 코피를 꺾고 Y 디비전 챔피언십에 진출했다. 헨드리는 1,280일 동안 기록적인 승리를 따내며 코피, 테오도로스, 앤디 와일드, BT 건, 진 머니를 상대로 경기를 이어갔으나, 2023년 4월 8일 진 머니에게 패배했다.

2023년 6월 3일, 헨드리는 잭 모리스를 상대로 임팩트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십을 성공적으로 방어하기 위해 디스커버리 레슬링으로 돌아왔다.

3.3. 뉴 제너레이션 레슬링 (2015 ~ 2018)

헨드리는 2015년 뉴 제너레이션 레슬링(NGW)에서 네이선 크루즈와의 경기에서 패배한 후 동료 ICW 레슬러인 데이비 블레이즈, 라이온하트, 키드파이트와 함께 팀 스코틀랜드를 결성했다. 스코틀랜드 팀은 종종 NGW 챔피언 네이선 크루즈를 적대시했고, 결국 크루즈에게 8인 태그 팀 매치에서 크루즈나 그의 팀원 중 누구라도 고정되면 타이틀을 잃게 된다는 규정에 따라 크루즈의 타이틀을 걸고 맞붙게 했다. 크루즈는 2015년 11월 8인 태그 팀 경기에서 타이틀을 유지했다. 헨드리, 라이온하트, 키드파이트는 2016년 5월에 NGW를 위해 출연했으며, 세 사람 모두 영국의 가장 큰 태그 팀(스틱스와 거상 케네디)이 설정한 NGW 태그 팀 챔피언십 오픈 챌린지에 응답했다. 헨드리가 벨트를 무기로 사용한 후, 세 사람은 새로운 태그 팀 챔피언이 되었다. 팀의 공식 명칭은 나중에 인세인 파이트 클럽으로 확인되었다.

3.4. 왓컬처 프로 레슬링 / 디파이언트 레슬링 (2016 ~ 2018)

헨드리는 그 후 WhatCulture Pro Wrestling (WCPW)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첫 몇 주 동안 헨드리는 조셉 코너스와 불화를 겪기 시작했다. 9월 3일, WCPW 스택드에서 헨드리는 페이탈 포 웨이로 WCPW 챔피언십를 치뤘고 그 과정에서 우승을 차지한 코너스에게 배신당했다. 그는 WCPW 타이틀을 놓고 두 번 코너스와 맞붙었지만, 두 번 다 패배했다. 당시 WCPW 챔피언이었던 드류 갤러웨이에게 두 번의 패배를 당한 헨드리는 턴힐했다.

2016년 10월 6일 펼쳐진 PPV 리퓨즈드 투 루즈 2016에서 커트 앵글과 맞붙어 좋은 경기를 펼쳤다. 헨드리 본인은 이 경기를 대단히 영광스러운 경험으로 추억하고 있으며, 앵글도 경기가 끝나고 자신을 이렇게 한계까지 몰아붙인 헨드리의 앞으로의 미래가 기대된다며 추켜세웠고, 이후로도 그의 기믹이 마음에 든다며 좋은 선수라 칭찬했다.

3월 6일, 엑시트 워싱스에서 헨드리, 조 코피, 트래비스 뱅크스, BT 건은 프로 레슬링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테이블인 프레스티지를 설립했다. 멕시코 예선에서 WCPW 프로레슬링 월드컵에서 헨드리는 마틴 커비를 꺾고 WCPW 챔피언이 되었다. 2017년 10월 2일, WCPW Reject to Lose '17에서 헨드리는 윌 오스프레이를 상대로 챔피언십을 방어했다. 경기 도중 마티 스컬은 '매그니피센트 세븐' 서류 가방(밤 일찍 헨드리의 스테이블 동료 엘 리게로에게 승리)을 캐싱인해 경기를 트리플 스렛으로 만들었다. 스컬은 헨드리에게 크로스페이스 치킨윙을 선물하며 승리했다. 헨드리는 동료 스테이블메이트 트래비스 뱅크스와 불화를 시작했고, 이로 인해 조 코피BT 건이 프레스티지에서 이탈하게 되었다.

3.5. ROH (2016)

2016년 헨드리는 프로모션의 영국 투어 '리치 포 더 스카이'에서 미국 프로모션 링 오브 아너를 위해 몇 차례 출연했다. 그는 투어의 두 날 밤 모두에 출전하여 11월 18일과 11월 19일에 각각 도노반 다이작제이 화이트와의 경기에서 패배했다.

3.6. 임팩트 레슬링 (2018 ~ 2019)

2018년부터 임팩트 레슬링에서 활동하게 되는데, 데뷔전에서 일라이 드레이크를 상대로 롤업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첫 데뷔날부터 일라이의 여장을 들춰버려 긁어버리는게 일품. 이후 그라도와 팀을 이뤄 일라이 드레이크 & 트레버 리에게 패한다. 이후로 승패가 왔다갔다 하면서 활동하다가 출연이 뜸하게 되면서 임팩트 레슬링과 결별하게 된다.

3.7. ROH 복귀 (2018 ~ 2022)

2018년, 헨드리의 ROH 복귀는 5월 24일 에든버러에서 열린 아너 유나이티드 행사에서 사일러스 영ROH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 도전자로 발표되었으나 패배했다. 헨드리는 이후 명예 재결합 행사에서 ROH를 대표하여 몇 경기에 출전했으며, 특히 8월 16일에 열린 국제컵에 출전하여 개막전에서 행맨 페이지에게 패했다. 그는 8월 18일에 열린 4자 대결에서 마티 스컬이 승리한 후, 8월 19일 싱글 매치에서 조나단 그레샴에게 패배했다.

2019년 8월 8일, 헨드리가 더 이상 자유계약선수가 아니며 이제 ROH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되었다. 헨드리는 8월 24일 센터 스테이지에서 열린 새터데이 나이트 프로모션 도중 달튼 캐슬을 방해하며 ROH 로스터의 정식 멤버로 첫 출전했다. 헨드리는 다음 날 밤 Honor For All에서 캐슬의 파트너로 등장하여 두 사람이 시노비 섀도우 스쿼드(치즈버거와 일라이 이솜)를 물리쳤다. 헨드리는 이후 캐슬과 태그 팀을 결성하는 동시에 싱글 매치에도 출전했다. 글로리 바이 아너 XVII에서 헨드리는 ROH 월드 챔피언십의 1위 경쟁자를 결정하기 위해 배틀 로얄에 참가했지만, 최종 우승자인 사일러스 영에 의해 탈락했다. 헨드리는 10월 25일 아너 유나이티드 첫날 밤에 셰인 테일러에게 세계 텔레비전 챔피언십 도전에 패배했다. 다음 날 밤, 10월 26일, 헨드리는 캐슬의 입장 테마로 타벤의 주의를 분산시킨 후 전 세계 챔피언 매트 타벤을 꺾는데 성공한다.

헨드리는 2019년 가을과 2020년 초까지 캐슬과 함께 팀을 유지하며 다양한 경기에 출전했지만, 미국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하면서 ROH가 중단되었다. 헨드리는 2021년 1월 12일에 8인 태그 팀 경기에 참가하여 ROH로 복귀해 승리했다.

헨드리는 파이널 배틀에서 레트 티투스사일러스 영이 참여한 4코너 서바이벌 경기에서 전 태그팀 파트너인 달튼 캐슬에게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에 도전했으나 티투스가 승리했다. 토니 칸이 ROH를 인수한 후 헨드리는 슈퍼카드 오브 아너 XV에서 캐슬에게 패하며 별 다른 커리어을 세우지 못하고 계약이 종료되었다. 2021년부터 머리를 염색하고[8] 로컬 히어로 기믹에서 명망 높은 자로 기믹을 바꿨다.

3.8. I believe in Joe Hendry in TNA (2022 ~ )

조 헨드리의 TNA 챔피언십까지의 여정

2022년 9월에 임팩트 레슬링에 다시 모습을 보이면서 조 헨드리 관련 프로모[9]가 뜨며 계약을 맺음을 알린다. 바운드 포 글로리 XVIII에서 벌어진 콜 유어 샷 건틀렛에 참가자로 등장하지만 무스에게 탈락된다. 본격적으로 다시 임팩트 레슬링에서 활동하며 제이슨 호치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라지 싱과의 경기에서도 승리를 거둔다. 브라이언 마이어스의 임팩트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 자리에 도전할 수 있게되면서 브라이언 마이어스를 꺾고 새로운 임팩트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에 오른다. 하드 투 킬 2023에서 무스를 상대로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면서 치열한 격돌끝에 승리를 거둔다. 무스가 계속해서 도전을 걸면서 노 서렌더 2023에서 다시 챔피언십 매치로 벌어지면서 닷 컴뱃 매치[10]로 맞붙어 승리를 거둔다.

새크리파이스 2023에서 브라이언 마이어스를 상대로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십 매치로 맞붙어 승리를 거두고, 멀티버스 유나이티드 2023에서 에디 에드워즈 & 톰 롤러 & JR 크라토스와 팀을 이뤄 PCO & 새미 캘러핸 & 알렉스 코글린 & 프레드 로서를 상대하지만 패한다. 리벨리온 2023에서는 더티 당고 & 산티노 마렐라와 팀을 이뤄 더 디자인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조 헨드리는 더티 당고와 같이 산티노 마렐라를 습격한 범인을 찾는 진행에 투입되는데 범인은 더티 당고였고, 언더 시즈 2023에서 더티 당고를 상대로 임팩트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십 매치에서 승리를 거둔다. 어게인스트 올 오즈 2023에서 또 더티 당고를 상대로 챔피언십 매치를 벌이면서 또 한번 승리를 거둔다. 케니 킹이 조 헨드리에게 접근하면서 슬래미버서리 2023에서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지만 케니 킹이 로프에 발을 올리는 반칙성 핀을 사용하면서 조 헨드리가 패해 챔피언 자리를 잃는다.

멀티버스 유나이티드 2에서 히스 & 우에무라 유야와 팀을 이뤄 타구치 류스케 & 록키 로메로 & 마스터 와토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이머전스 2023에서 우에무라 유야와 같이 태그팀 'JOYA'를 결성, 제이슨 호치 & 존 스카일러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11] 우에무라 유야가 떠나는 것이 결정되면서 계속 태그팀으로 같이 다닌 조 헨드리가 위로하지만 라스칼즈가 우에무라 유야를 비꼬면서 조 헨드리는 우에무라 유아와 같이 라스칼즈를 상대로 우에무라 유야의 임팩트 레슬링 잔류가 걸린 경기로 맞붙지만 패하면서 우에무라 유야는 임팩트 레슬링에 나올 수 없게된다.

터닝 포인트 2023에서 사이먼 밀러와의 경기가 확정되면서 승리를 거둔다.

하드 투 킬 2024에서 AJ 프란시스에게 공격당하면서 이후로 둘간의 대립으로 이어진다. 새크리파이스 2024에선 크레이지 스티브와의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지만 AJ 프란시스의 방해로 패하면서 챔피언 등극에 실패한다. 3월 14일에 AJ 프란시스와 경기를 갖지만 패한다. AJ 프란시스 & 리치 스완이라는 2명의 적을 둔 상황에 리벨리온 2024에서 리치 스완과 경기를 갖지만 외부의 방해로 패한다.

언더 시즈 2024에서 재커리 웬츠와의 경기가 확정되면서 승리를 거둔다. 어게인스트 올 오즈 2024에서 프랭키 카자리안과의 경기가 확정되지만 패한다.
7월 4일 임팩트에서 제이크 섬띵을 꺾고 슬래미버서리 2024 TNA 월드 챔피언쉽 6인 엘리미네이션 매치의 마지막 도전자로 확정되며 TNA에서의 커리어 처음으로 1선 챔피언에 도전하게 된다.

7월 18일 임팩트에선 챔피언쉽 계약서 사인식에선 자신의 사인 차례가 오자 무스가 빼앗아 먼저 사인을 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노골적으로 챔피언인 무스의 견제를 받았다. AJ 프란시스리치 스완이 난입, 이읃고 PCO도 나타나 순식간에 링 안이 난장판이 되는 와중에 무스에게 공격 받아 테이블에 던져질 뻔 했으나 조쉬 알렉산더의 도움으로 역으로 무스에게 스탠딩 오베이션을 날리며 계약서에 마저 하지 못한 사인을 하고 쓰러진 무스의 가슴팍에 계약서를 던져버렸다.

7월 20일 슬래미버서리 2024에선 무려 챔피언인 무스를 2번째로 탈락시키는 폭풍활약을 보였지만 턴힐한 조쉬 알렉산더의 로우 블로우를 맞고 탈락. 이후 조쉬의 공격을 더 받아 차후 대립할 가능성이 생겼다.

8월 8일 임팩트에서 갤러스울프강을 상대로 승리했다.

이머전스 2024에서 하디즈 & 마이크 산타나와 팀을 이뤄 더 시스템 & JDC를 상대로 태그팀 경기가 확정되지만 패한다. 여담으로 하디즈와 같이 입장했는데 서로의 타이탄트론과 등장 음악을 리믹스해서 입장해 현장과 SNS에서 큰 반응을 얻었다. 빅토리 로드 2024에서 조쉬 알렉산더와의 경기가 확정되면서 승리를 거둔다.

9월 19일 임팩트에선 앞서 공언했던 대로 TNA 월드 챔피언쉽에 재도전하겠다고 선언했으나 프랭키 카자리안이 나타나 자격이 없다며 자신이 적합한 도전자라고 주장했고 이읃고 챔피언인 닉 네메스도 나타나 실랑이를 벌였다. 이후 산티노 마렐라가 나타나 다음주 임팩트 위클리쇼에서 넘버 원 컨텐더 결정 매치가 부킹되었다. 처음엔 프랭키 카자리안이 브레스 너클로 헨드리를 공격해 승리를 거두었으나 특별해설로 나와있던 닉 네메스가 카자리안의 부정행위를 고발했고 산티노 마렐라가 다시 나와 카지리안의 승리를 무효로 해 재경기를 만들어 정정당당하게 카자리안을 꺾고 바운드 포 글로리 XX에서 닉 네메스와 TNA 월드 챔피언십 매치로 격돌하지만 이 경기의 특별심판을 맡은 인물은 악역인 프랭키 카자리안이었고, 경기는 조 헨드리가 패한다.

터닝 포인트 2024에 벌어진 6인 터키 브롤 매치에 참가해 승리를 거두고, 파이널 레졸루션 2024에서 벌어진 페이탈 4 웨이 매치에서 조쉬 알렉산더, 스티브 매클린, 마이크 산타나를 상대로 승리를 거둬 제네시스 2025에서 닉 네메스와의 TNA 월드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었다. 제네시스 당일, 닉 네메스의 슈퍼킥 - 데인저 존 콤보를 맞고도 버텨내며 스탠딩 오베이션 2연타로 승리하여 감격의 첫 월드 타이틀을 획득했다.

1월 23일에 매트 카도나를 상대로 첫 방어전을 가지면서 심판이 안볼때 벨트 샷을 날리려고 하자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가 등장해 맷 카도나의 계략을 막기위해 크로스라인을 날리자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가 퇴장한 후 맷 카도나의 벨트 샷에 당하지만 킥아웃하고, 맷 카도나의 두번째 벨트 샷을 피해 스탠딩 오베이션을 날려 승리를 거둬 챔피언 자리를 지킨다.

2월 6일, 로얄럼블 2025에 출전하고 난 뒤에 TNA에서 콘서트를 열었는데, 제이크 섬띵이 방해하며 월드 타이틀에 도전을 요구하자 헨드리가 노래로 받아들이면서 13일에 방영된 경기에서 제이크 섬띵을 꺾고 챔피언 자리를 지킨다. 새크리파이스 2025에서 매트 하디 & 일라이자 & 레온 슬레이터 & 닉 네메스와 팀을 맺고 더 시스템 & 더 콜론즈와의 10인 태그팀 매치에서 승리를 거두며 승리를 자축하며 조 헨드리 & 일라이자 & 레온 슬레이터가 퇴장하지만 닉 네메스가 갑자기 매트 하디를 공격하면서 밖에서 지켜본 라이언 네메스까지 철창 안으로 들어가 철창을 잠가버리면서 조 헨드리 & 일라이자 & 레온 슬레이터는 매트 하디를 구하러 들어가지 못했다.

언브레이커블 2025에서 마샤 슬라모비치와 팀을 이뤄 프랭키 카자리안 & 테사 블랜처드를 상대로 혼성 태그팀 매치가 확정되면서 승리를 거둔다. 리벨리온에서 벌어진 트리플 쓰렛 매치에서 에단 페이지, 프랭키 카자리안을 상대로 승리를 거둬 TNA 월드 챔피언 자리를 지켰으나 트릭 윌리엄스에게 기습당했다.

5월 1일 열린 TNA 임팩트에서 트릭을 불러냈지만 트릭은 나타나지 않고 백스테이지에서 영상으로 헨드리를 도발했다. 하디즈와 태그를 맺고 닉 네메스, 라이언 네메스, 프랭키 카자리안을 상대한 메인 이벤트 매치는 패배했다. 경기 후 트릭이 다시 한 번 헨드리를 기습하면서 쇼가 마무리되었다.

3.9. WWE (2014, 2024 ~ )

2014년에 WWE에 엑스트라[12]로 잠깐 출연했다.
루세프, 라나와 러시아 대사로 등장했던 조 헨드리[13] (50초 부터)
애덤 로즈의 로즈버드로 등장했던 조 헨드리[14]
2024년 6월 18일 WWE NXT에서 열린 NXT 챔피언십 도전자 결정 25인 배틀로얄에 프랭키 카자리안과 함께 TNA 소속으로 특별 출전했다.[15] 등장하기 전, NXT 챔피언십 벨트를 TNA로 가지고 가겠다는 포부를 밝히며 링에 입장했으나 경기 시작과 동시에 다굴을 맞으며 프랭키 카자리안에게 첫 번째로 탈락되는 수모를 맞는다. 이후 백스테이지로 퇴장하며 숀 마이클스에게 분통을 터트리며 앞으로 어느 장소, 어느 시간, 어느 쇼에서든 자신을 볼 수 있을거라고 자신의 이름을 외치라며 퇴장해 재등장을 예고했다.[16]
그리고 7월 7일에 개최된 NXT의 PLE 히트웨이브에서 기습적으로 엔딩을 자신의 시그니쳐 영상으로 장식하며 차후의 등장을 암시했다.
7월 9일 NXT에서는 사실상 쇼의 진주인공이라 할 정도로 쇼의 처음부터 강한 존재감을 발휘했다. 브룩스 젠슨에게 지본 에반스가 공격당해 트릭 윌리엄스의 태그팀 파트너가 없어지자, 트릭이 파트너를 찾아야겠다며 인터뷰어와 대화하는데 뒤의 모니터에서 히트웨이브에서처럼 특유의 살인 미소를 지으며 기습적으로 등장. 이후 홀로 남은 트릭을 에단 페이지와 숀 스피어스가 트릭이 파트너를 찾는걸 믿을 수 있냐며 비웃으면서 등장을 암시하더니 결국 트릭의 미스터리 파트너로 깜짝 등장했다.[17] 그 트릭 윌리엄스를 챈트로 밀어버릴 정도로 퍼포먼스 센터를 광란의 도가니로 만들어버렸으며 오로 멘사에 기습당해 파트너 에단 페이지가 도망가 홀로 남은 숀 스피어스에게 스탠딩 오베이션을 날리며 승리를 거뒀다.

7월 16일 NXT에선 갤러스 VS 라스칼즈의 경기가 진행되는 와중에 부커 T가 말렸지만 해설인 빅 조셉이 헨드리의 이름을 언급하자 기다렸다는듯이 등장. 빅 조셉도 진짜 먹혔다며 놀라워했다. 이어 중계석에 앉아 특별 해설을 했으며 라스칼즈의 승리에 박수를 쳐주었고, 지난 주의 이야기를 본인이 매우 강조된채로 나레이션도 했다. 이후 백스테이지에서 갤러스가 투덜대며 조 코피가 헨드리의 이름을 언급하자 특유의 테마곡이 깔리며 박수를 치고 또 등장(...). 하지 말아야 할 말을 한듯 입을 감싸쥐는 조 코피의 반응이 압권 여기에 계속 머무를 생각이라며 NXT가 마음에 들었다는 말을 건네지만 오히려 고국인 스코틀랜드로 돌아가라는 말을 듣는다. 하지만 그런 악담에도 굴하지 않고 모든 문제에 대한 답은 자신이라는 특유의 긍정적인 말로 대꾸했다.
7월 23일 NXT에서 자신의 레슬링 커리어 전체가 압축된 관련 프로모 영상이 나왔고 2024 그레이트 아메리카 배쉬 1주차에 콘서트를 가진다. 이후 갤러스가 저번 주의 갈등으로 악감정을 표출하며 헨드리를 손 봐주겠다고 했지만 역으로 미리 갤러스의 차를 자신의 포스터들로 뒤덮어 테러를 해놓았다.[18] 2주차에 조 코피와 대결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상황.
7월 26일 NXT 하우스쇼에도 등장하며 사실상 NXT의 로스터로 활동하는 모양새이다. 저번 주에 광고를 한대로 NXT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2024) 1주차에 콘서트를 열어 쉐프 숀 마이클스가 자신을 소환했고 부커 T는 자신의 팬클럽 회장이며, 조 코피의 수염은 끔찍해 스코틀랜드에서도 추방당했다는 아스트랄한 노래를 불렀다. 관중들의 열렬한 성원에 앵콜 송을 한 곡조 더 부르려는 순간 갤러스가 난입해 한 번 더 노래를 부르면 죽을 줄 알아라며 협박을 했고 이읃고 난투극을 벌였으나 머릿수에 밀려 기타 샷에 당하고 만다. 결국 콘서트를 망친 조 코피에게 도전장을 던지면서 2주차에 맞붙게 된다.
8월 6일 NXT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 2주차에선 앞서 예고했던대로 조 코피와 경기를 치렀으며 본인의 테마곡이 끝나자마자 몸을 날려 밖에 대기했던 갤러스들을 제압하는가 하면 울프강에게 의자를 던져 가짜로 체어샷을 당한 척을 하며 동생들을 링에서 떠나게 만드는데 성공하는 등 마치 에디 게레로를 떠올리게 하는 스팟을 선보이며 조 코피에게 승리를 거둔다. 승리 직후 이어진 인터뷰에서 여전히 여기가 마음에 들고 오래 머물 것이라며 전속 출연을 예고했다.

8월 13일 NXT에선 오프닝에서 자신의 타이틀 방어전을 자축하는 에단 페이지 앞에 나타나 NXT 챔피언십에 도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으나 턴힐 한 웨스 리에게 공격을 받는다. 이후 웨스 리가 자신이 라스칼즈를 배신한 경위를 밝히고 있을때 피트 던과 웨스 리의 뒤에서 나타나 기습적으로 둘을 공격하며 다음 주 NXT에서 피트 던과 웨스 리와 함께 트리플 쓰렛으로 NXT 노 머시에서 펼쳐질 NXT 챔피언십 도전자 결정전을 가진다.

8월 20일 NXT에선 노 머시로 향하는 NXT 챔피언십 도전자 결정전을 가졌다. 등장하자마자 웨스 리와 피트 던에게 동시에 공격을 받으며 견제를 받는 모습을 보여주다 피트 던에게 피니셔를 먹이며 커버를 했지만 챔피언인 에단 페이지가 심판을 끌어내 핀을 따내는 걸 방해 받기까지도 한다. 이후 웨스 리를 아나운서 테이블 위에 피니셔를 먹이고 재차 피트 던에게도 피니셔를 먹었지만 여전히 에단 페이지가 심판을 방해해 핀을 따내지 못했다. 피트 던의 비터 엔드를 맞으며 이대로 끝장나나 싶었지만 트릭 윌리엄스가 나타나 트릭 샷을 피트 던에게 날리며 헨드리를 구원해줬고 이후 쓰러져있던 심판을 들여보내 핀을 따내며 노 머시에서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었다.
8월 27일 NXT에선 도움을 준 트릭에게 감사를 표하며 만약 챔피언이 된다면 다음 타이틀 샷 기회를 트릭에게 주겠다고 말했다. 이후 메인 이벤트의 라이브 쇼에서 에단 페이지를 조롱하는 노래를 불렀고[19] 그걸 들은 에단이 따지러 나왔지만 그러거나 말거나 관중들은 조 헨드리의 노래를 따라 불렀고(...) 이윽고 단장인 에이바가 나타나 저번주 심판을 방해한 벌로 노 머시의 특별심판을 트릭 윌리엄스로 지정하겠다고 발표한다. 에단이 벨트샷으로 기습을 해보려했지만 스탠딩 오베이션으로 맞받아쳐 쓰러트리고 3핀을 따내 벨트를 들고 트릭과 함께 퍼포먼스를 하는 것으로 쇼의 마지막을 장식했다. NXT 노 머시 2024에서 벌어진 NXT 챔피언십 매치에서 에단 페이지에게 패하며 챔피언 등극에 실패한다.

경기 후, 백스테이지에서 숀 마이클스와 인사를 나눈 뒤, 언제든, 어디서든, 어느 쇼에서든 자신을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아직 끝나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NXT 이어 엔드 어워드 2024 모멘트 오브 더 이어의 주인공이 되면서 TNA와 WWE에서 같은해 모멘트 오브 더 이어를 수상하게 되었다. NXT에 영상으로 등장하여 수상소감을 전했다.
로얄럼블 2025 남자부 30인 로얄럼블 15번째 선수로 등장[20]해 활약하던 중 로만 레인즈에게 탈락했다.[21] 이후 WWE 공식 X 계정에서 자신을 탈락시킨 로만에게 축하를 건네면서 이게 마지막 만남이 아닐 것이라고 재등장을 예고했다. 이후 자신의 우상인 존 시나를 언급하며 시나의 은퇴 투어에서도 작은 암시를 남겼다.

레슬매니아 41이 끝난 후인 4월 22일 NXT에 트릭 윌리엄스오바 페미의 설전을 끊고 깜짝 등장하면서 약 8개월만에 NXT 무대에 돌아왔다. 트릭을 전에 나와 태그를 했던 사람과 달라졌다, 지금은 그저 징징대는 애새끼다며 강도 높게 비난하고는 리벨리온 2025에서 자신의 타이틀을 방어한 뒤에 NXT 챔피언에 도전할 것이라며 오바 페미에게까지 경고를 보낸다. 오바는 무스와 같은 실수를 하지 말라며 도발에 응했으나 트릭이 사이에 끼어 방해를 하자 오바와 함께 트릭에게 해머링을 주고 받으며 쫒아내고 오바 페미와 페이스 투 페이스를 했다.

29일 NXT에 등장해 리벨리온에서 기습한 트릭을 불러내지만 나타난 것은 트릭이 아닌 다크스테이트(세이콴 슈거스 & 디온 레녹스 & 커틀러 제임스 & 오시리스 그리핀)였다. 다크스테이트는 조 헨드리를 구타했으며, 이후 백스테이지에서 의료진에게 상태를 체크받는 와중 행크 워커 & 탱크 레저가 조 헨드리를 격려해줬고 다음주 NXT에서 헨드리 & 행크 & 탱크 VS 다크스테이트의 태그팀 매치가 잡히게 되면서 5월 6일에 다트스테이트의 디온 레녹스 & 커틀러 제임스 & 오시리스 그리핀과 맞붙지만 트릭 윌리엄스가 다시 나타나 훼방을 놓아 둘이 맞붙게 되면서 이탈, 남아있는 팀원들은 패하고 말았다. 이후 25인 배틀로얄에서 나타나 트릭의 시선을 끌어 탈락하는 계기를 만들었고, 배틀그라운드 2025에서 트릭 윌리엄스와 TNA 챔피언을 걸고 맞붙게 된다.

3.9.1. 타 단체 소속으로 레슬매니아를 장식하다


레슬매니아 41 2일차 케빈 오웬스의 부상으로 인해 오픈 챌린지를 선언한 랜디 오턴의 상대로 깜짝 등장했다.[22] 타 단체 선수가 게스트가 아닌 선수로 레슬매니아에 참여하는건 레슬매니아 역사상 조 헨드리가 두번째, 그것도 타 단체 챔피언 자격으로는 첫번째 사례다. [23] WWE와 TNA가 파트너쉽 계약을 맺었지만 주로 NXT에서만 협업을 이어가는 중이였고 메인 로스터에서는 단 한 차례도 없었기에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었고, 오히려 예상하지 못한 깜짝 등장이라 관중의 반응은 더 뜨거웠다.[24] 헨드리가 등장하는 순간 관객 반응을 체크하고 되었다는 듯 고개를 끄덕이는 오턴의 반응도 볼만하다.

경기 중반 랜디의 기습 RKO를 잘 방어한 뒤 프리크 오브 네이처로 반격한다. 그리고 여유를 되찾아 보란듯이 시그니쳐 포즈를 취하는데, 이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기습 RKO를 맞고 패배하고 만다. 이후, 랜디 오턴이 그의 손을 들어주며 관중들의 환호를 듣게 해준 후 역시나 랜디답게 한 번 더 RKO를 맞는 신고식을 당했다.

그리고 장난스럽게 헨드리의 시그니처 포즈를 따라하는 랜디의 모습은 그야말로 백미중에 백미다. 랜디는 이후 쓰러져있는 헨드리의 가슴을 두드리면서 미소를 짓는 것으로 그를 진심으로 환영해주었다. RKO를 맞고 누워있던 헨드리도 그제서야 웃음을 보이며 훈훈하게 경기가 마무리되었다. 경기 후엔 자신의 X 계정에 '나 레슬매니아에서 랜디 오턴이랑 레슬링 하고 옴'이란 트윗을 남겼으며, WWE와 트리플 H도 각각의 계정을 통해 조 헨드리의 등장에 반응해주는 모습을 보였다.

비록 졌지만 그의 등장은 엄청난 화제몰이를 했으며 간만에 재미있는 개그 매치가 만들어졌다는 호평이 많다.[25] 경기를 하는 동안 시그니처 포즈 등 스탠딩 오베이션을 제외한 모든 걸 보여주면서, 짧고 강한 신 스틸러 역할을 해주었다. 데이브 멜처가 이 경기에 대해서 WWE가 TNA를 매장시켰다며 크게 비판했는데, 조 헨드리는 이게 매장당한 거라면 평생을 땅 속에 묻히겠다는 반응을 보이며 반박하기도 했다. TNA측 역시 챔피언의 위상 하락에 대한 우려보다도 홍보 효과를 긍정적으로 보는 것으로 알려졌고, 이를 보여주듯 WWE 공식 유튜브에서 업로드한 헨드리의 등장씬 영상에 TNA공식 계정이 헨드리의 캐치 프레이즈인 'Say his name and he appears'를 댓글로 달아놓고 레슬매니아 매치의 반응집과 다음날 NXT에서의 출연 장면을 TNA 유튜브 계정에 올리며 함께 즐기는 모습을 보여주었다.[26]

아무래도 타 단체의 선수인데다 다음날 NXT에 등장하는 일정 상 영상을 올리는 것으로 지금까지의 지원과 팬들에게 감사를 표했다.

4. 평가

4.1. 경기력

잘생긴 외모에 강렬한 미소, 우스꽝스런 경기복, 병맛 넘치는 기믹 때문에 경기력이 저평가 당하기 쉽지만, 아마추어 레슬링 기반으로 신체 기반을 잘 다져와서 준수한 모습을 보인다.애초에 아마레슬러 출신중에 빼고 경기력 구린 경우 잘 없었다

아마추어 레슬링을 하기 이전엔 유도를 배웠고 검은띠를 보유하고 있으며 영국 아마추어 레슬러와 프로레슬러를 겸업해 활동해 자유형과 그레코로만형을 가리지 않고 활동했으며 각각 금메달 4회, 은메달 2회, 동메달 2회를 보유한 경력이 있다.[27][28] 스코틀랜드 국내대회 우승으로 국가대표에 선발되어 2018 골드코스트 커먼웰스 게임에 스코틀랜드 대표로 -97kg 자유형 종목에 출전하기도 했다(16강 탈락). 아마추어 레슬러 출신답게 경기 스타일 일부는 커트 앵글이나 채드 게이블 등과 유사한 점이 있지만, 의외로 저 둘과는 어느 정도 거리가 있는, 정통 파워하우스 타입에 테크니션을 일부 섞은 쪽에 가깝다.

우선 힘이 정말 좋다. 140~150KG가 나가는 무스AJ 프란시스 등 거구의 레슬러를 상대로도 무리 없이 딜레이드 버티컬 수플렉스나 앵글 슬램을 꽂을 수 있으며, 피트 던웨스 리 두 사람을 순수 힘으로 들어올려 폴 어웨이 슬램을 꽂아넣을 수 있으며, 110KG이 나가는 조 코피를 상대로도 무리없이 스탠딩 오베이션을 쓸 수 있다.

또한 힘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신체의 운동능력도 좋은 편이다. 3단 로프를 뛰어넘어서 다이브를 칠 수도 있는 타입.

파워하우스 타입인 만큼 자칫 지루해질 수도 있는 경기 흐름을 환기시키는 데에도 능하다. 위의 에디 게레로를 떠올리게 하는 스팟이나, 경기 중간중간 태연한 표정으로 스팟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4.2. 엔터테인먼트


조 헨드리를 지금의 위치에 올려줌과 동시에 TNA가 NXT와의 협업으로 쇼가 연일 매진될 정도로 인기가 올라오게 만든 이유나 다름없는데, 관중 반응을 유도해내는 능력이 굉장히 좋다. 프로레슬링은 경기력 원툴만으로는 결코 원탑의 자리에 오를 수 없다. 프로레슬링 업계가 태생적으로 쇼 비즈니스이고 이 업계가 관중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돌아가기 때문인데[29][30] 조 헨드리의 엔터테이닝 능력은 특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헨드리를 상징하는 현재의 곡과 뮤비는 본인이 직접 작사 작곡 다하고 뮤비도 다 본인 스스로 찍었으며[31], 밴드 음악가 출신인데다 이걸 실제로도 기믹이나 프로모에 반영하고 있으며, 연기력 또한 병맛 캐릭터를 기가막히게 소화할 정도로 뛰어나다. 또 마이크웍, 프로모 능력도 나쁘지 않은 편.

무엇보다 조 헨드리의 관중 호응도가 높은 이유는 그의 기믹과 각종 제스처, 시그니처 무브, 심지어 테마곡까지 매우 쉽고 간단하고 재미있기 때문이다. 테마곡도 기타 파트 이전에는 박자에 맞춰 박수만 치면 되고,[32] 기타 파트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손을 위로 쭉 뻗고 양 옆으로 젓기만 하면 끝이라서 따라하기가 정말 쉽다.

크리스 반 불렛과의 인터뷰에서 "프로레슬링의 완성은 관객의 리액션으로 이루어진다"라는 본인의 생각이 있어서 일부러 팬들이 따라하면서 같이 즐길 수 있는 포인트를 잔뜩 넣어서 테마를 작곡했다고 밝힌 바 있다. WWE는 선수의 경기력 뿐만 아니라 쇼맨십, 엔터테이너로서의 능력도 같이 중시하기 때문에 NXT에서 그토록 푸쉬를 주는 것도 무리는 아닌 셈.

이 엔터테이닝이 제대로 빛을 발한 것이 다름아닌 레슬매니아 41에서의 깜짝 등장해서 랜디 오턴과 벌였던 경기였는데, 등장부터 6만명이 넘는 관중들이 테마곡을 떼창하면서 환호성을 자아내는 것도 있으며 그 특유의 손 흔들기에, 피니시 무브 직전의 각종 박수 제스처 등을 자연스럽게 모두에게 유도하면서 왜 WWE의 수뇌부가 조 헨드리에 예전부터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지 제대로 증명했다. TNA 선수인데 어지간한 WWE 메인이벤터보다 인기가 많다.

5. 기타


4월 24일-4월 25일
- TNA 월드 챔피언십
- 레슬매니아에서 랜디 오턴을 상대함
- 영국 싱글 차트 4위, i튠즈 1위
- 로얄 럼블에 참가
- 2024년 WWE X 계정에서 가장 많이 본 영상
- 2024년 노 머시의 메인 이벤트 참가
- 프로레슬링 일러스트레이티드 2025년 2월호 커버 촬영
- 프로레슬링 티즈에서 가장 많이 팔린 티셔츠
- 유명 비디오 게임과의 콜라보
여러분의 믿음에 감사드립니다.👏 👏
* 2025년 4월 30일, 조 헨드리는 자신의 X 계정에 지난 1년 동안 있었던 굵직한 사건을 정리하면서 팬들의 응원에 감사하단 트윗을 올렸다. 조 헨드리가 2024년에 주목을 받으면서 얼마나 큰 성공을 이뤘는지 알 수 있는 지표기도 한 셈.

6. 둘러보기

파일:200px-ICW_logo_2017.png
ICW 태그팀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자
STI
(2012)
로컬 파이어
(2016)
미정
파일:23-232722_tna-slammiversary-hd-png-download.jpg
역대 슬래미버서리 메인이벤트[★]
2024.7.20 TNA 월드 챔피언십
무스(C) vs 조쉬 알렉산더 vs 스티브 매클린 vs 닉 네메스 vs 프랭키 카자리안 vs 조 헨드리
파일:TNA_Rebellion_2025.png
역대 리벨리온 메인이벤트[★]
2025.4.27
리벨리온
TNA 월드 챔피언십
조 헨드리(C)(O) vs 프랭키 카자리안 vs 에단 페이지(X)
파일:01-roh-logo-2020_0.jpg ROH 이어 엔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파이널 배틀 등장
마티 스컬
(2017)
조 헨드리
(2020)
달튼 캐슬
(2021)
파일:TNA2024.png TNA 이어 엔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남성 레슬러
알렉스 셸리
(2023)
조 헨드리
(2024)
-
(2025)
파일:TNA2024.png TNA 이어 엔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기억에 남는 장면
2024년 12월 19일
TNA iMPACT!
조 헨드리입소문이 나다.
파일:NXT Year end awards.png 올해의 순간
<rowcolor=#333,#ddd> 2024년 6월 18일 ~ 9월 1일
NXT
조 헨드리가 NXT에 등장하다.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4a56a8> 파일:디시인사이드 심볼.svg파일:디시인사이드 로고 닷컴포함 흰색.svg
프로레슬링 갤러리 어워즈 선정 올해의 캐치프레이즈
}}}
"Yeah!" - LA 나이트
(2023)
<colbgcolor=#edf1ff,#4a56a8><colcolor=#4a56a8,#fff> "I Believe In Joe Hendry" - 조 헨드리
(2024)
[미정]
(2025)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4a56a8> 파일:디시인사이드 심볼.svg파일:디시인사이드 로고 닷컴포함 흰색.svg
프로레슬링 갤러리 어워즈 선정 올해의 등장씬
}}}
창설 <colbgcolor=#edf1ff,#4a56a8><colcolor=#4a56a8,#fff> 조 헨드리 - 6월 18일 NXT
(2024)
[미정]
(2025)
파일:v2T9qSqP_400x400.jpg 슬램 레슬링 어워드 선정 최고의 TNA 남성 레슬러
조쉬 알렉산더
(2022, 2023)
조 헨드리
(2024)
-
(2025)

[1] 실명이 조셉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본인이 자신의 실명도 조라며 위키디피아를 까며 부정했다.[2] 인버티드 파워슬램. 데뷔 초기때 사용하였다.[3] 폴어웨이 슬램. 가끔씩 2단 로프 위에서 사용하기도 한다.[4] 엘리베이티드 초크슬램https://www.wrestlingdata.com/index.php?befehl=bios&wrestler=29643. 기립박수라는 뜻이다.[5] 최장기간 챔피언(247일)[6] 영국의 인디단체[7] 뛰는 단체에 따라 가사를 개사하면서 써왔기에 버전이 상당히 많은편이다.[8] 머리를 금발로 염색한건 사이코 시드에 영감을 받았었다고 시드의 부고 소식이 일려졌을때 그의 명복을 빌며 밝힌 바 있다.[9] 여담으로 데뷔 프로모가 상당한 병맛(...)이다. 직접 확인하자.[10] 여기서 상당히 창의적인 장면이 많이 나왔는데 무스가 손가락 욕을 날리자 드림캐스트의 뚜껑을 열어 응수해 무스에게 드림캐스트 샷을 날린다던가 손바닥만한 아동용 RC카를 조종해 무스에게 돌진한다던가 개그스러운 스팟이 돋보였다. #[11] 여기서도 특유의 음악 실력이 빛을 발했는데 본인의 태그팀 테마곡도 자신이 작사 작곡하며 직접 불렀다. 본인의 테마곡만큼 상당히 중독성 있는 편. 팬들도 홀리 쉿 챈트로 화답해 좋은 반응을 보였다.[12] 애덤 로즈의 로즈버드 및 러시아 외교관.[13] 헨드리가 2024년 'The Prestigious One' 기믹으로 WWE와의 협업을 통해 인기가 급상승하자 이 영상이 발굴되어서 헨드리와 관련된 댓글이 많이 달려있다.[14] 핑크색 양복을 입은 로즈버드. 로즈버드들이 전투력이 전혀 없는 설정이라 잭 스웨거가 위협하자 한 구석으로 몰려 떠는 모습을 볼 수 있다. 3분 25초부터 스웨거가 헨드리의 멱살을 잡는 모습이 보인다.[15] 먼저 입장한 프랭키 카자리안은 입장신이 생략되었지만 헨드리는 등장신은 물론이고 세그먼트까지 잡아주는 파격적인 대우를 받았고, 관객들도 그의 입장 테마를 따라부르며 호응해주었다. 본인도 타단체에서 이 정도 호응을 받을지 예상못했는지 꽤나 감개무량해하는 표정을 짓기도 했다. NXT는 관중 규모가 작은 대신 레슬링 너드 성향이 RAW나 스맥다운보다 훨씬 강해서 타 단체 레슬러라도 꿰고 있는 팬들이 많다.[16] 이 쇼츠에서 숀 마이클스는 분통을 터트리고 퇴장하는 헨드리에게 'I believe'라고 말해줬다.[17] IB SPORTS에서 NXT 중계를 담당하는 정승호 아나운서와 김대호 해설위원도 그가 등장하자 "믿으십니까? 믿습니다! 그가 왔어요! 조 헨드리가 NXT에 왔습니다!"라며 격하게 반겼다. 자체 유튜브 컨텐츠인 '1분 땡 뉴스' 18화에서는 정승호 아나운서가 아예 등장씬까지 따라했다.[18] 방송 종료 후 알려진 사실로 그냥 소품이 아니라 주차장의 모든 차에 친필사인이 적힌 포스터를 팬서비스로 한 장씩 끼워주었다고 한다.[19] 에단이 장난감을 갖고 노는 사진이나 우스꽝스러운 복장으로 운동을 하는 영상을 틀면서 "형편없는 이단, 믿음직한 조, 이단 옷 좀 입고 다녀(Ethan Sucks, Believe in Joe, Ethan put on some clothes)"라는 후렴구의 노래였다.[20] 타단체 소속 남성 선수로는 최초의 기록. 여성까지 합치면 2022년의 미키 제임스가 최초다.[21] 탈락당하기 전에 관중의 호응을 유도하다 제이콥 파투에게 공격을 당하기도 했는데, 이 때 링 구석에서 가만히 서서 헨드리의 활약을 감상하던 셰이머스가 제이콥에게 "I was enjoying that!"이라고 화를 내는 장면도 나왔다. 귀엽다[22] 랜디 오턴이 직접 헨드리를 자신의 상대로 요청했다고 하며, 이에 레슬매니아 41이 개최하기 1주 전에 트리플 H가 전화로 '랜디에게 상대가 필요하단 얘기 알고있겠지'라고 운을 띄웠다고 한다.[23] 첫 사례는 레슬매니아7 SWS텐류 겐이치로키타오 코지이다.[24] 얼마나 뜨거웠냐면 WWE에서는 코디 로즈랜디 오턴, 세스 롤린스, 제이 우소 정도만 가능했던 관중들의 테마곡 떼창이 헨드리가 등장했을 때도 울려 퍼졌다. 게다가 헨드리는 가슴 근육 부상으로 TNA에서도 겨우 방어전을 치르는 등 현실적으로도 레슬매니아 출전이 힘든 상황이었다.[25] 메인 챔피언이 타 단체에 가서 스쿼시 매치로 패배했지만 이를 두고 데이브 멜처처럼 반 WWE 팬덤들을 제외하면 불만을 드러내는 반응은 없다. 이 때까지의 협업도 TNA와 NXT끼리만 이루어졌을 정도로 두 단체의 기본 체급 차이가 현격하고 TNA팬들도 이걸 당연하게 인정하기 때문. 게다가 애초에 조 헨드리의 상대가 업계 사람이면 모를 수가 없는 거물인 랜디 오턴인데다가 이번 경기가 그의 20번째 레슬매니아 매치였고, 헨드리 자신의 시그니처 포즈까지 따라해주면서 리스펙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오히려 조 헨드리 입장에서 영광이나 다름없는 순간이었다. 게다가 근본적으로 쌈마이 개그 캐릭터인 기믹 특성상 스쿼시 성 이벤트 매치 패배로 모멘텀이 깎이지도 않는다. 예를 들어 전전 TNA 챔피언이였던 무스나 경기 상대 후보에 있었던 제프 하디가 비슷하게 스쿼시를 당했으면 그들의 이미지에 심한 타격을 주었을 것은 분명하고 TNA와의 협업인 아닌 갑질이라며 좋은 소리는 못들었을 것이다. 헨드리의 기믹 활용성이 돋보이는 부분.[26] 사실 TNA 공식 계정은 레슬매니아 이전부터 헨드리가 WWE 무대에 등장한 영상마다 댓글을 달아왔었다.[27] 특이할 점은 보통 아마레슬링 기반의 레슬러들은 아마추어 레슬링을 하다 프로레슬링에 입문하는 편이 많지만 헨드리는 프로레슬링을 먼저 시작하고 한동안 아마추어 레슬링과 프로레슬링을 겸업해서 활동했었다.[28] 사실 게이블 스티브슨은 프로레슬링을 먼저 시작하진 않았지만 두 분야를 겸업했다는 점에서는 조 헨드리와 비슷했다. 하지만 스티브슨은 헨드리와 달리 프로레슬링에 재능이 없었고, 그렇다보니 스티브슨 본인도 프로레슬링에 흥미를 잃어서 결국은 업계를 떠나 아마레슬링에 돌아갔다.[29] 특히, TV쇼 위주로 돌아가는 WWE는 스타성, 쇼맨십, 엔터테이너로서의 능력을 굉장히 중시한다. 당장 제이 우소가 경기력은 나쁘지만 수뇌부의 신임을 얻는 이유가 관중 반응이 어마어마하게 좋고 상품 판매량이 좋기 때문이다.[30] 반대로 클라우디오 카스타뇰리는 경기력이 좋지만 엔터테이닝 능력이 나빠서 대성하지 못한 케이스.[31] 편곡과 프로듀싱은 프로 음악인과 협업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32] 이 박수도 관중들의 박수를 반주로 활용하는 대표적인 노래인 We Will Rock You를 연구해서 만들었다고 한다.#[33] 우연하게도 헨드리의 우상인 존 시나도 인어 켄으로 바비 영화에 등장한다.[34] 시네이션으로 유명한 헨드리인만큼 가사에 존 시나의 캐치프레이즈 중 하나인 "If you want some come and get some"이 들어가있다.[35] 이 테마곡은 최근 NXT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 2024에서 개사되어 조 코피와 갤러스 그리고 부커 T를 조롱하는데 썼다.[36] 매트 카도나 & 브라이언 마이어스에지 헤드 시절을 조롱하거나 AJ 프란시스의 WWE 시절 수어사이드 다이브 보챠를 조롱하는 등, 보통 상대의 흑역사를 들추는 식이다.[37] 실제로 저런 프로모가 마음에 들지 않았던 상대가 진짜로 경기 중에 짓밟아 시멘트 매치를 치루거나 3시간 이상이나 경기장을 떠나 있었던 곤혹스러운 상황도 겪어봤다고 본인이 털어놓았다.[38] X 조회수가 15시간만에 350만뷰를 넘겼으며, 이는 경쟁단체 AEW오카다 카즈치카, 윌 오스프레이, 메르세데스 모네 같은 조 헨드리보다 더 인지도가 알려진 선수들의 데뷔영상을 합친 것보다 많다고 한다. #[39] NXT의 유튜브 영상 조회수은 메인 쇼와는 다르게 보통 10만도 넘기기 힘들다. 참고로 헨드리의 첫 배틀로얄 등장은 유튜브에서 100만 조회수를 넘겼다.[40] 당장 같이 출전한 TNA의 살아있는 전설이자 고참인 프랭키 카자리안은 방송에서 입장씬이 편집되고 NXT 공식 X 계정에서 짤막하게 보여줬다. 게다가 입장씬에서 뒤를 돌아보면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연출은 다름 아닌 숀 마이클스가 기획해준 것이라고 한다. 이후 이 입장씬이 헨드리의 상징이 된 것임을 생각하면 정말 공을 들여준 것이나 다름 없다.[41] 1위는 랜디 오턴, 2위는 스톤콜드다.[★]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