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8px" | 사전투표일 : 2024년 10월 16일~10월 26일 08:30~20:00 투표일 : 2024년 10월 27일 07:00~20:00 | |
선거 이전 | ||
주요 상황 · 선거구 획정 · 선거구 | ||
후보자 | ||
지역별 | ||
정당별 | ||
선거 진행 | ||
선거 일정 · 참여 정당 · 선거 공약 · 선거 광고 · 선거 토론 및 연설 · 여론조사 · 출구조사 | ||
개표 | ||
결과 분석 | ||
관련 문서 | ||
}}}일본의 주요선거 }}}}}} |
1. 개요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긴키 지역 결과를 정리한 문서.2. 결과 표
지역구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 16석 | 21석 | +5 | |
| 18석 | 14석 | -4 | |
| 4석 | 5석 | +1 | |
| 6석 | 2석 | -4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석 | 2석 | +1 | |
| 2석 | 0석 | -2 |
비례대표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 10석 | 7석 | -3 | |
| 8석 | 6석 | -2 | |
| 3석 | 4석 | +1 | |
| 3석 | 3석 | ||
| 1석 | 2석 | +1 | |
| 2석 | 2석 | ||
| 1석 | 2석 | +1 | |
[[참정당| 참정당 ]] | 0석 | 1석 | +1 | |
| 0석 | 1석 | +1 |
3. 상세
일본유신회의 대약진 및 지지기반 사수. 일본유신회는 이번 선거에서 그동안은 공명당을 배려하여 공천하지 않았던 오사카부 일부 지역[1]에도 후보를 공천하여 오사카부 전 지역에 후보를 냈고 싹쓸이에 성공하였다.[2] 또한 국민민주당 탈당파를 받아들여 시가현과 교토부에서도 추가로 지역구 의석을 확보하며 오사카 외부 지역으로의 확장에도 성공하였다.
자민당은 비교적 선방하였다. 교토부와 나라현의 기존 의석들을 모두 지켜내고[3] 와카야마현 제1구에서 접전 끝에 일본유신회 현역 의원에 승리하면서 보궐선거 때 빼앗긴 의석을 탈환하였다. 이번 총선에서 비자금 사건에 연루된 많은 의원들이 낙선했지만 긴키 지역에서는 비자금 사건으로 자민당이 아닌 무소속으로 출마한 의원들이 생환에 성공하였기에[4] 이들이 추후 자민당으로 복당한다면 자민당의 의석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입헌민주당은 기존의 의석들은 모두 지켜내고 추가로 비례대표를 포함하여 2석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이번 총선에서 전국적으로 입헌민주당이 크게 의석을 늘린 것에 반해 비교적 큰 재미를 보지는 못했다.
반면 연립 여당인 공명당과 야당인 국민민주당은 참패하였다. 공명당은 일본유신회의 약진으로 오사카부의 기존 의석 4석을 모두 내주며 패배하였다. 특히 오사카부 제3구에서는 공명당의 부대표인 사토 시게키가 10%가 넘는 격차로 낙선하였다.[5] 국민민주당은 당 내부의 갈등으로 지역구 의원들이 탈당하며 기존의 의석을 모두 잃었다. 국민민주당 탈당파 의원들은 일본유신회에 입당하였고 이번 총선에서 시가현 제1구와 교토부 제2구에서 당선되며 일본유신회의 외연 확장에 크게 기여하였다.[6]
[1] 오사카부 제3구, 오사카부 제5구, 오사카부 제6구, 오사카부 제16구[2] 특히 오사카부 제3구에서는 공명당의 부대표인 사토 시게키를 상대로 압승을 거두었다.[3] 대부분 일본의 대도시의 중심 지역은 진보세가 강한 것에 반해 교토부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교토부 제1구는 보수세가 강한 편이다. 또한 교토부의 특성상 공산당 지지율도 높은 편으로 대개 공산당 후보와 자민당 후보의 대결로 치러진다.[4] 와카야마현 제2구, 효고현 제9구[5] 연립 여당인 공명당은 이번 총선에서 당대표와 부대표마저 자신의 지역구에서 낙선하는 참패를 당했다.[6] 교토부 제2구의 마에하라 세이지 의원은 이 지역의 터줏대감으로 이번 총선에서 11선에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