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40:40

장전동

장전동(부산)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2014년 10월까지 존재하였던 경기도 화성시의 법정동}}}에 대한 내용은 [[남양읍]]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남양읍#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남양읍#|]]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2014년 10월까지 존재하였던 경기도 화성시의 법정동: }}}[[남양읍]]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남양읍#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남양읍#|]]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2e319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2e3192>
파일:금정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73a3d,#dddddd
행정동 법정동
구서제1동 구서동
구서제2동
금사회동동 금사동 회동동
금성동 금성동
남산동 남산동
장전제1동 장전동
장전제2동
서제1동 서동
서제2동
서제3동
청룡노포동 청룡동 노포동
선두구동 선동 두구동
부곡제1동
부곡제2동
부곡제3동 부곡동 오륜동
부곡제4동 부곡동
}}}}}}}}}}}}}}} ||
금정구법정동
장전동
長箭洞 | Jangjeon-dong
<colbgcolor=#2e3192><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부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 금정구
행정표준코드 2641010800
관할 행정동 장전1동, 장전2동
하위 행정구역 44통 268반
면적 6.03㎢
인구 44,025명[A]
인구밀도 7,301.00명/㎢
1. 개요2. 교통
2.1. 도로2.2. 도시철도2.3. 시내버스
3. 관할 행정동
3.1. 장전1동3.2. 장전2동
4. 역사5. 주요 시설
5.1. 학교5.2. 아파트
6. 기타
파일:external/blogfiles7.naver.net/%B7%A1%B9%CC%BE%C8_%C0%A7%C4%A1.jpg

1. 개요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서부에 위치한 법정동. 동쪽으로는 부곡동, 서쪽으로는 금성동, 북구 만덕동, 남쪽으로는 동래구 온천동, 북쪽으로는 구서동에 접해 있다.

2. 교통

2.1. 도로


금정산을 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터널이 하나도 없었으나[2] 2018년 9월 18일산성터널이 개통되었다. 그리고 2020년 4월 24일수림로 지하를 따라서 장전지하차도[3]가 개통되었다.

2.2. 도시철도

금정구의 중심 상권이자 부산광역시의 주요 번화가인 부대앞답게 부산대역의 수요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에서 상위 10위권에 랭크될 정도로 많으며 부산대역에서부터 부산대학교 정문까지 부대앞 번화가 상권이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다음 정거장인 장전역[4]롯데마트 금정점 외엔 별 거없는 역세권치곤 수요가 많은 편인데 이는 중앙대로에 이은 금정구의 제2의 간선도로라 둘만 빼면 전부 구서동 방면 노선으로만 지나가는 시내버스가 많은 금정로와 먼 부산대역의 위치 때문에 금정로와 붙어있는 이 역에서 부산대 방면과 구서동, 남산동, 청룡동 방면으로 환승하는 사람들도 적지않기 때문이다. 당장 이 역을 회차 지점으로 하는 버스 노선만 해도 6개다.(부산 버스 77, 부산 버스 100, 부산 버스 100-1, 부산 버스 110, 부산 버스 121, 부산 버스 144)

두 역 전부 지상역인 관계로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운영 중이다.

2.3. 시내버스

3. 관할 행정동

3.1. 장전1동

금정구행정동
장전제1동
長箭第一洞 | Jangjeon 1(il)-dong
<colbgcolor=#2e3192><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부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 금정구
행정표준코드 3350036
관할 법정동 장전동
하위 행정구역 19통 113반
면적 3.28㎢
인구 18,040명[A]
인구밀도 5,500.00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금정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백종헌 (재선)
부산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준호 (초선)
금정구의원 | 다 선거구

파일:zsdkl3gasdg.svg
문나영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정윤철 (초선) }}}}}}}}}
행정복지센터 수림로71번길 36[6]
장전1동 행정복지센터

대부분이 주거지역이며 대순진리회재단인 대진전자통신고등학교가 있고 바로 밑에 장전초등학교가 있으며 아래쪽으로 산성터널 입구가 위치해 있다. 하지만 대진전자통신고는 개교 직전에 대순진리회 계열 학교라는 이유만으로 일부 주민들이 격렬하게 개교 반대 농성을 벌인 흑역사가 있다. 그 결과 추가로 개교하려던 대진예술고등학교가 물거품이 되고 말았지만 대진전자통신고등학교는 막상 개교하고 난 이후에는 아이러니하게도 지역에서 매우 건실한 특성화고등학교로 성장하여서 평판이 좋다고 한다.1발 장전

그리고 2014년오랫동안 소문이 무성하던 산성터널이 드디어 착공되었고 2018년 9월 18일에 개통되었다.
파일:장전1동주민센터.jpg

3.2. 장전2동

금정구행정동
장전제2동
長箭第二洞 | Jangjeon 2(i)-dong
<colbgcolor=#2e3192><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부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 금정구
행정표준코드 3350037
관할 법정동 장전동
하위 행정구역 25통 155반
면적 2.74㎢
인구 25,985명[A]
인구밀도 9,483.58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금정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백종헌 (재선)
부산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윤일현 (초선)
금정구의원 | 나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강재호 (재선)

파일:zsdkl3gasdg.svg
이재용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하은미 (3선) }}}}}}}}}
행정복지센터 소정로 19 (장전동 715)
장전2동 행정복지센터

부산대학교와 학교 앞 상권, 근처 주거지로 구성되며 금정구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흔히 부대앞이라고 불리는 부산대학교 앞 상권은 지역 주민들이 심심하면 가는 곳으로 상당한 번화가이다. NC백화점 부산대점, 메가박스 부산대 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을 보고 싶으면 부산대학교 문서 참고. 과거 장전3동이었던 지역은 동래구와 인접해 온천장 상권에 포함되기도 한다.

장전중학교로 올라가는 500m 언덕길은 3~4월에 눈이 내려 길이 얼면 통학 승합차가 올라가지 못하기도 한다. 관내에 세명정신병원이 있어 학생들 사이에 우스갯소리로 회자되기도 한다.

또한 장전동 금정산 SK뷰와 벽산블루밍 장전 디자인시티가 위치해있다. 장전3동을 통폐합하면서 래미안 장전 또한 장전2동 관할이 되었다.

남산동에서 금강식물원 앞 까지 이어주며 우장춘로와 직결이 예정되어 있는 금샘로부산대학교 때문에 장전동 구간만을 아직까지도 완공하지 못해서 오랫동안 베이퍼웨어 상태로 남아있다. 부산대학교 구간은 지하도를 뚫어서 해결한다고 하지만 지하도를 뚫는 비용이 비용이다보니 완전히 개통되는데는 시간이 좀 더 걸릴듯...

2020년 1월 1일에 인근 장전3동을 통폐합하여 흡수하였다. 행정동 명칭과 주민센터는 모두 장전2동의 것을 계승한다.
파일:external/jumin.busan.go.kr/7473_body_1_16.jpg

4. 역사

5. 주요 시설

5.1. 학교

5.2. 아파트

6. 기타



[A] 2023년 5월 주민등록인구[2] 금성동을 거쳐가는 산성로가 있으나 이 도로를 이용하면 30분은 걸린다.[3] 산성터널윤산터널을 연결한다.[4] 온천장역처럼 장전동과 부곡동 경계에 있다.[A] [6] 장전동 130-15[A] [8] 北面[9] 한자는 獐田洞으로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