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국방부 근무지원단 | 계룡대 근무지원단 자운대 근무지원단 | 상무대 근무지원단 | 학군교 근무지원단 | 지작사 근무지원단 | |
2작사 근무지원단 | 육사 근무지원단 | 3사 근무지원단 | 공작사 근무지원단 | 공사 근무지원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국군의 편제 | |||||
※ 둘러보기 : 참모본부 | 작전사령부 | 사관학교 | 교육사령부 | 군수사령부 | 국군병원 | 형사사법기관 | 정보부대 | 파병부대 | |||||
독립단 · 단 | 해체된 독립단 |
대한민국 공군 직할 독립부대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공군본부 직할 | ||||
공군대학 | 항공우주의료원 | 검찰단 | 군사경찰단 | 기상단 | |
수사단 | 시험평가단 | 역사기록관리단 | 전력지원체계사업단 | 지능정보체계관리단 | |
항공안전단 | 항공우주전투발전단 | 사이버작전센터 | 제7항공통신전대 | 제35비행전대 | |
제53특수비행전대 | 제91항공공병전대 | 군악의장대대 | |||
작전사령부 직할 | |||||
작전사령부 근무지원단 | 작전정보통신단 | 항공지원작전단 | 항공정보단 | ||
공중전투사령부 직할 | 공중기동정찰사령부 직할 | ||||
제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 | 제38전투비행전대 | 제6탐색구조비행전대 | 제28비행전대 | 제51항공통제비행전대 | |
군수사령부 직할 | 교육사령부 직할 | 공군사관학교 직할 | |||
파일:제60수송전대 부대마크.svg | |||||
제60수송전대 | 교육사령부 기지지원전대 | 교육사령부 기지병원 | 제55교육비행전대 | 공군사관학교 근무지원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공군의 편제 | |||||
※둘러보기: 공군의 비행단 | 공군의 여단 |
공군작전사령부 근무지원단 空軍作戰司令部 勤務支援團 Air Force Operations Command Service & Support Group | |
전승보장 작근단 근무지원 이상없다! | |
<colbgcolor=#2F9AFF><colcolor=#fff> 창설일 | 2001년 12월 1일 |
약칭 | 작근단 |
소속 | 대한민국 공군 |
상급부대 | 공군작전사령부 |
규모 | 단 |
역할 | 오산 공군기지의 기지방호 및 작전지원 |
단장 | 대령 김대회 (공사 40기) |
주임원사 | 원사 김재연 (부사후 164기) |
위치 | 경기도 평택시 서탄면 오산 공군기지 |
[clearfix]
1. 개요
공군작전사령부가 주둔하고 있는 오산 공군기지의 지원부대.2. 상세
풀네임은 '공군작전사령부 근무지원단'으로 흔히들 줄여서 작근단이라 불리지만 다른 부대의 근무지원단처럼 근지단으로도 불린다. [1]작전사령부와 오산 기지에 있는 그 예하부대들을 지원하는 것이 주 임무. 시작은 동 기지에 주둔하고 있는 제30방공관제단(現 공군방공관제사령부) 예하 기지지원전대에 두고 있으며, 2002년경 오산 기지에 주둔하고 있는 부대들의 중요성에 따라 확대개편, 30단에서 독립하여 단급 부대로 창설되었다.
부대의 규모는 단급이긴 하나 실제로는 여타 기지전대들보다 조금 더 큰 수준의 사실상 이름만 단급인 전대급이다.[2] 하위 단위가 대대인 것에서 알 수 있다. 다만 인트라넷 조직도에서는 단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주로 조종 특기 대령이 지휘관으로 보임된다. 이는 옆 부대인 작전정보통신단도 마찬가지. 오산 기지의 살림을 담당하는 중요한 부대라 할 수 있으나, 육해공의 모든 기지 지원부대들이 그렇듯이 2~3선급 부대로서 찬밥대우를 받는다고 보이기도 하는 모양이다. 지휘관 입장에서는 같은 대령인데 다른 주요 비행단의 항작전대장보다 진급에서 유망하지 않다고 생각될 수도 있다.
오산 기지에 있는 부대들이 많기도 하고, 높으신 분들이 많은 주요 부대들이다보니 꽤나 많은 일을 한다. 공군에 몇 없는 군악대[3]도 있고, 영창이 없는 몇몇 작은 부대들에서 영창 갈 사람이 있으면 대신 가둬두기도 한다. [4]
단 본부 아래 예하 대대 및 몇개의 소규모 파입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같은 특기 동기로 전입을 오더라도 단본부로 가느냐 예하 대대로 가느냐, 예하 대대로 간다면 어느 대대로 가느냐에 따라 군생활이 드라마틱하게 갈리는 체험을 할 수 있다.
3. 편제
- 단본부
- 인사행정과(구 운영과, 2016년 1월 운영계획과에서 운영과, 계획과 분리)
- 계획과
- 군수과
- 재정과
- 기지작전과
- 공병대대(구 시설대대)
- 군사경찰대대(구 헌병대대)
- 복지대대(구 지원대대)
- 수송대대
- 항공의무대대(구 항공의무전대)
- 군악대
- 대공방어대
- 화생방지원대
- 기상대대
4. 출신인물
4.1. 장교/부사관
- 김기영 - 정치인
1992년 10월 군법무관 임관, 이곳에서 법무참모로 복무 - 고등군사법원 군판사를 거쳐 10년간 복무 후 소령 전역.
- 부승찬 - 제22대 국회의원. 공군사관학교 43기.
1995년 3월 1일 소위 임관, 공군본부, 한미연합군사령부를 거쳐 이곳에서 정보장교로 복무, 2010년 2월 28일 소령 전역.
- 이도훈 - 윤석열 정부 외교부 제2차관. 학사장교 출신.
1986년 7월 26일 소위 임관, 정보장교로 복무, 1989년 3월 31일 중위 전역.
- 임태희 - 제16·17·18대 국회의원. 민선 8기 경기도교육감. 공군사관후보생 출신.
1982년 8월 1일 소위 임관, 이곳을 거쳐 국군보안사령부에서 관리회계장교로 복무, 1985년 7월 31일 중위 전역.
4.2. 병
- 김동은 - 경기도 수원시의회 의원
2001년 4월 23일 입대, 일반차량운전병으로 복무, 2003년 10월 15일 병장 만기전역.
- 또 떠나는 남자 - 유튜버
병 720기 입대, 통역병으로 복무, 병장 만기전역.
- 박건우 - 배우
2017년 9월 18일 병 780기 입대, 군악대에서 근무, 2019년 8월 22일 병장 만기전역.
- 조인성 - 배우
2009년 4월 6일 병 675기 입대, 군악대에서 군악병으로 근무, 2011년 5월 4일 병장 만기전역.
- 조항리 - 아나운서
병 665기 입대, 병장 만기전역.
5. 여담
- 부대 내 민영업체는 해당 문서를 참고.
- 운전병은 꿀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오산기지에는 워낙 높으신 분들이 많기 때문에 지휘관 전용차 운전병으로 대여섯 명 차출되고, 운행 또한 많기 때문에 외부음식 먹을 기회가 많다.
- 공군교육사령부에서 열심히 시험공부하고 있는 병사들 사이에서는 굉장히 인기가 높은 부대이다. 아무래도 후방지원부대인 점과 오산 기지의 교통편의성(송탄역이나 서정리역에서 가깝다. 전철타면 서울까지 한 시간 남짓.), 미군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는 소문 등이 원인인 듯.[5][단]
[1] 특기학교에서 TO 발표시에는 “작사근무지원단” 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2] 그래서 영어 이름도 AFOC S&S 'Group'이다. Group은 전대급 부대 뒤에 붙는 단위이다.[3] 조인성이 여기서 복무했다.[4] 사실 오산기지의 사령부 본부는 독립된 완편 부대가 아니라 본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영창을 둘 필요가 없다. 공군교육사령부와 같이 하나의 울타리를 갖고 기능하는 부대가 아니라 본부의 역할만 수행하기 때문.[5] 물론 교통 면에서는 가까운 10비가 압도적인 편의성을 자랑하나, 특기학교에서 자대 to에 이 두 부대가 나란히 나오면 비행단이 더 편한 소수 특기 외에는 십중팔구는 작근단을 선호한다. 비전투부대의 이점이 교통 가까운 것보다 훨씬 크기 때문.[단] 현재 2024년 기준으로는 부대내 사건사고와 민영업체들의 반발로 인해 미군시설 이용이 금지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