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군 직할 독립부대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공군본부 직할 | ||||
공군대학 | 항공우주의료원 | 검찰단 | 군사경찰단 | 기상단 | |
수사단 | 시험평가단 | 역사기록관리단 | 전력지원체계사업단 | 지능정보체계관리단 | |
항공안전단 | 항공우주전투발전단 | 사이버작전센터 | 제7항공통신전대 | 제35비행전대 | |
제53특수비행전대 | 제91항공공병전대 | 군악의장대대 | |||
작전사령부 직할 | |||||
작전사령부 근무지원단 | 작전정보통신단 | 항공지원작전단 | 항공정보단 | ||
공중전투사령부 직할 | 공중기동정찰사령부 직할 | ||||
제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 | 제38전투비행전대 | 제6탐색구조비행전대 | 제28비행전대 | 제51항공통제비행전대 | |
군수사령부 직할 | 교육사령부 직할 | 공군사관학교 직할 | |||
파일:제60수송전대 부대마크.svg | |||||
제60수송전대 | 교육사령부 기지지원전대 | 교육사령부 기지병원 | 제55교육비행전대 | 공군사관학교 근무지원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공군의 편제 | |||||
※둘러보기: 공군의 비행단 | 공군의 여단 |
공군군악의장대대 空軍軍樂儀仗大隊 | |
<colbgcolor=#2F9AFF><colcolor=#fff> 창설일 | 1952년 (공군본부 군악대) 1961년 (공군본부 의장대) 1998년 (계룡대 근무지원단 공군군악의장대대) 2020년 1월 (공군군악의장대대) |
약칭 | (공군본부) 군악의장대대 |
소속 | 대한민국 공군 |
상급부대 | 공군본부 |
종류 | 대대 |
역할 | 대한민국 공군의 주요행사 및 충청, 전북지역 군악·의장 지원 |
대대장 | 중령 김승진 (공사 45기) |
위치 | 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계룡대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공군의 부대이며, 계룡대에 위치한 대한민국 공군본부 직할 대대급 부대이다. 정식명칭은 (공군)군악의장대대이지만, 공군본부 직할이기 때문에 다들 '공군본부 군악의장대대', '공본 군악의장대대', '본부 군악의장대대' 등 공군본부를 강조한 명칭으로 부른다. 공군본부 차원에서의 주요 의식행사에 대한 군악, 의장 행사 지원을 수행하며, 그 외에도 주둔하고 있는 계룡대 인근 지역, 좁게는 충청권에서 넓게는 전북권까지 스페이스 챌린지 등 공군 행사와 각종 지역 행사에 군악 의장 행사 지원을 수행한다[1].2. 역사
한국전쟁 중이던 1951년, 피란지였던 대구에서 정호상 대위를 비롯한 육군 출신 장병들로 시작되어 1952년 8월 공군본부 군악대로 창설되었다. 공군교향악단 운영 및 정기연주회, 지방순회연주회 등 장병 및 대민 위안 연주회와 군가 제작 및 보급, 문선단 공연에 따른 연주지원, 기타 주부 및 학생을 위한 음악교실과 군악학교 개설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한편 의장대는 1961년 8월 독립부대인 공군본부 의장대로 창설되었다.공군본부가 서울 대방동에 있던 시절, 본부사령실이 조직되면서 예하 부대로 들어갔으며, 1982년에는 공군군수사령부 및 공군교육사령부에 파견되어 있던 제501군악파견대를 각각 군수사령부 및 교육사령부 본부대대 예하의 군악대로 예속변경하였다. 이후 1998년, 소속되어 있던 공군본부사령실이 흡수통합된 계룡대 근무지원단이 창설되면서, 예하의 공군군악의장대대가 되어 국직부대가 되었다가 2020년 국방개혁 2.0에 따라 다시 분리되어 공군본부 직할의 독립부대인 현재의 공군군악의장대대가 되었다.
3. 편제
대대장은 정훈 특기[2] 중령이고, 예하에 소령급이 지휘하는 군악대와 의장대를 두고 있다.4. 역대 대대장
역대 공군군악의장대대장 | |||||
<rowcolor=#fff>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00대 | 김승진 | 중령 | 공사 45기 | 前 공군본부 공보정훈실 미디어콘텐츠과장 |
5. 기타
- 군악병의 경우 전부 전문특기병으로 선발하며, 의장병의 경우는 일부는 전문특기병, 일부는 기본군사훈련단에서 희망자를 대상으로 선발하고 있다. 선발되었다고 하더라도 전부 공군군악의장대대로 올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여타 특기처럼 교육훈련 성적에 기반하여 1~3지망을 작성하여 그에 따라 배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배우 이도현(병 850기)이 군악대 연주소대 연주병으로 근무하고 있다.
- 백패커 2 2회에 출연하였다.
6. 둘러보기
[1] 수도권은 공군작전사령부 근무지원단 군악대가, 영남권은 군수사령부 군악대 및 교육사령부 군악대/의장대, 충청권은 공군사관학교 근무지원단 군악대가 지원한다. 의장대의 경우 본부와 교육사령부에만 존재하고, 단급 부대에서의 간단한 행사의 경우에는 해당 부대 군사경찰대대 행사반에서 수행하기도 한다.[2] 공군에는 별도의 군악 및 의장 특기 장교를 두지 않고, 정훈 특기에서 통합관리한다. 군악 특기는 병, 부사관, 준사관이 존재하고, 의장 특기는 병사만 존재한다. 다만, 군악 분야의 경우 전문성이 어느정도는 필요한지라, 특별 전형으로 관련 전공자를 선발한 후 정훈 장교로 임관시키고 별도로 인사관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