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17:05:29

유희왕 듀얼링크스/환경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유희왕 듀얼링크스|유희왕 듀얼링크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유희왕 듀얼링크스/덱/2025년 4월~6월]]{{{#!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유희왕 듀얼링크스 로고.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듀얼 월드
스테이지 미션
게이트 PVP
아레나
상점 듀얼
스튜디오
듀얼 스쿨 카드
트레이더
등장 듀얼리스트
전설의 듀얼리스트 일반 듀얼리스트
방랑자 부랑자
기타 정보
금지
/ 제한
현 환경
덱 일람
미 OCG화
카드
OCG와
다른 카드
레전드 카드 목록
평가 업데이트
}}}}}}}}} ||

파일:유희왕 듀얼링크스 로고.png
유희왕 듀얼링크스
환경 및 덱 관련 문서
현 환경 및 티어권 덱 금제 리스트
{{{#!wiki style="margin: 0px -10px 0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hite 역대 분기별 덱}}}
DM 월드
2017년 1분기 2017년 2분기 2017년 3분기
GX 월드
2017년 4분기 2018년 1분기 2018년 2분기 2018년 3분기
5D's 월드
2018년 4분기 2019년 1분기 2019년 2분기 2019년 3분기
DSOD 월드
2019년 4분기 2020년 1분기 2020년 2분기 2020년 3분기
ZEXAL 월드
2020년 4분기 2021년 1분기 2021년 2분기 2021년 3분기
ARC-V 월드
2021년 4분기 2022년 1분기 2022년 2분기 2022년 3분기
VRAINS 월드
2022년 4분기 2023년 1분기 2023년 2분기 2023년 3분기
SEVENS 월드
2023년 4분기 2024년 1분기 2024년 2분기 2024년 3분기
고 러시!! 월드
2024년 4분기 2025년 1분기 2025년 2분기 2025년 3분기
{{{#white 기타 덱}}}
자동 듀얼 덱
파밍 덱
}}}}}}}}} ||


1. 개요2. 스피드 듀얼 금제 및 스킬 리밸런싱
2.1. 4월2.2. 5월
3. 스피드 듀얼 환경4. 러시 듀얼 금제 및 스킬 리밸런싱5. 러시 듀얼 환경6. 스피드 듀얼 티어권 덱7. 러시 듀얼 티어권 덱
7.1. 범용 카드7.2. 1티어7.3. 2티어7.4. 덱7.5. 3티어7.6. 비티어

1. 개요

유희왕 듀얼링크스의 최신 업데이트 환경과, 최신 환경 기준으로 티어권 덱들을 서술하는 문서. 과거의 환경과 덱리스트에 대해서는 유희왕 듀얼링크스/덱의 하위 문서들과 과거 환경 문단 쪽 참고.

듀얼링크스의 환경은 스피드 듀얼 룰을 따르며, 메인 페이즈 2의 부재, 카드풀의 차이와 스킬의 존재 때문에 마스터 룰과는 상이한 자체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특히 스킬의 영향력이 굉장히 막강한데, 스킬로 엑스트라 몬스터를 추가하거나 패교환, 특정 카드 서치는 기본에, 심하면 서로 아무 시너지가 없는 테마들도 스킬로 엮어서 덱 구실을 하게 만들어버리는 경우도 있다.[1]

때문에 듀얼링크스에선 강력하지만 OCG에선 약체로 취급되는 테마들도 상당수 존재하고, 반대로 OCG에선 강력한 모습을 보였지만 듀얼링크스에선 힘을 못쓰는 테마가 존재한다. 물론 OCG에서 강력했다면 카드 자체의 효과가 강력하여 듀얼링크스에서도 통할 가능성이 훨씬 높기 때문에 후자의 케이스가 많지만. 또는, 아예 OCG와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덱들도 있다. 위에서 말한 히어로가 대표적인 케이스.[2][3]

덱에 적힌 이용률의 순위는 스킬을 기반으로 측정하므로, 채택하는 스킬이 다양한 덱들의 경우에는 부정확할 수 있다.

이 문서는 2025년 2분기 환경을 기준으로 두고 있다.
==# 과거 환경 #==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유희왕 듀얼링크스/환경/2024년 10월~12월]]{{{#!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

2. 스피드 듀얼 금제 및 스킬 리밸런싱

2.1. 4월

3월 7일부터 적용되는 금제와 3월 26일에 발매된 카드들의 선금제 및 3월 7일과 4월 7일부터 적용되는 스킬 리밸런싱을 동시에 서술한다.파일:듀링스킬.png 윈터 벨 액셀
②: 패의 「WW-스노우 벨」 1장 또는 「WW의 방울 소리」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WW(윈드 위치)」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파일:듀링스킬A.png 성각룡의 새벽빛
②: 패의 「소집의 성각인」 또는 「창조의 성각인」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패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성각」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파일:듀링스킬.png 소울버닝 링크
②: 패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덱 외에서 「샐러맨그레이트 오브 파이어」와 「샐러맨그레이트 버닝쉘」을 1장씩 패에 넣고, 덱 외에서 「샐러맨그레이트」 링크 몬스터 2종류를 3장씩 엑스트라 덱에 추가한다. 상대 필드에만 카드가 존재할 경우, 추가로 덱에서 「샐러맨그레이트」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패에 넣거나 뒷면 수비 표시로 낸다(표시 형식 변경 가능). }}}

2.2. 5월

5월 7일부터 적용되는 금제와 스킬 리밸런싱을 서술한다.파일:듀링스킬.png LL(리리컬 루스키니아)-버드 허밍
①: 자신은 LL(리리컬 루스키니아)」 몬스터 및 레벨 1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파일:듀링스킬.png디멘션 그래스프
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제외 상태의 카드를 무작위로 8장을 골라 덱으로 되돌린다.}}}
파일:듀링스킬A.png크로노다이버 크로스비트
①: 듀얼 개시시에 발동한다. 엑스트라 덱에 「크로노다이버 리단」을 1장 추가한다. 이 듀얼 중에, 자신은크로노다이버」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특수 소환할 수 없다.(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은 포함하지 않음).
②: 사이킥족의 「크로노다이버」 몬스터 1장 또는 「크로노다이버 스타트업」 1장을 패에서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기계족의 「크로노다이버」 몬스터 1장 또는 「크로노다이버 스타트업」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상대 필드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추가로 자신의 패를 1장 고르고 덱으로 되돌린다.}}}

3. 스피드 듀얼 환경

메인 박스 SCARRED RESONANCE,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 번들 출시 이후 환경을 서술.
3월 26일 SCARRED RESONANCE이 출시되었다. 범용 카드는 딱히 주목받고 있지 않지만, 레드 데몬 레조네이터, 공룡 덱, 서브테러 덱, 싱크론 덱, DD 덱이 지원을 받았다. 특히, 레드 데몬 쪽은 새로운 스킬도 강력해서 티어권 자리를 차지할 수 있게 됐다. 나머지 덱들도 다 지원을 받아서 사용률은 올라간 상태.

후열 견제 중시 메타[9]로 변하게 되면서 금지된 일적을 제외한 대부분의 범용 후열 카드들은 제거 카드인 (코즈믹) 싸이크론 등을 제외하고는 채용률이 줄었다. 패 트랩인 이펙트 뵐러는 당연히 그냥 쓰인다. 더군다나 초융합을 메인 웨폰으로 쓰는 히어로 덱이 사용률은 1위라서 달의 서와 개기일식의 서의 투입률도 은근히 줄어들었다.

대신 묘지 자원을 자주 써먹는 메타[10]가 오게 되면서, D.D. 크로우와 이차원 그랜드의 이용률이 소폭 올라갔고, 왕가의 골짜기-네크로밸리가 범용 카드로 쓰이는 모습이 보이기 시작했다.

4월 KC 컵 후에는 굉장히 높은 강도의 금제와 스킬 너프가 가해졌다.
===# 스피드 듀얼 스킬 순위 #===
2025년 4월 초 기준. 30위 이하의 변동층은 노카운트.
1. 드래고닉 콘택트
2. 천지명동의 힘
3. 싸움의 크로니클/LL(리리컬 루스키니아)-버드 허밍스타브 베놈 인베이전
혁명의 시화
소울버닝 링크
액재를 쫓는 자
공룡 각성
트라이브리게이드 트리거
릴랙제이션 타임별의 용자
스타더스트 액설러레이션
시라누이류의 계승자
어둠을 베는 힘
아큐트 매스 블레이즈
바리아르포제 -유성의 권-
영원한 사이버 유파
피닉스 라이징
불사의 태양신그림자를 자아내는 힘
스프리건즈 조이닝
오버레이 컨트롤
삼환마 초래
링크 다크레이즈
오드아이즈 윙 엑셀
타키온 드래곤 도미네이션

4. 러시 듀얼 금제 및 스킬 리밸런싱

5. 러시 듀얼 환경

미니 박스 BLAZING CHEMICALIZATION 출시 이후 환경을 서술
===# 러시 듀얼 스킬 순위 #===

6. 스피드 듀얼 티어권 덱

해당 항목은 듀얼링크스 유저들이 제일 많이 참조하는 사이트인 듀얼링크스 메타 티어 리스트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6.1. 범용 카드


부동의 패트랩인 이펙트 뵐러의 자리는 굳건하며, 광역 무효화 카드인 금지된 일적의 자리도 마찬가지. 서술한 것처럼 묘지 자원 견제 메타가 옴에 따라 D.D. 크로우의 이용률도 높아졌다. 거기에 작정하고 견제하는 용도로 이차원 그랜드나 네크로밸리까지 넣는 덱들도 생겼다.

또한 후열 견제 위주 메타가 시작되면서 트로이메어 피닉스는 레인보우 네오스조차 제치고 EX 몬스터 사용률 1위를 가져갔고, 유니콘도 레인보우 네오스 바로 밑인 3위권을 가져갔다. 또한 함정 카드의 투입률이 많이 줄어들었다. 싸이크론의 투입률은 여전히 높으며, 달의 서/개기일식의 서의 투입률이 전 분기에 비해 내려갔다.

===# 0티어 #===
일반적인 환경에서 가장 강력한 덱들은 1티어에 분류되는게 일반적이지만, 밸런스 조절 실패로 인해 특정덱이 지나치게 강력해져 다른 덱들과의 격차가 크게 벌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경우엔 여기에 분류된다. 물론 역대 1티어 덱들도 다른 덱들과의 편차는 유동적이라 사람에 따라선 0티어 덱이 1티어로 분류되기도 하고 1티어 덱이 0티어로 분류되기도 한다.

하지만 대회 순위권의 반절이 특정 덱으로 도배되거나, 랭크 게임 채용 카드 순위에서 특정덱 카드들이 범용 카드들 보다도 채용률이 높다거나, 아예 특정덱 카운터 카드가 범용 카드급으로 채용률이 올라가는 등, 누가 보더라도 명백하게 환경에 해친다고 볼 수 있는 덱에 한해서 여기에 분류된다.

여태까지 0티어로 분류된 덱들은 여섯 무사, 오노마토, 샐러맨그레이트, 타키온 덱 등이 있다.

6.2. 1티어

6.2.1. 샐러맨그레이트Ver.2


4월 기준 사용률 6~10위 내의 덱.

REBIRTH OF FLAME에서 강력한 지원과 스킬을 받은 후로 1티어를 유지중인 덱. 3월 금제에서 포울이 제한 1, 4월초에 스킬 코스트가 너프를 먹었다. 그로 인해 포울은 빠져나가서 타격을 받았다.

그럼에도 샐러맨그레이트 오브 파이어의 강력한 서치 능력과, 미라지스탤리오의 개체수 추가+몬스터 바운스 효과, 히트라이오와 트로이메어 피닉스의 후열 견제 능력, 파이로피닉스의 광역 파괴 능력은 여전히 강력해서 1티어권을 유지했다.

6.2.2. 레드 데몬 레조네이터Ver.2


4월 기준 사용률 2위의 덱.

SCARRED RESONANCE에서 대규모 지원을 받으면서 2티어 자리로 치고 올라온 덱. 선금제로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가 제한 1, 크림즌 헬가이아가 제한 3을 받았다.

기존 레드 데몬 레조네이터 덱에 비해서 선후공 모두 안정적인 저점을 가질 수 있게 됐다. 또한 스킬을 포함해 공격권이 많이 늘어나면서 상대의 견제를 흘릴 수 있는 수가 많아졌다.

선공에는 소울 레조네이터 원핸드로도 스카레드 노바와 어비스를 세워서 데먼즈 체인과 어비스가 퍼미션을 마련해준다.
후공에는 데먼즈 체인을 스킬로 깔아서 상대의 견제 카드를 소모하고, 스카레드 데몬과 크림즌 헬 시큐어로 상대의 필드를 무너뜨리고 킬각을 잴 수 있게 됐다.

6.3. 2티어

6.3.1. 프레데터 플랜츠Ver.2


4월 기준 사용률 5위 이내의 덱.

STARVING VENOM에서 대규모 지원을 받고, 12월에 대규모 너프를 받았지만 여전히 버티고 있는 중. 제한 1 카드로는 가장 저점이 무난한 드로소필룸 히드라가 쓰이고 있다. 아이:피 마스카레나가 나오면서 전개력을 바탕으로 상대 턴 초링크 소환을 하는 전략도 고려되고 있다.

6.4. 3티어

6.4.1. 드래고닉 히어로


4월 기준 사용률 1위의 덱.

ARMED NEOS THUNDER와 레인보우 네오스를 받고서 한동안 날뛰다가 2중 제한 3을 받고서 2티어로 내려왔다. 하지만 원동력인 스킬은 멀쩡하므로 덱은 여전히 돌아간다.

타 덱과 달리 이 쪽은 스킬의 발동 확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므로 패트랩 몬스터의 투입률이 높지 않은 편. 에어맨과 리퀴드맨이 동시 3제를 받으면서 기존의 제한 3 범용 카드들은 빠져나갔고, 에어맨은 2장, 리퀴드맨은 1장으로 투입이 줄어들었다. 초동율이 줄어들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멀전시 콜의 투입률이 대폭 늘어났다. 또한, 안정성을 보완하기 위해 유벨 파츠들[26]이 빠졌다.

EX 덱에도 변화가 생겼다. 미러전의 비율이 줄어들고, 레인보우 네오스와 포지션이 겹치는 문제가 있던 암드 네오스는 빠지는 경우가 많아졌다. 또한, 서브테러 덱이 최근에 치고 올라오기 시작하자, 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를 투입하는 덱도 생기기 시작했다.

6.4.2. 불꽃성기사듀얼


4월 기준 사용률 18위의 덱.

불전사 형태의 덱으로, 현재는 3티어로 내려간 상태. 제한 1 카드로 선금제를 받은 증원을 사용한다. 듀얼 어브레이션의 강력한 견제 능력과, 불전사 특유의 전개력을 통해서 강력한 4축 엑시즈 몬스터로 싸우는 형태.

6.4.3. LL


4월 기준 사용률 3~4위 이내의 덱.

MAJESTIC MAGIC에서 대규모 지원을 받고, 12월에 대규모 너프를 받았지만 여전히 버티고 있는 중. 금화고양이가 기존 베릴 카나리의 역할을 어느 정도 분담하고 있으며, 베릴 카나리는 묘지로 간 어셈블리 나이팅게일을 소생시키는 용도도 맡고 있다.

6.4.4. 서브테러Ver. 2


4월 기준 사용률 10위 내의 덱.

SCARRED RESONANCE에서 대규모 지원과 스킬을 받으면서 치고 올라오기 시작한 덱. 현재 강덱들 중에서는 유일하게 땅 속성이라, 드래고닉 히어로의 초융합에서 비교적 안전하다는 장점이 크다. 또한, 전용 이펙트 뵐러인 요마를 서치해올 수 있는 건 물론, 리버스 테마라서 히어로와 드래곤메이드 등 융합 덱들 이외[33]를 상대로 선공을 잡으면 상대의 집 짓기를 방해할 수 있는 장점이 꽤 크다. 단점으로는 전열 유지력은 매우 강하지만, 후열 유지력은 상대적으로 딸린다.

6.5. 주목 중인 테마

메타 사이트에서 차기 티어로 예상하는 중이나, 수집된 자료가 아직 적어 주목중인 덱에 한정해서 서술한다.

6.6. 비티어권

메타 사이트 기준으로는 티어권에 분류되진 않지만, 꾸준히 듀얼킹 인증이나 대회 실적이 보이는 비티어권덱 또는, 플래티넘 이상의 랭킹전에서 사용률이 20위 안에 드는 덱들에 한정해서 서술한다.

6.6.1. 크로니클 백룡 덱


2024년 1분기 때 티어로 올랐다가 현재도 사용률 3~4위로 계속 비티어권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덱.

이는 스킬을 쓰는 캐릭터가 별도의 해금 미션이 필요 없는 캐릭터[35]이며, 이어받은 혼을 제외한 핵심 카드들은 죄다 무료 아니면 1000 보석짜리 스트럭처로 살 수 있다는 장점이 매우 크기 때문. 하위호환으로는 백룡 덱 계열로 진화한 최강의 드래곤 버전이 있다.
궁극 융합을 통해서 상대 카드를 제거하면서 진궁푸나 궁극룡 기사를 불러내 타점으로 압도할 수 있고, 스킬 덕에 고레벨 몬스터들이 패에 잡혀도 이들이 전혀 말림패가 되지 않는다. 또한 스킬로 서치 가능한 이어받은 혼을 통해 상대의 효과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할 수 있다는 장점은 여전히 강력하다. 하지만 그것 말고는 아무런 메리트가 없어서, 운 좋게 버스로 치거나, 뉴비학살용이 아니면 샌드백 취급을 받는다.

6.6.2. 공룡 덱


4월 기준 사용률 6~10위 내의 덱.

SCARRED RESONANCE에서 대규모 지원을 받고, SELECTION BOX Super Mini Vol.4에서 화석조사[39]를 받고, 새로운 스킬을 받으면서 치고 올라오기 시작한 덱.

공룡 덱 특유의 빠른 순환, 궁극의 전도 티라노라는 초강력 에이스, 깜짝 킬각을 보는 자이언트 렉스, 미세라사우루스의 내성, 퍼미션 담당의 에볼카이저 라기어와 묘지 자원을 막는 심연에 숨은 자까지 상당히 강력한 덱. 단점이라면 스킬의 2번 효과를 위해서는 공룡족이 아닌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야 하다 보니, 주옥수-링크리보 콤보 외에는 아드에서 손해를 봐야 할 수도 있다. 또한, OCG보다는 덜하지만 패 말림이 은근 있는 편이고, 후열 견제 능력은 트로이메어 피닉스에게 맡겨야 한다는 것.

밑에 적혀 있듯이 공룡의 각성 외에도 플뢰르 스킬을 채용해서 싱크로 몬스터들도 넣는 케이스도 있다.

6.6.3. 플뢰르 덱


2024년 3분기 때부터 티어로 올라온 덱이며, 현재도 사용률 10위 이내를 지키고 있는 덱.

문서를 보면 알다시피 실제로는 굿스터프 엔진으로 분류되는 형태다. 그렇다 보니 파생 덱들도 어마하게 많은 편. 현재는 소환수 기반형 굿스터프 덱이 대세이며, 공룡 덱이 일부를 차지하고 있다.
6.6.3.1. 플뢰르 소환수
6.6.3.2. 플뢰르 공룡

6.6.4. 트라이브리게이드


2025년 1분기부터 등장한 덱. 선공 고점만 높은 덱으로 뵐러컷, 일소컷 등 좋지 못한 평가를 받지만, 이용률은 높은지 10위권 이내에서 버티고 있다.

6.6.5. 드래곤메이드


2025년 1분기부터 등장한 덱. 카드군의 인기를 자랑하는 듯이 사용률이 10위 근처로 굉장히 높은 편.

스킬이 선후공 관계없이 패에서 아무 드래곤족을 버리고 드메 몬스터를 서치할 수 있으며, 후공에는 패 덱 묘지 어디에서든 릴렉제이션을 세트하고 세트한 턴에 발동할 수 있게 해 주는 덕분에 슈트럴 소환율이 매우 높다. 그래서 1핸드로 슈트럴을 소환하는 바렐로드 R 드래곤, 같은 팩에서 추가된 고성대 사우라비스 등의 몬스터만 용병으로 채용하고 있다.

지원받은 드래그니티에 체임, 파루라, 슈트럴, 하스키, 전환, 정리정돈 등만 용병으로 출장가는 경우도 등장했다. 성각 아툼스를 소환해서 꺼내놓는 것.

6.6.6. 싱크론Ver.4


4월 기준 사용률 11~15위 내의 덱.

SCARRED RESONANCE에서 대규모 지원을 받고, SELECTION BOX Super Mini Vol.4에서 라이딩 듀얼! 액셀러레이션과 새로운 스킬을 받은 덱.

기존의 유성의 3가지 스킬들[42]과 달리, 메인 덱에는 어떠한 제약도 없는 게 특징. 엑스트라 덱도 미래를 밝히는 유대 다음으로 넓은 편에 속한다. 덕분에 스피드로이드나 아스카톨을 섞는 덱들도 있다. 천룡설옥 같은 카드[43]도 투입 가능.

6.6.7. 시라누이Ver.4


2024년 1분기부터 등장한 덱. 사용률도 11~15위 사이를 오갈 정도로 높은 편.

현재는 스킬이 시라누이 '몬스터'만 가져오는 것으로 바뀌어 윤회의 진이나 봉화요려담을 가져오는 행위가 불가능하다. 마법/함정 카드를 서치하는 카드는 단사 하나뿐이지만 이건 비실용적이라 쓰이지 않는다. 그래서 후공에 유의미한 카드인 봉화요려담의 투입률이 0~1장이고, 윤회의 진 투입률도 2~3장 정도다.

일단은 려신 + 제외 상태의 염신 빌드를 세워 상대 턴에 고르고 파괴 견제를 날린다. 전투•효과 파괴 내성 때문에 뚫기도 쉽지 않고, 후속이 많은 덱이라 반환 턴에도 잘 싸운다.

하지만 묘지계 메타가 아픈 편이고, 무부에 맞는 뵐러등의 단점이 있다.

6.6.8. 블랙 파라딘 채용 블랙 매지션


2024년 3분기부터 등장한 덱. 사용률도 11~15위를 오갈 정도로 높은 편.

하지만 실성능은 썩 좋지 않은 편. 마법 퍼미션과 안티 드래곤을 제외하면 남는 게 흑의 마도진의 1제외와 베어진 어둠의 공격력 뻥튀기 뿐이고, 타 범용 카드를 넣을 만큼 덱 스페이스가 가볍지도 않기 때문. 2024년 12월에 파계만룡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약이 어느 정도 해소되었음에도, 덱이 꽤나 무겁다 보니 실제로는 투입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게다가 덱의 선공 플랜이 마법 퍼미션에만 치중했다는 점이 아쉬운 편. 게다가 그 안티 드래곤 능력도 썩 유의미한 게 아니라는 것도 문제.[46]

6.6.9. BKVer.2


4월 기준 사용률 11~15위 내의 덱.

REBIRTH OF FLAME에서 강력한 지원과 스킬을 받았다. 하지만 메타가 웃어주지도 않고, 전개 루트가 너무 뻔하다는 명백한 단점도 크다. 게다가 카운터 함정 자체가 느려서 안 쓰인다는 것도 문제.

6.6.10. 섀도르


4월 기준 사용률 11~20위 내의 덱.

PHOENIX BLAZE부터 추가. 박스 내용물인 섀도르 하급 몬스터와 엘섀도르 네피림, 엘섀도르 퓨전 외에도, 전용 스킬인 '그림자를 자아내는 힘'으로 엘섀도르 미도라시, 섀도르 퓨전, 섀도르크를 사용할 수 있다.

발매 후에는 마기스토스의 산드리용과 인보케이션을 용병으로 채용하고, 메르카바가 제한 1에서 해제되면서 일부는 소환수도 집어넣는다. 선공에 네피림을 융합 소환해 그라비티 컨트롤러를 링크 소환하여 섀도르크를 확보하는 선공 플레이와, 후공에 섀도르 퓨전으로 개싸움을 요구하는 것이 강하다는 평가.

6.6.11. 사이버 드래곤Ver.3


4월 기준 사용률 11~20위 내의 덱.

STARVING VENOM에서 받은 이멀전시 사이버와 헤르츠, 번들로 나온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와 새로운 스킬인 영원한 사이버 유파를 채용하는 덱.

스킬을 통해서 덱에서 사이버 드래곤 1장을 덤핑할 수 있으므로 사이버 드래곤 원본이 전부 패에 잡히는 상황만 아니라면 사이버 리페어 플랜트를 언제든지 써먹을 수 있다. 게다가 레벨을 매턴마다 5로 바꿀 수 있으므로 갤럭시 솔저나 헤르츠의 특수 소환에 목을 메이지 않아도 되는 게 장점. 덕분에 헤르츠는 샐비지/서치 효과에 전념할 수 있다. 그 덕분에 비마나까지 채용해서 2퍼미션을 가지고 가는 것도 가능.

또한 이차원 그랜드나 D.D. 크로우를 맞아도 그렇게까지 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54]

내성이 까다로운 몬스터를 상대할 때도 파훼법은 있다. 일단 인피니티부터가 상대의 공격 표시 몬스터를 잡아먹는 효과가 있다. 이게 막히거나 인피니티의 퍼미션을 빼고 싶지 않다면 괴성파괴수 지크지엘로 상대 몬스터를 먹어치워 플랜을 망칠 수도 있다. 체인을 타는 소환도 아니니 서치만 해와도 샐그/히어로/레드 데몬 상대로는 주도권을 뺐을 수 있을 수 있고, 선패에 잡혀 있는 상태면 상대의 허를 찌를 수 있다. 공격력이 3300이라 좀 높은 편이긴 하지만 인피니티로 잡아먹는 것도 가능하거니와, 여차하면 노바의 2번 효과를 써서 4200의 타점으로 뚫는 것도 가능.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를 상대가 묘지로 보내도 사이버 드래곤 넥스테아의 소생 효과로 되살릴 수 있고, 제외해도 사이버로드 퓨전으로 다시 덱에 회수할 수 있다.

선공에 안정성이 더 높긴 하지만 후공 돌파 성능도 나쁘지는 않은 편.

일단 선공에서는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를 무조건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오버플로를 세트하거나 비마나까지 불러서 2퍼미션을 노리게 된다. 오버플로는 묘지 자원을 요구하지만 비대상/파괴형 카드라 상대가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를 시도하기 어렵다.

후공에서는 노바의 2번 효과로 미리 제외 자원을 마련한 상태에서 인피니티와 파괴수로 상대의 몬스터를 치우고, 메인 페이즈[55]나 배틀 페이즈[56]에 사이버로드 퓨전을 발동해 램페이지 드래곤으로 턴킬을 노리면 된다.

단점이라면 사이버 드래곤 관련 몬스터들은 인피니티를 제외하면 후공 돌파에 치중해 있거나, 선공 전개에만 치중되어 있다. 그래서 마법/함정의 중요성이 매우 높은데, 이들은 오직 사이버 드래곤 코어만 서치할 수 있어서 코어의 의존도가 매우 높다. 이에 따라 코어로 몬스터 서치용 마법(이멀전시 사이버/사이버 리페어 플랜트)등을 가져오면 오버플로나 사이버로드 퓨전을 서치할 수 없으니 돌파력이 약해지거나 선공 빌드가 약할 수 밖에 없는데, 그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패트랩이나 범용 마법은 넣지 않는다. 특히 오버플로나 사이버로드 퓨전 중 하나를 패에 미리 잡고 있지 않으면 둘 중 하나만 선택할 수 있는 셈이 되니 신중하게 골라야 한다.

6.6.12. 라의 익신룡


4월 기준 사용률 11~20위 내의 덱.

PHOENIX BLAZE의 지원 카드와 '불사의 태양신'을 받고 예능 덱에서 듀얼킹도 달 만한 강덱으로 거듭났다.

선공에는 묘지 마재생 + 패 죽은 자의 소생 빌드로 상대 몬스터 1장을 비대상 제거하는 빌드를 짜며, 후공에는 높은 초동률로 불사조를 소환하고 상대 몬스터를 하나하나 지운 다음 4000의 공격력으로 직접 공격하여 한방에 끝내는 형식으로 운용된다.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지기 전 라 원본에는 내성이 없다는 점, 코즈믹 싸이크론 등에 치명적인 점, 별의 용자 스킬을 사용하는 덱 상대로는 원턴킬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서 티어권에 들지는 못했지만, 충분히 굴릴 만한 성능이다. 백룡, 블매를 빼면 간만에 제대로 된 DM 지원이 나왔다는 평가.

6.6.13. 틴당글


4월 기준 사용률 11~20위 내의 덱.

SCARRED RESONANCE에서 발매된 덱.

OCG/마스터 듀얼하고는 덱의 모양새가 꽤 다른 편. 틴당글 엔젤이 없으므로 틴당글이 아닌 최상급 리버스 몬스터는 덱에 투입되지 않으며 용병 투입 시에는 하급 리버스 몬스터만 들어가게 된다.

틴당글은 FTK 구축과 락 구축으로 나뉜다. 어느쪽이든 스킬을 통해서 메일의 계단을 필드 위에 직접 깔고, 스킬로 틴당글 아포스톨+지레루스+인트루더+ 들로네를 묘지로 보내서 링크 소환용 자원을 마련하는 것은 공유한다. 어느 쪽이든 방해받지 않으면 킬각이 매우 높지만, 난이도와 피로도, 그리고 전승규 이벤트를 놓친 유저들은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사용률은 그렇게까지 높지 않은 편.

7. 러시 듀얼 티어권 덱

해당 항목은 듀얼링크스 유저들이 제일 많이 참조하는 사이트인 듀얼링크스 메타 티어 리스트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다만, 메타사이트의 러시 티어표에는 유독 거품이 많이 끼어있으므로 맹신하지는 말자.

7.1. 범용 카드

===# 0티어 #===

7.2. 1티어

7.3. 2티어

7.4.

7.5. 3티어

7.6. 비티어




[1] 대표적인 예로 유벨 네오스가 있다. OCG에선 시너지라곤 네오스 유벨 융합체 뿐이지만, 듀얼링크스에선 스킬로 유벨, 네오스를 재물 없이 일반 소환할 수 있는데다 소환 후 스킬로 진화체를 올리거나 초융합을 서치하는 등, OCG에선 말림패가 될뿐인 유벨과 네오스가 핵심 초동 역할을 해버린다.[2] OCG에서의 히어로는 엑스트라 히어로 크로스 가이를 시작으로 비전 히어로 화리스 등 히어로 제약을 거는 카드들이 있어서 히어로가 아닌 용병 카드는 물론, 히어로의 이름이 붙지 않은 네오스/네오 스페이시언들은 제약으로 인해 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 대신 크로스 가이 등을 통해서 엘리멘틀 히어로, 비전 히어로, 데스티니 히어로, 이블 히어로까지 싹 다 섞여서 들어갈 수 있다.[3] 반면 듀얼링크스에서 히어로는 스킬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히어로가 정해진다. 예를 들어 엘리멘틀 히어로는 주다이, 주다이/유벨, 에드 피닉스, 패왕까지 모두 사용했기 때문에 데스티니 이펙트를 제외하면 어떤 스킬을 쓰든 채용할 수 있다. 하지만 데스티니 히어로는 에드 피닉스, 이블 히어로는 패왕만이 사용했기 때문에 이들은 사용자가 누구인지 따라서 채용 여부가 갈린다. 또한, 히어로 제약을 거는 카드가 화리스 외에는 없으므로 네오 스페이시언 등도 충분히 써먹을 수 있으며 스킬을 통해서 유벨과 레인보우 드래곤, 암드 드래곤까지 들어가는 것도 가능. 덕분에 OCG에서는 거의 안 쓰이는 레인보우 네오스가 듀링에서는 후공용 피니셔로 충분히 활약한다.[선금제] 출시하기 전부터 미리 금제를 적용시킨 경우[선금제] [선금제] [선금제] [선금제] [9] 샐그, 레드 데몬 레조네이터, 듀얼 덱, LL 덱[10] 묘지 자원을 우려먹는 샐그나 레드 데몬이나 드래곤메이드는 말할 것도 없고, 묘지에 있는 몬스터를 코스트로 아드 부스팅을 하는 히어로나 리크루트해오는 공룡, 상황에 따라 묘지 자원을 꺼내오는 LL이나 묘지에서 자가소생하는 프플 등.[11] 포울이 제한 1이라 포울은 빠진다.[L1] 제한 1[13] 히트라이오, 파이로피닉스. 스킬로 베일링크스와 썬라이트 울프가 추가되므로 이들은 따로 넣지 않는다.[14] 서클이 제한 3[L3] 제한 3[16]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가 제한 1[L1] [18] 크림즌 헬가이아가 제한 3[L3] [20] 드로소필룸 히드라가 제한 1[L1] [L3] [L3] [24] 엘리멘틀 히어로 노바마스터(브레이즈맨 등 화염 속성 히어로는 투입되지 않으며 샐러맨그레이트 견제용), 엘리멘틀 히어로 Great TORNADO(미러 매치/LL 견제용), 엘리멘틀 히어로 더 샤이닝(미러 매치용), 엘리멘틀 히어로 에스크리다오(레드 데몬/프플 견제용) 까지는 확정 투입. 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는 원래 투입되지 않았으나, 서브테러가 치고 올라가면서 취향픽으로 입지가 변했다.[L1] [26] 유벨, 네오스 와이즈맨, 네오스 크루거[L1] [28] 코발트 스패로와 터쿼이즈 와블러가 동시에 제한 2 상태. 베릴 카나리가 제한 3 상태.[L2] 제한 2[L3] [L1] [L3] [33] 프레데터 플랜츠도 융합 덱이긴 하지만 범용 링크 몬스터를 먼저 뽑고 융합 몬스터를 부르는 경우가 많다.[34] 또는 아예 채용하지 않는다.[35] 어둠의 유희/카이바. 유희(DM/DSOD)나 카이바(DSOD)도 있지만 카이바(DSOD)로 대사뽕을 느끼고 싶은 게 아니라면 별 문제 없고, DSOD 카이바는 월드 해금 캐릭터라서 해금 미션도 쉽다.[36] 당연히 있는 푸른 눈의 백룡, 하얀 영룡, 드래곤 자각의 선율, 푸른 눈의 쌍폭렬룡[37] 푸른 눈의 아백룡, 카오스 솔저, 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궁극룡 기사[38]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궁극 융합(MAGICIAN'S CHRONICLE), 하얀 영룡(THE WHITE DRAGON OF LEGEND에서 2장)[39] 원래는 용만의 레벨업 보상으로 딱 1장만 얻을 수 있었다. 무료 카드는 상점 카드로 안 푼다는 금기를 처음 깬 케이스.[40] 정크 싱크론, 제트 싱크론은 필수.[41] 정크, 싱크론, 워리어, 또는 빛/바람 싱크로 몬스터[42] 슈팅 스타 로드, 미래를 밝히는 유대, 슈팅 스타 로드 TG-EX[43] 효과 특성상 상대 묘지의 몬스터를 내 필드에 특수 소환하기에 메인 덱 쪽 몬스터에 소환 제약이 걸려 있으면 발동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대다수다.[L3] [45] 요신 외의 시라누이 싱크로 몬스터들은 전용 스킬을 통해 엑스트라 덱에 1장씩 추가된다. 염신도 마찬가지로 스킬로 1장이 추가되나, 2장을 사용하기 위해 따로 1장을 넣는 경우도 있다.[46] 레드 데몬즈 쪽은 선공에 스카레드 노바를 뽑거나 후공이면 스킬로 데먼즈 체인을 가져와 용파괴를 묶을 수 있고, 히어로 쪽은 그냥 마법 퍼미션을 한 번 빼거나 초융합으로 에스크리다오를 뽑으면 된다.[L2] [L3] [L1] [50] 엘섀도르 미도라시 1장, 섀도르 퓨전 3장, 섀도르크 1장은 카드로 얻을 수 없는 대신 이 스킬을 통해 추가되는 형식이다[L1] [52] 사이버 엔드 드래곤, 사이버 트윈 드래곤, 극전기왕 바르바로이드 등.[L2] [54] 사이버 드래곤을 덱에서 덤핑하는 스킬은 스킬이라서 이차원 그랜드를 무시하고 그대로 묘지로 간다. 엑시즈 소재로 제거되는 몬스터는 이차원 그랜드가 적용된 상태여도 제외 존이 아니라 묘지로 간다. 엑시즈 소재로 제거되는 카드도 제외 존으로 보내려면 매크로 코스모스크샤트리라 어라이즈하트처럼 "카드"를 제외한다.라는 텍스트가 있어야 한다. 게다가 크로우 등으로 제외했다 쳐도 사이버로드 퓨전을 코어로 서치할 수 있어서 무작정 제외했다가 역으로 융합 자원만 채워주는 꼴이 될 수도 있다.[55] 이 경우에는 램페이지 드래곤만 공격할 수 있으므로 램페이지로 헤르츠를 덤핑해 후속 자원인 코어를 샐비지하고 3연타로 킬각을 노린다.[56] 이 경우에는 상대가 라이프가 살짝 남았을 때 마무리 용도로 뽑는 경우.[L1] [L3] [59] No.17 레비아단 드래곤, No.47 나이트메어 샤크, No.20 기가 브릴리언트, No.48 섀도우 리치,No.49 비조 포츈츈 중 아무거나 하나. 레비아단/나이트메어 샤크/기가 브릴리언트는 듀얼 보상, 섀도우 리치는 DARKNESS GIMMICK에서 R 등급, 비조 포츈츈은 데스가이드 이벤트 보상 등으로 준다.[60] 250+(x-250)*1/2+2000=x/2+2125[61] 사용률 30~40위 이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