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17:54:40

서두원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인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에 대한 내용은 [[서두원(1990)]]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서두원(1990)#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서두원(1990)#|]]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인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 }}}[[서두원(1990)]]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서두원(1990)#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서두원(1990)#|]]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nopad> 파일:jay1220181119003205_P_02_C_1.jpg
'''서두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2b; font-size: .9em"
'''
출생 1981년 10월 10일 ([age(1981-10-10)]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입식 전적 1전 1패
종합격투기 전적 19전 11승 8패
6KO/TKO, 2SUB, 3판정
5KO/TKO, 2SUB, 2판정
신체 신장 173cm | 체중 75kg[1] | 혈액형 AB형
리치 177cm[2] | 스탠스 오소독스
체급 페더급 145lb (65.7kg) 이하
타이틀 네오파이트12 웰터급 토너먼트 우승
거주지 필리핀 세부
학력 경북과학대학교 (전문학사)
링네임 The Korean Pitbull[3]
별명
[ 펼치기 · 접기 ]
SDW, 하룻 그리고리안 으아
싱어송파이터 (Singer-Songfighter)
감성 파이터, 노래하는 파이터, 넬라판타지아 펀치
세계 최초 합창 파이터, 두원공과대학 총장
소속 KJ Competition Team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전적
2.1. 종합격투기 전적2.2. 입식 전적
3. 활동
3.1. 코리안 핏불 (The Korean Pitbull)3.2. 하룻 그리고리안 으아3.3. 싱어송파이터 (Singer-Songfighter)3.4. Road FC와의 불화3.5. 필리핀 세부에서의 삶
4. 파이팅 스타일5. SDW
5.1. 유래와 확산5.2. 오늘날의 SDW
6. 서두원 희화화 시리즈
6.1. 서두원 야인시대6.2. 서두원 스트리트 파이터6.3. 서두원의 정무문 - 1대 1의 전설6.4. 서두원 모탈컴뱃6.5. 서두원 옹박 - 무에타이의 후예6.6. 서두원 슈퍼 마리오6.7. 서두원 포켓몬스터 - 두원의 역습6.8. 서두원 킹 오브 파이터즈6.9. 서두원 피구왕 통키6.10. 서두원 바람6.11. 서두원 똥파리6.12. 서두원 신세계6.13. 서두원 더킹6.14. 서두원 북두의 권 실사판6.15. 서두원 펌프 잇 업 - 이그니션 스타트6.16. 서두원 운지천 - 또 자요 편6.17. 서두원 꾸러기 수비대6.18. 서두원 왕라이트 탕수육6.19. 서두원 빽햄


1. 개요

대한민국종합격투기 선수이자 前 Road FC 페더급(-65.7kg, 145lbs) 파이터.[4]

Road FC의 스타 마케팅 전략 속에서 단체의 간판 선수로 부각되기도 했으며, 경기 외적인 활동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특유의 재치 있는 화술과 뛰어난 노래 실력으로 여러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 격투기 팬층을 넘어 일반 대중에 까지 이름을 알렸고, 동시에 종합격투기 선수로서의 인지도도 함께 높아졌다. 이후 온라인에서도 다양한 반응을 불러일으킨 바 있으며, 최근에는 하룻 그리고리안과의 킥복싱 경기와 함께 ‘SDW’라는 인터넷 밈이 확산되면서 젊은 세대 사이에서 다시 한 번 화제가 되고 있다.

2. 전적

2.1. 종합격투기 전적

2.2. 입식 전적

3. 활동

3.1. 코리안 핏불 (The Korean Pitbull)

학창 시절 길거리 싸움을 밥 먹듯 했을 정도로 말썽이 많았다고 하며, 결국 고등학교를 중퇴하는 등 방황을 거듭했다고 한다.[6] 그러다 2003년, 우연히 한 비디오 대여점에서 종합격투기를 접한 것이 계기가 되어 격투기에 생애를 걸기로 결심했고, 2004년에는 죽마고우 김지훈과 함께 코리안탑팀 소속 선수로 활동을 시작했다.[7] 당시 체중은 약 85kg으로 웰터급 또는 미들급 유망주로 주목받았으며, 한 매체에서는 '리틀 효도르'라는 별명으로 소개되기도 했다.[8]

프로 선수로서의 준비를 마친 2005년 1월, 인천에서 열린 TFC 1 대회에서 데뷔전을 성공적으로 치렀다. 상대 박정훈을 경기 시작 1분 30초 만에 리어 네이키드 초크로 제압하며 화려한 첫 승을 거둔 것이다. 이후 열린 스피릿MC 7에서는 부상으로 출전하지 못한 친구 김지훈을 대신해 헤비급 경기에 나서 무려 20kg이나 무거운 박현갑을 상대로 암바 승리를 거두며 ‘이변의 주인공’으로 이름을 알리기도 했다.[9]

2006년부터는 해외 무대로 활동 범위를 넓혔다. 같은 해 6월, 미국 괌에서 열린 FURY MMA 6에 출전해 한국인 종합격투기 선수로는 최초로 미국 대회 무대를 밟았다. 비록 16전의 경험을 가진 베테랑 존 크리소스토모(John Chrisostomo)에게 패배했으나, 어깨와 눈 부상을 입고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투지를 보여 현지 언론으로부터 ‘코리안 핏불(The Korean Pitbull)’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0] 이후에도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러시아, 일본 등 국내외 대회를 가리지 않고 출전하며 꾸준히 경력을 쌓아갔다.

격투 해설가 김대환은 서두원에 대해, 쵸난 료(長南亮), 제이크 엘렌버거(Jake Ellenberger)와 같은 강자들을 상대로도 물러서지 않는 ‘전사의 심장’을 지닌 파이터라고 평가했다.# 특히 2008년 8월, 서울에서 열린 M-1 대회에서는 아무도 상대하려 하지 않았다던 제이크 엘렌버거와의 경기를 흔쾌히 수락해 화제가 되었고, 대회 측의 체급 조정 문제로 불리한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투지를 발휘하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

3.2. 하룻 그리고리안 으아


제이크 엘렌버거와의 경기를 치른 이후, 서두원은 체중을 웰터급(-78kg)에서 라이트급(-71kg)으로 감량하며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체급을 낮춘 뒤에도 그는 상대를 가리지 않고 경기를 이어갔으며, 2009년에는 본래 자신이 주 전공으로 삼지 않았던 입식 타격 경기에까지 도전하기에 이른다. 당시 출전한 대회는 킥복싱 강국 네덜란드의 세계 최정상급 무대인 쇼타임(It's Showtime)으로, 상대는 베네룩스 무에타이 챔피언 출신의 킥복싱 절대강자이자, 훗날 글로리 웰터급 6대 챔피언에 오르게 되는 하룻 그리고리안(Harut Grigorian)이었다.[11][12]

당시 하룻 그리고리안은 막 스무 살이 된 어린 선수였지만, 이미 베네룩스 무에타이 챔피언에 오른 등 뛰어난 기량을 입증한 실력자였고, 킥복싱 관련자들은 그의 잠재력을 일찍부터 눈여겨보고 있었다고 한다. 실제로 그는 쇼타임 데뷔전에서 콩고 출신의 ‘아프리칸 워리어’ 크리스 은김비(Chris Ngimbi)를 상대로 경기 내내 압도적인 공격을 퍼붓은 끝에 승리를 거두며 강렬한 첫인상을 남긴 상태였다. 이런 무시무시한 실력으로 인해 많은 선수들이 그와의 대결을 피하는 바람에 대회 측에서 상대를 찾느라 애를 먹고 있었는데, 머나면 한국에서 MMA 선수로 활동하던 서두원이 패기롭게 해당 싸움을 수락한 것이다. 당시 K-1의 전설 ‘미스터 퍼펙트’ 어네스트 후스트는 “내가 알기로 한국인 선수가 유럽에서 경기를 가지는 것은 처음” 이라며 “매우 특별한 일”이라고 말하기도 했다.[13]

헤럴드경제의 조용직 기자는 하룻 그리고리안을 “국내 동체급 선수들이 넘을 수 없는 벽”으로 표현하며, 한국 선수들 가운데 그를 이길 수 있는 파이터는 없다고 단언한 바 있다. 특히 -70kg 급에서 활동하는 한국 선수들을 종합격투기와 입식격투기 양쪽을 통틀어 살펴보아도, 하룻 그리고리안과 대등한 승부를 펼칠 만한 경쟁자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비교적 가능성이 있는 인물로 입식 파이터 이성현이 거론되었으나, 그 역시 승리를 기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평가였다. 또한 그는 국내 무대와 유럽 무대의 격차를 말하며, 과거를 돌이켜 보아도 같은 체급의 한국인 선수 중 입식 경기로 하룻 그리고리안과 동등한 수준에서 맞설 수 있는 파이터는 존재하지 않았다고 강조하였다.[14]

여담으로, 현재 많은 이들은 서두원이 현역일 당시 스타성과 유명세를 고려하면 커리어 내내 상당히 높은 파이트머니를 받았을 것이라고 예상하지만,[15] 의외로 이 경기에서 받은 금액이 그의 격투 인생 중 최고액인 350만원에 불과했다고 한다.[16]

이처럼 세계적인 강자들과 맞붙으며 경험을 쌓은 것은 그의 성장에 큰 자양분이 되었다고 하며, 그 결과 국내 종합격투기 대회인 네오파이트 12 토너먼트에서 유도 국가대표 상비군 출신 박일규를 접전 끝에 꺾으며 네오파이트 챔피언의 자리에 올랐다.[17]

3.3. 싱어송파이터 (Singer-Songfighter)

이러한 활약에도 불구하고 대중적 인지도는 거의 없었으나, 2010년 KBS <남자의 자격>에서 넬라판타지아 합창단원으로 합류하면서 ‘노래하는 파이터’, ‘싱어송파이터(Singer-Songfighter)’라는 별명을 얻으며 유명해지기 시작했다.[18] 격투기 선수임에도 뛰어난 노래 실력과 입담을 갖춰 전문 예능인 못지않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주먹이 운다>, <남자의 기술>, <코미디 빅리그>,[19]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등 다양한 방송에 출연했고, <오빠가 미안하다> 음원을 발매하기도 했다. 복면가왕에서는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라는 가명으로 12차 경연에 출전해 ‘사랑은 연필로 쓰세요’와 Mr.2의 ‘하얀 겨울’을 불렀다. 정체 공개 시 케이윌의 ‘그립고 그립고 그립다’를 선곡하며 노래 실력을 뽐냈으며, 당시 작곡가 김형석으로부터 “음원으로 내도 인기가 많을 것 같다”는 호평을 받았다.[20][21]

이렇듯 서두원은 여러 방송을 통해 예능인으로서의 가능성을 인정받았는데, 이는 단순히 방송 출연의 재미를 넘어 상업적 가치로 까지 이어져, 방송에서 맺은 인연 이경규의 도움을 받아 GN푸드社의 후원을 받으며 전성기를 맞이했다.[22] <서두원GYM>,[23] 철판 요리 음식점 브랜드 <두원아 한판하자> 등 자신의 이름을 딴 상호가 압구정 로데오강남역 거리에 내걸렸고, KT의 기가 인터넷 광고 모델로 발탁되기도 하면서 격투 선수 이상의 화려한 활동을 이어갔다. 결국 서두원은 방송 예능과 미디어 활동을 통해 국내 종합격투기 선수들 가운데서도 압도적으로 독보적인 대중적 인지도를 확보하였으며, 당시에는 김동현정찬성도 국내에서의 유명세만큼은 그의 영향력에 미치지 못 할 정도였다.

그리하여 서두원은 대중으로부터 연예인에 가까운 인식을 얻게 되었고, Road FC의 간판 스타로서 단체 운영과 관련된 일에도 일부 참여하며, 후원사 접대 자리 등을 통해 어느 정도 스폰서십도 확보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인이 회고한 바에 따르면 그는 소위 ‘텐프로’라 불리는 고급 유흥업소에서 노래를 부르며 을 받는 방식으로 부수적인 수입을 얻었다고도 했다.[24] 마치 연예인들이 행사밤무대에서 활동하며 수입을 올리듯 부가 활동으로 경제적 소득을 만든 것인데, 이를 통해 후배 선수들에게 용돈을 주기도 했다고 한다.[25]

이런 다양한 활동 중에도 본업인 격투기를 소홀히 하지 않아, 라이트급(-71kg)에서 다시 페더급(-66kg)으로까지 감량에 성공하면서 Road FC에서 여러 경기를 치렀다. 특히 2014년 Road FC 015 대회에서는 유명 파이터 요아킴 한센을 1라운드 15초 만에 녹다운 시키며 건재를 과시했다. 비록 격투 경기 자체보다는 방송 예능 활동을 통해 유명해지긴 했지만, 요아킴 한센과 같은 강호를 쓰러뜨린 전적을 통해 국내 무대에서는 상위권에 속하는 기량을 보유했음을 입증한 것이다.

그러나 당시 Road FC는 연예인 마케팅 등 흥행을 위한 이슈 만들기와 홍보를 다각도로 진행하면서 ‘서커스 매치’ 논란 등으로 인해 격투기의 본질을 흐린다는 부정적 이미지가 생기기 시작했고, 이와 함께 했던 서두원 역시 예능에서의 활약에 비해 선수로서의 평가가 상대적으로 부각되지 못 하기도 하며 점차 비판을 받기 시작했다. 특히 이러한 점은 당시 UFC에서 성적과 기량을 통해 국제적으로 이름을 알리던 김동현이나 정찬성과 같은 선수들의 행보와는 대조적으로 비쳐지며, 일부 격투 팬들 사이에서는 “격투기 실력보다는 방송 노출을 통해 유명세를 얻었다”는 비판과 함께 그의 대중적 인지도와 선수로서의 위상이 괴리되어 있다는 평가가 뒤따르기도 했다. 그리고 후술할 ‘SDW’라는 별명도 이 때 나타났다.

3.4. Road FC와의 불화

2015년 2월, 서두원은 Road FC 페더급 타이틀전에서 최무겸과 맞붙어 판정패 했는데, 이 경기 전후로 여러 잡음이 있었다. 당시 많은 시청자들은 서두원이 실력보다는 예능에서 얻은 인지도 덕분에 챔피언 도전자 자리를 차지했다며 불공정성을 지적했고, 경기 운영과 판정단의 연장전 판정, 그리고 편파 해설 논란까지 겹치면서 결과적으로 선수 본인뿐 아니라 Road FC 전체의 이미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남겼다.

이 경기를 기점으로 무슨 이유에서인지 서두원과 Road FC 정문홍 대표 사이의 관계가 급격히 악화되었고,[26] 같은 팀 소속이던 송가연 또한 Road FC와 갈등을 겪으며 세간의 주목을 받았는데, 이 과정에서 송가연이 서두원과의 교제 사실을 한 매체에 공개하면서 큰 파장이 일기도 했다.[27]

송가연과 관련하여 발생한 구설수들은 서두원의 프로 선수로서의 경력과는 별개로, 대중적 이미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송가연이 Road FC와 법적 분쟁을 벌이던 시기, 해당 사건이 언론과 온라인을 통해 크게 주목을 받으면서 서두원과 연관된 구설수나 근거 없는 루머가 함께 확산되기도 했다. 이와 같은 논란은 대중의 관심을 경기 외적인 부분에 집중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서두원을 바라보는 시선 또한 엇갈리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일부에서는 그가 파이터로서 보여준 실적을 높이 평가했으나, 또 다른 일부에서는 사생활과 연루된 구설수를 이유로 비판적 태도를 보였다.

훗날 서두원은 자신을 둘러싼 논란과 루머 확산으로 인해 개인적으로 힘든 시기를 겪었다고 당시를 회고하며, 정신과 상담 치료를 1년 6개월 간 받았을 정도로 큰 심적 압박을 받았다고 털어놓은 바 있다.[28] 이러한 경험은 그의 선수 생활 뿐 아니라 삶 전반에 걸쳐 중요한 시련이었던 것이다.

단체와의 불화와 구설수들은 그가 앞서 누린 높은 유명세와 인기의 반작용이 되어 예능 방송에서도 점차 모습을 드러내지 않게 되었고, 공식 격투 무대에서도 한동안 활동을 중단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2015년 11월 IBJJF 주짓수 대회 블루벨트 노기 부문에 출전해 우승을 차지하며 MMA 무대가 아니더라도 꾸준히 실력을 갈고닦고 있음을 보여주었다.[29] 그리고 2017년 2월, Gleamon FC 창립 대회에서 일본의 파이터 후지타 무네히로를 상대로 3라운드 TKO 승리를 거두며 성공적인 종합격투기 복귀전을 치렀다.[30] 이후 2018년 1월 열릴 예정이던 Gleamon FC 2회 대회에서 메인이벤트를 장식할 계획이었으나, 주짓수 훈련 도중 무릎 후방인대 부상을 입으며 불참했다. 당시 서두원은 치료에 전념하면서 “빠른 시일 내에 반드시 케이지로 돌아오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31]

3.5. 필리핀 세부에서의 삶

그러나 이후 공식적인 복귀전 소식은 들려오지 않았다. 마지막 경기 이후 6년이 지난 2023년 서두원은 상남자주식회사 유투브 채널에서 무릎인대 부상 재활이 잘 되지 않아 더 이상 경기를 치르지 못 했다고 했으며,[32] 링 밖에서의 시간이 점점 길어지면서 선수로서의 커리어는 사실상 멈춘 상태다.

그리고 2025년, 동료 파이터 박원식의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밝힌 바에 따르면, 복귀가 지연된 이유는 단순히 부상 때문만은 아니었다. 그는 당시 부상으로 인해 한동안 정상적인 훈련을 이어가기 어려웠을 뿐 아니라, 결혼과 가정생활, 이어지는 육아 문제 등 현실적인 요인들이 겹치면서 경기에 출전하기 힘들었다고 털어놓았다.[33] 즉, 서두원의 공백은 단순한 ‘부상으로 인한 휴식’이 아니라, 개인적인 삶의 변화와 현실적인 한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던 셈이다.

현재 서두원은 공식적인 은퇴를 선언하지는 않았으나, 선수 생활에서 물러난 뒤 필리핀 세부에 거처를 마련하여 아내와 자녀들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부로 전해지는 여러 소식들을 종합해 보면, 과거 방송과 경기 활동 시절처럼 화려하고 주목받는 삶을 이어가기보다는, 조용하고 차분한 일상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4. 파이팅 스타일

견제를 위한 단발성 펀치를 활용하며 전진 압박을 시도하는 동시에, 상대의 공격에 물러서지 않고 과감하게 맞받아치는 카운터 스트라이커로 평가된다. 상대가 누구든 피하지 않는 뛰어난 근성을 바탕으로 한 적극적인 스타일로, 맷집과 카운터 펀치를 주력으로 경기를 풀어나간다. 또한 레슬링 방어 능력이 양호하고, 클린치를 잡는 기술 또한 제법 안정적인 편이다. 이와 더불어 IBJJF 아시아 블랙벨트 부문에서 성적을 낸 이력이 있는 만큼 주짓수 실력 또한 일정 수준 이상임을 증명한 바 있다.[34][35]

그러나 전반적인 기량에는 여러 한계가 지적된다. 우선 펀치력에 크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정적인 ‘한 방’의 녹아웃 파워가 부족하여 초반에 상대를 확실히 제압하지 못 하면 경기 시간이 길어질수록 흐름이 늘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여기에 손과 발의 반응 속도가 느리고 스텝이 단조로워, 카운터 펀치와 블로킹 외에는 별다른 움직임이 없는 부분이 약점으로 꼽힌다.

타격에서 가장 큰 문제는 수비 능력 부족이다. 맷집과 카운터 펀치를 주된 무기로 삼는 특성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방어와 회피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실제 경기 운영을 살펴보면 방어의 대부분이 얼굴을 가드하는 데에만 집중되어 있으며, 그 외 부위에 대한 대비는 현저히 모자라다. 특히 상대가 하체나 몸통을 노리고 레그킥이나 바디킥을 차면 이를 막아내지 못 하고 거의 그대로 허용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드러나는데, 이러한 취약점은 타격전에서 치명적인 문제로 작용한다.

그래플링 역시 뛰어나다고 보기 어렵다. 스탠딩 상황에서 클린치를 잡는 능력 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그것을 발판 삼아 상대를 케이지에 붙잡아 두거나 상황을 유리하게 이끌어가지 못 한다. 이를테면, 클린치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연속적으로 타격을 가하거나 곧바로 테이크다운으로 이어가는 기술적 연계가 부족한 것이다. 그라운드 공방으로 전환되었을 때에도 주짓수나 레슬링 공격이 별 위력이 없고, 특히 하위 포지션에 몰렸을 때에는 방어와 탈출 모두에서 무기력하여 상대에게 쉽게 주도권을 내주는 모습을 드러냈다.[36] 즉, 그래플링 전반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 한다는 점이 서두원의 전술적 한계로 지적된다.

결과적으로 서두원의 취약점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5. SDW

SDW는 역학 단위계에 따른 힘의 단위로서, 예능 방송에서의 활약으로 이름을 떨친 종합격투기 선수 서두원의 이니셜을 따 그의 격투 능력을 기준으로 지정되었다. 서두원의 싸움 실력은 병무청 신체등위 1급의 평균적인 남성 한 명을 4분대에 체력을 완전히 소진하며 쓰러뜨리는 수준이므로, 1SDW는 무술을 익히지 않은 성인 남성 한 명과 4~5분간 싸워 가까스로 녹다운 시킬 수 있는 정도의 전투력이다.
지금은 지워진 한 격갤러의 글
서두원의 싸움 실력이 일반인 남성과 차이가 없다는 의미가 담긴 풍자적 상징이자 가상의 전투력 측정 단위라고 보면 된다. 디시인사이드 격투 갤러리에서 그의 인지도와 실력의 괴리를 비꼬기 위해 만들어낸 것으로, 서두원의 실력을 ‘1’로 하여 다른 선수들의 기량을 환산하면 드래곤볼 전투력처럼 수 배에서 수백 배의 격차로 나타낼 수 있다는 조롱을 상징화 한 것이다.

5.1. 유래와 확산

서두원은 방송 예능과 미디어 활동을 통해 국내 종합격투기 선수들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대중적 인지도를 확보했지만, 동시에 여러 차례 논란의 중심에 선 바 있다. 특히 비격투가들에게 거리낌 없이 거친 발언을 하거나 다소 무례한 태도를 보이는 장면이 공개되면서 시청자들 사이에서 부정적인 여론이 확산되었다.[37] 좋은 방송 매너와 UFC 진출로 호평 받던 남의철에게 방송 중 보인 모습이나[38][39] 송가연과 관련된 구설수 역시 적지 않은 비판을 불러왔으며, 이는 결국 서두원의 대중적 이미지에 큰 타격을 주었다.

이에 앞서 일부 온라인 포럼에서는 그의 경기력에 대한 회의적인 평가가 꾸준히 제기되었는데, 당시 서두원의 기량은 한국 내에서는 강한 편이었으나 국제 경쟁력은 부족했기 때문이다. 전성기가 지난 요아킴 한센에게서 거둔 승리를 제외하면, 주로 무명 선수들을 상대로만 승리했다는 비판이 뒤따랐고, 일본의 베테랑 파이터 쵸난 료(長南亮)에게 패했을 당시에는 이미 쵸난 료의 기량이 전성기에 크게 미치지 못 했다는 점이 거론되며 서두원의 ‘거품 논란’은 더욱 거세졌다. 이 때문에 격투기 팬들 사이에서는 “서두원이 실제 전적과 실력에 비해 방송에서 지나치게 위세를 부린다”는 지적이 잦았다.

이런 논란 속에서 네이버 지식iN에 “서두원이 대한민국 격투계를 이끌었다” 또는 “서두원은 한국의 격버지”라는 식의 과장된 평가가 드물게 나타나는 등 그의 인지도가 격투 실력에 기반한 것이라는 오해가 일부 형성되었는데, 격투 팬들은 이에 크게 반발하며 “서두원의 유명세는 경기력 자체보다는 방송 출연과 예능적 화제성에서 비롯된 것”임을 강하게 지적했다. 다시 말해 당시 서두원의 독보적인 국내 인지도로 인해 같은 시기 세계적으로 활약했던 김동현이나 정찬성이 받아야 할 평가가 서두원에게 돌아간 것처럼 비쳤기 때문에 “실력이 아닌 예능으로 얻은 인기”라는 비판이 더욱 부각된 것이다.

일련의 맥락에서 사람들은 그의 유명세와 실력의 괴리를 풍자하기 시작했는데, 특히 “서두원은 UFC 여성 파이터 론다 로우지에게조차 패배할 것”이라는 농담이 대표적인 예로 회자된다. 그리고 이는 론다 로우지가 유도가 시절에는 서두원과 비슷한 체급인 -70kg 급에서 활약했다는 점과 WWE에서 보여준 엄청난 신체능력, 올림픽 메달리스트 출신의 엘리트라는 점 등으로 묘하게 설득력을 가지며, 네이버 지식iN을 비롯한 온라인 미디어를 통해 널리 퍼져 나갔고, 결과적으로 그의 실력과 Road FC의 수준에 대한 평가를 낮추는 데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다.[40][41][42]

정리하자면 Road FC 시절 서두원은 김동현·정찬성·최두호 등 실력과 성적으로 입지를 다진 선수들과 달리, 주로 단체의 스타 마케팅 전략과 예능 활동을 통해 인지도를 얻었는데, 이것이 일부에서는 서두원이 격투 실력으로 유명해진 것처럼 오인되었고, 그가 방송에서 보인 다소 무례한 언행이 그러한 오해와 결부됨에 따라 격투 팬들이 강하게 반발하여 그의 유명세와 실력의 괴리를 풍자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당시 Road FC의 전반적인 경향과도 무관하지 않았기에 관심과 비판이 한동안 지속되었고, 결국 서두원에게 뚜렷한 안티가 형성되는 계기로 작용했다.

이 때 디시인사이드 격투 갤러리에서는 이러한 풍자가 특이한 방식으로 나타났는데, 서두원의 이니셜 ‘SDW’를 격투기 선수들의 전투력 측정 단위로 사용하겠다는 것이었다. ‘SDW’는 서두원이 전문 격투가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싸움 실력은 일반인 남성 수준이라는 조롱을 상징화 한 것으로, 서두원의 실력을 일종의 ‘전투력 단위’로 삼으면 다른 선수들의 강함을 정수(整數)로 환산할 수 있을 만큼 서두원이 싸움을 못한다는 의미다. 물론 사실을 뜻하는 것은 아니며 프로 격투기 선수의 실력을 ‘일반인 수준’이라고 희화화한 것인데, 이는 실제로 전성기 시절 그가 국내 무대에서는 나름 상위권의 기량을 보유했던 사실과 대비되면서 웃음 포인트로 소비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것이 임팩트가 있었는지 ‘SDW’가 종합격투기에 별 흥미가 없는 일반 대중들에게까지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서두원 희화화 시리즈’ 등 서두원을 대상으로 한 패러디 영상과 유머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확대·재생산되면서, 그의 대중적 이미지는 점차 격투기 선수로서의 모습보다는 인터넷 밈(meme)의 소재로 쓰이는 경향이 강해졌다.# 네이버 웹툰 <굿모닝 보스>,[43] <연애의 정령>[44] 등에서도 ‘SDW’가 패러디 요소로 등장했고, 안드로이드 휴대폰 게임 <우리동네 짱>[45][46]에서는 캐릭터들의 주요 무력 수치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세계 최초 합창 파이터’, ‘넬라판타지아 펀치’, 두원공대 드립과 엮인 ‘두원공과대학 총장’ 등 다양한 별명이 탄생했으며, 과거 방송 프로그램 <남자의 자격>에서 노래 실력으로 얻었던 ‘싱어송파이터’라는 별명 또한 시간이 흐르면서 긍정적 이미지보다는 조롱과 풍자의 뉘앙스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5.2. 오늘날의 SDW

상술한 바와 같이 ‘SDW’는 본디 서두원의 안티에 의해 만들어진 멸칭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이 용어는 단순한 비난을 넘어서 일종의 유머 코드로 알려지기 시작했고, 결국 ‘서두원 희화화 시리즈’라는 인터넷 밈을 낳게 되었다. 이렇게 되면서 ‘SDW’는 경멸의 의미에서 출발했음에도 점차 서두원을 우스꽝스럽게, 혹은 희화화된 캐릭터로 묘사하는 상징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소셜 미디어의 발달과 더불어 이러한 밈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넘어 트위터, 페이스북 등 개인이 쉽게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확산되었다. 그 과정에서 일부 네티즌들은 서두원의 페이스북 계정에 직접 장난스럽거나 짓궂은 댓글을 남기며 ‘SDW’를 활용하기도 했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선수 본인이 불쾌해할 만한 상황이었지만, 서두원은 의외로 여기에 유쾌하게 대응하며 오히려 자신을 향한 조롱과 풍자를 하나의 개그 요소로 받아들였다. 이러한 태도는 비판을 웃음으로 승화시키는 일종의 자기 패러디이기도 할 것이다.

실제로 서두원은 Gleamon FC 기자회견에서 ‘SDW’로 희화화된 자신의 캐릭터를 마음에 들어 한다고 밝힌 바 있으며,[47] 본인 스스로도 이 ‘SDW 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를테면 자신의 전투력을 ‘SDW’로 환산하면서, “현재 나의 전투력은 약 1.3SDW 정도에 도달한 상태이며, 은퇴 전까지는 최소 1.8SDW에서 많게는 2.0SDW까지 끌어올리고 싶다”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48] 이러한 발언은 단순한 농담처럼 보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자신의 기량 향상과 경기력 발전에 대한 의지를 재미있는 방식으로 표현한 것이었다. 심지어 다른 사람의 ‘SDW’를 서두원 본인이 직접 측정하기도 했는데, 유투버 김기훈은 0.2SDW, 성명준은 0.35SDW, 그리고 거제폭격기 김영환은 0.95SDW라고 하였다.[49] 이는 스스로를 진지하게만 바라보지 않고, 대중이 만든 농담을 자연스럽게 수용하는 여유 있는 태도로 평가되었으며, 동시에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어느 정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최근 들어 서두원은 선수로서 복귀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을 하면서, 만약 자신이 다시 경기에 출전할 경우 하룻 그리고리안과 ‘SDW’ 밈 등으로 대표되는 우스꽝스러운 이미지가 흥행에 기여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50] 그는 자신을 다룬 패러디 콘텐츠들이 오늘날 격투 무대에서 흥행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했으며, 이는 과거 지상파, 케이블 등 주요 방송에서의 화려했던 예능 활동보다 현재 형성된 인터넷 밈과 희화화된 캐릭터성이 선수로서의 복귀에 있어서 더 긍정적인 요인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서두원의 풍자적 이미지는 단순한 조롱 이상으로 대중적 캐릭터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잡았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SDW’라는 표현은 최초의 멸칭을 넘어, 온라인 밈으로 자리 잡은 뒤 선수 본인조차도 이를 수용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대중과 소통하는 한 형태가 되었다. 이는 한국 격투기계에서 드물게 선수 개인이 인터넷 밈을 자기화하여 오히려 자신만의 캐릭터로 발전시킨 독특한 사례가 되었다.

6. 서두원 희화화 시리즈[51]

써두원
한국에서 여기까지 오시다니
하지만 난 지지 않을 겁니다.
하룻 그리고리안 (Harut Grigorian)
아래 영상들은 모두 한 명의 유튜버에 의해 제작되었다고 알려졌으며, 최초 공개 시점은 2015년으로 추정된다. 해당 제작자는 특별히 활발한 활동을 보이지는 않으나, 해마다 단 한 편만 공개하는 수준으로 드물게 영상을 업로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52] 이로 인해 단발적인 흥미 요소에 그치지 않고 오랜 시간 누적되며 하나의 지속적인 시리즈로 자리 잡았다.

6.1. 서두원 야인시대

BGM: 나 사나이다

6.2. 서두원 스트리트 파이터

BGM: Street Fighter IV - Theme of Ryu

6.3. 서두원의 정무문 - 1대 1의 전설

BGM: 《精武門》(甄子丹版)配樂 - Beat JP

6.4. 서두원 모탈컴뱃

BGM: The Immortals - Techno Syndrome (Mortal Kombat The Album)

6.5. 서두원 옹박 - 무에타이의 후예

BGM: Ong Bak OST - Ting vs. Tiger

6.6. 서두원 슈퍼 마리오

BGM: Super Mario Land - Overworld Theme

6.7. 서두원 포켓몬스터 - 두원의 역습

BGM: Pokémon Anime Sound Collection- Kanto Gym (Intense Action)

6.8. 서두원 킹 오브 파이터즈

BGM:
KoF 2002 UM - ESAKA!!
The King of Fighters '98 - The Ketchaku R (Arranged)

6.9. 서두원 피구왕 통키

6.10. 서두원 바람

6.11. 서두원 똥파리

6.12. 서두원 신세계

BGM: 신세계OST - Big Sleep

6.13. 서두원 더킹

BGM: José González - Teardrop

6.14. 서두원 북두의 권 실사판

BGM: 북두의 권 한국 실사판 - Heart of Madness

6.15. 서두원 펌프 잇 업 - 이그니션 스타트

BGM: BanYa - Ignition Starts

6.16. 서두원 운지천 - 또 자요 편

6.17. 서두원 꾸러기 수비대

BGM: 꾸러기 수비대

6.18. 서두원 왕라이트 탕수육

원본: 왕라이트 탕수육

6.19. 서두원 빽햄

BGM: Young Rich Pixies - Hidden Cam
[1] 나 지금 75kg인데코리안갱스터 PARK WON SIK》 2025.03.15[2] ROAD FC 008 : 4th Seo Doo-won vs Harai ToruROAD FIGHTING CHAMPIONSHIP》 2012.12.13[3] Doo Won Seo "The Korean Pitbull"셔독[4] 평체는 75kg에서 최대 86kg이라고 하며, 벤치 프레스로 150~160kg을 들 수 있다고 한다. 벤치 프레스 180kg~190kg을 든다고 알려진 이승윤을 팔씨름으로 쉽게 이겼다고 한다.[5] 출혈로 인한 TKO승[6] 이후 26살에 고등학교 3학년을 복학한 후 경북과학대학을 졸업했다.#[7] ‘챔피언 도전’ 서두원 “최장수 선수가 되고 싶습니다"중앙일보》 2015.01.27[8] KTT의 두 번째 막강신인 서두원의 별명 또한 예사롭지 않다. '리틀 효도르' 《엠파이트》[9] 美 종합격투기 출전 서두원, "한국의 매운 맛 보여주겠다" 《OSEN》 2006.06.20[10] 어깨 수술 `핏불` 서두원 “피 냄새 그립다” 《헤럴드POP》 2006.11.13[11] 그 애들 얘기하는 그 ‘하룻 그레고리안’ 있잖아코리안갱스터 PARK WON SIK》 2025.03.10[12] 해당 인물의 이름은 원래 ‘하룻 그고리안’으로 표기하는 것이 정확하나, 대중적으로는 ‘하룻 그고리안’으로 잘못 알려져 있다. 서두원도 현재는 그를 ‘하룻 그고리안’이라고 말하지만, 2009년 경기 당시의 영상을 확인해보면 ‘하룻 그고리안’이라고 올바르게 발음하는 것을 볼 수 있다.[13] Harut Grigorian VS Seo Doo Won (It’s Showtime the Netherlands) 《It's Showtime》 2009.11.29[14] ‘하룻 그레고리안 으아’…서두원 조롱 그만헤럴드경제》 2015.06.18[15] 너희가 알고 있는 나의 파이트머니는 3천만원 이상이었잖아코리안갱스터 PARK WON SIK》 2025.03.15[16] 서두원 격투 인생 최고의 파이트머니코리안갱스터 PARK WON SIK》 2025.03.10[17] [네오파이트]'핏빛투혼' 서두원, 토너먼트 정상 등극 《엠파이트》 2009.06.05[18] 서두원의 <남자의 자격> 출연에는 이전 부터 서로 친분이 있었던 윤형빈의 도움이 있었다고 한다.[19] 2015년 2월 15일 출연하여 최무겸과의 경기에 관해 셀프디스 했다.[20] 복면가왕으로 부터 지속적인 섭외 요청이 있었으나, 병마에 시달리는 아버지를 간호하기 위해 거절했다고 밝혔으며, 아버지가 인터넷으로 아들의 이름을 검색하며 악플까지 보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일부러 섭외 요청이 없었다고 거짓말했다고 한다.[21] 당시 복면가왕에서는 <남자의 자격>에서 함께 한 이윤석도 출연하였었는데, 관련한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22] ‘노래하는 파이터’ 서두원의 제2인생 《머니위크》 2012.04.09[23] 당시 Road FC는 소속 유명 선수들의 이름을 붙인 체육관들을 여러 지역에서 운영했는데, 그 중 압구정 로데오 지점에 서두원의 이름을 붙인 것이다. 현재 <서두원GYM>이나 <권아솔GYM> 등은 없어졌으며, Road FC의 체육관은 강원도 원주시에 2~3곳이 있다.[24] 대회가 끝나면 텐프로에서 노래를 불렀다코리안갱스터 PARK WON SIK》 2025.03.15[25] 주머니에 돈 넣어주면 내 동생 주세요코리안갱스터 PARK WON SIK》 2025.03.15[26] 서두원 "수많은 안티들, 그래도 침묵하는 이유"(직격인터뷰①) 《스타뉴스》 2015.09.18[27] [독점]송가연 인터뷰(3) "너 하나 사회적으로 매장시키는 거 일도 아니다." 《맥심 데일리 뉴스》 2017.02.10[28] 저 서두원 할 말 있습니다. (서두원의 삶 2화)코리안갱스터 PARK WON SIK》 2025.03.19[29] 복면가왕·남자의 자격 서두원, 세계주짓수선수권 우승 《MK 스포츠》 2015.11.12[30] 2년만에 돌아온 서두원 강력한 로킥으로 TKO승스포츠조선》 2017.02.25[31] [Gleamon FC]GFC02 메인이벤터 서두원, '무릎 후방인대 부상으로 경기출전 포기'스포츠서울》 2018.01.08[32] 격투기 레전드 서두원 선수 근황상남자주식회사》 2023.01.25[33] 서두원이 경기를 갖지 못 한 이유코리안갱스터 PARK WON SIK》 2025.03.10[34] Asian Jiu-Jitsu IBJJF Championship 2025 - Public Results[35] 서두원은 존 프랭클 계열의 장덕영을 사사했다고 하며, 2023년 5월에 블랙벨트를 받았다.[36] 요아킴 한센과의 1차전을 보면 스윕과 암트라이앵글을 너무 쉽게 허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37] “성인 남성 1명 정도” 지나친 여론몰이로 결국 조롱거리가 된 격투기 선수 《경기연합신문》 2022.12.25[38] 훗날 서두원은 이러한 행동이 방송 재미를 위한 연출이었다고 해명하였다. - 방송을 이끌어야 했기 때문에코리안갱스터 PARK WON SIK》 2025.03.15[39] 남의철은 당시를 두고 방송에서의 라이벌 구도라 하였으며, ‘서두원은 오랜 시간 함께한 좋은 친구’라고 말했다. - (최초공개)블랙컴뱃 남의철 첫승리!! 케이지 그립 논란 해명!! 서두원 콜아웃!!👊👊나무미키 흥신소》 2025.08.17[40] 그나저나 서두원 선수의 격투기 실력은 어떤가요? 《NBA Mania》 2015.03.01[41] 진지하게 서두원vs론다 로우지 누가 이김? 《네이버 지식iN》 2015.03.10[42] 론다로우지 VS 서두원 누가이길까요? 《Cboard》 2015.08.08[43] <굿모닝 보스> 100화 – 과거 네이버 웹툰 링크[44] <연애의 정령> 108화 – 과거 네이버 웹툰 링크[45] 우리동네 짱 - 본격 짱 육성시뮬게임풍월량》 2016.09.27[46] <우리동네 짱> – 과거 구글플레이 다운로드 링크[47] 2년만의 복귀전 승리 서두원 “이제 서로 상처받지 않길...”스포츠조선》 2017.02.26[48] [일문일답] 서두원 “지금은 1.3…은퇴까지 2.0 SDW 목표” 《SPOTV NEWS》 2017.02.26[49] "서두원을 포함한 초특급 게스트 등장!" 아프리카 예체능 주짓수편 1부(성명준, 킹기훈, 거제폭격기, 채완기, 서두원, 신새롬, 시링, 윤여름, 희사) in 주짓수 부라더스짐거제폭격기》 2018.10.24[50] 이게 열리면 ‘하룻 그레고리안’들이랑 ‘SDW’ 얘네들 다 와코리안갱스터 PARK WON SIK》 2025.03.15[51] ‘하룻 그레고리안 으아’…서두원 조롱 그만헤럴드경제》 2015.06.18[52] 오래 전에 이미 유투브에 있어코리안갱스터 PARK WON SIK》 2025.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