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도시철도 1호선 및 호남선의 개설 예정역에 대한 내용은 용두역(대전) 문서
,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의 개설 예정역에 대한 내용은 용두역(광주) 문서
참고하십시오.용두(동대문구청)역 | ||
성수 방면 신 답 ← 0.9 ㎞ | 2호선 ''' 성수지선 '''(211-3) | 신설동 방면 신설동 1.2 ㎞ → |
역명 표기 | ||
2호선 | 용두 (동대문구청) Yongdu (Dongdaemun-gu Office) 龍頭 / 龙头 / [ruby(龍頭, ruby=ヨンドゥ)] | |
주소 |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 지하129 (용두동 47-1) | ||
소속 영업사업소 | ||
2호선 | 종로영업사업소 용두역 | |
운영 기관 | ||
2호선 | 서울교통공사 | |
개업일 | ||
2호선 | 2005년 10월 20일 | |
역사 구조 | ||
지하 1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211-3번.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 지하129 (용두동 47-1) 소재.성수지선 역들은 물론 2호선 전 구간에서 유일하게 역번호가 개정된 후 개통했으므로 이 역은 처음부터 211-3번이었다.
2. 역 정보
역 안내도 크게 보기 |
과거의 용두역 승강장 |
서울 지하철 2호선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만들어진 역이며 또한 서울교통공사(당시 서울메트로) 운행 구간 중에서 역과 역 중간에 역을 새로 만든 최초의 역이다. 또한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시절에 개업한 최후의 역이다. 승강장이 지하 1층에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바로타역에 해당된다. 1, 2, 3번 출구로 들어가면 신설동역 방향이 바로타이며 4, 5번 출구는 성수역 방향이 바로타이다. 서로 반대로 이용한다면 승강장을 건너야 하는 단점이 있다. 지상에서 해당 방향 출구로 횡단보도를 건너서 타는 경우가 많다.
역 동남쪽으로 350m 떨어진 지점에서 경의·중앙선과 교차하지만 환승 거리가 길어 환승하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교통공사 열차가 군자차량기지에 입출고할 때 이 역을 지나지만 승강장 등 문제로 정차하지 않는다. 그리고 신설동역에서 용두역을 거쳐 기지로 들어가는 지선 열차도 무정차 통과한다.
2005년에 역을 지은 관계로 1호선의 동묘앞역과 함께 내진 설계가 되어 있는 역 중 하나이다.
용두역은 3기 지하철 계획에서 10호선과 12호선이 만나기로 예정된 곳으로, 당시 '동마장역'을 신설할 예정이었다. 3기 지하철 계획이 1997년 외환 위기로 인해 백지화된 후 서울특별시에서 교통 불편을 해소하려 성수지선의 역을 건설했다.
12호선 계획을 일부 살린 서울 경전철 동북선은 용두역과 제기동역 사이에 동북선의 역을 건설하여 두 개의 역을 하나로 통합하는 방안을 계획한 바 있다. 제기동역은 사거리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 어디에 역을 건설하든 막장환승이 되기 때문에 역을 하나만 세우면서 역간거리를 줄이려는 것이다. 그러나 하저터널 문제로 이 역의 2호선-동북선 환승방안은 배제되었다.
용두역에서 신답역으로 나가는 방향의 터널에 옆으로 갈라져 나가는 곳이 있는데, 이는 양택식 서울특별시장 시절 추진되었던 5호선의 계획과 연관이 있다.[2]
연결통로 구간은 9호선 고속터미널역에 사용되었던 TRcM 공법(2개의 관을 넣은 뒤 이를 관으로 다시 연결해서 그 밑을 굴착하는 공법)으로 시공되었다.
역 수요와 규모에 맞지 않게, 용두근린공원과 연결된 4번 출구는 크고 아름답다. 또한 고객용 화장실이 무려 4개[3]이다.
3. 역 주변 정보
2번 출구 북쪽에 용신동 주민센터가 있고, 3번 출구에 동대문구청, 동대문구보건소가 있다.남쪽으로는 성동구 마장동으로 갈 수 있으며 마장동 축산물시장은 마장역보다 용두역이 더 가깝다. 마장축산물시장을 직접 연계하는 노선은 110번, 141번, 145번, 148번, 421번, 2015번, 2222번 등이다. 특히 용두역 4번 출구에서 청계천 방향(용두공원)으로 이동하면 있는 정류장에서 145번과 2015번으로 환승하는 것이 유리한 편이다.
3번 출구는 홈플러스 동대문점과 연결되어 있다. 예전에 홈플러스 자리가 동마장터미널이었다고 한다. 현재 동마장터미널은 동서울터미널로 이전되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84d><bgcolor=#00a84d> 연도 || ||<bgcolor=#00a84d> 비고 ||
2005년 | 1,804명 | [4] |
2006년 | 3,894명 | |
2007년 | 4,170명 | |
2008년 | 4,291명 | |
2009년 | 4,386명 | |
2010년 | 4,569명 | |
2011년 | 4,656명 | |
2012년 | 4,662명 | |
2013년 | 4,637명 | |
2014년 | 4,696명 | |
2015년 | 4,600명 | |
2016년 | 4,725명 | |
2017년 | 4,748명 | |
2018년 | 4,905명 | |
2019년 | 4,996명 | |
2020년 | 3,930명 | |
2021년 | 4,068명 | |
2022년 | 4,352명 | |
2023년 | 4,718명 | |
출처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성수지선의 긴 배차 간격으로 인해 이용객을 제대로 끌어모으지 못하고 있다. 동서로는 천호대로, 남북으로는 고산자로와 연결되어 있는데, 동서나 남북으로 이동해서 신설동역, 왕십리역, 고려대역까지 버스를 통해 더 이동해서 지하철을 타는 것이 낫다. 또한,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 역시 성수, 건대입구역 방면이 목적지가 아닌 경우는 가까운 제기동역으로 걸어 이동하는 것이 낫다. 그래서 이 역은 수요가 저조하다. 미세하게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5000명 내외가 한계인 것으로 보인다.
5. 승강장
2호선 성수지선 승강장 |
신설동 ↑ | |||
하 | ㅣ | ㅣ | 상 |
↓ 신답 |
상 |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 신설동 방면 |
하 | 신답·용답·성수 방면 |
성수 방면 기준 마지막 지하역이다.
6. 연계 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동대문구청/용두역(06006·06017·06160·06161·06164·06166·06316)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공항 | |
간선 | |
지선 | |
심야 | |
경기도 시내버스 | |
직행 |
[1] 「1호선 동묘앞역 환승역 만든다 .. 2호선엔 동마장사거리역」, 한국경제, 2000-10-07[2]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3] 성수방향 개찰구 밖 1개, 개찰구 안 1개, 신설동방향 개찰구 밖 1개, 개찰구 안 1개[4] 개통일인 10월 20일부터 12월 31일까지 7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7. 둘러보기
서울 지하철 2호선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84d> | 시청 - 을지로입구 - 을지로3가 - 을지로4가 - 신당 - 상왕십리 - 한양대 - 뚝섬 - 성수 - 건대입구 - 구의 - 강변 - 잠실나루 - 잠실 - 잠실새내 - 종합운동장 - 삼성 - 선릉 - 역삼 - 강남 - 교대 - 서초 - 방배 - 사당 - 낙성대 - 서울대입구 - 봉천 - 신림 - 신대방 - 구로디지털단지 - 대림 - 신도림 - 문래 - 영등포구청 - 당산 - 합정 - 신촌(지하) - 이대 - 아현 - 충정로 - |
성수 - 용답 - 신답 - 용두 - | ||
신도림 - 도림천 - 양천구청 - 신정네거리 - |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