近江毛野 (おうみのけな: ??? - 530년)
1. 개요
고훈 시대 일본의 지방 호족이다. 《일본서기》 케이타이 24년조 기사를 근거로 이름의 독음을 '케나'라고 유추하지만, '케노'라고도 읽는다. 출신 가문은 오우미노 오미(近江臣)씨로 카바네를 '오미'(臣)로 쓰는 오우미국(近江國)의 호족이었으며, 타케우치노 스쿠네(武内宿禰)의 후예 또는 백제인 궁월군의 후손이었던 하타씨(波多氏)의 지파였다고 한다.[1]2. 등장배경
6세기에 들어서 전성기를 맞기 시작한 신라는 가야 일대로 확장세를 펼치기 시작했다. 그 시작은 황산강(낙동강) 중류의 곡창지대를 기반으로 큰 세력을 갖고 있었던[2] 대가야(경북 고령)의 이뇌왕과의 결혼동맹(522년)이었는데, 신라가 대가야를 교두보로 삼아 황산강 서쪽으로 넘어오는 것을 경계한 탁순과 안라(경남 함안) 등 황산강 하류의 가야 세력권이 신라-대가야의 결혼동맹에 반대했다.이들의 노력이 결실을 맺었던 건지, 신라와 대가야의 결혼동맹이 525년, 527년 등 여러차례 결렬의 위기를 맞게 되자[3] 신라의 법흥왕은 결혼동맹을 통한 평화적인 노선을 포기하고 경남 동부 일대를 향해 대대적인 공세에 나서게 되었는데, 이 시점에서 이미 탁기탄[4]과 남가라 등이 신라의 부용국 수준으로 전락했다.[5]
케이타이 21년(527년) 기사에 따르면, 이러한 신라의 대규모 공세에 위기를 느낀 안라국이 왜국(야마토 정권)에 구원을 요청하게 되었고, 신라로부터 경남 동부 일대의 세력권을 되찾아오도록 임라 혹은 안라에 파견되었다는 인물이 이 문서의 주인공인 오우미노 케나이다.
3. 활약상(?)
하지만 오우미노 케나는 순탄하지 않았는데, 친신라파[6]였던 츠쿠시노키미 이와이(筑紫君磐井)가 막아섰기 때문이었다(이와이의 난, 527년~528년).[7] 이와이가 세력을 가지고 있었던 츠쿠시노쿠니(筑紫國)는 치쿠젠(筑前)/치쿠고(筑後) 지방의 원형으로 오늘날의 큐슈 동북부 후쿠오카현 일대를 의미하는데, 츠쿠시쪽에서 자신의 세력권인 하카타 항구 일대를 막아버리자 원정이 멈췄다고 볼 수 있다.[8]오우미노 케나가 데려온 원정군으로는 해협을 뚫지 못했고, 전쟁의 규모도 길막 헤프닝을 넘어서서 츠쿠시 정권(친신라 큐슈 세력권)과 야마토 정권(친백제 칸사이 세력권)이 일본 열도의 패권을 둘러싸고 벌인 사생결단 수준으로 번져나가게 된다.[9] 가야로 향하는 뱃길은 이듬해 528년 모노노베노 아라카히(物部麁鹿火)[10]에 의해 츠쿠시노쿠니가 완전히 평정되고 나서야 열렸고, 다시 이듬해인 529년[11]이 되어서야 오우미노 케나는 안라국으로 상륙하는데 성공한 후, 신라와 교섭을 시작했다.
하지만 오우미노 케나가 안라에 머물던 시절, 당시 서로의 아기들을 훔쳐 자신의 아기라고 우기는 소송에서 끓는물 테스트[12]로 키비 지방의 호족 키비노 카라코나타리(吉備韓子那多利)와 시후리(斯布利)를 죽음으로 내몰았다고 한다. 오우미노 케나가 가야 조정을 섬기던 왜인들이었던 키비노 카라코와 시후리까지 죽이자 가야인들은 오우미노 케나를 왜국에 다시 돌려보내라고 항의했고 야마토 정권 측에서도 사태가 심상치 않음을 깨달은 후 귀국을 명령했지만 오우미노 케나는 돌아가지 못하고 있었다. 백제 및 신라와 싸우기를 주저하는 오우미노 케나를 싸우게 하기 위해 탁순국의 왕 아리사등은 백제[13]와 신라[14]에 각각 사신을 보내 오우미노 케나를 치게 하려고 했다.
백제의 성왕은 탁순국의 요청을 좋은 핑계로 본 건지 출병해서 오우미노 케나를 공격해 내쫓은 뒤, 그가 머물던 거성에 구례모라성(久禮牟羅城; 칠원 일대로 추정)을 쌓았다.
한편, 신라는 오우미노 케나와 하고 있던 경남 동부를 둘러싼 외교 협상이 꼬여가던 중이었다. 신라 쪽에서 사신으로 거칠부를 보냈지만, 오우미노 케나 쪽에서 거칠부의 신분이 낮다는 이유로 쫓아내는 등 생떼를 부렸기 때문이기도 했다. 참고로 이때 오우미노 케나가 급이 낮다고 불평하던 거칠부는, 왕비와 각간[15]을 배출하던 근본집안 미사흔-박제상 연합가문의 (차기)수장이었고, 신라 왕가의 기준으로 봐도 내물왕의 5세손이었다. 진짜로 격이 떨어졌다기보다는 그냥 케나가 성질을 부린 거라고 보는 게 맞을 듯.
상대측 어거지에 협상 의욕을 잃고 교섭의 결과물도 지지부진하던 차에, 마침 탁순국에서 구원병 요청이 오자 좋은 핑계로 본 건지 신라는 비둘기파에서 매파로 태도를 돌변한 후, 하슬라 군주 이사부를 파견해서 탁순국의 웅천(熊川)[16]에서 케나의 군대를 격퇴해 일본 열도로 쫓아버리고[17], 개선길에 황산강 하구에서 가야 4개국을 추가로 점령했다.[18] 패퇴 후 왜국으로 돌아가던 오우미노 케나는 쓰시마(對馬國)에서 병사했고, 사후에 고향으로 운구되어 묻혔다고 한다.
이와이의 난은 그렇다 쳐도 야마토 조정이 가야 도우라고 보냈더니 삽질만 하다가 일 말아먹고 상황 더 꼬이게 만든 팀킬 수준의 병크가 인상적이다. 이쯤 되면 쓰시마에서 병사한 게 다행일지도.
4. 관련항목
- 아리사등
- 안라회의
- 이와이의 난
- 탁순국[1] 현대 역사학계에서 하타 씨족은 신라 도래인으로 결론이 났기 때문에 하타 씨족일 경우 신라 도래인이 된다.[2] 과거형인 이유는, 한때 대가야의 동맹(?)이었던 백제의 512년, 513년 침공으로, 섬진강 유역을 상실한 상태였기 때문이다.[3] 가야 일대가 망하는 과정은
말 그대로혼돈, 파괴, 망각으로 점철되어 있어 기년이 들쭉날쭉하다. 아래의 기년들도 왔다갔다 하는 점을 주의하라.[4] 가야와 신라 사이에 있던 소국으로 창녕설, 김해 북부설, 창원설 등이 있다.[5] 창녕의 비화가야를 포함해서, 법흥왕 이전(?) 시절부터 이미 신라와 친하게 지냈던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들은, 공교롭게도 훗날 9주 5소경에서 가야 지방을 나눌 때, 강주(전통적인 가야 지역)가 아닌 양주(전통적인 신라 지역)로 들어가게 된다. 물론 이 시기까지는 금관가야가 독립세력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다시 말하지만 혼돈 그 자체[6] 백제-가야-야마토의 동맹에 맞서서 신라와 동맹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7] 그 시대의 지방 호족들을 모두 야마토 정권에서 파견한 관료 비슷한 직책으로 보는 《일본서기》의 기록에 따르면, 큐슈 북부에서 세력권을 갖고 있었던 호족 이와이는 오우미노 케나가 당도하자 "한 때 한솥밥을 먹던 자가 이제와서 나에게 갑질을 하는가?"라는 이유로 반란을 일으킨 것처럼 적혀 있다. 물론 그 시대에 야마토 정권의 행정력이 큐슈까지 뻗었을 개연성은 부족하고, 이와이는 큐슈 북부 일대에서 야마토 정권과는 별개로 세력을 갖고 있었던 독자적인 정권으로 추측된다.[8] 이 시기는 항해술이 발달하지 못해 연안 항해가 중심이었고, 이키 섬, 대마도를 건너야 가야로 갈 수 있었다. 그렇다보니 츠쿠시 소유의 항구를 반드시 이용해야 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9] 당시 한반도와 대륙으로 나가는 가장 중요한 항로와 항구의 지배권, 즉 일본의 해상 무역권을 둔 전투였기 때문이다.[10] 일본계 백제인인 물부순(勿部珣)이 이 모노노베씨(物部氏) 일족인 것으로 추정된다.[11] 일본 위키피디아 기준 기년[12] 정식 명칭 중 하나는 盟神探湯(くかたち)라고 한다. 신에게 진실만을 말할 것을 맹세한 뒤, 끓는 물에 손을 넣었다 빼서 화상을 입으면 유죄, 화상을 입지 않으면 무죄라는 식의 종교재판이다. 무죄인 사람은 신들의 은총을 받아 화상을 입지 않는다고 한다. 인교 천황 4년 (441년?) 9월조 기사에 따르면, 나라 분지의 숱한 호족들이 항복해오면서 야마토 정권의 관료로 편입될 때, 모두가 입을 모아 타케우치노 스쿠네의 후손을 자청하자, 족보로 사기를 친 거짓말쟁이를 찾기 위해 끓는물 테스트를 한 전례가 있다.[13] 사신의 이름은 노수구리.[14] 사신의 이름은 구례사기모.[15] 신라 17관제상 1위다.[16] 경남 진해로 추정[17] 혹은, 타타라에서 이사부가 3,000명의 병력으로 무력시위를 벌이자 겁을 먹어 싸우지도 않고 퇴각했다고도 한다.[18] 《일본서기》에서는 그 4국의 호칭이 두 종류로 나오는데, 나열하자면 1) 소나라(金官:そなら)/수나라(須那羅:すなら); 2) 헤호츠(背伐:へほつ)/호치(費智:ほち); 3) 와다(委陀:わだ)/와타(和多:わた); 4) 아타(安多: あた)/타타라(多多羅:たたら)의 4국이라고 한다. 4국 중 소나라/수나라는 금관가야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탁기탄이 이때 멸망해 신라로 편입되었다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