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19:43:26

호주 해군

세계의 해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navy>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 파일:조선인민군 해군기.svg 북한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 파일:대만 해군 깃발.png 대만 |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준군사조직)
동남아시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0px-Naval_Jack_of_Indonesia.svg.png 인도네시아 | 파일:태국 해군기.svg 태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 파일:1280px-Naval_Ensign_of_Malaysia.png 말레이시아 | 파일:필리핀 해군기.svg 필리핀 | 파일:싱가포르 해군기.svg 싱가포르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기(신형).svg 인도 |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 파일:방글라데시 해군기.svg 방글라데시 |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해군기.svg 이스라엘 | 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사우디아라비아 |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중앙아시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해군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유럽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 파일:영국 해군기.svg 영국 | 파일:이탈리아 해군기.svg 이탈리아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 파일:그리스해군기.png 그리스 | 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 파일:네덜란드 선수기.svg 네덜란드 |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 파일:핀란드군기.svg 핀란드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 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 파일:폴란드 해군기.svg 폴란드 | 파일:루마니아 해군기.svg 루마니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 파일:리투아니아 함미기.svg 리투아니아 |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 파일:벨기에 해군기.svg 벨기에 | 슬로베니아
아메리카 파일:미국 해군기.png 미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Jack_of_Argentina.svg.png 아르헨티나 | 파일:페루 국기.svg페루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Ensign_of_Bolivia.svg.png 볼리비아 |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북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동아프리카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서아프리카 파일:나이지리아 해군기.svg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 파일:faa3.png 앙골라
오세아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 파일:뉴질랜드 해군기.svg 뉴질랜드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그 외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colbgcolor=#000><colcolor=#fff> 파일:호주군 문장.png
Australian Defense Force
호주 방위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호주 육군.png 파일:호주 해군.png 파일:호주 공군 문장.png
Australian Army
호주 육군
Royal Australian Navy
호주 왕립 해군
Royal Australian Air Force
호주 왕립 공군
}}}}}}}}}
호주 왕립 해군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해군
Royal Australian Navy
파일:호주 해군.png
<colbgcolor=#fff> 휘장
{{{#!folding [ 다른 상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호주 국기.svg
선수기
파일:호주 해군기.svg
해군기
}}}}}}
바다에서 싸워 승리한다.
To fight and win at sea.
창설 1911년 7월 10일
국가
[[호주|]][[틀:국기|]][[틀:국기|]]
소속 호주군
군종 해군
역할 해전
해군총장[1] 중장 마크 해먼드[2]
해군차장[3] 소장 조나단 얼리[4]
함대사령관[5] 소장 크리스토퍼 스미스[6]
주임준위[7] 앤드류 베르톤신[8]
병력 상비군 14,745명
상근예비역 4,607명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말라야 비상사태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충돌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수뇌부4. 전력5. 기타6. 관련 링크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호주 왕립 해군(, Royal Australian Navy)호주해군으로, 호주 해군은 전체적인 규모는 작지만, 고성능의 함정들을 갖추고 운영하는 소수 정예 해군으로,[9] 남태평양과 오세아니아에서 가장 강력한 해군 전력을 자랑한다.

2. 상세

현재 주 전력으론 앤잭급 호위함 8척과 호바트급 구축함 3척을 보유하고 있다. 잠수함은 콜린스급 잠수함 6척. 이외에도 후안 카를로스 1세급을 기반으로 한 상륙함 캔버라급 2척을 보유하고 있다.

2011년 4월에는 영국에서 매물로 내놓은 영국군의 16,000톤급의 대형 LPD인 베이급 라르그스 베이(Largs Bay)를 6,500만 파운드, 대략 1,000억 원에 낙찰받아 도입하기도 했다. 적극적인 해외 파병에 비해 부족한 상륙함 전력으로 이를 확충하기 위해 캔버라급을 2척 건조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는 빠른 시간 내에 전력화가 가능한 신품[10]함정을 사실상 거저먹는 데 성공했다. 링크 베이급은 호주 해군에 인도 되어 HMAS 춀스[11]로 명명 되었다.

해병대를 보유하지 않고 있어, 상륙작전육군과 협조해 진행한다.

3. 수뇌부

해군총장(Chief of Navy)은 해군중장이며 해군차장(Deputy Chief of Navy)과 호주함대 사령관(Commander Australian Fleet)은 해군소장이다. 영국과 마찬가지로 해군준위(Warrant Officer of the Navy)는 준위가 맡는다.

4. 전력

파일:호주 국기.svg 현대의 호주 왕립해군 함선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dead,#513100> 잠수함 <colbgcolor=#ffdead,#513100> 재래식 옥슬리급R, 콜린스급, 어택급
SSN {버지니아급}, {SSN-AUKUS}
경비함/정ABF 오셔닉 바이킹ABF/R, 오션 프로텍터ABF, 오션 쉴드ABF, 리버급ABF, 케이프급ABF
초계정 어택급R, 프리맨틀급R, 아미데일급
초계함 {아라푸라급}
호위함 호위함 리버급M/R, 리버급(추가 개조형)M/R, 쿼드런트급R
방공호위함 애들레이드급R, 앤잭급, {헌터급}, {티어 2 전투함}
구축함 구축함 앤잭급R, 보이저급M/R
방공구축함 퍼스급M/R, 호바트급
상륙정 LCVP, LCH 발릭파판급, LCM-8, {LCM-1E}
상륙함 LHD 캔버라급
LPD 출스
LSH 토브룩R
LST 카님블라급M/R
소해함 컬류급R, 러쉬커터급R, 휴온급
군수지원함 석세스R, 시리우스급R, 서플라이급
정보수집/연구함 리윈급, 팔루마급
경항공모함 벤전스L/R, 시드니급M/R
무인함 UUV 고스트 샤크 XL-AUV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었거나, 취소된 함선
※ 윗첨자L: 리스한 함선
※ 윗첨자ABF: 오스트레일리아 국경 경비대(Australian Border Force) 소속 함선
}}}}}}}}}


호주 해군의 상륙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추가 비고
캔버라급 LHD 스페인 / 호주 2척
츌스급 LPD 영국 1척
호주 해군의 구축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추가 비고
호바트급 방공 구축함 스페인 / 호주 3척
호주 해군의 호위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추가 비고
헌터급 방공 호위함 영국 / 호주 6척
앤잭급 방공 호위함 독일 / 호주 8척
호주 해군의 초계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추가 비고
아라푸라급 OPV 독일 / 호주 12척
아미데일급 초계정 호주 8척
호주 해군의 지원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추가 비고
서플라이급 AOR 스페인 2척
호주 해군의 잠수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추가 비고
SSN-AUKUS SSN 영국 / 호주 8척
버지니아급 SSN 미국 3척 2척 추가 도입 옵션 존재
콜린스급 SSK 스웨덴 / 호주 6척

5. 기타

구매가는 1억 7,500만 파운드에 1982년 2월 25일 계약을 체결하였고 HMAS 오스트레일리아라는 명칭까지 부여하였다. 우선적으로 헬기를 중심으로 운영하다 차후에 해리어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항모 도입과 동시에 호위전력으로 80년대 계획했던 방공 구축함키드급과 대잠 호위함인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을 도입하여 호주 해군은 강력한 항모전단을 갖출 계획을 세웠다.
그런데 호주가 항공모함을 인수받기 위한 준비를 하던 도중인 1982년 4월 2일 아르헨티나군이 포클랜드를 침공하면서 포클랜드 전쟁이 발발하였다. 인수받기 위한 협력은 모두 중단되었고 영국의 항모 허미즈와 인빈시블은 포클랜드로 파견되었다. 6월 호주 정부는 영국이 필요하다면 항공모함 계획을 철회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고 영국은 항공모함 3척 체제를 유지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항공모함 계약은 백지화되었다. 멜버른은 이미 퇴역시켰기에 직접 건조 등 다른 방향으로 항공모함 확보를 모색하던 중 1983년 선거에서 노동당으로 정권이 교체되었고, 노동당이 항공모함 도입 계획을 포기하면서 호주 해군은 항모를 운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나마 21세기 들어서 캔버라급을 도입하면서 항모 운용의 가능성이 생겼다.

6. 관련 링크

(영어 위키백과)List of active Royal Australian Navy ships

7. 관련 문서


[1] Chief of Navy[2] 마크 데이비드 해먼드(Mark David Hammond)[3] Deputy Chief of Navy[4] 조나단 폴 얼리(Jonathan Paul Earley)[5] 정식명칭은 호주함대사령관(Commander Australian Fleet, COMAUSFLT), 함대사령부(Fleet Command)의 사령관으로서 호주 해군의 모든 함선, 잠수함, 항공기, 수중작전팀, 상륙, 준비태세, 훈련 및 병력 생성 등, 호주 해군의 전반적인 모든 것을 담당하는 주요 최고 사령부이다.[6] 크리스토퍼 어스 스미스(Christopher Erson Smith)[7] 정식명칭은 해군준위(Warrant Officer of the Navy)로, 호주 해군 준위 계급중 최고 계급이다.[8] Andrew Bertoncin[9] 다만 자국 군함 개발 과정에서 업체간 알력 다툼과 비효율이 무척 심한편이다.[10] 2006년 영국 해군에 배치된 물건이다.[11] (Claude S. Choules: 1901~2011)1차대전 참전 용사로 1915년 14살에 나이를 속이고 해군에 입대하여 전함 리벤지에서 복무 하였으며 독일 대양함대가 항복하는 장면을 직접 보았고, 스캐퍼플로 독일 대양함대 자침 사건도 목격 하였다. 1932년 호주 해군으로 옮겨서 근무하다가 2차대전에도 참전했으며, 1956년 전역후 해군조선소 청원경찰로 근무했다가 2011년에 110세의 일기로 별세하였다. 두번의 세계대전을 겪었던 인물이었기에 평생 전쟁의 위험성을 역설했다. 사망 당시 1차대전 마지막 전투 병과 참전용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