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해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navy> 동아시아 | |
동남아시아 | ||
남아시아 | ||
서아시아 | ||
중앙아시아 | ||
유럽 | ||
아메리카 | ||
북아프리카 | ||
동아프리카 | ||
서아프리카 | ||
남아프리카 | ||
오세아니아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그 외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투르크메니스탄 해군 Türkmenistanyň Harby-deňiz Güýçleri Turkmen Naval Forces | |
| |
투르크메니스탄 해군기 | |
<colbgcolor=#00843d> 창설년도 | 1992년 |
기념일 | 10월 9일 |
국가 | [[투르크메니스탄| ]][[틀:국기| ]][[틀:국기| ]] |
주임무 | 해전 |
소속 | 투르크메니스탄군 |
군종 | 해군 |
전력 | 2,000명 |
[clearfix]
1. 개요
투르크메니스탄군의 해군이다.2. 역사
3. 편제
4. 장비
투르크메니스탄 해군의 초계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데니즈 한 | 초계함 | 튀르키예 | 1척 | - | - | |
몰니야급 | 초계함 | 소비에트 연방 | 2척 | - | - | |
투르크메니스탄 육군의 고속정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세르헤트급 | 미사일 고속정 | 튀르키예 | 10척 | - | - | |
FAC 33 | 미사일 고속정 | 튀르키예 | 6척 | - | - |
5. 관련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43d 25%, #d22630 25%, #d22630 30%, #ffc72c 30%, #ffc72c 35%, #d22630 35%, #d22630 40%, #00843d 40%)"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c72c><colbgcolor=#d22630>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장 |
역사 | 역사 전반 · 돌궐 · 서돌궐 · 강거 · 오구즈 · 셀주크 제국 · 호라즘 왕조 · 히바 칸국 · 소련(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외교 전반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독립국가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투르크메니스탄 마나트 | |
국방 | 투르크메니스탄군 | |
문화 | 문화 전반 · 노루즈 · 요리 · 아할 테케 · 라그만 · 플롭 · 관광 · 투르크메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 투르크멘어 | |
인물 | 아흐마드 산자르 ·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 |
지리 | 호라산 · 카스피 해 | |
민족 | 투르크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