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해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navy> 동아시아 | |
동남아시아 | ||
남아시아 | ||
서아시아 | ||
중앙아시아 | ||
유럽 | ||
아메리카 | ||
북아프리카 | ||
동아프리카 | ||
서아프리카 | ||
남아프리카 | ||
오세아니아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그 외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말레이시아 왕립 해군 تنترا لاوت دراج مليسيا Tenera Laut Diraja Malaysia | |
| |
| |
<colbgcolor=#cc0001> 창설년도 | 1934년 4월 27일 |
국가 | [[말레이시아| ]][[틀:국기| ]][[틀:국기| ]] |
소속 | 말레이시아군 |
군종 | 해군 |
[clearfix]
1. 개요
말레이시아의 해군.2. 상세
말레이시아 해군은 동남아시아에서 비교적 질이 높은 해군력을 보유하고 있다. 동남아시아 내에서 경제적으로 여유있는 편이라 준수한 군함들을 구매하려 한다. 그래서 해군의 규모가 아주 크지는 않지만 동남아시아에서는 내실이 있는 편이다.H&K XM8을 제식소총으로 운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 해군 특수부대 PASKAL이 있다. 이 부대는 UDT와 해병대를 겸하는 해군 경보병부대로 육상기지가 있는 항만 지역의 해안방어, 수중폭파, 상륙작전을 맡는다.
가상 적국으로는 필리핀군, 태국군, 싱가포르 해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이 있고 대만군과는 협력관계가 강하다. 중국을 전통적으로 싫어해 온 반중 성향의 나라인 만큼 중국과 대치 중인 대만과 친해질 수밖에 없다.
스프래틀리 군도 영유권 문제로 중국을 포함한 주변국들과 마찰이 있기 때문에, 빠르게 해군력을 확충하고 있다.
일본과의 관계가 좋아서 2007년부터 중고 순시선을 제공하였으며, 2016년에도 2척을 준다.#
군함 명칭에 KD가 붙는 걸 볼 수 있는데, 'Kapal Di-Raja(왕립 함선)'의 약자다.
3. 해군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
<colbgcolor=#000066> '''[[잠수함| 잠수함 ]]''' | <colbgcolor=#000066> ''' SSK ''' | 툰쿠 압둘 라만급 | 웨상T/R | |
어뢰정(PT) | 페르카사급R | ||
'''[[초계정| 초계정 ]]''' | PB | 두용R | 케다급 (초대/1961)R | 팡리마R | 베독R | 판지R | 무티아라R | 심방R | |
'''[[고속정| 고속정 ]]''' | ''' PCF ''' | CB90급 | 제룽급 | 스리 티가급 | 케리스급 (초대/1964) | |
FIC | G2000 Mk.(1/2)급 | MPB급 | 펭가왈급 | ||
''' 미사일 고속정 (PCFG) ''' | 페르다나급 | 한달란급 | ||
원양초계함(OPV) | {LMS 배치2} | 케리스급 (2대/2020) | 케다급 (2대/2006) | 무시타리급R | ||
'''[[초계함| 초계함 ]]''' | ''' PCG ''' | 카스투리급 | 락사마나급 | |
'''[[호위함| 호위함 ]]''' | FF | 항 투아 (초대/1963)R | 항 투아 (2대/1977)R | 리버급T/R | |
''' FFG ''' | {마하라자 렐라급} | 레키우급 | 라흐마트R | ||
'''[[상륙함| 상륙함 ]]''' | ''' LPD ''' | {MRSS 사업} | |
''' LSD ''' | 스리 인데라 삭티급 | ||
''' LST ''' | 스리 인데라푸라급R | LST-542급R | 마크8 LCTR | 마크 3 LCTR | 스리 펄리스R | ||
기뢰부설함 (MLS) | 싱가푸라R | ||
'''[[소해함| 소해함 ]]''' | ''' MHC ''' | 마하미루급 (2대/1985) | |
''' MSC ''' | 스리 조호르급R | 마하미루급R(초대/1960) | ||
''' 지원함 ''' | ''' 급유함 (AOR) ''' | 붕가 마스 리마급 | 툰 아지즈급 | |
'''[[구조함| 잠수함 구조함 (ASR) ]]''' | 메가 박티 | ||
지원정 | 툰다 사투급 (YT) | 소통급R (YT) | 스리 케다급R (YUB) | ||
연구함 | 페란타우 | 다양 사리 | 아이사흐 | 무티아라R | ||
훈련함 | 가가 사무데라급 | 투나스 사무데라 | 파자르 사무데라R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T: 훈련함 전환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둘러보기 : | }}}}}}}}} |
말레이시아 해군의 상륙함 | ||||||
<rowcolor=#fff>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MRSS | LPD | - | - | - | - | 사업 진행 중 |
말레이시아 해군의 호위함 | ||||||
<rowcolor=#fff>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마하라자 렐라급 | 호위함 | 프랑스 / 말레이시아 | - | - | 5척 | |
레키우급 | 호위함 | 영국 | 2척 | - | - | |
말레이시아 해군의 초계함 | ||||||
<rowcolor=#fff>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케다급 | 원양초계함 | 독일 / 말레이시아 | 6척 | - | - | |
케리스급 | 원양초계함 | 중국 | 4척 | - | - | |
카스투리급 | 초계함 | 독일 | 2척 | - | - | |
락사마나급 | 초계함 | 이탈리아 | 4척 | - | - | |
말레이시아 해군의 고속정 | ||||||
<rowcolor=#fff>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페르다나급 | 고속정 | 프랑스 | 4척 | - | - | |
한달란급 | 고속정 | 스웨덴 | 4척 | - | - | |
제룽급 | 고속정 | 독일 / 말레이시아 | 6척 | - | - | |
스리 티가급 | 고속정 | 말레이시아 | 2척 | - | - | |
말레이시아 해군의 소해함 | ||||||
<rowcolor=#fff>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마하미루급 | 소해함 | 이탈리아 | 4척 | - | - | |
말레이시아 해군의 잠수함 | ||||||
<rowcolor=#fff>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툰쿠 압둘 라만급 | SSK | 프랑스 | 2척 | - | - | |
말레이시아 해군의 항공기 | ||||||
<rowcolor=#fff>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ATR 72 MPA | 대잠초계기 | 이탈리아 | - | - | 2기 |
4. 관련 자료
(영어 위키백과)말레이시아 해군World Navies Today: Malay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