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군의 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철도 | 동해선 | 장사역 · 강구역 · 영덕역 · 영해역 · 고래불역 |
도로 | 고속도로 | 서산영덕고속도로 · | |
국도 | 7번 국도, 34번 국도 | ||
지방도 | 914 · 918 · 920 · 930 | ||
버스 | 농어촌버스 | 영덕군 농어촌버스 | |
시외 · 고속버스 | 영덕터미널 · 영해버스터미널 · 강구 · 도곡 · 병곡 · 병원 · 장사 | ||
시외버스 노선 | |||
경상북도의 교통 |
[clearfix]
1. 철도
일제강점기 말 동해선 계획이 있었고 노반도 남았지만 일제 패망으로 공사가 중단된 이래 재부설 계획이 70여년 후에야 결국 마무리되었고, 2018년 동해선이 개통되고 2025년 연장돼 영덕군 동부를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다.[1] 관내 5개역에 부전/동대구~강릉 간을 오가는 ITX-마음, 누리로가 정차하고[2] 2026년 이후 KTX-이음 운행 예정이다.그 외에도 김천에서 의성을 거쳐 영덕을 이어주는 경북내륙선을 장기계획으로 추진 중이다.
2. 도로
2.1. 고속도로
고속도로 개통 전에는 바로 윗 동네인 울진군과 마찬가지로 2000년대까지만 해도 수도권과의 교통이 상당히 불편한 축에 속했다. 영덕까지 통하는 고속도로가 없어서 수도권에서 영덕까지 오려면 중앙고속도로를 타고 안동까지 온 뒤 안동부터 영덕까지는 34번 국도를 타야 했는데, 태백산맥을 통과하는 만큼 선형이 불량하여 소요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렸다. 4시간은 기본이고, 도로 사정에 따라 4시간 반 ~ 5시간까지 걸리기도 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안동까지 2시간이 걸린다면, 안동에서 고속도로를 나와 영덕까지도 똑같이 2시간이 걸렸다.그러다 2016년 12월 서산영덕고속도로의 잔여구간인 상주-영덕 구간이 개통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해당 항목에도 나와 있지만, 소요시간이 기존 대비 최소 30분에서 1시간 이상 줄어들었다. 영덕군은 고속도로 개통의 가장 큰 수혜자라고 할 수 있다. 접근성이 좋아지면서 수도권-충청도-전라도에서도 운행 시간이 단축되어 관광객들이 엄청나게 증가했다. # 게다가 동해고속도로 포항 ~ 영덕 구간 공사로 2025년 말 개통 예정이다.
2.2. 국도
포항과 울진을 연결하며 남북으로 관통하는 7번 국도와 서쪽으로 진보, 안동 방면으로 갈 수 있는 횡단도로인 34번 국도가 있다.- 7번 국도: 포항시에서 북상하여 남정, 강구, 영덕, 축산, 영해, 병곡 등 동해안에 접한 모든 읍면을 관통하여 울진군으로 넘어간다. 포항~영덕 구간이 왕복 4차로로 개통된 이후 그 이북 구간은 티스푼 공사로 악명이 높았지만 드디어 2010년에 전구간 왕복 4차로 이상으로 개통되었다. 다만 7번 국도라고 동해안에 바싹 붙어 가는 것은 아니고, 포항시~강구항 구간과 고래불해수욕장에서 울진으로 넘어가는 구간만 그렇다.
- 34번 국도: 청송군에서 넘어와 지품면을 거쳐 영덕읍내에서 7번 국도와 만나면서 끝난다. 태백산맥을 넘어가니만큼 상당히 험한 도로이며, 서산영덕고속도로 개통으로 통행량이 감소했다. 황장재 및 지품면 소재지 부근 구간 선형 개량 중이다.
2.3. 지방도
3. 버스
3.1. 시외버스
고속버스편을 이용할 때에는 인근의 안동시나 포항시를 찾는 것이 편리하다. 시외버스는 대구광역시나 포항시, 울진 같은 근거리는 많이 다니는 편이고, 안동을 경유해 서울로 오가는 시외버스도 동서울행 기준으로 거의 1시간 간격으로 있다. 서울경부행 고속버스도 있으나 1일 3회가 전부다. 시외버스를 이용하고 싶으면 관내의 영덕터미널이나 강구시외버스터미널, 그리고 영해버스터미널을 이용하면 좋다.본래 독자적이었던 2개의 지역이 합쳐진 곳이라서 북쪽의 영해면 소재지인 성내리 지역도 꽤 규모가 있는 지역이다. 이 때문에 영해에도 따로 시외버스터미널이 있고, 영덕과 영해를 오가는 버스는 10~30분 간격으로 다닌다. 영덕보다는 떨어지지만 영해를 거쳐가거나 종착지로 삼는 버스도 꽤 있는 편이다.
3.2. 농어촌버스
영덕버스가 관내 농어촌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기본요금은 일반인 1,300원(카드 1,200원)이며, 군계내에선 기본요금만 수수하는 단일요금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군계를 넘는 노선은 진보행 190번, 191번, 192번, 영양행 201번만 2,600원을 징수하며, 후포행 232번, 236번은 1,300원을 징수한다.무료 승차지역과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 않는 영양군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이즐 사용이 불가능하다.
4. 항구.어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무역항 | |
동해안 | 속초항 · 옥계항 · 묵호항 · 동해항 · 삼척항 · 호산항 · 포항항 · 울산항 · 울산신항 · 장생포항 | |
서해안 | 인천항 · 인천신항 · 경인항 · 서울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태안항 · 보령항 · 장항항 · 군산항 · 목포항 | |
남해안 | 부산항 · 부산신항 · 진해항 · 마산항 · 고현항 · 옥포항 · 장승포항 · 통영항 · 삼천포항 · 하동항 · 여수항 · 광양항 · 완도항 | |
제주도 | 제주항 · 서귀포항 | |
연안항 | ||
동해안 | 주문진항 · 울릉항 · 후포항 · 강구항 · 구룡포항 | |
서해안 | 격렬비열도항 · 용기포항 · 연평도항 · 대천항 · 마량진항 · 상왕등도항 · 송공항 · 대흑산도항 · 홍도항 · 가거향리항 | |
남해안 | 부산남항 · 중화항 · 국도항 · 거문도항 · 나로도항 · 녹동항 · 강진항 · 화흥포항 · 땅끝항 · 진도항 | |
제주도 | 추자항 · 애월항 · 한림항 · 화순항 · 성산포항 | |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와 동법 시행령 제2조(항만의 명칭 등)에 따른 구분 | }}}}}}}}} |
- 연안항 : 강구항
- 국가어항 : 구계항, 대진항, 축산항
- 지방어항 : 경정항, 노물항, 백석항, 병곡항, 부경항, 창대항(6개소)
- 어촌정주어항 : 대부항, 대진1항,대진3항, 사진2항, 하저항(5개소)
- 소규모어항 : 경정2항, 경정3항, 금곡항, 금진1항, 금진2항, 남호항, 대부항, 대탄항, 부흥항, 사진1항, 사진3항, 삼사항, 석리항, 오보항, 원척항(15개소)
5. 헬리콥터
1989년, 울릉군과 영덕 삼사해상공원을 오가는 헬기 노선이 개통되기도 했으나 개통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헬기 추락 사고로 사라졌다.[1] 2018년 1월 25일 오후 동해선 포항~영덕 구간 개통식을 영덕역에서 하고, 26일부터 개업하였다. 개통식 관련 기사 이후 2025년 1월 1일 영덕역 이북 연장 개통.[2] 영덕역 이북 연장 전에 포항역을 출발해 장사역, 강구역, 영덕역에 정차하는 단거리 셔틀 무궁화호만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