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8:03:03

앨런 베이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플래시 애니메이터에 대한 내용은 Alan Becker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일본 영어 교과서의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엘런 베이커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수학자2. 목사, 군인
2.1. 개요2.2. 생애

1. 수학자

<rowcolor=#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820E1F><colcolor=#fede58> 1936 파일:핀란드 국기.svg 라르스 알포르스 | 파일:미국 국기.svg 제시 더글러스
1950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로랑 슈바르츠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아틀레 셀베르그
1954 파일:일본 국기.svg 고다이라 구니히코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장피에르 세르
1958 파일:영국 국기.svg 클라우스 로스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르네 톰
1962 파일:스웨덴 국기.svg 라르스 회르만데르 | 파일:미국 국기.svg 존 밀너
1966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클 아티야 | 파일:미국 국기.svg 폴 코언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무국적) |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 스메일
1970 파일:영국 국기.svg 앨런 베이커 | 파일:일본 국기.svg 히로나카 헤이스케 | 파일:소련 국기.svg 세르게이 페트로비치 노비코프 | 파일:미국 국기.svg 존 톰슨
197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엔리코 봄비에리 |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멈퍼드
1978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피에르 들리뉴 | 파일:미국 국기.svg 찰스 페퍼먼 | 파일:소련 국기.svg 그리고리 마르굴리스 |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얼 퀼런
1982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콘 |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서스턴 |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야우싱퉁
1986 파일:영국 국기.svg 사이먼 도널드슨 | 파일:독일 국기.svg 게르트 팔팅스 |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프리드먼
1990 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드린펠트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본 존스 | 파일:미국 국기.svg 에드워드 위튼 | 파일:일본 국기.svg 모리 시게후미
1994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핌 젤마노프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에르루이 리옹 |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장 부르갱 |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크리스토프 요코즈
1998 파일:영국 국기.svg 리처드 보처즈 | 파일:영국 국기.svg 윌리엄 티머시 가워스 | 파일:러시아 국기.svg 막심 콘체비치 | 파일:미국 국기.svg 커티스 맥멀런 | 파일:영국 국기.svg 앤드루 와일스(특별상)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21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820E1F><colcolor=#fede58> 2002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랑 라포르그 | 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
2006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오쿤코프 | 파일:러시아 국기.svg 그리고리 페렐만 | 파일:호주 국기.svg 테렌스 타오 | 파일:프랑스 국기.svg 벤델린 베르너
2010 파일:러시아 국기.svg 스타니슬라프 스미르노프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 파일:베트남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svg 응오바오쩌우 |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드리크 빌라니
2014 파일:브라질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르투르 아빌라 | 파일:캐나다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만줄 바르가바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마르틴 하이러 | 파일:이란 국기.svg 마리암 미르자하니
2018 파일:이란 국기.svg 코체르 비르카르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레시오 피갈리 | 파일:독일 국기.svg 페터 숄체 | 파일:호주 국기.svg 악샤이 벤카테슈
20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위고 뒤미닐코팽 | 파일:영국 국기.svg 제임스 메이나드 | 파일:미국 국기.svg 준 허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마리나 비아조우스카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앨런 베이커(수학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목사, 군인

2.1. 개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DML_AlanTBaker.jpg

앨런 T. 베이커(Alan T. Baker)

미국의 前 군인이자 군종목사이다. 미국 해병대 군종감(Chaplain of the United States Marine Corps)[1]을 지냈으며, 최종 계급은 미국 해군 준장이다.

2.2. 생애

1956년에 태어났다. 미국 해군의 1성 제독이기는 한데, 굳이 군종 목사가 위키에 작성될 만한 어떤 이유가 있겠나 싶겠지만 사실 이 사람은 경력이 아주 특이하다. 1974년해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78년에 해군 소위로 임관하고 항해장교로 근무했다. 1981년에는 본인의 모교인 해사로 복귀하여 전문성개발(Professional Development) 교관으로 근무하기도 했으며 해군의 근간인 수상함[2]에서 근무하고 위관급 장교 초기 시절 때부터 사관생도들을 가르친 걸 보면 상당히 엘리트 코스를 걸을 길이었는데, 1984년에 그는 갑자기 목회로 귀의하였다. 그는 미국 해군 예비역 군인으로 신분을 전환한 이후에 신학석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1987년군종 목사의 신분으로 다시 해군에 복귀하였다.

다시 복귀해서는 리히급 순양함(USS Richmond K. Turner)의 군종관으로 근무했다. 1990년에는 미국 해병대의 해병11비행전대[3] 군종관으로 배치되어 해병대와 인연을 쌓았다. 1992년에는 다시 해군 부대에 배치되어 신임 해군 군종관들을 교육하는 일을 했고, 1995년에는 미국 해안경비대로 파견되었다. 1998년에는 해군 군종센터로 돌아와 다시 해군에서 근무했다. 2001년에는 항공모함해리 S. 트루먼함의 군종관으로 근무했고, 2004년에는 자신이 입학한지 30년 만에 해군사관학교[4]로 돌아와 군종실장이 되었다.

2006년준장으로 진급하며 제독이 되었고, 해병대 군종감을 지내다가 2009년에 전역하였다.

베이커 제독의 사례와 비견될만한 특이한 경우로는, 미국 공군에서 일반 조종장교가 되었다가 군의관으로 전과하여 미 공군 의무감 까지 오른 토머스 트래비스 중장이 있다.


[1] 해당 보직은 미국 해군의 부군종감(Deputy Chief of Chaplains of the United States Navy)을 겸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해병대의 복제를 착용하지만, 엄연히 미 해군의 소속이다.[2] 그래서, 군종장교인 신분임에도 수상함 장교의 휘장을 달고 있다.[3] 'Marine Aircraft Group 11' 으로, 미 해병 항공대의 비행단장사단장과 같은 소장 계급인것과는 다르게 전대장대령 계급의 장교가 맡는다.[4] 한국의 해사는 다 해야 700명을 넘기기 어렵지만, 미 해사는 4천명이 넘는다. 여담으로, 연대장생도를 '여단장생도'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