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21:02:09

압력-용적 고리


심장학
Cardiology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BD322B><colcolor=#333,#fff> 전문과목 순환기내과 · 심장혈관흉부외과 · 혈관외과 · 소아과 · 소아외과
해부학 심장 심장 · 심방 · 심실 · 판막
혈관 혈관 · 동맥 · 정맥 · 대동맥 · 대정맥 · 경동맥 · 겨드랑동맥 · 깊은넙다리동맥 · 넙다리동맥 · 노동맥 · 대뇌동맥고리 · 바깥목동맥 · 복강동맥 · 빗장밑동맥 · 속목동맥 · 아래창자간막동맥 · 온목동맥 · 위창자간막동맥 · 위팔동맥 · 자동맥 · 팔머리동맥 · 간문맥 · 속목정맥 · 팔머리정맥 · 홀정맥
생리학 맥박 · 심장 주기 · 심박출량 · 일회박출량 · 정맥환류량 · 수축기말용적 · 확장기말용적 · 스탈링 방정식 · 심전도 · 프랑크-스탈링 법칙 · 압력-용적 고리 · 청진 · 혈압 · 활동전위
심장 질환 심부전 · 심계항진 · 실신 · 흉통 · 청색증 · 심정지 · 허혈 · 돌연사
율동 부정맥 · 빈맥 · 서맥 · 조기흥분증후군
판막 심장판막증 · 삼첨판 폐쇄증
심내막 심내막염 · 감염성 심내막염
심근 심근증 · 확장성 심근병증 · 심근염 · 협심증 · 심근경색 · 재관류 손상
심낭 심낭염 · 심낭압전
종양 심장암 · 심방점액종
고혈압 고혈압 · 폐고혈압 · 폐성심 · 저혈압
혈관 질환 죽상경화증 · 동맥경화 · 색전 · 색전증 · 혈전 · 혈전증 · 지방색전증 · 혈관염
대동맥 대동맥 · 대동맥 파열 · 대동맥 박리 · 타카야스 동맥염
말초동맥 말초동맥질환 · 말초동맥폐색 · 버거씨병 · 가와사키병 · 결절성 다발동맥염 · 측두동맥염
정맥 만성정맥부전 · 심부정맥 혈전증 · 정맥류 · 정맥혈전증 · 표재성 혈전성 정맥염 · 하지정맥류
선천기형 심내막상결손증 · 심방 중격 결손증 · 심실 중격 결손증 · 동맥관 개존증 · 난원공 개존증 · 대동맥 축착증 · 동맥간증 · 팔로4징증 · 총정맥환류이상 · 대혈관전위증 · 엡스타인 기형 · 좌심 형성 부전 증후군
치료 약물 혈압약 ·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 · 베타 차단제 · 이뇨제 · 아데노신 · 항혈전제 · 아세틸살리실산 · 헤파린 · 모르핀
중재 양압기 · 인공호흡기 · 에크모 · 심폐소생술 · 심장충격기 · 자동심장충격기 · 전극도자 절제술 · 혈관조영술 }}}}}}}}}

파일:압력용적고리프로필.png
좌심실의 압력-용적 고리[1]

1. 개요2. 그래프 해석3. 변화 요인
3.1. 전부하3.2. 후부하3.3. 수축력

1. 개요

압력-용적 고리는 전체 심장 주기(cardiac cycle) 동안 나타나는 좌심실의 압력과 용적 변화를 나타내는 고리 모양 그래프이다.

2. 그래프 해석

파일:압력용적고리표시.jpg
좌심실의 압력-용적 고리

가장 위와 바로 위에 있는 사진 두 개를 동시에 보며 압력-용적 고리가 나타내는 의미들을 해석할 수 있다.

3. 변화 요인

좌심실의 압력-용적 고리를 변화시키는 요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좌심실의 전부하(preload)로, 보통 확장기말용적으로 나타내어진다. 둘째는 좌심실의 후부하(afterload)로, 대동맥의 압력에 해당한다. 마지막은 좌심실의 수축력, 즉 얼마나 잘 수축하여 혈액을 박출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힘이다.

3.1. 전부하

<nopad> 파일:압력용적고리전부하.png
전부하 변화로 인한 압력-용적 고리 변화

확장기말용적의 증가는 우선 고리의 오른쪽 끝 변을 더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며, 프랑크-스탈링 법칙(Frank-Starling law)에 의해 일회박출량 증가로 이어진다. 그래프상에서도 수축기말용적은 변화하지 않았으나 확장기말용적이 커져 일회박출량이 커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3.2. 후부하

<nopad> 파일:압력용적고리.png
후부하 변화로 인한 압력-용적 고리 변화

대동맥 압력이 증가하면 대동맥판막이 열리기 위해 필요한 좌심실 압력이 커져, 좌심실이 혈액을 박출하기 힘들어진다. 필요한 좌심실 압력을 확보하기 위해 등용적성심실수축기(점 C ~ 점 D 구간) 동안의 압력 증가폭이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일회박출량은 감소하고, 확장기말용적이 변하지 않았으므로 수축기말용적이 늘어나게 된다. 다르게 말해 남아 있는 혈액량이 증가한다.

3.3. 수축력

<nopad> 파일:압력용적고리수축력.png
수축력 변화로 인한 압력-용적 고리 변화

수축력이 증가하면 수축기에 발생하는 힘이 커져 박출하는 혈액량, 즉 일회박출량도 증가한다. 수축기말용적은 따라서 감소한다.
[1] LV는 좌심실(Left Ventricle), EDPVR은 심장이 수축하지 않는 동안의 좌심실 압력-용적 곡선(end diastolic pressure volume relation), ESPVR은 심장이 수축하는 동안의 좌심실 압력-용적 곡선(end systolic pressure volume relation)이다.[2] 일회박출량의 정의가 EDV와 ESV의 차므로 당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