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1 23:03:36

아이언 듀크급 전함

아이언 듀크급에서 넘어옴
파일:영국 국기.svg 제1차 세계 대전의 영국 해군 군함 파일:영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건보트 <colbgcolor=#fefefe,#191919>어피스급
구축함 A급, B급, C급, D급, 크리켓급, E급, F급, G급, H급, I급, K급, L급, M급, 메데아급, 탈리스만급, R급, S급, V급, W급
선도구축함 폴크너급, 마크스먼급, 파커급, 스위프트급, 스콧급A, 셰익스피어급A
잠수함 A급, B급, C급, D급, E급, F급, H급, J급, K급, L급, M급, N급, R급, S급, T급, V급, W급, X1급, 노틸러스급, 오딘급, 파르티안급, 레인보우급, 템스급, 그램푸스급
모니터함 마샬 네이급, 애버크롬비급, 로드 클라이브급, 험버급, 고르곤급, M15급, M29급
정찰순양함 어드벤처급, 포워드급, 패스파인더급, 센티넬급, 부디카급, 블론드급, 액티브급
장갑순양함 크레시급, 드래이크급, 몬머스급, 데본셔급, 듀크 오브 에든버러급, 워리어급, 미노토어급
방호순양함 아폴로급, 아스트라에아급, 이클립스급, 블래이크급, 펄급, 에드거급, 파워풀급, 다이아뎀급, 애로간트급, 펠로루스급, 하이플라이어급, 챌린저급, 토파즈급, 타운급
중순양함 호킨스급A
경순양함 아레투사급(1913), C급(캐롤라인급, 칼리오페급, 캠브리안급, 센타우르급, 칼레돈급, 세레스급, 칼라일급A), 다나에급, 에메랄드급A
순양전함 인빈시블급, 인디패티거블급, 라이온급, 퀸 메리급, 타이거급, 리나운급, 어드미럴급A, 인컴패러블급, 커레이저스급
전함 전드레드노트급 로열 소버린급, 센추리온급B, 마제스틱급, 카노푸스급, 포미더블급, 런던급, 던컨급, 킹 에드워드 7세급, 스윕셔급, 로드 넬슨급
드레드노트급 드레드노트급, 벨레로폰급, 세인트 빈센트급, 넵튠급, 콜로서스급, 오라이언급, 킹 조지 5세급, 에린급, 애진코트급, 아이언 듀크급, 캐나다급, 퀸 엘리자베스급, 리벤지급
항공모함 아크로열급 수상기모함, 아거스급, 허미즈급A, 빈딕티브, 커레이저스급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A: 전후 완공, 윗첨자B: 실전 미투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영국 국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 해군 군함 파일:영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000080>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해군 군함
초계함 <colbgcolor=#fefefe,#191919>24형, 브리지워터급, 헤이스팅스급, 밴프급, 쇼어햄급, 그림스비급, 킹피셔급, 비턴급, 이그렛급, 블랙 스완급, 플라워급, 캐슬급
호위함 리버급, 캡틴급, 콜로니급, 로크급, 베이급
구축함 R급, S급, V급, W급, 셰익스피어급, 엠버스케이드급, 아마존급, A급, B급, C급, D급, E급, F급, G급, H급, I급, 트라이벌급, J급, K급, N급, 헌트급, L급, M급, O급, P급, Q급, R급, S급, T급, U급, V급, W급, Z급, C급, 배틀급, 웨폰급A, 갤런트급, 데어링급A
잠수함 H급, L급, U급, V급, X급, X1, P611급, S급, T급, 그램퍼스급, 암피온급, 리버급, 레인보우급, 파르티안급, 오딘급
모니터함 로버츠급,에레버스급
경순양함 C급(칼레돈급, 세레스급, 칼라일급), D급, E급, 리앤더급, 엠피온급, 아레투사급(1934), 타운급(사우스햄튼급, 글로스터급, 에든버러급), 다이도급, 크라운 콜로니급, 미노토어급(스윕트셔급), 넵튠급, 미노토어급(1947)
중순양함 호킨스급, 카운티급(켄트급, 런던급, 노포크급), 요크급, 엑서터급, 서리급, 어드미럴급
순양전함 리나운급, 어드미럴급, J3급, G3급, K2·K3급, I3급
전함 아이언 듀크급, 퀸 엘리자베스급, 리벤지급, N3급, L급, 넬슨급, 킹 조지 5세급, 라이온급, 뱅가드A
호위항공모함 오더시티, 액티비티, 나이라너급, 아처, 어벤저급, 어태커급, 룰러급(보그급 호위항공모함), 프레토리아 캐슬
경항공모함 유니콘급,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센토어급A
정규항공모함 아거스급, 허미즈급, 이글급, 커레이저스급, 아크로열급, 일러스트리어스급, 임플래커블급, 오데이셔스급A, 몰타급, 하버쿡
기타 페어마일 어뢰정, 알제린급 소해함, 캐서린급 소해함, 소드피시, 인섹트급 연안포함
취소선: 실제로 건조되지 못한 함선
윗첨자A: 전후 완공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드레드노트급 전함의 계보 파일:영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함
중간포 폐지/대응방어 및 증기터빈 도입

드레드노트


 
방뢰격벽 추가/부포 구경 강화

벨레로폰급


 
부포 수량 증가

세인트 빈센트급


 
장갑 강화/주포 배치 개선

넵튠급


 
마스트 수량 감소

콜로서스급


 
주포 구경 강화

오라이언급


 
장갑 및 속력 강화

킹 조지 5세급(1911)


 
부포 강화

아이언 듀크급


 
주포 구경 증가/속력 강화/중유 보일러 도입

퀸 엘리자베스급


 
아이언 듀크급 기반으로 무장 강화

리벤지급


 
주포 구경 강화/집중방어체계 도입

N3급


 
N3급 기반으로 소형화

넬슨급


 
4연장 주포탑 도입/속력 강화

킹 조지 5세급(1939)


 
신형 주포 도입/속력 강화

라이온급


 
속력 강화

뱅가드

순양전함
드레드노트 기반으로 경량화

인빈시블급


 
항속거리 증가

인디패티거블급


 
주포 구경 및 장갑 및 속력 강화

라이온급


 
속력 및 항속거리 증가

퀸 메리급


 
부포 구경 강화

타이거급


 
주포 구경 및 속력 강화

리나운급


 
포탑 1개 추가/장갑 강화

어드미럴급


 
어드미럴급 기반으로 주포 구경 강화

K2/K3급


 
K3급 기반으로 경량화

J3급


 
M3급 전함의 순양전함 설계

I3급


 
I3급 기반으로 경량화

G3급

기타
라이온급 기반 수출용 전함

에린

/
 
퀸 엘리자베스급 기반 수출용 전함

애진코트

/
 
수출용 전함

캐나다

/
 
수출용 전함/항공모함으로 개장

이글

/
 
고속 대형 경순양함/항공모함으로 개장

커레이저스급

/
 
1915년 제안된 순양전함

인컴패러블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해군 해상 병기의 계보 틀 : 항공모함 | 원자력 잠수함
}}}}}}}}}

파일:external/www.shipsnostalgia.com/Benbow_marl_id.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MS_Iron_Duke_(1912).jpg
Iron Duke Class Battleship

1. 개요2. 제원3. 상세4. 동형함 일람
4.1. HMS 아이언 듀크(Iron Duke)4.2. HMS 벤보우(HMS Benbow)4.3. HMS 말보로(HMS Marlborough)4.4. HMS 엠페러 오브 인디아(HMS Emperor of India)
5. 대중매체 속 아이언 듀크급6. 모형화

1. 개요

아이언 듀크급은 영국 해군이 1914년부터 1946년까지 운영한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으로, 전급인 킹 조지 5세급 전함(1911)의 개량형으로서 1911년도 계획에 의거하여 4척을 건조하였다.

2. 제원

아이언 듀크급 전함
Iron Duke-class battleship
기준배수량 25,000톤
만재배수량 29,500톤
전장 189.8m
전폭 27.4m
흘수 9m
승조원 955~1.022명
출력 22,000kW
최고 속력 21.25노트[1]
항속거리 10노트로 7,780해리
동력 기관 밥콕 앤드 윌콕스 증기보일러 18기
파슨스 직결식 증기터빈 4기
추진 4축 프로펠러
무장 주포 BL Mk.V 34.3cm[2] 연장포탑 5기 총 10문
부포 BL Mk.VII 15.2cm[3] 단장속사포 12문
대공포 OF 7.6cm[4] 단장고각포 2문
OF 4.7cm[5] 대공포 4문
어뢰[6] 21인치 어뢰 발사관 4문
장갑 현측 305mm
갑판 64mm
주포탑 279mm
바벳 254mm
함재기 1기(1918년)

3. 상세

당시 부포로 이용된 10.2cm 속사포는 같은 시기의 열강 주력함과 비교시 독일이 15cm, 프랑스가 13.9cm, 이탈리아가 12.7cm인 것에 비해 소구경에다가 위력이 부족하다고 지적되었다.

하지만 해군경이던 존 피셔(Lord John Fisher, 1st Baron Fisher)는 단일포(単一砲) 주창자였기 때문에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 시대가 왔어도 부포의 구경강화를 금지했다. 허나 아이언 듀크급의 설계당시 피셔는 갈리폴리 상륙작전의 패배책임으로 해군경을 사임했었기 때문에 드디어 위력부족이 지적된 부포를 경순양함의 주포급인 15.2cm 속사포로 채용했다. 그러나 이전급의 부포배치를 그대로 답습했기에 3번 주포탑에서의 후폭풍으로 인한 피해가 거듭되었기 때문에 아이언 듀크급은 1번 주포탑의 측면에서 전방 마스트 측면에 현측 포곽배치로 바꾸었지만 이것은 함수에서 파도가 정면으로 넘어오는 문제로 인해 원양에서의 전투시엔 지장을 초래했다.

부포의 대형화는 2,000톤의 배수량 증가에 의한 것이기도 했지만 그 댓가로 갑판방어가 얇아져 전투에 적합하지 않다는 불만도 있었다. 그리고 해를 거듭할수록 대형화되는 구축함에 대항하기엔 102mm 포는 역부족이 되어 프랑스 해군처럼 조기에 13.9cm 포를 장비하거나 독일해군처럼 15cm 포 정도의 구경이 필요하다는 것이 명백해져 개장공사가 이루어졌다.

파일:external/www.shipsnostalgia.com/Mq_ID_1910.jpg

방어면에서도 방어장갑의 두께를 이전급 그대로 이어받아 효과범위를 확대했지만 수면 .아래 장갑은 수뢰격벽의 불충분한 부분을 석탄고로 간격을 맞춰 커버했기에 독일전함의 강건한 수뢰격벽과는 대조가 되었다.

기관 면에서는 21노트의 전열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계하여, 이전급과 구성은 다르지 않았지만 최대출력은 이전급의 27,000마력에서 29,000마력으로 늘렸다. 그러나 고작 2,000마력 증강으로는 선체의 대형화로 인한 기관 부담 증대를 감당하기 어려웠고, 이로 인해 지향한 최대속도(21노트)를 종전 때까지 달성하지 못했다. 안전하게 낼 수 있던 속도는 기껏해야 19노트 수준.

그렇지만 영국 해군은 본급을 성공작으로 보고 별다른 설계변경을 하지 않은 채 2년 후에 건조되는 리벤지급 전함에서도 아이언 듀크급 전함의 설계를 그대로 답습했다.

아이언 듀크급 전함은 선체중앙까지 높은 건현의 긴 선수루형 선체로, 원양항해시 능파성은 양호했지만 정면에서 전속력으로 질주시엔 너울이 갑판위로 자주 넘쳤다. 함수아래부분은 영국 특유의 함수부력을 이용한 전방동출형으로 함수부는 경사가 거의 없었다. 그리고 전방갑판에는 34.3cm(45구경)주포를 연장형식으로 1, 2번 주포탑 2기를 배치하고 2번 주포탑 뒤에 사령탑과 삼각형의 박스형 함교를 기부로 정상에 전망소를 가진 전방 마스트가 세워졌다.

마스트 배후에는 간격을 두고 연돌 2개가 세워졌으며 연돌 주변엔 함재정을 비치해 각 현에 마련된 크레인 1기씩으로 운용되었다. 2번 연돌부터 한 단 아래의 갑판엔 3번 주포탑이 후방을 향해 1기가 배치되었고 후방갑판엔 8각형 모양의 상부구조물에 7.6cm 고각포가 단장포가 형식으로 병렬로 2기가 배치되었다. 그리고 그 뒤에 4, 5번 주포탑이 계단식으로 2기가 배치되었다.

부포인 15.2cm 속사포는 1번 주포탑 측면에서 1번 연돌의 측면에 걸쳐 5기가 배치되었다. 5번 주포탑의 측면에도 1기씩 하여 총 12기가 배치되었다. 운용면에서도 함수측 5기는 높은 곳에 위치하여 파도의 영향이 없었지만 함미측의 2기는 위치가 낮아서 파도의 문제를 종종 일으켰다.

이것은 근접하는 적군 구축함의 함 그림자가 수평선상에 보인다는 것을 가정한 것이었지만 이는 잘못된 확신에 근거한 장비여서 결국 1915년부터 1916년에 걸쳐 후방 포곽배치는 폐쇄되어 남은 15.2cm 속사포 2문은 상부구조물 최후방으로 이동하였다. 취역 후 제 1차 세계대전 중에 마스트 길이를 단축하고 함교를 복층화하여 2번 연돌 후방에 탐조등대가 2기가 배치되었다.

또 안테나선의 전개를 위해 후방 마스트가 신설되어 후방구조물 위엔 측거의가 설치된 부포용 관측소가 만들어졌다. 1918년에는 2번, 4번 주포탑 위에 육상기용 활주 플랫폼을 설비해 육상기 1기를 탑재했다. 대공화기로는 7.6cm(45구경) 고각포를 단장포가로 2기, 근접화기로는 4.7cm(40구경) 단장기관포 4기를 함상에 배치했다. 그리고 대함공격용으로 53.3cm 어뢰발사관을 수면아래 1문, 1번 주포탑 측면에 1문, 5번 주포탑의 측면에 1문씩 각현 2문씩 총 4문을 장비했다.

아이언 듀크급 전함은 런던 해군 군축조약에 의하여 3척은 해체되었지만 1번함 아이언 듀크만은 연습함으로 보유가 인정되어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46년에 제적되었는데, 주포 및 부포는 제2차 세계 대전 시 해안포로 제공되었다.

4. 동형함 일람

4.1. HMS 아이언 듀크(Iron Duke)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096556b5dfd8a0263c3c904cd22a93a5.jpg
연습함으로 5번 포탑 자리에 5.25인치 양용포를 설치한 아이언 듀크.

1912년 1월 12일 기공, 1912년 10월 12일 진수, 1914년 3월 취역. 이름의 유래는 제1대 웰링턴 공작이자 워털루 공인 아서 웰즐리.

취역 이후 영국 본토함대(Home Fleet)의 기함으로 활동하였으며 당시 함대 사령관은 조지 캘러한 제독[7]. 1차 대전이 발발하자 영국 해군이 재편되면서 본토함대와 대서양 함대가 합쳐진 대함대(Grand Fleet)가 편성되면서 대함대의 기함이 된다. 유틀란트 해전에서 젤리코 제독의 기함으로 사용되었으며 해전 도중 몇 발 얻어맞았으나 피해는 없었고 독일 전함 쾨니히급 전함 1번함 쾨니히에게 다수의 명중탄을 기록하여 상당한 피해를 입힌다. 1차 대전 종전 이후 지중해 함대로 전출되었다가 다시 대서양 함대로 돌아온다.

1931년에 포술연습함으로 개조, 1946년 3월 2일 제적 후 1948년 해체되었다.

4.2. HMS 벤보우(HMS Benbow)

파일:external/www.shipsnostalgia.com/MQ_benb_02.jpg

1912년 5월 30일 기공, 1913년 11월 12일 진수, 1914년 10월 취역, 런던 군축 조약으로 인해 1931년 3월 매각 후 해체.

이름은 17세기 영국 해군의 제독이었던 존 벤보우(John Benbow)에서 따왔다. 우연히도 유명 소설인 보물섬과 이름이 연관이 있는데, 주인공인 짐 호킨스가 일하던 여관의 이름이 바로 '아드미럴 벤보우 여관'이다.

4.3. HMS 말보로(HMS Marlborough)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MS_Marlborough_%281912%29.jpg

1912년 1월 25일 기공, 1912년 10월 24일 진수, 1914년 6월 취역, 런던 군축 조약으로 인해 1932년 6월 매각 후 해체.

이름의 유래는 제1대 말보로 공작이자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명장 존 처칠.

4.4. HMS 엠페러 오브 인디아(HMS Emperor of India)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da42c76a480013ad621ad6faac2c2504.jpg

1912년 5월 31일 기공, 1913년 11월 27일 진수, 1914년 11월 취역, 1930년 런던 해군 군축조약에서 폐기 결정 후 1931년 표적함으로 격침되었으나 인양 후 1932년에 매각 후 해체.

이름의 유래는 인도 황제.[8]

5. 대중매체 속 아이언 듀크급

파일:external/pbs.twimg.com/DDbAucJUAAAWzhu.jpg
파일:external/hwzone.co.il/bfopb.jpg* 워 썬더에서 영국 대양해군 트리에 HMS 말보로가 추가되었다. 출시 당시에는 고폭탄 화력이 강력하지만 휴우가파리시스카야 코뮤냐에게 다소 밀리는 성능이었으나, SAP탄의 수선하 타격이 불가능해지는 패치로 간접버프를 받아 대공을 제외하고는 현존 전함 중 유폭 포인트가 제일 적은 1급 전함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후 업데이트로 HMS 아이언 듀크함도 추가되었다.

6. 모형화


[1] 종전 드레드노트급 전함들에 비해 아주 찔끔 속도가 향상되었다. 의미가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속도 향상의 꿈을 어느 정도 이뤄냈다고 볼 수 있다.[2] 13.5인치.[3] 6인치.[4] 3인치.[5] 3파운더.[6] 주력함은 어뢰로 대잠공격을 하지 않음[7] 당시 해군 대장이며 최종 계급은 해군 원수.[8] 전드레드노트급인 로열 서브린급 전함 중에 동명의 전함이 있는데, 이 당시는 빅토리아 여왕 재위기라 함명이 엠프레스 오브 인디아(HMS Empress of India)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