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2 22:22:54

신반포아파트

신반포 한신아파트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555; 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ffffff 자치구}}}]]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


{{{#!wiki style="margin: -12px 0"<tablebordercolor=#009d85>
파일:서초구 CI_White.svg
신반포아파트
단지 현황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letter-spacing: -1px"
<colbgcolor=#009d85> 최초 입주 <rowcolor=#fff> 재건축 단계 비고
<colcolor=#fff> 1차 <colbgcolor=#fff><colcolor=#000> 아크로리버파크 <colbgcolor=#fff><colcolor=#000>완료<colbgcolor=#fff><colcolor=#000>
2차 디에이치 르블랑 (예정) 조합설립인가
3차 래미안 원베일리 완료 [B]
4차 래미안 헤리븐 반포 (예정) 조합설립인가
5차 아크로리버뷰 완료
6차 반포센트럴자이 완료
7차 아크로 리버마크 (예정) 조합설립인가 공공재건축
8차 메이플자이 완료 [C]
9차
10차
11차
12차 르엘 (예정) 사업시행인가
13차 신반포 르엘 완료
14차 반포르엘 2차 완료
15차 래미안 원펜타스 완료
16차 신반포 써밋 라피움 (예정) 사업시행인가
17차 메이플자이 완료 [C]
18차 래미안 신반포 리오센트 완료 335, 336동[A]
오티에르 신반포 (예정) 시공중 337동
19차 신반포19차·25차 재건축 (예정) 조합설립인가 [D]
20차 - 조합설립인가
21차 오티에르 반포 (예정) 시공중
22차 디에이치 (예정) 철거
23차 래미안 원베일리 완료 [B]
24차 래미안 신반포 리오센트 완료 [A]
25차 신반포19차·25차 재건축 (예정) 조합설립인가 [D]
26차 - 조합설립인가
27차 드파인 더 퍼스트 반포 (예정) 사업시행인가
28차 - -

[B] 신반포 3차, 23차, 반포 경남아파트, 반포 우정에쉐르, 경남상가와 통합재건축[C] 신반포 8차, 9차, 10차, 11차, 17차, 녹원한신아파트, 베니하우스, 거목상가, 매일상가 통합재건축[C] [A] 신반포 18차 335동, 336동, 24차 통합재건축[D] 신반포19차, 25차, 한신진일빌라트, 잠원CJ빌리지 통합재건축 예정[B] [A] [D]
}}}}}}}}}}}} ||
파일:신반포항공뷰.jpg
<colbgcolor=#009d85><colcolor=#fff> 2010년에 촬영된 신반포아파트 일대 항공사진[1]
파일:신반포4차.jpg
신반포 4차의 모습
<colcolor=#fff> 신반포아파트
新盤浦아파트 | Sinbanpo Apartment
<colbgcolor=#009d85> 종류 아파트
주소 <colbgcolor=#009d85><colcolor=#fff> 1차[2]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15길 19 (반포동)
2차 신반포로23길 41 (잠원동)
3차[O]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19길 10 (반포동)
4차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로 37-48 (잠원동)
5차[4]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로 117 (잠원동)
6차[5]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310-6 (잠원동)
7차[6]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로 88 (잠원동)
8차[M] 서울특별시 서초구 나루터로4길 28 (잠원동)
9차[M]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33길 30 (잠원동)
10차[M] 서울특별시 서초구 나루터로4길 39 (잠원동)
11차[M] 서울특별시 서초구 나루터로4길 61 (잠원동)
12차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로14길 41 (잠원동)
13차[11]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로14길 42 (잠원동)
14차[12]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23길31 (잠원동)
15차[13]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15길 5 (반포동)
16차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로 157 (잠원동)
17차[M] 서울특별시 서초구 나루터로4길 49 (잠원동)
18차[R][16]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로 195 (잠원동)
19차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로 8길20 (잠원동)
20차 서울특별시 서초구 나루터로 4길60 (잠원동)
21차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267 (잠원동)
22차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로 86 (잠원동)
23차[O]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19길 6 (반포동)
24차[R]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로12길 13 (잠원동)
25차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로 136 (잠원동)
26차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로4길 33-9 (잠원동)
27차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로8길 3 (잠원동)
28차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로3길 8 (잠원동)
최초 입주 1977년 4월
동수 총 129개동
층수 최고 12층
세대수 총 11,922세대
면적 55㎡ ~ 217㎡
시공사 한신공영
1. 개요2. 역사3. 단지별 특징
3.1. 0번대3.2. 100번대3.3. 200번대3.4. 300번대
3.4.1. 7차3.4.2. 8차3.4.3. 9차3.4.4. 10차3.4.5. 11차3.4.6. 12차3.4.7. 13차 3.4.8. 17차(기린) 3.4.9. 18차(백마)3.4.10. 19차3.4.11. 20차3.4.12. 21차3.4.13. 22차3.4.14. 24차(성심) 3.4.15. 25차(뉴코아)3.4.16. 26차(잠원)3.4.17. 27차(화랑)
3.5. 이외 단지들
3.5.1. 28차(반포한신타워)
3.6. 이외 한신에서 지은 공동주택
3.6.1. 잠원한신3.6.2. 잠원한신로얄3.6.3. 잠원한신그린3.6.4. 한신한강3.6.5. 한신타운3.6.6. 잠원훼미리3.6.7. 녹원한신아파트3.6.8. 베니하우스3.6.9. 오페라하우스3.6.10. 한신진일빌라트
4. 교육
4.1. 초등학교4.2. 중학교
5. 교통
5.1. 지하철5.2. 도로
6. 여가시설7. 상업시설8. 관련 문서


1. 개요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동반포동 일대에 위치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

1977년 4월 신반포1차아파트의 입주를 시작으로 총 11,922세대가 완공되었다.

반포대로를 기준으로 서측에 신반포1차, 3차, 15차, 23차가 건설되였고, 나머지 단지들은 동측에 지어졌다.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나 1000세대를 넘는 단지는 4차까지이며, 그 이후에 지어진 단지는 900세대 미만부터 동이 하나만 있는 아파트 속칭 '나홀로 아파트'도 많은 편이다.

2. 역사

1976년 반포아파트지구 개발계획에 의거, 한신공영잠원동반포동 일대에 1977년부터 약 19년 동안 신반포1차아파트부터 한신타워아파트(신반포 28차아파트)까지 총 28차의 아파트를 공급하여 대규모 신반포 한신타운을 조성하였으며, 이 지역은 신반포라고 불리었다.

이 지역은 한신이 만들었다 봐도 과언이 아닐 만큼 엄청난 규모이다보니 한신공영은 강남 개발의 가장 큰 수혜를 받은 회사 중 한 곳으로 꼽히며, 이 덕에 한신공영과 형제회사였던 뉴코아그룹 두 회사는 IMF로 파산하기 이전까지 재계순위 20위권 안팎이었다.
수원시 인계동에도 동명의 수원 신반포아파트가 있는데, 실제 수원신반포아파트 지면광고를 보면 '신반포'를 일종의 브랜드로 삼으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서울 신반포아파트 입주자의 성원과 지도편달로 이루어진

2000년 전후로 많은 단지에서 재건축 추진위원회 혹은 재건축 조합이 설립되었으며, 2010년대부터는 한강 일대라는 지리적 이점과 더불어 시설의 노후화로 재건축이 활발히 진행되었고, 2016년에 신반포1차아파트가 아크로리버파크로 한신아파트 중 최초로 재건축이 이루어졌다.

2020년 기준으로는 과반수의 단지들이 재건축이 완료되었다.

3. 단지별 특징

3.1. 0번대

3.1.1. 1차

1977년 4월 입주하여 2013년 철거된 반포주공1단지 동측에 있었던 5층 위주의 아파트이다.

2016년 8월, 아크로리버파크로 재건축을 완료하였다.

3.1.2. 3차

1978년 입주하였으며 이 아파트는 1차와 동번호가 이어져 있었다.(1차:1~21동, 3차:22~38동) 2019년 철거되었다.
반포 경남아파트, 경남상가, 신반포 23차, 우정에쉐르 1차, 2차와 래미안 원베일리로 통합재건축을 완료하였다.

3.1.3. 15차

1982년 입주하였으며, 2019년 철거되었다. 신반포아파트 중 가장 넓은 면적과 평수를 가지고 있었다.

2024년 6월, 래미안 원펜타스로 재건축을 완료하였다.

3.1.4. 23차

1984년 입주하였으며, 2019년 철거되었다.

반포 경남아파트, 경남상가, 신반포 3차, 우정에쉐르 1차, 2차와 래미안 원베일리로 통합재건축을 완료하였다.

3.2. 100번대

3.2.1. 2차

1978년 입주하였으며, 반포대교 남단 바로 동측에 한강변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12층 아파트이다. 이 아파트가 완공되면서 인가조건으로 교육부지를 기부채납했는데, 이후 이곳에 서울반원초등학교가 세워졌다.

2020년 11월, 재건축 조합설립이 완료되었다.

2022년 8월 24일 계약자부터 토지거래허가제 적용 대상이다. 이는 서초구 아파트 중 최초이다.

현대건설이 시공사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고, 12월 1일 입주자총회에서 현대건설이 시공사로 선정되어 디에이치 르블랑으로 재건축 예정이다.

2025년 5월 기준, 조합설립 단계이다.

3.2.2. 5차

1980년 입주하였으며, 2015년 철거된 신반포 2차 아파트 동측에 있었던 아파트이다.

2018년 6월, 아크로리버뷰신반포로 재건축을 완료하였다.

3.2.3. 16차

1983년 입주하였으며, 문화재인 잠실 뽕나무와 한강변 규제 때문에 타 단지들보다 재건축 진행속도가 느린 편이었다.

2024년 7월, 대우건설이 시공사로 선정되었다. 신반포 써밋 라피움으로 재건축 예정이다.

2025년 5월 기준, 사업시행인가 완료 상태이다.

3.3. 200번대

3.3.1. 4차

1979년 입주하였으며, 고속터미널과 지하철 역이 인접해 있어 교통이 매우 편리한 단지 중 하나이다.

뉴코아 본관과 지분이 묶여있다.

2025년 5월 기준, 조합설립완료 단계이다. 삼성물산이 시공사로 선정되었으며 '래미안 헤리븐 반포'(가칭)를 조합원에게 제시하였다

3.3.2. 6차

1980년 입주하였으며, 2017년 철거된 고속터미널역 8-1번 출구 앞에 위치했던 아파트이다.

2020년 4월, 반포센트럴자이로 재건축을 완료하였다.

3.3.3. 14차

1983년 입주하였으며, 2019년 철거되었다.

2022년 12월, 반포르엘 2차로 재건축을 완료하였다.

3.4. 300번대

7차: 301~303
8차: 304~312
9차: 313/314
10차: 315~319
11차: 320~323
12차: 324~326
13차: 327~329
17차: 332~334
18차: 335~337
19차: 330/331
20차: 339
21차: 340/341
22차: 338
24차: 342/343
25차: 344/345
26차: 347
27차: 351

3.4.1. 7차

301~303동의 3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1980년 입주하였다.

한신공영 건물과 지분이 묶여있어 통합재건축을 준비하였으며, 대림산업을 시공사로 선정하여 아크로 리버마크(가칭)로 재건축 예정이다.

2025년 5월 기준, 조합설립 단계이다.

3.4.2. 8차

304-312동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1980년 입주하였으며, 2021년 철거되었다.

신반포 9차, 10차, 11차, 17차, 녹원한신아파트, 베니하우스빌라(신반포4지구)로 묶여 메이플자이로 통합재건축을 완료하였다.

3.4.3. 9차

313, 314의 2개동이 있었다. 1980년 입주하였으며, 2021년 철거되었다.

신반포 8차, 10차, 11차 ,17차, 녹원한신아파트, 베니하우스빌라(신반포4지구)로 묶여 메이플자이로 통합재건축을 완료하였다.

3.4.4. 10차

315~319동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1980년 입주하였으며, 2021년 철거되었다.

신반포 8차, 9차, 11차, 17차, 녹원한신아파트, 베니하우스빌라(신반포4지구)로 묶여 메이플자이로 통합재건축을 완료하였다.

3.4.5. 11차

1981년 입주하였으며, 2021년 철거되었다.

신반포 8차, 9차, 10차, 17차, 녹원한신아파트, 베니하우스빌라(신반포4지구)로 묶여 메이플자이로 통합재건축을 완료하였다.

3.4.6. 12차

1982년 입주하였다. 과거 롯데건설 본사였으나, 롯데복지센터로 전환된 빌딩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다.

재건축을 위해 조합설립인가까지 받았었으나, 상가조합원이 지분분리를 요구하면서 조합인가 무효소송을 벌였고, 조합 측이 패소해 재건축이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었다.

이후 롯데건설이 단독수주하였다.

3.4.7. 13차

1982년 입주하였으며, 2019년 철거되었다.

2023년 6월, 신반포 르엘로 재건축을 완료하였다.

3.4.8. 17차(기린)

1983년 입주하였으며, 신반포 8차, 9차, 10차, 11차, 녹원한신아파트, 베니하우스빌라(신반포4지구)로 묶여 메이플자이로 통합재건축을 완료하였다.

3.4.9. 18차(백마)

1983년 입주하였으며, 잠원로를 기준으로 335, 336동은 도로 남쪽, 337동은 도로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분리재건축을 하였다.

335동, 336동은 신반포 24차와 함께 재건축을 진행하여 2019년 6월 래미안 신반포 리오센트로 재건축을 완료하였다.

337동은 포스코이앤씨가 재건축 시공사로 선정되어 2021년 이주를 진행하였고 2022년 철거되었다. 2025년 5월 기준, 오티에르 신반포로 공사중이다.

3.4.10. 19차

1983년 입주히였다.

2025년 5월 기준, 조합설립 단계이다.

3.4.11. 20차

1983년 입주히였다.

바로 옆 단지인 신반포 4지구(신반포 8,9,10,11,17차와 녹원한신, 베니하우스)와 함께 통합재건축을 하려 했으나, 20차 쪽에서 먼저 사양하였다. 그 후 통합재건축을 하겠다고 의사를 내비쳤으나, 이미 4지구에서 관리처분인가를 받은 후여서 통합재건축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2025년 5월 기준, 조합설립 단계이다.

3.4.12. 21차

1984년 입주하였다.

시공사 선정 당시 포스코건설GS건설이 입찰에 참여하였다. 당시 GS건설은 이미 반포자이,신반포자이, 반포센트럴자이 등 반포에 대단지 자이 텃밭을 만든 신반포4주구 수주를 따낸 뒤였고, 포스코건설은 시공능력평가순위에서 5대 건설사인 삼성물산 건설부문, 현대건설, 대림산업, 대우건설, GS건설뿐만 아니라 롯데건설현대산업개발보다도 다음 순위였기에 포스코건설이 붙으면서 GS건설이 낙승할 것이 예상됐다.

게다가 시공사 선정 당시 GS건설 측이 신반포4주구 수주를 따낸 뒤였기에 GS건설은 메이플자이~반포 프리빌리지 자이[19]~반포자이에 이르는 '자이타운'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포스코건설이 강남권 일대의 수주전에서 맥을 못추던 것에 한을 품고 수주전에 뛰어들었고, 포스코건설에서 조합 측에 후분양 등의 여러가지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면서 63:44라는 접전 끝에 포스코건설이 수주에 성공하였다. 미성크로바반포주공1단지 1 ,2, 4주구 수주를 제외하고는 강남권 일대에서 삼성물산까지 이겼던 GS입장에선 뼈아픈 패배라고 할 수 있다.

2021년부터 철거에 들어가 2022년에 철거가 완료되었다. 2025년 5월 기준, 오티에르 반포로 공사중이다.

3.4.13. 22차

1983년 입주하였으며, 현대엔지니어링에서 재건축 시공을 진행할 예정이다.

2022년 이주 후에 2023년에 철거되었다. 2025년 5월 기준, 철거완료 상태이다.

3.4.14. 24차(성심)

1984년 입주하였으며, 2016년 철거되었다.

아파트 건축 이전 용인으로 이전한 성심원[20]이 있던곳이라 이곳만 성심아파트라 불리게되었다.

2019년 6월, 신반포 18차 335동, 336동과 함께 래미안 신반포 리오센트로 재건축을 완료하였다.

3.4.15. 25차(뉴코아)

1984년 입주하였다.

3.4.16. 26차(잠원)

1984년 입주하였다.

3.4.17. 27차(화랑)

1984년 입주하였다.

3.5. 이외 단지들

3.5.1. 28차(반포한신타워)

1996년 입주. 관련 기사

3.6. 이외 한신에서 지은 공동주택

3.6.1. 잠원한신

3.6.2. 잠원한신로얄

3.6.3. 잠원한신그린

3.6.4. 한신한강

3.6.5. 한신타운

3.6.6. 잠원훼미리

포스코건설에서 리모델링 예정. 리모델링 사상 수주 경쟁이 벌여졌던 단지이기도 하다.

3.6.7. 녹원한신아파트

2021년 철거되어 메이플자이로 통합재건축을 완료하였다.

3.6.8. 베니하우스

18세대로 이루어진 건축물이었으며, 2021년 철거되어 메이플자이 통합재건축을 완료하였다.

3.6.9. 오페라하우스

3.6.10. 한신진일빌라트

19차, 25차, 잠원CJ빌리지와 함께 통합재건축 예정.

4. 교육

잠원동의 최대 단점으로 고등학교가 없다. 남학생은 반포동에 소재한 세화고, 반포고로 주로 배정받고 서울고, 상문고로도 배정받아 고교 3년 내내 원거리 통학을 하게 된다. 남녀 공학압구정고, 서초고로도 배정받는다. 역시 남녀 공학청담고등학교가 2026년 3월 잠원동으로 이전 할 예정이다.

4.1. 초등학교

4.2. 중학교

5. 교통

5.1. 지하철

5.2. 도로

6. 여가시설

7. 상업시설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및 고투몰,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뉴코아아울렛 강남점, 킴스클럽 강남점, 반포쇼핑타운 등이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8. 관련 문서


[1] 2020년대 기준으로 대부분의 단지들이 재건축이 완료됐거나 진행되고 있어 이 당시와 상당히 달라진 모습이다.[2]아크로리버파크[O]래미안 원베일리[4]아크로리버뷰[5]반포센트럴자이[6] 아크로 리버마크로 재건축 진행중[M]메이플자이[M] [M] [M] [11]신반포 르엘[12]반포르엘 2차[13]래미안 원펜타스[M] [R]래미안 신반포 리오센트(335, 336동)[16] 337동은 오티에르 반포로 재건축 예정[O] [R] [19] 시공사 선정 당시 GS건설이 신반포21차에 제안한 단지명이다.[20] 가톨릭에서 운영하는 보육원이다. 1946년에 이 자리에 설립되어 있었다가 신반포 24차 아파트가 지어지기 전에 용인 수지에 새 건물을 지어 이사갔고, 지금도 계속 운영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