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젠레스 존 제로| Zenless Zone Zero ]]'''젠레스 존 제로 [[젠레스 존 제로/에이전트| 에이전트 목록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0px; min-height: 2em" {{{#!folding [ 속성별 ] {{{#!wiki style="margin:-6px -1px -6px" | |
| ## 구분선 [[네코미야 마나|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 구분선 [[11호|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파일:젠레스 존 제로-UI-귤복복.png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 구분선 [[본 리카온|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 구분선 [[그레이스 하워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 구분선 [[니콜 데마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 특성별 ]
- ## 강공
강공
## 구분선
[[네코미야 마나|]][[11호|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코린 위크스|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빌리 키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앤톤 이바노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엘렌 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주연(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아사바 하루마사|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이블린 슈발리에|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0호·엔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휴고 블라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시드(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오피 & 도깨비불|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격파
## 구분선
[[콜레다 벨로보그|]][[본 리카온|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엔비 데마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청의|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라이터(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펄크라 페리니|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트리거(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귤복복|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다이아린|파일:젠레스 존 제로-UI-귤복복.png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이상
## 구분선
[[그레이스 하워드|]][[파이퍼 휠|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제인 도(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버니스 화이트|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츠키시로 야나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호시미 미야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비비안 밴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앨리스 타임필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지원
## 구분선
[[알렉산드리나 세바스티안|]][[니콜 데마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소우카쿠|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루시아나 드 몬테피오|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아스트라 야오|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우키나미 유즈하|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루시아 엘로웬|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방어
## 구분선
[[벤 비거|]][[세스 로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카이사르 킹|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반인호|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명파
## 구분선
[[의현|]][[코마노 마나토|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이드하리 머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반악(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진영별 ]
- ## 교활한 토끼굴## 구분선
[[엔비 데마라|]][[니콜 데마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빌리 키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네코미야 마나|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콜레다 벨로보그|]][[앤톤 이바노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벤 비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그레이스 하워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코린 위크스|]][[본 리카온|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알렉산드리나 세바스티안|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엘렌 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11호|]][[트리거(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시드(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오피 & 도깨비불|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0호·엔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주연(젠레스 존 제로)|]][[청의|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제인 도(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세스 로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루시아나 드 몬테피오|]][[파이퍼 휠|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카이사르 킹|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버니스 화이트|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라이터(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펄크라 페리니|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소우카쿠|]][[츠키시로 야나기|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호시미 미야비|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아사바 하루마사|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아스트라 야오|]][[이블린 슈발리에|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비비안 밴시|]][[휴고 블라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의현|]][[반인호|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귤복복|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파일:젠레스 존 제로-UI-귤복복.png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우키나미 유즈하|]][[앨리스 타임필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루시아 엘로웬|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코마노 마나토|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이드하리 머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구분선
[[다이아린|]][[반악(젠레스 존 제로)|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wiki style="margin: 0px 5px; background-color: #3c4150; border:1px solid #a09b95;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50px; text-align: center" |
| 시드 SEED | ||
| "로프꾼… 은 「동류」야. 마치 네잎클로버와 유채꽃처럼…" | ||
| | ||
| <colbgcolor=#9CD1DE> 본명 | 플로라 | |
| 성별 | 여성[1] | |
| 키 | 153cm/240cm(빅 시드) | |
| 생일 | 11월 22일 | |
| 진영 | ||
| 속성 | ||
| 특성 | ||
| 언어별 표기 | Seed [ruby(席德,ruby=xídé)] シード | |
| {{{#!folding 빅 시드 ▼ {{{#!wiki style="margin: -5px -11px -11px" | Seed Sr. [ruby(老席德,ruby=lǎoxídé)] ビッグ・シード | }}}}}} |
| 성우 | 유혜지 모니카 리얼 [include(틀:zh, text=苏婉)] 야스노 키요노 | |
| {{{#!folding 빅 시드 ▼ {{{#!wiki style="margin: -5px -11px -11px" | 구원[2] 저스티스 워싱턴 [include(틀:zh, text=赵梓涵)] 겐다 텟쇼 | }}}}}} |
1. 개요
《젠레스 존 제로》에 등장하는 오볼로스 소대 진영의 전기 강공 에이전트.2. 소개
| <keepall> 「시드를 찾을 수 없을 때는 좁고 밀폐된 곳이나 기계 창고로 가보세요… 하지만 최근에는 사람들과의 접촉을 피하려고 공동 안에 『안전 가옥』을 만들기 시작한 것 같아요」 ——「트리거」 「…여보세요, 나야. 뭐? 『시드』가 이번 연합작전 지휘관의 갈비뼈를 또 부러뜨렸다고? 근데 전신 분쇄성 골절 상태의 반란군 수장을 생포했다고? 게다가 이 두 가지 일이 동시에 일어났다고?」 ——전화를 받고 사건의 경위를 전혀 이해할 수 없었던 「도깨비불」 「웅↗나↘!(점마는 내처럼 까리해가 빵부 말도 할 줄 아네! 근데 사투리가 너↘↗무 심해가 영 파이다!)」 ——타지부 「정체를 알 수 없는, 위험한 기운으로 가득한 냉혈 괴물 『빅 시드』… 정말 그 사람을 위해 목숨을 바칠 가치가 있나요?」 ——손에 쥔 빛바랜 검진 보고서를 응시하는 여성 |
| 「시드」 | 공식 홈페이지 캐릭터 소개 |
2.1. 캐릭터 PV
| <colbgcolor=#9CD1DE> 「시드」 캐릭터 PV 「루미나 이상 무」 | |
「전우라면 응당 헬파이어 라면을 함께 해야죠」 「전우로서 같이 영화 한 편 봐주실 수 있나요?」 「전우로서 같이 마사지 받을까요?」 「난 시장 사무실 갈 거야~」 | |
|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inline-table;" {{{#!folding [ JP ] {{{#!wiki style="margin:-10px -1px" |
- [ CN ]
- ||<tablewidth=100%><nopad> ||
- [ EN ]
- ||<tablewidth=100%><nopad> ||
| <colbgcolor=#9CD1DE> 「시드」 캐릭터 플레이 「하얀 악마」 | |
시유탑 보다 키가 크고, 6단지보다 넓다더군 게다가 녀석이 지나간 곳엔 시체가 즐비하고, 잔해만이 남아있대… 그 위엔 무시무시한 하얀 유령이 서 있는데, 녀석에게 붙잡히기라도 한다면… 「샤바바바바~」 | |
|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inline-table;" {{{#!folding [ JP ] {{{#!wiki style="margin:-10px -1px" |
- [ CN ]
- ||<tablewidth=100%><nopad> ||
- [ EN ]
- ||<tablewidth=100%><nopad> ||
| <colbgcolor=#9CD1DE> 「시드 」 애니메이션 단편 「러브, 데스+구조체」 | |
폐허 속 아직 피어나지 않은 꽃봉오리는, 눈물을 마셔야만 하는 운명일까. 하지만 사랑이란 그런 거야. 마지막 한 줄기의 햇살과 공기, 그리고 먼지로도 아름다운 꽃을 피워낼 수 있는, 그런. 언젠가 씨앗은 싹을 틔우고, 꽃은 피어날 거야. 그리고 너는, 자신의 마음을 찾을 수 있을 거야. | |
|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inline-table;" {{{#!folding [ JP ] {{{#!wiki style="margin:-10px -1px" |
- [ CN ]
- ||<tablewidth=100%><nopad> ||
- [ EN ]
- ||<tablewidth=100%><nopad> ||
| <colbgcolor=#9CD1DE> 판매 불가 영상 | 「시드」 | |
「응? 작전 경로에 있는 적?」 「쟤들 말이야~? 꽃을 밟지 말라고 했는데 이해를 못 했나 봐. 그럼 알아듣게 해줘야지~」 「자, 다들 친하게 지내야 해~」 | |
|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inline-table;" {{{#!folding [ JP ] {{{#!wiki style="margin:-10px -1px" |
- [ CN ]
- ||<tablewidth=100%><nopad> ||
- [ EN ]
- ||<tablewidth=100%><nopad> ||
| <colbgcolor=#9CD1DE> 「시드」 EP 「」 |
유튜브 동영상 설명 |
2.2. 공식 미디어
| <colbgcolor=#9CD1DE> 시즌2 예고 PV 「겹겹의 오탁이 자아낸 만 겹의 장막」 | |
과거는 무거운 족쇄가 되어 나를 심연으로 잡아끈다. 일렁이는 형화는 깊은 물의 틈새를 뚫고 나와 진실을 밝힌다. 그 비밀은 재액의 시작이 될지도 모른다 파에톤, 이번에는 「네가」, 악을 짓밟아 먼지로 만들어라. | |
|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inline-table;" {{{#!folding [ JP ] {{{#!wiki style="margin:-10px -1px" |
- [ CN ]
- ||<tablewidth=100%><nopad> ||
- [ EN ]
- ||<tablewidth=100%><nopad> ||
3. 인게임 정보
3.1. 기본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10%> 진급 ||<width=10%> 레벨 ||<width=17.5%>
HP ||<width=17.5%>
공격력 ||<width=17.5%>
방어력 ||
| 0 | 1 | 617 | 134 | 49 |
| 10 | 1370 | 207 | 109 | |
| 1 | 1793 | 255 | 143 | |
| 20 | 2630 | 337 | 210 | |
| 2 | 3054 | 384 | 244 | |
| 30 | 3891 | 465 | 310 | |
| 3 | 4314 | 513 | 343 | |
| 40 | 5152 | 595 | 410 | |
| 4 | 5576 | 643 | 444 | |
| 50 | 6413 | 725 | 511 | |
| 5 | 6836 | 773 | 545 | |
| 60 | 7673 | 854 | 612 |
3.1.1. 진급 재료
[include(틀:젠레스 존 제로/육성 재료, 진급=,진급재료1=초급 강공 휘장, 진급재료2=고급 강공 휘장, 진급재료3=선구자 휘장)]
3.2. 스킬
[include(틀:젠레스 존 제로/육성 재료, 스킬=,스킬재료1=기본 전기충격 칩, 스킬재료2=심화 전기충격 칩, 스킬재료3=특화 전기충격 칩,
핵심스킬재료1=고차원 데이터: 죽음의 제벌, 핵심스킬재료2=재창조의 유체)]
3.2.1. 일반 공격: 국화꽃의 윤무
| | 국화꽃의 윤무 |
전방을 향해 최대 4단까지 공격을 펼친다. 1~2단은 물리 피해를 주고, 3~4단은 전기 속성 피해를 준다. 세 번째 물러서기 동작부터 네 번째 공격 시전 전까지의 과정에서 공격을 받으면 자동으로 회피를 발동한다. |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1단 / 2단 / 3단 / 4단 피해 배율 || 1단 / 2단 / 3단 / 4단 그로기 배율 ||
| 1 | 46.5% / 124.1% / 71.8% / 358.6% | 29.4% / 82.9% / 44.6% / 226.5% |
| 2 | 50.8% / 135.4% / 78.4% / 391.2% | 30.8% / 86.7% / 46.7% / 236.8% |
| 3 | 55.1% / 146.7% / 85% / 423.8% | 32.2% / 90.5% / 48.8% / 247.1% |
| 4 | 59.4% / 158% / 91.6% / 456.4% | 33.6% / 94.3% / 50.9% / 257.4% |
| 5 | 63.7% / 169.3% / 98.2% / 489% | 35% / 98.1% / 53% / 267.7% |
| 6 | 68% / 180.6% / 104.8% / 521.6% | 36.4% / 101.9% / 55.1% / 278% |
| 7 | 72.3% / 191.9% / 111.4% / 554.2% | 37.8% / 105.7% / 57.2% / 288.3% |
| 8 | 76.6% / 203.2% / 118% / 586.8% | 39.2% / 109.5% / 59.3% / 298.6% |
| 9 | 80.9% / 214.5% / 124.6% / 619.4% | 40.6% / 113.3% / 61.4% / 308.9% |
| 10 | 85.2% / 225.8% / 131.2% / 652% | 42% / 117.1% / 63.5% / 319.2% |
| 11 | 89.5% / 237.1% / 137.8% / 684.6% | 43.4% / 120.9% / 65.6% / 329.5% |
| 12 | 93.8% / 248.4% / 144.4% / 717.2% | 44.8% / 124.7% / 67.7% / 339.8% |
| 13 | 98.1% / 259.7% / 151% / 749.8% | 46.2% / 128.5% / 69.8% / 350.1% |
| 14 | 102.4% / 271% / 157.6% / 782.4% | 47.6% / 132.3% / 71.9% / 360.4% |
| 15 | 106.7% / 282.3% / 164.2% / 815% | 49% / 136.1% / 74% / 370.7% |
| 16 | 111% / 293.6% / 170.8% / 847.6% | 50.4% / 139.9% / 76.1% / 381% |
| |
| 국화꽃의 윤무 |
3.2.2. 일반 공격: 낙화·도륙
| | 낙화·도륙 |
| [일반 공격] 네 번째, [회피 반격], [빠른 지원], [지원 돌격] 후 메카를 소환하고 차지 펀치를 시전해 대량의 전기 속성 피해를 준다. [강철 에너지] 120pt 도달 시 빠르게 [일반 공격: 낙화·도륙]을 시전할 기회를 1회 획득하며 적 명중 시 [강철 에너지]를 누적하지 않는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 1 | 166.6% | 144.8% |
| 2 | 181.8% | 151.4% |
| 3 | 197% | 158% |
| 4 | 212.2% | 164.6% |
| 5 | 227.4% | 171.2% |
| 6 | 242.6% | 177.8% |
| 7 | 257.8% | 184.4% |
| 8 | 273% | 191% |
| 9 | 288.2% | 197.6% |
| 10 | 303.4% | 204.2% |
| 11 | 318.6% | 210.8% |
| 12 | 333.8% | 217.4% |
| 13 | 349% | 224% |
| 14 | 364.2% | 230.6% |
| 15 | 379.4% | 237.2% |
| 16 | 394.6% | 243.8% |
| |
| 낙화·도륙 |
3.2.3. 일반 공격: 낙화·붕괴
| | 낙화·붕괴 |
| 「시드」는 [강철 에너지]를 보유하며, 자신의 공격이 적에게 명중하면 [강철 에너지]를 누적할 수 있다. [강철 에너지] 최대치는 150pt이며 초기에 [강철 에너지] 60pt를 보유하고, 120pt 도달 시 [일반 공격: 낙화·도륙] 혹은 [궁극기: 기계식 꽃밭·만개!] 시전 후 메카를 조종해 난사 후 강력한 내려찍기로 대량의 전기 속성 피해를 준다. 적 명중 시 [강철 에너지]를 누적하지 않는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
- 일반 공격: 낙화·붕괴Ⅰ [ 스킬 성장표 ]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1 528.3% 67.9% 2 576.4% 71% 3 624.5% 74.1% 4 672.6% 77.2% 5 720.7% 80.3% 6 768.8% 83.4% 7 816.9% 86.5% 8 865% 89.6% 9 913.1% 92.7% 10 961.2% 95.8% 11 1009.3% 98.9% 12 1057.4% 102% 13 1105.5% 105.1% 14 1153.6% 108.2% 15 1201.7% 111.3% 16 1249.8% 114.4%
- 일반 공격: 낙화·붕괴Ⅱ [ 스킬 성장표 ]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1 989.4% 168.8% 2 1079.4% 176.5% 3 1169.4% 184.2% 4 1259.4% 191.9% 5 1349.4% 199.6% 6 1439.4% 207.3% 7 1529.4% 215% 8 1619.4% 222.7% 9 1709.4% 230.4% 10 1799.4% 238.1% 11 1889.4% 245.8% 12 1979.4% 253.5% 13 2069.4% 261.2% 14 2159.4% 268.9% 15 2249.4% 276.6% 16 2339.4% 284.3%
| |
| 낙화·붕괴 |
3.2.4. 회피
3.2.4.1. 회피: 꽃잎 위를 노닐다
| | 꽃잎 위를 노닐다 |
빠른 대시로 회피한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
| |
| 꽃잎 위를 노닐다 |
3.2.4.2. 대시 공격: 전자의 윤무
| | 전자의 윤무 |
| 회피 시 전방을 향해 강철 휠을 던져 물리 피해를 준다. |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 1 | 64.2% | 32.1% |
| 2 | 70.1% | 33.6% |
| 3 | 76% | 35.1% |
| 4 | 81.9% | 36.6% |
| 5 | 87.8% | 38.1% |
| 6 | 93.7% | 39.6% |
| 7 | 99.6% | 41.1% |
| 8 | 105.5% | 42.6% |
| 9 | 111.4% | 44.1% |
| 10 | 117.3% | 45.6% |
| 11 | 123.2% | 47.1% |
| 12 | 129.1% | 48.6% |
| 13 | 135% | 50.1% |
| 14 | 140.9% | 51.6% |
| 15 | 146.8% | 53.1% |
| 16 | 152.7% | 54.6% |
| |
| 전자의 윤무 |
3.2.4.3. 회피 반격: 갈라진 꽃받침
| | 갈라진 꽃받침 |
| [극한 회피] 발동 후 전방의 적에게 연속 레이저를 쏴 전기 속성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 1 | 320.1% | 254.9% |
| 2 | 349.2% | 266.5% |
| 3 | 378.3% | 278.1% |
| 4 | 407.4% | 289.7% |
| 5 | 436.5% | 301.3% |
| 6 | 465.6% | 312.9% |
| 7 | 494.7% | 324.5% |
| 8 | 523.8% | 336.1% |
| 9 | 552.9% | 347.7% |
| 10 | 582% | 359.3% |
| 11 | 611.1% | 370.9% |
| 12 | 640.2% | 382.5% |
| 13 | 669.3% | 394.1% |
| 14 | 698.4% | 405.7% |
| 15 | 727.5% | 417.3% |
| 16 | 756.6% | 428.9% |
| |
| 갈라진 꽃받침 |
3.2.5. 지원 스킬
3.2.5.1. 빠른 지원: 꽃비 집중 사격
| | 꽃비 집중 사격 |
| 현재 조작 중인 캐릭터가 넉업되면 전방의 적에게 연속 레이저를 쏴 전기 속성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 1 | 154% | 77% |
| 2 | 168% | 80.5% |
| 3 | 182% | 84% |
| 4 | 196% | 87.5% |
| 5 | 210% | 91% |
| 6 | 224% | 94.5% |
| 7 | 238% | 98% |
| 8 | 252% | 101.5% |
| 9 | 266% | 105% |
| 10 | 280% | 108.5% |
| 11 | 294% | 112% |
| 12 | 308% | 115.5% |
| 13 | 322% | 119% |
| 14 | 336% | 122.5% |
| 15 | 350% | 126% |
| 16 | 364% | 129.5% |
| |
| 꽃비 집중 사격 |
3.2.5.2. 패링 지원: 어린 꽃의 배리어
| | 어린 꽃의 배리어 |
| 출전 캐릭터 피격 직전에 적의 공격을 패링하면 대량의 그로기 수치를 누적한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가벼운 패링 그로기 배율 || 강한 패링 그로기 배율 || 연속 패링 그로기 배율 ||
| 1 | 271.3% | 342.8% | 166.8% |
| 2 | 283.7% | 358.4% | 174.4% |
| 3 | 296.1% | 374% | 182% |
| 4 | 308.5% | 389.6% | 189.6% |
| 5 | 320.9% | 405.2% | 197.2% |
| 6 | 333.3% | 420.8% | 204.8% |
| 7 | 345.7% | 436.4% | 212.4% |
| 8 | 358.1% | 452% | 220% |
| 9 | 370.5% | 467.6% | 227.6% |
| 10 | 382.9% | 483.2% | 235.2% |
| 11 | 395.3% | 498.8% | 242.8% |
| 12 | 407.7% | 514.4% | 250.4% |
| 13 | 420.1% | 530% | 258% |
| 14 | 432.5% | 545.6% | 265.6% |
| 15 | 444.9% | 561.2% | 273.2% |
| 16 | 457.3% | 576.8% | 280.8% |
| |
| 어린 꽃의 배리어 |
3.2.5.3. 지원 돌격: 붉은 코어의 폭렬
| | 붉은 코어의 폭렬 |
| [패링 지원] 시전 후 전방의 적에게 연속 부유포 공격을 시전해 전기 속성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 1 | 456% | 401.6% |
| 2 | 497.5% | 419.9% |
| 3 | 539% | 438.2% |
| 4 | 580.5% | 456.5% |
| 5 | 622% | 474.8% |
| 6 | 663.5% | 493.1% |
| 7 | 705% | 511.4% |
| 8 | 746.5% | 529.7% |
| 9 | 788% | 548% |
| 10 | 829.5% | 566.3% |
| 11 | 871% | 584.6% |
| 12 | 912.5% | 602.9% |
| 13 | 954% | 621.2% |
| 14 | 995.5% | 639.5% |
| 15 | 1037% | 657.8% |
| 16 | 1078.5% | 676.1% |
| |
| 붉은 코어의 폭렬 |
3.2.6. 특수 스킬
3.2.6.1. 특수 스킬: 푸른 서리의 영락
| | 푸른 서리의 영락 |
곡선 궤적을 그리는 강철 휠을 던져 전기 속성 피해를 준다. |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 1 | 47.7% | 47.7% |
| 2 | 52.1% | 49.9% |
| 3 | 56.5% | 52.1% |
| 4 | 60.9% | 54.3% |
| 5 | 65.3% | 56.5% |
| 6 | 69.7% | 58.7% |
| 7 | 74.1% | 60.9% |
| 8 | 78.5% | 63.1% |
| 9 | 82.9% | 65.3% |
| 10 | 87.3% | 67.5% |
| 11 | 91.7% | 69.7% |
| 12 | 96.1% | 71.9% |
| 13 | 100.5% | 74.1% |
| 14 | 104.9% | 76.3% |
| 15 | 109.3% | 78.5% |
| 16 | 113.7% | 80.7% |
| 파일:시드_특수 스킬.gif |
| 푸른 서리의 영락 |
3.2.6.2. 강화 특수 스킬: 강철 꽃잎과 비의 장막
| | 강철 꽃잎과 비의 장막 |
| 에너지가 충분한 상태에서 비행 모드에 진입해 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연속으로 탄막을 발사해 적에게 대량의 전기 속성 피해를 준다. 비행하는 동안 한 번의 비행에서 에너지를 60pt 사용 시, 자동으로 [일반 공격: 낙화·도륙]을 시전한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초기 / 탄막 발사 에너지 소모 ||
| 1 | 683.4% | 586.8% | 10pt / 5pt |
| 2 | 745.6% | 613.5% | |
| 3 | 807.8% | 640.2% | |
| 4 | 870% | 666.9% | |
| 5 | 932.2% | 693.6% | |
| 6 | 994.4% | 720.3% | |
| 7 | 1056.6% | 747% | |
| 8 | 1118.8% | 773.7% | |
| 9 | 1181% | 800.4% | |
| 10 | 1243.2% | 827.1% | |
| 11 | 1305.4% | 853.8% | |
| 12 | 1367.6% | 880.5% | |
| 13 | 1429.8% | 907.2% | |
| 14 | 1492% | 933.9% | |
| 15 | 1554.2% | 960.6% | |
| 16 | 1616.4% | 987.3% |
| |
| 강철 꽃잎과 비의 장막 |
3.2.6.3. 강화 특수 스킬: 강철 꽃잎과 비의 장막·이별
| | 강철 꽃잎과 비의 장막·이별 |
| [강화 특수 스킬: 강철 꽃잎과 비의 장막]을 시전하는 동안 빠르게 포격해 전기 속성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 1 | 18.4% | 9.2% |
| 2 | 20.1% | 9.7% |
| 3 | 21.8% | 10.2% |
| 4 | 23.5% | 10.7% |
| 5 | 25.2% | 11.2% |
| 6 | 26.9% | 11.7% |
| 7 | 28.6% | 12.2% |
| 8 | 30.3% | 12.7% |
| 9 | 32% | 13.2% |
| 10 | 33.7% | 13.7% |
| 11 | 35.4% | 14.2% |
| 12 | 37.1% | 14.7% |
| 13 | 38.8% | 15.2% |
| 14 | 40.5% | 15.7% |
| 15 | 42.2% | 16.2% |
| 16 | 43.9% | 16.7% |
| |
| 강철 꽃잎과 비의 장막·이별 |
3.2.7. 콤보 스킬
3.2.7.1. 콤보 스킬: 서리 꽃잎의 폭풍
| | 서리 꽃잎의 폭풍 |
| [콤보 스킬] 발동 시 해당 캐릭터를 선택해 시전: 메카를 소환해 자신을 보호한 후, 전방을 포격하고 대량의 미사일을 발사해 대량의 전기 속성 피해를 준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 1 | 734.2% | 295.3% |
| 2 | 801% | 308.8% |
| 3 | 867.8% | 322.3% |
| 4 | 934.6% | 335.8% |
| 5 | 1001.4% | 349.3% |
| 6 | 1068.2% | 362.8% |
| 7 | 1135% | 376.3% |
| 8 | 1201.8% | 389.8% |
| 9 | 1268.6% | 403.3% |
| 10 | 1335.4% | 416.8% |
| 11 | 1402.2% | 430.3% |
| 12 | 1469% | 443.8% |
| 13 | 1535.8% | 457.3% |
| 14 | 1602.6% | 470.8% |
| 15 | 1669.4% | 484.3% |
| 16 | 1736.2% | 497.8% |
| |
| 서리 꽃잎의 폭풍 |
야호~ 빨리 가봐, 엄청 예쁜 불꽃놀이야! / 그런걸 뭐라고 하더라? 일격필살! / 미안, 너를 좀 거칠게 다뤄야 할거 같아~
3.2.7.2. 궁극기: 기계식 꽃밭·만개
| | 기계식 꽃밭·만개 |
| 데시벨 레벨 [Maximum] 달성 시 직접 메카를 조종해 대량의 미사일과 유성 같은 치명적인 섬광탄을 퍼붓고, 강력하게 내리찍어 대량의 전기 속성 피해를 준다. 스킬 시전 후 [강철 에너지]를 60pt 누적한다. 적 명중 시 [강철 에너지]를 누적하지 않는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피해 배율 || 그로기 배율 ||
| 1 | 3249.7% | 595.9% |
| 2 | 3545.2% | 623% |
| 3 | 3840.7% | 650.1% |
| 4 | 4136.2% | 677.2% |
| 5 | 4431.7% | 704.3% |
| 6 | 4727.2% | 731.4% |
| 7 | 5022.7% | 758.5% |
| 8 | 5318.2% | 785.6% |
| 9 | 5613.7% | 812.7% |
| 10 | 5909.2% | 839.8% |
| 11 | 6204.7% | 866.9% |
| 12 | 6500.2% | 894% |
| 13 | 6795.7% | 921.1% |
| 14 | 7091.2% | 948.2% |
| 15 | 7386.7% | 975.3% |
| 16 | 7682.2% | 1002.4% |
| |
| 기계식 꽃밭·만개 |
빅 시드, 폭격 시간이야! / 포탄 샤워 한번 할래? 얼마든지! / 음..니가 별로 마음에 안들어. 조금 세게 해도 괜찮지?
3.2.8. 핵심 스킬
3.2.8.1. 핵심 패시브: 꽃사슬의 협약
| | 꽃사슬의 협약 |
| 「시드」는 초기 공격력이 가장 강한 [강공] 파티원을 [병기]로 간주한다. [병기]가 [강화 특수 스킬] 시전 시 「시드」가 [강습] 상태를 획득하며, 「시드」의 공격력 npt 및 치명타 피해 n%가 증가한다. 「시드」가 [강화 특수 스킬] 시전 시 [병기]가 [정공] 상태를 획득하며, [병기]의 공격력 npt 및 치명타 피해 n%가 증가한다. [정공]과 [강습]이 동시에 존재 시 「시드」와 [병기]가 동시에 [포위] 상태를 획득하고 주는 피해가 n% 증가한다. [강습], [정공], [포위]의 버프 효과는 캐릭터가 현재 조작 중인 캐릭터일 때 적용되며, 캐릭터 교체 시 해당 버프 효과는 캐릭터가 전장에서 퇴장하거나 버프 효과가 3초 유지된 후 사라진다. 캐릭터를 현재 조작 중인 캐릭터로 교체할 시 버프 효과가 다시 적용된다. 전장 진입 시 「시드」는 즉시 [강습] 및 [포위] 상태를 획득하며, [병기]는 즉시 [정공] 및 [포위] 상태를 획득한다. [정공] 및 [강습] 상태 지속 시간: 40초, 중복 획득 시 지속 시간이 갱신된다. [병기]가 조작 중인 캐릭터로서 에너지를 소모하거나 「시드」가 에너지를 소모할 시, 소모한 에너지 1pt마다 「시드」가 [강철 에너지]를 0.5pt 회복한다. | |
||<tablebordercolor=#222,#EFEFEF><tablebgcolor=#fff,#222><tablecolor=#000,#fff><rowbgcolor=#222,#000><rowcolor=#fff><width=60> 레벨 || 공격력 증가 || 치명타 피해 증가 || 주는 피해 증가 || 추가 능력치 ||
| 1 | 100pt | 15% | 12.5% | - |
| 2 | 225pt | 17.5% | 14.5% | 치명타 피해 9.6% 증가 |
| 3 | 350pt | 20% | 16.5% | 기본 공격력 25pt 증가 |
| 4 | 475pt | 22.5% | 18.5% | 치명타 피해 9.6% 증가 |
| 5 | 600pt | 25% | 20.5% | 기본 공격력 25pt 증가 |
| 6 | 725pt | 27.5% | 22.5% | 치명타 피해 9.6% 증가 |
| 7 | 1000pt | 30% | 25% | 기본 공격력 25pt 증가 |
3.2.8.2. 추가 능력: 급습 작전
| | 급습 작전 |
| 파티 내 다른 [강공] 캐릭터 존재 시 발동: 「시드」가 조작 중인 캐릭터로서 피해를 줄 시 [병기]가 에너지를 2pt 회복한다. 1초 동안 최대 1회 발동한다. 「시드」의 [일반 공격: 낙화·도륙], [일반 공격: 낙화·붕괴] 및 [궁극기: 기계식 꽃밭·만개]로 주는 피해가 30% 증가하고, 적의 전기 속성 피해 저항을 25% 무시한다. | |
3.3. 형상 시네마
| | |
| <nopad> {{{#!wiki style="min-width: 30%; display:inline-table;" {{{#!folding [ 01 ~ 03 활성화 ] {{{#!wiki style="margin:-10px -1px" | |
- [ 04 ~ 06 활성화 ]
- ||<tablewidth=100%><nopad>
||
| <colbgcolor=#9CD1DE><colcolor=#000> 01 | 「동면기」 |
| 「시드」의 [강철 에너지]가 100pt에 도달할 시 [일반 공격: 낙화·붕괴]를 시전할 수 있으며, 소모하는 [강철 에너지] 총합이 100pt까지 감소한다. 빠르게 [일반 공격: 낙화·도륙]을 시전 할 기회 1회를 획득하는 데 필요한 [강철 에너지]가 100pt까지 감소한다. 전장 진입/[궁극기] 시전 시 추가로 [강철 에너지]를 40/20pt 획득한다. [일반 공격: 낙화·붕괴]로 주는 치명타 피해가 30% 증가한다. 이곳은 외부와 단절된, 엄숙하고도 신비로운 건물이다. 순백의 그녀는 이곳에 속해있다. 그녀는 움츠린 채, 조심스레 철조망 밖으로 고개를 내밀었다. 바깥세상은 어떤 모습일까? 그녀의 호기심은 무균실을 넘어서고, 무너진 고층 빌딩을 지나, 하늘의 분홍빛 거대한 꽃을 피해갔다. 멀리 더 멀리… 「깨져버린 썩은 달걀 같네~」 「하지만 좀 더 이곳에 있고 싶어…」 | |
| 02 | 「흡광법」 |
| 에이전트의 [포위] 상태 버프 효과 적용 시, 해당 에이전트가 주는 피해가 방어력의 20%를 무시한다. [강화 특수 스킬: 강철 꽃잎과 비의 장막] 시전 시, 60pt의 에너지를 누적 소모 후, 계속 에너지를 소모해 스킬을 지속할 수 있으며, 버튼에서 손을 떼거나 120pt의 에너지를 누적 소모할 때까지 지속된다. [강화 특수 스킬: 강철 꽃잎과 비의 장막]에서 에너지 5pt당 이어서 시전되는 [일반 공격: 낙화·도륙]으로 주는 피해가 5% 증가한다. 이곳은 철근이 뒤엉킨 끝없는 폐허였다. 형언할 수 없는 이상한 감정에 목이 메어 입으로는 소리를 낼 수 없었다… 시야가 흐려지고, 이상한 액체가 뺨을 타고 흘러내렸다. 눈가를 문지르고, 눈을 깜빡였다… 눈부시게, 서툴게 다가오는 그것은, 도대체 무엇일까? 「두려워하지 마… 내가… 구해줄게…」 「너는… 이름이 있니? 내 코드네임은… 『시드』야」 | |
| 03 | 「발아설」 |
| [일반 공격], [회피], [지원 스킬], [특수 스킬], [콤보 스킬]의 스킬 레벨+2 이곳은 군영의 평범한 휴게실이다. 그들은 그녀에게 인사를 건네며, 그녀의 마음을 열어보려 했다. 수줍어하는 빨간 머리 소녀, 시끄럽게 떠드는 이상한 총, 안대를 낀 금발의 강아지… 큰 로봇이 그녀에게 말했다, 그녀들은 모두 네 친구라고. 「친구가 뭐야?」 「친구란… 뒤를 돌아봤을 때 볼 수 있는 사람이야」 | |
| 04 | 「꽃향곡」 |
| 「시드」의 [포위] 상태 버프 효과 적용 시, 데시벨 획득 효율이 10% 증가하고, [궁극기]로 주는 피해가 20% 증가한다. ''웅장하고 인파로 북적이는 광장이었다. 이곳에 모인 그 어떤 사람보다 높은 단상 위에서 누군가 웅얼거리며 무언가를 말하고 있었다. 누군가 그녀의 이름을 불렀고, 많은 사람들이 몰려왔다. 멍한 꽃은 무대로 옮겨졌다. 머리카락 끝의 화약 연기조차 씻어내지 못한 채였다. 검은 상자는 별보다 더 밝은 빛을 뿜어냈고, 작은 금속이 마찬가지로 어쩔 줄 모르는 오랜 친구와 어린 친구의 몸에 달렸다. 이 표창은 이 순간부터 그녀가 「시드」가 되었고, 줄곧 그녀와 함께한 로봇은 「빅 『시드』」가 되었음을 의미했다. 「나 잘했어?」 「물론이지, 넌 우리의 자랑이야… 이 코드네임이 바로 그 증거지, 『시드』」'' | |
| 05 | 「개화기」 |
| [일반 공격], [회피], [지원 스킬], [특수 스킬], [콤보 스킬]의 스킬 레벨+2 이곳은 아는 사람이 거의 없는, 좁은 안전 가옥이다. 잡다하고 어지러운 물건들이 공간을 가득 메우고 있다. 상자, 소파, 액자, 화분마다 담긴 꽃들. 빨간 꽃, 노란 꽃, 분홍 꽃, 똑바로 선 꽃, 풍성한 꽃, 축 늘어진 꽃. 눈을 감고, 입을 꼭 다물면, 분명 견딜 수 있을 거야—— 그녀는 확신했다. 「조금만 더 시간을 주자」 「이 아이들도 잘 자랄 거야… 너처럼」 | |
| 06 | 「유심론」 |
| 「시드」의 치명타 피해가 50% 증가한다. [일반 공격: 낙화·도륙] 시전 시 추가로 레이저를 3발 발사하며, 1발마다 공격력의 165%만큼 피해를 준다. 3초 동안 최대 1회 발동한다. 이곳은 꽃들이 만발한, 찬란한 꽃바다이다. 그녀는 이곳의 처음 모습을 떠올렸다. 앙상하고, 잡초 한 포기도 없었던 그때를. 누가 이런 나쁜 짓을 한 걸까? 누가 황폐하고 암울했던 제로 공동을 이렇게 바꿔놓은 걸까? 누가 메마른 토양에 싱싱한 마음을 심어놓은 걸까? 「넌 이렇게 큰 원을 걸었던 거구나…」 「다음에 또 만나, 『빅 시드』」 |
- 형상1 - 「동면기」
원래 120pt가 필요하던 강공격의 요구량을 100pt까지 깎아주고, 전장 진입 및 궁극기 사용시 추가 에너지를 주며 치명타 피해량도 높여주는 시네마. 시드의 주력기인 강공격 사이클을 더 빠르게 해주고 위력까지 높여주니 효율이 높은 시네마다.
- 형상2 - 「흡광법」
포위 패시브 효과 강화.
- 형상4 - 「꽃향곡」
포위 패시브 효과 강화2 버전,, 데시벨 획득 효율이 10% 증가하고, 궁극기을 더 자주 쓸 수 있게 해준다. 궁극기 피해량 증가는 덤. 강철 에너지 수급이 원활해야 하는 시드 특성상 궁극기를 자주 쓸수록 강철 에너지를 더 빨리 얻을 수 있다.
- 형상6 - 「유심론」
기본 치명타 피해 50% 증가 + 일반 평타 + 평꾹 시 레이저로 인한 추가타 형상 1과 2와 연계되어 시너지를 내준다.
3.4. 에이전트 파일
상세 정보 「시드」, 뉴에리두 방위군 흑요석 부대 오볼로스 소대의 포수로, 본명은 플로라이다. 「시드」라는 코드네임은, 현재는 「빅 시드」라 불리는 그녀의 보호자이자 방위군의 전투용 스마트 구조체 「시드」로부터 이어받았다. 여러 증언에 따르면 「시드」는 「빅 시드」가 옛 도시 함락 당시 제로 공동에서 구출한 신원을 알 수 없는 고아로, 「빅 시드」는 그녀를 입양한 후 방위군 기숙사에서 홀로 키워냈다. 수년 전, 「빅 시드」는 오볼로스 소대 편입을 신청해 소대에 합류했는데, 이후 얼마지 않아 로직 코어의 불가역적 손상으로 인해 사망했고, 그렇게 「시드」는 그를 대신해 오볼로스 소대의 구성원이 되었다. 현재 우리가 들을 수 있는 「빅 시드」의 목소리는 구조체에 사전 다운로드되어 내재된 시스템 음성이다. 기계 개조와 연구 방면에서 「시드」는 일반인을 한참 뛰어넘는 재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반인은 상상할 수 없는 발명품을 설계하고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시드」는 매우 높은 에테르 적성을 보유하고 있고, 조종, 원거리 조작, 전투 모듈 추가 등의 방식으로 「빅 시드」의 전투력을 극한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이로 인해 체력 훈련에서의 심각한 기준 미달과 신원 불명이라는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군은 「시드」가 정예 군인으로 복무할 수 있도록 묵인하고 있다. 일상에서의 「시드」는 평범한 사람들과는 다른 행동 패턴을 보이는데, 그녀는 「빅 시드」의 조종석을 고정된 휴식 공간으로 삼고 있으며, 좁은 곳에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좋아하고, 동료가 아닌 사람과 소통하는 것을 극도로 꺼린다. 게다가 말과 행동이 보통의 사고 패턴을 훌쩍 뛰어넘는 경우가 많아 소통이 매우 어려운 편에 속한다. 마스터, 이유는 모르겠지만 다행히도 「시드」는 마스터와 조수 2호에게 이상할 정도로 친근감을 느끼고 있어요. 그녀의 호감과 신뢰를 얻는 데 필요한 길고 지난한 여정이 단축되었으니, 그녀가 때때로 보여준 위험한 파괴력이 마스터에게 닿을까 걱정할 필요가 없어졌어요. 축하드려요. 제안: 꽃, 로봇 등 해당 에이전트가 좋아하는 것을 대화 주제로 삼고, 평정심을 갖고 이해할 수 없는 논리와 함축적인 표현을 받아들인다면 그녀와 효율적으로 가까워질 수 있을 거예요. 「시드」는 어린 시절부터 일정 범위 내의 기계 장치를 조종하거나 다운시키고, 심지어 폭발시킬 수 있는 등 기괴하고 위험한 이능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 능력은 그녀가 심각한 감정 불안정 상태에 빠졌을 때만 발현되며, 외적으로는 양쪽 눈에서 붉은빛이 반짝이는 현상이 나타난다. 바로 이 능력 때문에, 그녀를 처음 발견한 「빅 시드」의 자율 경계 시스템이 자동으로 그녀를 고위험 대상으로 인식했고, 이는 간접적으로 「빅 시드」의 로직 코어에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초래했다. 게다가 「시드」는 「빅 시드」가 제로 공동에서 데려왔을 때부터 이미 인격적 결함이 존재했으며, 알 수 없는 이유로 생명에 대한 이해와 지각, 공감 능력이 결여되어 있었다. 입양된 후 몇 년 동안 「빅 시드」는 그녀의 완전한 인격 형성을 위해 노력했고, 그가 세상을 떠난 후에는 오볼로스 소대 구성원들이 그 뜻을 이어받아 현재 「시드」의 인격적 결함은 상당한 개선을 이루었다. 마스터, 마스터와 「시드」가 전에 제로 공동에서 진행한 탐색 기록에 근거해, 「시드」의 진짜 신분은 마스터와 마찬가지로 헬리오스 기관의 학생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녀가 헬리오스 기관에 있을 당시 소속되어 있던 연구 프로젝트는 마스터와 달랐을 것으로 추정되며, 기계 연구와 관련된 프로젝트였을 확률이 높아 보입니다. 위에서 언급된 「시드」의 이능력과 인격적 결함은 모두 해당 프로젝트의 잔재로 보이나, 에이전트가 헬리오스 기관 및 옛 도시 함락과 관련된 기억을 잃어버렸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더 자세한 정보를 분석할 수 없습니다. 또한, 마스터, 그녀가 가끔 미소를 지으며 저를 응시하는데, 호기심 충족을 위해 저를 분해하고 싶은 충동이 있을 확률이 매우 높아 매우 소름 돋습니다. 마스터의 사랑스러운 조수를 잃지 않도록 제 신변 안전에 대한 다중 보호 조치를 강력히 요청하는 바입니다. 협력 비고 벨 「시드」는 게임을 잘하고, 좋아하는 음악 장르도 나랑 비슷하고, 운동도 별로 안 좋아하고, 조종석이 자기 방이나 다름없어서… 정말 「동족」 같은 느낌이 들어. 그리고 또 하나 같은 점은, 우리 둘 다 자신이 귀엽다는 걸 알고 있다는 거야~ 와이즈 대부분의 경우에는 「시드」의 엉뚱한 생각을 어떻게든 따라갈 수 있지만, 방심하면 안 되는 게… 지난번에는 킥보드가 고장 났다고 해서 내가 고쳐준다고 했더니, 하루 종일 나보고 대신 업고 다니라고 하더라고! 내가 「시드」보다 달리기가 빨라서 다행이었어… |
3.5. 비디오 가게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전투도 모두 기계에게 맡겨」
그녀는 낯선 사람과 교류하는 것을 매우 꺼리기에 처음부터 직접 홍보할 생각은없었다.
그녀의 작은 거점에서 잠시 손을 본 대량의 비행 가능한 소형 기계들은 비디오 가게의 전단지를 달고
뉴에리두의 구석구석으로 날아가 그녀를 대신해 임무를 초과 달성했다.
그녀 본인은...자신에게 주는 상으로 비디오 가게의 쇼파에서 웅크린 채 졸고 있었다.
메시지 정보: 「이 아이들만 있으면 충분해~ 응? 둥근 몸에 두 개의 귀가 날개처럼 펼쳐지고, 입으로는『헬로웅나』라고 말하는 디자인이 어떻게 나온 거냐고? 내가 상상하는 다른 세계선의『Bangboo』의 모습에서 따온 거야~」 ||
그녀는 낯선 사람과 교류하는 것을 매우 꺼리기에 처음부터 직접 홍보할 생각은없었다.
그녀의 작은 거점에서 잠시 손을 본 대량의 비행 가능한 소형 기계들은 비디오 가게의 전단지를 달고
뉴에리두의 구석구석으로 날아가 그녀를 대신해 임무를 초과 달성했다.
그녀 본인은...자신에게 주는 상으로 비디오 가게의 쇼파에서 웅크린 채 졸고 있었다.
메시지 정보: 「이 아이들만 있으면 충분해~ 응? 둥근 몸에 두 개의 귀가 날개처럼 펼쳐지고, 입으로는『헬로웅나』라고 말하는 디자인이 어떻게 나온 거냐고? 내가 상상하는 다른 세계선의『Bangboo』의 모습에서 따온 거야~」 ||
3.6. 라이브 배경화면
| 에이전트 신뢰 업적 이름 |
4. 운용
시드는 아군 조합에 또다른 강공 파티원이 있을 때 핵심 패시브 및 추가 능력 효과가 활성화되는 강공 에이전트이다. 거의 모든 상황에서 2강공 조합으로 운용된다.시드를 운용할 때는 크게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신경쓰는 것이 좋다.
버프 교환
시드와 함께 편성된 강공 파티원병기이 강화 특수 스킬을 시전할 경우 시드가 버프를 획득한다. 반대로 시드가 강화 특수 스킬 시전 시 병기가 버프를 획득한다. 두 버프가 교환되었을 때 추가 버프가 활성화된다.
순서와 무관하게, 각자 강화 특수 스킬을 한 번씩 사용해야 최대 버프를 받는 구조이다. 지속 시간이 40초로 길고 전장 진입 시에 한해 자동 활성화되므로 보통은 크게 의식하지 않아도 유지되지만, 중간에 기믹이 있는 스테이지라면 버프를 한 번 체크하는 것이 좋다.
강철 에너지 회복
시드의 핵심 공격 스킬인 낙화·붕괴를 시전하기 위해서는 고유 자원인 강철 에너지가 필요하다. 강철 에너지는 다음과 같은 수단으로 회복된다.
- 핵심 패시브: 병기가 조작 중일 때 자신의 에너지를 소모하면 에너지 1pt 당 강철 에너지 0.5pt 회복
- 핵심 패시브: 시드가 에너지를 소모하면 에너지 1pt 당 강철 에너지 0.5pt 회복
- 궁극기: 시드가 궁극기 시전 시 강철 에너지 60pt 회복
- 형상 시네마 01: 전장 진입/궁극기 시전 시 추가로 강철 에너지 40/20pt 획득
간단히 말해 강공 에이전트가 에너지를 소모하는 강화 특수 스킬을 사용하거나 시드의 궁극기를 사용하면 강철 에너지가 회복된다.
시드가 공격을 할 경우 병기의 에너지를 회복시켜 강화 특수 스킬을 쓸 수 있게 도와주므로, 이를 적극 활용하여 자원을 회복하고 소모하는 것을 반복해야 한다.
딜 압축 의식
시드는 빠른 교대퀵스왑 없이 운용할 경우 필드 점유 시간이 상당히 길어지게 된다. 2강공 조합에서는 두 명의 딜러가 함께 딜을 넣어야 하는 만큼 큰 단점이 될 수 있다.
강철 에너지를 소모하는 커맨드 낙화·붕괴는 시전 후 아군으로 교대해도 모션이 이어지므로, 이 구간에서 강공 에이전트로 교대하여 공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다른 파티원에게도 퀵스왑 가능한 스킬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조합이 끊임없이 에너지를 소모하는 것을 의식하면 더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로기 구간에서는 시드가 궁극기를 활용하여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콤보를 터뜨리는 방식의 이점이 크다. 시드 궁극기는 계수가 매우 높은 대신 모션도 그만큼 길기 때문이다.
그로기 게이지가 회색으로 변한 시점부터는 전체 스킬/디스크 버프를 의식하며 가장 강한 스킬부터 우선해서 넣는 것이 좋다.
낙화·도륙 활용
시드의 주요 딜링기인 낙화·붕괴평꾹 연계는 낙화·도륙평꾹 혹은 궁극기에서 이어지는 커맨드이다. 낙화 도륙을 발동시키는 가장 쉬운 방법은 일반 공격을 마지막 모션까지 연계하는 것이지만, 발동 시간이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강철 에너지가 충분하다는 전제 하에, 이 스킬 연계를 더 빠르게 발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 강철 에너지가 120pt[3] 도달 시 1회에 한해 일반 공격 홀드로 즉시 낙화·도륙 발동 가능
- 1회의 강화 특수 스킬으로 60pt의 에너지를 소모했을 때 자동으로 낙화·도륙 발동
- 회피 반격, 빠른 지원, 지원 돌격 모션 후 일반 공격 입력으로 낙화·도륙 발동 가능
- 궁극기 발동 후 일반 공격 입력 시 즉시 낙화·붕괴 발동 가능
강철 에너지가 충분한데도 일반 공격 홀드로 낙화 커맨드가 나오지 않는 경우는 대개 낙화·도륙 기회를 낭비해버린 경우[4]이다. 이 때 강화 특수 스킬이나 필살기를 사용하는 것은 자원 회복 낭비가 되므로, 평타 4~5타 이후 빔 공격, 극한 회피를 통한 빔 공격이나 교대 후 빠른 지원이나 극한 지원을 통해 시드가 다시 출전하여 연계하는 것이 좋다.
4.1. W-엔진
- S급
- 기계 심장에 내린 씨앗
시드의 전용 엔진. 대량의 치명타 확률 및 전기 속성 피해, 시드의 설계와 잘 맞는 방어력 무시 효과로 시드의 공격 성능을 올려준다. 여타 한정 강공 엔진 대비 10% 전후의 성능 향상을 보인다. - 심금을 울리는 야상곡
이블린의 전용 엔진. 치명타 속성을 골고루 올려주며, 상승량 자체도 높아 대체 엔진으로 효율이 좋다. 이외에도 0호 엔비, 휴고의 전용 엔진 등 치명타 위주의 엔진 효과를 가진 한정 강공 엔진들을 사용할 수 있다. - 유황석
상시 강공 엔진. 대량의 공격력을 올려준다. 업그레이드 단계가 높다면 상당한 효율을 발휘한다. 1단계 기준으로는 여타 S급 엔진 대비 성능 면에서 부족함을 느낄 수 있다. - 이외 S급 전용엔진 들
4.2. 디스크
| 권장 메인 속성 | ||
| <rowcolor=#fff> [4] | [5] | [6] |
| 치명타 확률 치명타 피해 | 공격력 백분율 관통률 전기 속성 피해 보너스 | 공격력 백분율 |
| 부속성 | ||
| 공격력 백분율 / 치명타 확률 / 치명타 피해 | ||
시드는 특별한 속성 목표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속성이 지나치게 한 쪽에 치중되거나 넘치지 않도록 균형만 신경써도 된다. 시드는 핵심 패시브와 추가 능력, 형상 시네마 효과를 통해 치명타 피해와 피해 증가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전용 엔진으로는 치명타 확률을 확보할 수 있다. 해당 버프들이 적용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세팅을 하는 것이 좋다.
치명타 확률 세팅 시, 전용 엔진을 사용 중이라면 엔진 효과가 추가로 제공하는 치명타 확률 버프는 전장에서만 적용되는 점을 고려해서 맞추는 것이 좋다. 1단계 엔진의 경우 15%를 추가로 제공하므로 마을에서 85% 이하로 맞추는 식이다.
4세트
- 여명의 꽃
일반 공격 피해를 대폭 증가시켜주는 디스크 세트. 시드의 고점 세트이다. - 딱따구리 일렉트로
여명의 꽃 4세트가 준비되지 않았다면 사용할 만한 디스크. 빌드업 조건이 좀 더 까다롭지만 준수한 효율을 발휘한다.
2세트
- 딱따구리 일렉트로
치명타 확률을 제공하는 디스크. - 나뭇가지 검의 노래
치명타 피해를 제공하는 디스크. - 복어 일렉트로
관통률을 올려주는 디스크 세트. - 고요 속의 별
공격력을 올려주는 디스크 세트.
4세트는 보통 여명의 꽃을 주로 사용하며 2세트는 시드에게 유용한 치명타, 관통률, 공격력, 전기 피해 등을 올려주는 디스크 세트를 선택하면 된다. 선호 조합의 버프/디버프 구성에 따라 효율이 바뀔 수 있다.
4.3. 추천 파티
시드는 핵심 패시브와 추가 능력 활성화에 다른 강공 에이전트를 요구하며,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2강공 조합을 구성하게 된다. 나머지 포지션에는 트리거, 아스트라가 들어갈 수 있고, S급 서포터가 부족하다면 니콜도 좋은 대안이다. 의현 서포터인 귤복복 경우 파티원 전원의 궁극기 데시벨 최대치를 늘려 데시벨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강공 에이전트에 궁극기 사용 시 데시벨 300pt 환급 효과까지 주기 때문에 궁극기를 더 자주 쓸 수 있게 된다. 청의와 다르게 온필드 시간이 짧은 데다가 대시 평-꾹으로 조작도 매우 간단하다.2강공 조합에서는 두 강공 에이전트가 모두 딜을 욱여넣어야 하는데, 시드가 퀵스왑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더라도 기본적으로 필드에서 조작되는 시간이 긴 편이다. 따라서 함께 편성할 강공 에이전트로는 필드 점유가 짧은 캐릭터를 쓰는 것이 좋다.[9]
일반 파티
[include(틀:젠존제 조합,
1번=시드,
2번=트리거,
3번=오피,
2번1=아스트라,
2번2=니콜,
2번3=귤복복,
방부랭크=S랭크,
방부이름=「머큐리」,
방부1랭크=S랭크,
방부1=플러그부,
)]
- 시드 + 트리거 + 오피
오볼로스 소대 파티. 상호 버프가 완벽하게 맞물리지는 않으나[10] 딜 사이클 측면에서의 궁합은 2.2 버전 기준 가장 완벽한 조합이다. 오피의 에너지 회복 속도가 워낙 빨라 강철 에너지 배터리로 활용하기에도 좋고, 오피의 빠른 지원을 통해 시드가 더욱 매끄럽게 낙화 공격을 연계할 수 있게 된다.[11] 버프 유지력이 떨어지는 것이 단점이므로 오피의 정조준 버프를 주요 딜 타임 직전에 활성화시키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
[include(틀:젠존제 조합,
1번=시드,
2번=트리거,
3번=0호·엔비,
2번1=아스트라,
2번2=니콜,
2번3=귤복복,
3번1=하루마사
)]
- 시드 + 트리거/아스트라 + 0호 엔비/하루마사
단일 전기 파티. 강공 에이전트로는 0호 엔비와 하루마사 등을 기용할 만하다. 0호 엔비가 일반적으로 더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서포터로 아스트라 등을 사용하는 경우 빠른 지원을 시드에게 넘겨줄 수 있도록 순서를 3번으로 조정해야 한다.
[include(틀:젠존제 조합,
1번=시드,
2번=이블린,
3번=아스트라,
3번1=트리거,
3번2=니콜,
방부이름=찰칵이,
방부랭크=S랭크
)]
- 시드 + 이블린 + 아스트라
이블린과의 조합. 위험한 강습전 등에 등장하는 보스들 중 전기 혹은 불 약점인 보스는 나머지 속성 저항을 가진 경우가 많아 상성을 탄다. 아스트라를 함께 사용할 경우 고성능 방부 중 하나인 찰칵이의 회복 버프도 활성화된다.
[include(틀:젠존제 조합,
1번=시드,
2번=주연,
3번=니콜,
3번1=아스트라
)]
무소과금 파티
[include(틀:젠존제 조합,
1번=시드,
2번=빌리,
3번=니콜,
방부랭크=S랭크,
방부이름=에밀리온
)]
[include(틀:젠존제 조합,
1번=시드,
2번=11호,
3번=니콜,
방부랭크=S랭크,
방부이름=「머큐리」,
2번1=네코마타
)]
- 시드 + 11호/네코마타 + 니콜
위의 파티보다 고점이 좀 더 높은 소과금용 파티. 11호, 네코마타 모두 상시캐릭터인지라 뽑기는 쉬우며 S급인지라 딜은 나쁘지 않게 잘 나오는편. 만약 11호가 1돌 이상인 경우 에너지 관리부분에서 많이 완화되어 시드의 버프관리가 용이해진다.
5. 평가
장점- 우수한 판정
전체 공격 사이클에서 무적 프레임이 매우 많고 모션 중 회피 캔슬도 비교적 자유로워 적의 공격에 방해받는 일 없이 공격을 이어나가기 쉽다. 교대 후 스킬을 사용하기 전까지가 취약한 구간인데, 달리 말하면 이 구간만 신경써서 회피를 해주면 공격 커맨드만 입력해도 피격당할 일이 거의 없다. 주력기의 공격 범위도 넓어 잡몹 구간을 잘 소화한다. - 강공 지원
시드는 기본적으로 강공 에이전트의 지원을 받아 강력해지는 메인 딜러 설계이지만, 자신도 아군 강공에게 유용한 버프를 뿌려주는 에이전트이기도 하다. 시드 조합에서는 성능에서 밀려 잘 쓰이지 않게 된 많은 강공 에이전트들을 다시 활용할 수 있다. - 높은 저점
상술한 장점들과 관련된 장점. 시드의 성능은 플레이어의 숙련도에 크게 좌우되는 부분이 비교적 적고, 일정한 점수를 뽑아내기 쉽다.[12]
단점
- 특이한 조합 구조
시드가 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파티 내에 다른 강공 에이전트가 필요하다. 강력한 딜러를 두 명 포함시켜야 하는 만큼 일반적인 조합에 비해 조합 구성 부담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시드가 모든 강공과 상성이 좋은 것은 아니며, 퀵스왑/오프필드형 딜러와 쓸 때 효율이 좋다는 점도 조합 면의 단점이다. - 긴 모션
낙화 공격 및 궁극기 모션이 상당히 긴 편이다. 이 때의 무적 판정은 장점이기도 하지만, 딜 타임 중 상당 부분을 시드가 소요하게 된다는 단점도 된다. 낙화 공격은 붕괴 모션이 시작될 때 빠른 교대를 통해서 딜 압축이 가능하지만, 궁극기 모션은 스왑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자동 콤보, 수동 콤보 사이의 편차가 매우 심한 편인 캐릭터 중 하나다.
시드는 2강공 조합을 성립시키는 핵심 패시브를 가진 새로운 유형의 강공 에이전트이다. 2격파 조합 콘셉트를 가지고 나온 휴고와 비슷한 면이 있다. 휴고가 결산 메커니즘으로 2격파 조합에 이점을 만든다면, 시드는 강공 에이전트와 버프를 주고받는 강공+지원 구성으로 2강공 조합을 가능하게 한다.[13]
어떤 조합이든 고득점을 노리다 보면 손이 바빠지게 되지만, 두 명의 딜러를 사용하는 시드 조합은 더욱 그런 측면이 있다. 그로기 구간 등 적이 무력화된 시점에 두 딜러가 모두 가장 강력한 콤보를 넣는 건 거의 불가능하므로, 효율을 위해 콤보 순서를 바꾸거나 일정 스킬을 생략하는 식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같은 버전에 출시된 오피 & 도깨비불과 함께 운용할 경우 딜 압축 면의 문제점이 대폭 개선된다. 오피는 화력 대부분이 여진 공격에 치중되어 있고, 필드 조작은 강화 특수 스킬과 필살기를 사용하고 빠른 지원을 발동시키고 퇴장하는 오프필드형 딜러로 시드의 구조와 잘 어울린다. 시드의 무적 프레임이 더 길어지고 연계가 매끄러워지는 장점도 있다. 콤보 체인을 잘 활용한다면 그로기 구간에 대부분의 공격 기술을 낭비 없이 쏟아낼 수 있다. 다만 시드에게 여진공격이 없기 때문에 오피가 주는 버프를 완전히 받아먹을수 없어 완벽한 조합은 아니다.
형상 시네마 01을 해금할 경우 자원 관리가 보다 용이해지면서 사용감이 개선된다. 명함 단계에서도 하자가 있는 수준은 아니나 신경써서 에너지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6. 작중 행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드(젠레스 존 제로)/작중 행적#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드(젠레스 존 제로)/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인간관계
- 빅 시드
시드(플로라)를 거둔 양아버지이자 파트너. 사실 시드라는 이름도 빅 시드가 자신의 이름을 준 것이다.
그러나 빅 시드는 시드를 살리기 위해 자율 경계 시스템을 강제 해체한 여파로 시한부가 되었기에 그녀가 자신 없이도 살아갈 수 있도록 어릴 때부터 자신의 기체 조종 방법을 가르쳤다. 빅시드가 숨을 거둔 현재 시드는 그가 계속 잠들어있는 줄로만 알며 하염없이 기다리고 있다.
- 파에톤
시즌 2 2장 스토리의 유즈하 구출 작전에서 처음 만났으며, 밝고 친근한 성격 덕분에 초면에도 나름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다. 한편으로는 시드는 파에톤의 정체를 무의식적으로 알아챈건지 '동류'라고 부르며 유독 가까운 거리감을 보여주는데, 시드 비화에 의하면 시드 역시 헬리오스 기관 소속이었음이 밝혀졌다.
- 오볼로스 소대
빅 시드가 시드(플로라)를 거두고난 후, 시드가 아주 어렸을 때부터 자신을 품어줬던 조직으로, 빅 시드와 함께 직/간접적으로 보호자 역할을 했다. - 11호
작중에서 시드를 처음 언급하는 인물이다. 시드에 대해 '그녀는 스마트 구조체'라고 언급해 시드가 여성이며 로봇임을 암시했다. 시드의 에이전트 비화에선 합류시기가 가장 늦어 시드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오볼로스 소대원들이 11호도 계획에서 배제한채 움직였지만 의외로 눈치가 빨랐던 11호는 빅시드의 상태를 대번에 캐치하고 몰래 빅시드의 휴대전화로 시드에게 문자를 보냈음이 밝혀진다. 무뚝뚝해보이지만 실버군 출신답게 소속집단에 대한 가족애가 강했던것이 나름의 반전. 사실 시드도 11호가 합류한 이후에 빅시드가 다시 문자를 보냈다며 내심 눈치챘었다고 한다. 이후 시드의 길거리 호감도 이벤트에서 자신이 봤던 햄버거먹는 소녀와 11호가 비슷한 냄새가 풍긴다는 말을 남겨 11호와 엔비와의 재회 가능성도 열렸다. - 트리거
같은 소대의 전우이자 선배. 생일 때 시드에게서 꽃을 선물 받은 바 있다. 추가로 신뢰 이벤트에서 트리거에게 영화를 추천 받고 트리거 기숙사에 놀러가기도 하는 등 소대원 중 가장 친한 듯하다.[14] - 오피
같은 소대의 전우이자 선배. 트리거와 달리 이쪽은 시드와 동행하는 비중이 높다. 주로 시드가 엉뚱한 기행을 저지르면 오피가 자주 휘말리는 포지션. - 도깨비불
대장이자 자신의 상관. 자유분방한 시드의 언행으로 인해 도깨비불 역시 시드를 혼내기도 한다.
- 베로니카
시드의 PV와 비화에 등장했으며, 빅 시드와 접점이 있는 군의관이다. 베로니카는 시드(플로라)를 처음 본 순간부터 "마음이 없는 아이"라고 평가했으며, 악의는 없으나 다른 사람의 고통이나 아픔에 공감을 하지 못하는 시드의 모습을 보고 모진 말을 마구 쏟아낼 정도로 매우 싫어했다. 시드 역시 자신에게 호의적이지 않은 베로니카에게 '선생님이 있으니까 풍경이 안 예뻐졌다'고 할 정도로 가시 돋친 말을 할 정도. 다만 베로니카나 시드나 '자신에게 소중했던 사람(스마트 구조체)이 죽었다'는 사실을 부정하고, 그들을 생명이 아닌 기계로 대해 살리려고 했다는 점에 있어 공통점이 있었던 상태였으며, 빅 시드 역시 이를 은연중에 알고 있었던 듯하다. 모든 사건이 해결된 이후에는 베로니카가 시드를 싫어하는 건 여전하지만 '어느 정도 내적 성장은 이뤘다'며 인정은 했다.
8. 일러스트
| |
| 전신 일러스트 |
8.1. 생일
| '''[[젠레스 존 제로| Zenless Zone Zero ]]'''젠레스 존 제로 캐릭터별 생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0px; min-height: 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월 |
| ## 구분선 [[청의#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파일:젠레스 존 제로-UI-귤복복.png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2월 |
| ## 구분선 [[제인 도(젠레스 존 제로)#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3월 |
| ## 구분선 [[카이사르 킹#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4월 |
| ## 구분선 [[세스 로웰#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5월 |
| ## 구분선 [[앤톤 이바노프#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6월 |
| ## 구분선 [[코린 위크스#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7월 |
| ## 구분선 [[아사바 하루마사#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8월 |
| ## 구분선 [[콜레다 벨로보그#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9월 |
| ## 구분선 [[주연(젠레스 존 제로)#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10월 |
| ## 구분선 [[본 리카온#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11월 |
| ## 구분선 [[우키나미 유즈하#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12월 |
| ## 구분선 [[의현#생일|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wiki style="width:75%; color: #000;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
| 생일 축하해, 「시드」 | @제목@ |
스토리 |
9. 대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드(젠레스 존 제로)/대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드(젠레스 존 제로)/대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여담
- 일본판에서는 1인칭이 남성 1인칭인 보쿠를 쓴다.
- 한국어판 더빙에서는 담당 병과인 포병에 걸맞게 포병 숫자를 쓴다.
- 유일하게 성우 공개 쇼츠에서 인게임 모션이 공개된 케이스이다. 같은 버전에 출시될 같은 오볼로스 소대의 오르페우스는 여타 성우 공개 쇼츠처럼 라이브 2D만 보여주어 시드가 특별 케이스인 것으로 보인다.
- 인간 형태에서 전투할 때는 광학미채로 위장한 투명화 포 2문을 조종하며 전투하다가,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빅시드에 탑승해 인간 상태와 로봇 상태를 전환하며 전투하는 메커니즘을 가졌다. 빅 시드의 경우 공격모션이 황금마신호와 유사한걸로 보아 빅시드의 무브셋을 2.0 버전 이벤트인 「스틸 소울: 골든 본드」로 테스트를 겸한 것으로 추정된다.
- 특이하게 신발을 신지 않고 맨발로 다니는 캐릭터다. 빅 시드 조종석의 조종간은 손 뿐만 아니라 발가락까지 써야하는 사양이다보니 신발을 신고 다니면 빅 시드를 탈때마다 신발을 신고 벗어야되니 아예 신발을 신지 않는 것. 덕분에 발이 더러워지지 않게 평소엔 킥보드에 타고 다닌다. 판타지 리조트 신뢰도에선 모래 사장의 느낌이 좋다는 파에톤의 권유에도 모래를 밟으면 나중에 빅시드에 탈 때 모래 때문에 빅시드 조종석이 지저분해진다고 사양한다.
- 평소에 타고 다니는 킥보드는 구형 바퀴 하나만 달려 있어서 방향전환이 자유롭고 추진체가 달려 있어 킥보드를 탄 채로 계단까지 오르내릴 수 있다. 항상 킥보드를 타는 건 아니고 가끔 내려서 킥보드에 몸을 기대고 있다거나 에이전트 비화 최후반에는 킥보드에서 내려 도보로 이동하는 파트도 나온다.
- 저마다의 매력 포인트를 중점적으로 어필하는 젠레스 존 제로의 여성 플레이어블 캐릭터답게 시드는 맨발을 특히 강조해 발 페티시를 집중적으로 노리는 모습이 자주 나온다. 이미 그레이스가 발을 매력 포인트로 먼저 쓰고 있긴 했으나 컷씬이나 PV 등에서 중간중간 신발을 벗은 모습을 비추면서 잠깐씩 드러내는 편이었던 것과는 다르게 시드는 대놓고 맨발을 드러내는 디자인에 각종 공개 콘텐츠는 몰론 인게임의 움직임 하나하나에도 발이 강조되는 부분들이 월등히 많아 그레이스보다 더욱 노골적인 편이다.
그레이스는 다른 신체부위로 어필 아닌 어필을 하긴 한다
- 미야비와 비슷하게 시드 역시 알아듣기 힘든 독특한 비유를 쓰기도 하며, 상당한 4차원 성격으로 묘사된다. 감자칩, 케이크 등 각종 간식에서부터 스패너, 엔진 오일, 유채꽃 등 다양한 물체를 빗대기도 하며, 대사 중간마다 Bangboo 언어를 섞어 사용하기도 한다.
- 앨리스의 신뢰도 이벤트에서도 시드가 간접적으로 등장했는데, 앨리스가 심야 시간에 유즈하로부터 받은 귀신의 전화번호로 걸자 정작 그 전화를 받은 사람은 시드였으며, 앨리스가 놀라면서 귀신이냐고 묻자 '귀신? 그거도 에테리얼이야? 주스처럼 갈아마셔 줄까~?'며 대수롭지 않게 반응했다.
- 꽃을 먹는 기묘한 버릇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출시된 같은 소대원 트리거의 동행 이벤트에서 이런 기행을 벌인다는 것이 이미 언급됐다.[15] PV나 2.2 버전 특별 방송에서도 꽃을 먹으려 하자 도깨비불이 "몇번씩이나 꽃을 먹지 말라고 해야 하냐"고 혼을 내는 장면이 나온다. 사실 이는 어릴 때부터 가진 버릇으로 빅 시드도 시드가 새싹을 먹으려는 걸 보고 제지하며 말렸다.
- 꽃을 먹는 버릇과는 별개로 꽃을 아끼는 면도 있다. 판매 불가 영상에서 에테리얼이 꽃을 밟으려고 하자 알아듣게 해 준다면서 빅 시드를 불러 꽃을 밟으려던 에테리얼을 넝마(...)로 만들어 버리는 장면이 있다.[16]
- 단편 애니메이션 「러브, 데스+구조체」에서 밝혀진 것에 따르면 시드는 어린 나이에 구조될 당시 진단결과 무슨 일이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마음이 없다고 한다". 생명에 대한 인식에 심각한 결함이 있다고. 기묘하고 별난 면들도 이것 때문일 가능성이 높으며 현재는 빅시드의 보살핌과 교육으로 많이 좋아진 듯 하다.
- 어릴 때 공동 안에서 구조될 당시 어린아이인 시드가 보름이나 갇혀있었는데 아무런 이상도 상해도 없었다는 점,[17][18] 위에 언급한대로 마음이 없다거나 생명에 대한 인식에 결함이 있다거나, 빅 시드가 처음 시드를 마주했을 때 고위험개체라는 경고가 뜬 점 등 여러모로 떡밥을 가지고 있다.
- 여러모로 관련 영상에 패러디가 많다.
- 캐릭터 신뢰도 이벤트 대사중에 건담 시드관련 패러디가 있다, 선택지중에 '그렇게나 함께였는데' 가 있다던가, 시드가 바다를 향하면서 부르는 노래 가사는 '너의 모습은 나와 닮아있어' 라던가..
- 버니스 못지않는 정신세계를 가진 맑눈광이다. 작중에서 허구헌날 시장 사무실을 습격할 계획을 세우거나 오볼로스 소대 대원들과 휴가를 나왔을때 제일 가고싶은곳이 시장 사무실이라고 말하고 시장 사무실 습격 계획의 파에톤을 끌어들이고서 꽃을 뇌물로 선물하고 꽃을 받았으니 공범이라고 말하고 생각하는게 정상인의 범주를 넘은 특이한 정신세계인데다 오볼로스 소대로 온 방부에게 숯덩이라는 괴상한 이름을 지어주는 등의 기행을 아무렇지 않고 순수하게 한다.
- 에이전트 비화 스포일러 ▼
- * 에이전트 비화에서 시드(플로라) 또한 파에톤처럼 헬리오스 기관 출신임이 밝혀졌다. 캐릭터 소개 등의 대사에서 파에톤을 동류라 칭한 것도 이 때문. 정황상 처음 시드(플로라)를 마주한 빅 시드에게 고위험개체라는 경고가 뜬 이유도 이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커졌다.
- 거기에 생명에 대한 인식에 심각한 결함이 있을 뿐 아니라, 정말로 죽음을 인식할 경우 제어 불가능한 의문의 능력이 플로라에게서 발동되어 주변의 기계들을 폭주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빅 시드가 플로라에게 자신의 죽음을 숨기고 알리지 않았던 것도, 이를 주변인들의 협조까지 구했던 것 역시 플로라의 제어 불가능한 이 의문의 능력이 주변에 끼칠 피해를 우려했기 때문이었다.
- 엘렌 조, 호시미 미야비처럼 팬메이드 캐릭터송이 있다. #
10.1. 빅 시드
| 빅 시드 Seed Sr. |
| |
- 군에서 양산된 전투용 스마트 구조체 중 한 체로, 사실상 시드의 전력이나 다름없는 존재이다.
- 「시드」 애니메이션 단편 「러브, 데스+구조체」에서 밝혀지길 빅 시드가 플로라를 구하기 위해 자신의 자율 경계 시스템을 강제 해체한 반동으로 로직 코어가 심각하게 손상되어 사실상 불치병에 걸린 시한부나 다름없다고 한다. 이 때문에 수시로 잠들듯 전원이 꺼지는 상태가 점점 많아졌으나 시드는 아직 빅 시드의 시한부 운명을 모르고 있다. 그리고 작중 스토리에선 진작에 로직 코어의 수명이 다해 자아가 완전히 소멸한 상태다.[19][20] 이는 Fairy가 작성하는 에이전트 파일 내용에서도 재확인 된다.
- 플로라가 빅 시드의 원래 이름인 시드를 자신의 이름을 삼게 된 이유도 빅 시드가 페허에서 플로라를 거두어 양녀처럼 돌보고 시한부인 자신의 기체를 조종하는 법을 가르치면서 설령 자신이 없더라도 그녀가 혼자서도 살아갈 수 있드록 시드 2세로 키운 것이다.
- 빅 시드의 신장은 240cm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궁 사용 시 묘사되는 빅 시드의 몸체 안은 표기상 152cm인 플로라가 들어가고도 여유공간이 꽤 넓다. 때문에 빅 시드의 실제 크기는 240cm보다 더 커야 하는게 아니냐는 의견이 있다.[21]
11.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222,#000><colcolor=#fff> 스토리 | |
| 콘텐츠 | ||
| 시스템 | ||
| 아이템 | ||
| 미디어 믹스 | ||
| 기타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1] 빅 시드는 스마트 구조체이기에 사실상 무성이지만 남성 취급이다.[2] 비협회(비공채) 성우.[3] 형상 시네마 01 활성화 시 100pt로 감소[4] 대부분 평꾹 이후 적 공격에 당황해서 회피로 캔슬해버리는 경우가 많다.[5] 치명타 피해만 올린다. 일반공격 및 특수강화 스킬, 여진 공격시 각각 추라 치명타 피해 증가 버프를 받고 3버프 중첩시 전기피해가 증가하나 시드는 여진공격을 못해 2버프밖에 못받아 먹는다.[6] 치명타 확률 20%, 치명타 피해48%[7] 치명타 확률 24%, 치명타 피해 45%[8] 치명타 확률 15%, 치명타 피해 48%[9] 같은 오블로스 소대인 11호의 경우 강공 에이전트이긴 하지만 상시 S급의 한계 및 커다란 에너지 요구량으로 인해 같이 편성하기엔 무리가 있으나 11호의 에너지를 빠르게 채워주는 형상 시네마 1이 돌파된 경우 주 딜링은 시드에게 맡기고 11호는 에너지만 빠르게 털어내며 강철 에너지를 수급하는 운용 방식으로써의 채용을 고려해볼만하다. 극단적인 케이스로 11호의 딜링을 아예 포기하고 고요 4세트를 중심으로 한 방어적 세팅 후 일부러 피격 당하며 고요 디스크 버프를 발동하는 운용 방식도 있다(...)[10] 오피 → 시드: 시드는 여진 공격 판정이 없어 정조준 버프 연장을 할 수 없고, 방어 무시 효과도 얻을 수 없음. / 시드 → 오피: 오피가 오프필드에서 에너지를 소모해도 시드의 강철 에너지를 채워줄 수 없음.[11] 오피가 없을 시절에는 시드,트리거,0호 엔비 조합을 사용했는데 이때 유저들이 제일 힘들어했던게 시드 특유의 낙화 붕괴 이후 잔류하는 시간이 길어서 교대를 할 때마다 자꾸 트리거가 튀어나와 템포가 끊어진다는 문제였다.[12] 시드는 주로 콤보 체인 구간에서의 스킬 연계, 빌드업 구간에서의 데시벨 관리가 차이를 만드는데, 이런 기술을 전혀 활용하지 않아도 점수가 크게 떨어지지는 않는다.[13] 다만 시드가 2가지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 덱 압축 효과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압축 요인이 있지만 두 번째 강공을 요구하는 특성 때문에 조합 자유도가 높은 편은 아니다.[14] 비화에서 나오듯 트리거의 상냥한 성격이 빅시드와 닮았기 때문에 시드가 더 좋아하는것으로 보인다. 또한 트리거는 육아에 능숙하고 어린아이를 좋아하는 묘사가 있던만큼 시드가 어릴때부터 잘 챙겨줘왔을 것으로 보이기에 제일로 친할만도 하다.[15] 트리거와 루미나 광장에서 동행 중 꽃집 앞을 지나갈 때, 꽃을 좀 사서 숙소를 꾸미고 싶지만 시드가 먹으려 할테니 그러지 말아야겠다고 언급한다.[16] 이는 빅 시드의 영향으로 보인다. 빅 시드는 집에 꽃을 여러개를 키우고 시드를 꽃에 비유하기도 하는 등 꽃 키우는게 취미인 걸로 보이며 또 좋아하기도 한 걸로 보이는데 이에 크게 영향을 받은 걸로 보인다.[17] 겉보기에도 옷차림이 엉망인 것 빼면 아무런 상처도 없었다.[18] 특히 작중에서 일반인이라면 공동에 오래 있으면 에테르에 침식되어 에테리얼로 변할 위험이 있기에 이를 막기 위해 침식 억제제 등을 사용하는데, 시드는 전혀 침식 증상이 없었다고 한다. 본편에서도 레드팽 갱단의 실버나 트라이엄프의 폼페이처럼 침식에 저항하지 못하고 에테리얼로 변이한 사례들이 자주 묘사되었다. 아주 어린 여아가 보름이 넘게 생체기 하나도 없이 공동에서 버텼다는건 보통의 인간으로서는 불가능한 일이다.[19] 애니메이션을 보면 시드가 어엿한 성인이 되는 것도 못 보고 운명을 다 한 것으로 보인다.[20] 시드의 에이전트 비화에서 베로니카가 진실을 폭로하기 전까지 플로라는 도깨비불에 의해 지금까지 빅 시드가 잠들어 있는 이유가 장기간 임무 때문에 의식만 다른 곳으로 멀리 떠난 것이라 믿고 있었다.[21] 한편 표기상 키가 151cm인 루시는 모델링으로는 하이힐을 신고도 맨발 시드보다 눈에 띄게 키가 작아서 신발 신고 키를 잰 것 아니냐는 추측도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