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02:37:46

스트라디바리우스

Stradivarius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이 악기에서 이름을 따온 영국의 경주마에 대한 내용은 스트라디바리우스(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핀란드의 록밴드에 대한 내용은 스트라토바리우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이 악기에서 이름을 따온 영국의 경주마:
스트라디바리우스(말)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핀란드의 록밴드:
스트라토바리우스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스트라디바리우스.jpg
1700년경에 제작된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 스트라디바리우스 팔라티노스(Stradivarius Palatinos)라 불리는 5개의 스트라디바리우스 현악기 세트[1] 중 하나로, 현재 스페인 마드리드 왕궁에서 보관중이다.

1. 개요2. 상세
2.1. 가격
3. 유명한 스트라디바리우스들4. 블라인드 테스트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스트리디바리우스(Stradivarius) 이탈리아의 스트라디바리 가문에서 만든 현악기를 지칭하지만, 대체로 스트라디바리우스라고 하면 명장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Antonio Stradivari)가 만든 현악기를 지칭한다. 그는 1644년이탈리아크레모나에서 태어나 90살 이상으로 장수했다고 한다. Stradivarius는 Stradivari의 라틴어식 이름이다.

과르네리, 아마티 혹은 과다니니와 함께 바이올린계의 3대 명기라고도 불린다. 21세기 현재 현존하는 스트라디바리우스는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를 합쳐서 대략 800개라고 한다.

2. 상세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만의 독특한 목재 처리와 디자인으로 인해 복제가 거의 불가능한 특유의 소리를 낸다. BBC의 다큐에서 스트라디바리우스의 소리에 대해 다뤘었는데 바이올린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여타 바이올린들과는 구조가 조금 달랐다고 한다. 상판에 나있는 F홀은 대부분의 바이올린에서 대칭이지만,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에서는 대칭이 약간 어긋났었다고 한다. 시각적 완벽함을 버리고 오직 청각적인 완벽함을 추구한 장인정신과 그 연구 결과라고 보여진다.[2] 또한 악기 위에 칠해진 완벽한 비율의 바니쉬가 스트라디바리우스를 특별하게 하는 이유중 하나라고 한다.

또한 스트라디바리우스가 제작될 당시, 그 시절 유럽소(小)빙하기라고 말하는 기간이었다고 한다. 이 기간은 1645년에서 1750년까지 지속되었고, 당시 유럽은 여타 세기때보다 추웠다고 한다. 거기다가 북크로아티아단풍나무를 썼던 것도 큰 요인. 북크로아티아의 목재는 추운 겨울로 인해 상당히 밀도가 높았는데, 이 소빙하기 동안의 크로아티아는 더 추웠고, 그때문에 더더욱 밀도가 높았다는 것이다.[3] 이 이론은 상당히 신빙성 있으며[4], 현존하는 유명한 관현악기들이 대부분 1700년대에 제작되었고, 대부분 크로아티아산 단풍나무를 썼다는 점이 많이 겹치기 때문이다. 또한 스트라디바리우스만의 독특한 목재 방부제도 한 역할을 했다고 한다. 분석 결과, 붕사, 크롬 그리고 염철(Iron Salt)로 처리된것 같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 엄청난 테크닉 때문에 "악마에게 영혼을 팔아넘긴 바이올리니스트"로 유명한 니콜로 파가니니가 연주회에서 엄청난 연주를 들려주다가 갑자기 바이올린을 부숴버리는 일이 있었다. 파가니니가 외형이 똑같은 “가짜” 스트라디바리우스를 들고 무대에 올라와 연주를 하였는데, 연주가 끝난 뒤 예전과 같이 우레와 같은 박수가 터져 나왔다. 그 순간 그는 바이올린을 내팽개쳐 밟아 부숴버렸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이는 “가짜” 바이올린으로 훌륭하게 연주를 한 파가니니의 연주 실력도 대단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중들의 환호는 역설적으로 명기 스트라디바리우스의 위력을 보여주는 한 예이기도 하다.

대한민국의 바이올리니스트인 정경화도 이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을 가지고 있다가, 과르네리 바이올린을 사기 위해 팔아버렸다고 한다.[5] 샀던 당시 4만 달러(약 4,800만 원)에 사서 25만 달러(약 3억 원)에 팔았다고 한다. 그리고 그 언니인 정명화는 스트라디바리우스 첼로를 하나 소유하고 있다.

1987년 9월 24일에는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의 사망 250주년을 기념해 그의 탄생지 크레모나에서 안토니오 비발디의 '사계' 를 비롯한 협주곡들을 연주하는 특별 음악회가 열렸는데,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바이올리니스트 살바토레 아카르도가 이 솔리스티 나폴리라는 소규모 현악 합주단을 대동하고 출연했다.여기까지만 들으면 단순한 추모 음악회였겠구나 싶겠지만, 독주자인 아카르도를 비롯해 바이올린과 비올라, 첼로를 연주한 출연진 전원[6]이 스트라디바리우스로만 연주한 사상 초유의 충공깽 음악회였다. 콘트라베이스하프시코드는 스트라디바리가 만들지 않았으므로 제외한다. 원체 명기들이 많이 모인 까닭에 공연장 주변에는 실탄을 장전한 총을 소지한 경찰들이 쫙 깔렸고, 안에서도 리허설과 공연 내내 무대 감독을 비롯한 모든 스탭진들과 사복경찰들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철통 경계를 하고 있었다. '사계' 연주 때 아카르도는 곡마다 다른 악기로 연주했는데, 봄에서는 일 크레모네세(Il Cremonese. 1715년 제작), 여름에서는 엑스 라이니에(Ex-Raynier. 1727년 제작), 가을에서는 파이어버드(Firebird. 1718년 제작), 그리고 겨울에서는 하르트(Hart. 1727년 제작)가 사용되었다. 워낙 역사적인 연주회라 RAI(이탈리아 국영 방송)에서 전국에 실황으로 중계했고, 클래식 메이저 레이블인 필립스에서 녹음한 라이브 앨범도 CD로 발매되기도 했다.

물론 스트라디바리우스를 비롯한 삼신기는 분명 대단한 품질의 악기인 것만은 분명하다. 그러나 음악은 절대적인 기준을 갖추고 공정히 경쟁해나가는 스포츠가 아니기 때문에, 싸구려 제품이 아닌 이상 품질의 우열을 나누기가 쉬운 것만은 아닌 듯하다. 그렇다면 다양한 음색들 중에서 사람들에게 이미 친숙하고 연주의 규준(canon)으로 자리잡은 음색을 내는 악기가 명기로 평가받을 수밖에 없는 부분이 있다. 다른 예술 분야도 마찬가지이지만, 이미 어떤 연주가 제대로 된 연주라는 것을 선인지한 상태에서의 감상과 백지 상태의 사람의 감상은 다를 수밖에 없다.[7] 나아가서 감상자들이 설령 귀로 듣는 감흥 자체가 어떤 악기가 다른 악기에 비해 떨어진다고 느껴질지라도, 그 악기가 명성이 높을 뿐더러 그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명성이 높은 연주자라면...

2.1. 가격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의 황금기라고 일컬어지던 1700년대 ~ 1720년대 작품의 가치는 최소 몇백만 달러는 우습게 나가며, 상태와 소리에 따라서 가격이 달라진다. 하지만 희소성 때문에 팔리는 일은 거의 없으며, 주로 세습되거나 양도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2011년에 경매가 진행되었던 스트라디바리우스는 레이디 블런트(Lady Blunt)라는 이름의 바이올린으로, 바이올린 사상 최고가인 1,590만 달러(약 190억 원)에 낙찰되었다. 이 경매에서 팔린 바이올린은 수십 대의 스트라디바리우스를 소유하고 있는 일본음악재단이 동일본 대지진 구호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내놓은 것이다.

이전에 경매되었던 스트라디바리우스는 더 해머(The Hammer)라고 불리는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으로, 악기의 이름은 스웨덴 악기 콜렉터 크리스티안 해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울림통 안에 Antonius Stradivarius Cremonensis/Faciebat Anno 1707라고 적혀 있는데 이 내용이 맞다면 1707년의 작품이니 그야말로 스트라디바리우스의 황금기에 제작된 악기인 셈. 이 더 해머 스트라디바리우스는 2006년 5월 16일 영국 경매장 크리스티에서 무기명의 입찰자에게 낙찰되었는데, 자그마치 354만 달러(약 43억 원)에 낙찰되었다. 더 놀라운 것은 해당 입찰가가 제시되어 경매가 종료되기까지 5분도 걸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3. 유명한 스트라디바리우스들

위키피디아해당 문서에서 현재까지 소재가 파악된 모든 스트라디바리우스 악기들의 명단을 볼 수 있다.

3.1. 바이올린

3.2. 비올라

3.3. 첼로

3.4. 그 외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가 만든 바로크 기타도 있다. 현재 완전한 형태를 유지한 악기는 5개가 남아 있는데, 파편이나 부품 일부만 남은 악기들까지 따지면 생각보다 많으며, 파리국립고등음악무용원 또한 넥 부분만 남은 스트라디바리우스 바로크 기타를 하나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저 다섯 대 중에도 연주까지 가능한 것은 단 한 대밖에 남지 않았다.

바로크 기타 외에도 만돌린, 하프 등이 남아있다.

4. 블라인드 테스트

결론적으로 수 차례 블라인드 테스트를 거쳐 현대 바이올린이 더 낫다는 결과를 얻었다.

1977년도에 스트라디바리우스의 소리가 정말로 특이한지 의문이 제기되어, BBC3 라디오에서 실험을 했었다. 그 때 바이올리니스트 중에서도 수준급 연주자인 아이작 스턴(Isaac Stern)과 핀차스 저커만(Pinchas Zukerman), 바이올린 전문가이자 딜러인 찰스 베어(Charles Beare) 를 초청했다. 실험에 쓰인 바이올린은 4개로, "샤콘느 (Chaconne)" 스트라디바리우스, 과르네리 델 제수(Guarneri del Gesú)의 1739년 바이올린, 1846년제 비욤(Vuillaume)의 바이올린, 그리고 1976년에 만들어진 영국제 바이올린을 썼었고, 프로 솔로 바이올리니스트를 고용해 앞의 세 사람을 스크린 뒤에 두고 소리만으로 감별하게 했었다. 두 바이올리니스트는 사전에 바이올린을 켜볼 기회가 주어졌었다.

그런데 실험을 실행한 후 결과는 의외였다. 셋 중 누구도 이 4개의 바이올린 중 2개 이상 맞출 수 없었으며, 그중 한 명은 1976년에 만들어진 영국제 바이올린을 스트라디바리우스라고 말했다(찰스 베어로 추정).

2012년도에도 굴욕을 당했다. 스트라디바리우스의 ‘굴욕’ 2012-01-03 기사 내용에 따르면 음색은 현대에 생산되는 저가형 바이올린과 차이가 없거나 못하다고. 다만 기사를 잘 보면 값싼, 100분의 1밖에 안 되는이라고 표현해서 그렇지 비교대상이 수십 억을 호가하는 스트라디바리우스나 과르넬리라면 저 바이올린들도 대당 수천만 원 정도는 되는 물건이라는 의미다. 물론 프로 연주자들 사이에서 몇천만원대 악기라 하면 최상등품 취급을 받지 못하는 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일반인도 스스럼없이 살 수 있을 정도는 전혀 아니라는 소리.[11]

그래서 소위 말하는 '명품악기'에 대한 과학적 검증이 필요하다는 점은 계속해서 지적되고 있으며, 역시 반대급부로 '현대 장인들이 만든 악기의 우수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名器 ‘스트라디바리우스’ 의 굴욕…전문 연주자 조차 ‘최신 바이올린’ 더 선호 2014-04-09 2014년에 프랑스의 마리 퀴리 대학에서도 비슷한 실험을 했다. 이번에도 스트라디바리우스보다 현대 기술로 만들어진 고가의 신형 바이올린의 손을 들어준 연주자들이 많았다. 21명중 13명은 최신 바이올린이 더 좋다고 선택했다.

결국 수십년간에 걸친 여러 방법으로의 검증으로 현대의 최신 기술을 총 동원해서 좋은 재질과 좋은 기술로 만들어 낸 수천만원대 악기는 이런 수십억 원대의 '명품악기'보다 소리 자체는 더 뛰어나다고 보는 게 합리적이다.

더 이상 현대 악기보다 월등하게 이렇다할 장점이 없는 스트라디바리우스가 가격이 더 비싼 건 단순히 이름값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물건들은 그 역사적 의미나 사회통념적 인식, 희소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사고자 하는 사람과 팔고자 하는 사람들에 의해 값어치가 매겨지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들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현대에 들어와서 스트라디바리우스는 현역으로 사용할 만한 명품악기라기 보단, 음악계의 한 역사를 상징하는 유물이라고 할 수 있다.

5. 여담

6. 관련 문서


[1] 바이올린 한 대, 비올라 두 대, 첼로 두 대로 이루어져 있다. 첼로 한 대를 제외한 나머지 4개가 화려하게 장식돼있는 것이 특징이다.[2] 개중에는 징을 박은 희한한 물건도 있다. 별의별 형태의 바이올린을 다 시도해 보는게 쉬운 일이 아니다.[3] 나무들은 기온이 낮으면 생장이 더뎌져 나이테 간격이 좁아진다. 따라서 줄기 조직이 치밀해져 목재의 강도 또한 높아지는 것.[4] 목재 현악기들은 현의 장력으로 인해 손상되기 쉽다. 바이올린이나 극히 드물게 앞판을 통판으로 만들고, 비올라만 돼도 뒷판도 통판으로 만들기 매우 어려워지는 것을 보면, 그만큼 목재의 강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참고로 첼로부터는 뒷판도 무조건 나무 2개를 이어붙여서 제작한다. 안 그러면 장력을 견디지 못해서 악기가 파손된다.[5] 참고로 현재 정경화의 과르네리는 두 개이다.[6] 총 44점의 스트라디바리우스가 나왔다고 한다.[7] 전자는 선입견이 문제가 되고, 후자는 최소한의 지식이 없어서 생기는 심미안의 부족이 문제가 된다. 피카소의 그림을 누가 그린건지 모르고 볼 때랑 알 때의 차이를 생각해 보자.[8] 만들어졌을 당시의 넥이 지금까지 교체되지 않고 붙어있는 상태이다.[9] 이미 로만 토텐버그는 악기 발견 3년 전인 2012년에 사망하였기에 생전에 다시는 악기를 만질 수가 없다.[10] 위 영상에서 연주하는 모습과 소리를 들어볼 수 있다.[11] 연주자들은 악기가 생계수단이기에 악기들의 가격은 최소 오토바이에서 보통 차, 심하면 집을 살 수준에 이르기도 한다. 비리라고 몇백만원짜리 악기며 활을 해먹었다는 사건이 터져도 이 계통을 잘 아는 사람들은 그냥 연습용 악기 가지고 뭐라 하는 건 좀 그렇지 않아?하는 반응을 보이는 경우도 은근 적지 않은데, 이건 진짜로 그 가격의 악기라면 프로들 사이에선 연습용 취급을 받기 때문이다. 악기 공방에 가보면 중급 악기 라인에서 팔리고는 있으나 아무리 봐도 고급진 외형을 하고 있는 악기들이 있는데 이런 게 죄다 장인이 값비싼 재료를 썼으나 잘 안 된 흔적들이다. 그렇다고 그런 물건에 재료값을 다 붙여 팔면 아예 팔리질 않을테니 재료값도 회수하지 못한 채 소리에 맞는 가격으로 팔 수밖에 없고, 장인도 먹고 살기 위해 이 손해를 극소수 성공작으로 메꾸어야 하다보니 좋은 악기는 가격이 밑도끝도 없이 치솟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