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08:55:19

스타워즈: 갤럭시 오브 히어로즈/등장 캐릭터/라이트 사이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88
, 2.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8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타워즈: 갤럭시 오브 히어로즈/등장 캐릭터
1. 개요

1. 개요

====# 제다이 #====
명실상부 스타워즈의 아이콘인 집단. 기본적으로 캐릭터 구성이 다양하며, 특히 치유 면에서 뛰어난 면모를 보인다. 또 특정 집단/종족을 상대할 때 보너스를 받는 캐릭터가 제법 있는데, 제다이를 상대할 때 보너스를 받는 캐릭터가 가장 많은, 동네북이기도 하다. 각종 미션에서 등장하는 비 플레이어블 제다이 캐릭터들도 제다이 동맹으로 취급된다.

스타워즈의 아이콘이고 설정상 가장 강력한 무력집단이지만 한때는 동네북, 쩌리, 비리공무원 등으로 취급받았다. 이유는 원작에서 등장하는 엑스트라나 조연급 캐릭터까지 빠짐없이 구현했을 정도로 구성이 다양하면서도, 오래도록 리워크를 받지 못해 구 메타적인 성능의 캐릭터가 많았기 때문. 그렇다고 해서 당시에 강했느냐면 그것도 아니다. 원작에서 최강급 제다이였던 윈두의 한심함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고, 심지어 요다조차 윈두와 함께 약체 캐릭터로 꼽힌 흑역사가 있을 정도다.

다만 2020년 이후 좋은 제다이 캐릭터들이 다수 등장했고 여기에 은하 전설 캐릭터 중 무려 둘이 제다이 소속 캐릭터로 출시되면서 현재는 최상위권 기준으로는 가장 강력한 팩션이라고 평가받는다. 다만 하위권이나 올드 캐릭터들은 여전히 답이 없다(...).
적이 회피하면 공격한 동료는 2턴 동안 우위 상태가 된다. ||
고유 정의로운 분노 다른 동료의 체력이 50% 이하로 떨어지거나 쓰러질 때마다 아나킨은 보너스 턴을 획득하고, 전투 시작 시 모든 동료가 은하 공화국인 경우, 다음 공격이 100%의 추가 피해를 준다. 파드메 아미달라가 동료인 경우, 아나킨의 보너스 턴이 끝날 때마다 파드메는 보너스 턴을 획득한다.

라이트 사이드 중 드물게도 치유 면역을 부여하는 캐릭터. 시디어스도 치유 면역을 부여한다.타락의 징조 버프 면역이 있기 때문에, 스톰트루퍼 한, 황실 경비대 등의 도발을 막는데 도움이 된다. 아소카 타노의 경우 제다이 기사 아나킨과 함께 있을 때 치명타 면역 상태 효과를 얻지만, 제다이 기사 아나킨은 아소카 타노와 함께 있어도 아무런 이득을 얻지 못한다.

제다이 캐릭중 뛰어난 성능을 가진 캐릭터로 널리 쓰인다. 특히 은하 공화국 덱에서는 그랜드마스터 요다 이상의 폭딜러로 손꼽힌다. 동일인물이라 할 수 있는 스카이워커 장군 이벤트에서도 1티어 함대전에 필요하기 때문에 최소 유물은 주어야 하고, 어차피 파드메 덱을 굴리다보면 아나킨 유물은 당연히 주게 될것이다.

아나킨의 가장 큰 장점은 동맹의 체력이 50% 이하로 떨어질 때와 전투불능이 될 때 턴미터 100%을 받고 공격력 증가 버프를 받는다는 점이다. 동맹이 끔살당하지 않는 경우, 즉 한 동료당 최소 1번의 공격 기회를 공격력 버프된 상태로 가질 수 있다. 물론 아나킨 자체도 속도가 빠르면 상당히 유리하지만, 이런 특징을 이용해서 모드 세팅으로 치명타 피해를 극대화 해놓으면 많은 빈도로 엄청난 데미지를 넣을 수 있게 된다. 광역 공격을 아껴두었다가 우리편이 쓰러졌을 때 때려주면, 상대방 2~3명이 한꺼번에 소멸되는 경우도 있다. 마더 탈진의 등장과 함께 무한한 부활 회수를 자랑하게 된 나이트시스터 팀에서 끼워넣으면 이 효과를 매우 자주 볼 수 있다. 다만 둘간의 시너지는 이것을 제외하면 전무하기에 이런 덱을 짜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패치로 뭔가 짜증나보이는 얼굴에서 우리가 아는 아나킨의 모습이 되었다.
====# 반란군 [24] #====
Wiggs 콤비, Chaze 콤비라는 강력한 조합들이 존재하며, 탱크 레이드 4번째 페이즈의 여왕인 레아 공주, 레이드 보스를 상대로 한 턴 미터 제거 전문가 중 하나인 진 어소 등 훌륭한 캐릭터들이 소속되어있다. 원래부터 강력한 진영이었지만, 로그 원, 스타워즈 반란군 소속 캐릭터가 추가되고, 영웅의 여정 이벤트 관련해서 캐릭터 강화가 실행되는 등, 여러모로 버프를 많이 받아왔기 때문에, 어떤 캐릭터를 키워야할지 모르겠으면 반란군을 키우라는 사람도 있을 정도로 강력한 진영이 되었다. 그 정점이 2017년 8월부터 대세를 점한 지휘관 루크 스카이워커.

하지만 2020년 시점에서는 이미 이것도 옛말로, 위에 언급된 루크 스카이워커를 포함한 '루츄한' 덱이 아니면 딱히 메타에서 써먹을 덱이 없다. 그 루츄한 덱도 이미 한물간 2진급 캐릭터로 취급받는 상황이라, 현재는 이들을 우선적으로 키울 이유는 없다.

다른 진영들에 비해서 압도적으로 많은 유닛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만큼 리더 스킬로 인한 이득도 꽤 광범위하고 많은 편이다. 속도, 방어력 등의 리더 버프를 받은 채 광역 공격, 집중 공격, 전체 반격, 전체 치유, 전체 디버프 제거, 은신, 연타 등등.. 로그 원 캐릭터들을 반란군 클래스로 분류한 것은 어떻게 보면 일종의 밸런스 붕괴이기도 할 정도. 주로 반란군은 무지막지한 공격력과 끊임없이 터지는 치명타, 그리고 엄청난 치명타 피해를 이용해 상대를 공격한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지휘관 루크 스카이워커, 레이드 한 솔로, 반란군 장교 레아 오르가나.

2017년 8월에 첫 영토전으로 "호스 침공"이 생기면서, 중요도가 매우 늘었다. 반란군 전원이 특별한 버프를 받으며, 반란군이 있어야만 수행 가능한 미션이 상당히 많다. 모든 미션을 수행하고 싶다면, 지휘관 루크 스카이워커를 포함해, 반란군 소속 캐릭터가 최소 20명이 필요하다.

반란군 캐릭터들 한정으로 진행되는 이벤트로 '황제의 몰락'이 있다. 이벤트로 얻을 수 있는 팰퍼틴 황제가 좋은 캐릭터이므로, 7성짜리 반란군이 5명이 되면, 이벤트를 수행해두는 편이 좋다. 또한 반란군 중에 피닉스 분대를 통해서 최고급 서포터인 쓰론 대제독을 얻을 수 있다.

2021년 4월 28일 패치에서 드디어 번역명이 반란군으로 올바르게 바뀌었다.
====# 반란군 파이터[36] #====
2020년 6월 제다이의 귀환 특집 패치로 등장한 신규 태그. 다크사이드의 제국군 트루퍼에 대응하는 팩션이다. 모든 캐릭터가 반란군 태그를 동시에 가지고 있어 반란군과 시너지 호환이 가능하다.
====# 로그 원 #====
모든 로그 원 캐릭터는 반란군 태그를 가지고 있다. 그닥 안쓰이는 팩션이지만 반란군, 반란군 파이터 태그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이용해 가끔씩 몬 모스마 & 카일 카탄 덱에 쓰이기도 한다. 2022년에는 안도르 드라마가 있으니 떡상 가능성이 아직 존재하는 팩션이다. 이후 파워 인플레가 지속되면서 쓸 사람만 쓰는 고인 팩션이 되었으나 2022년 6월 8일에는 라더스 제독이 신캐릭터로 등장하고 라더스 제독과 로그 원 덱의 구성원들 중 일부가 프로펀디티 이벤트의 요구 캐릭터로 지정되는 등 키울 가치가 늘었다. 동시에 라더스 제독의 강력한 파워에 힘입어 예전의 영광을 되찾은 것은 덤.

반란군 이상으로 노출을 활용하는 팩션. 원조 리더인 진 어소의 경우, 카시안과 조합되면 한 턴에 4~7개의 노출이 마구 쌓이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신 리더인 라더스의 경우도 비슷하게 쌓인다.

* K-2SO: 탱커, 드로이드, 반란군, 반란군 파이터, 로그 원
파일:tex.charui_k2so.png
분류 능력명 설명
기본 탄소기관 합성 주먹 70% 확률로 2턴 동안 공격력 감소 상태 효과를 부여한다.
특별 (2) 전도성 돌격 대상에게 물리 피해를 주고 2턴 동안 멍해짐 상태 효과를 부여한다. 카시안이 있다면, 그가 지원공격을 한다.
고유 인포서 K-2SO가 공격시 70% 확률로 1턴 동안 도발하며 버프를 가지고 있다면 이 확률은 100%로 증가한다. 단, 이 도발은 K-2SO가 적에게 피해를 입으면 사라진다. 이 효과는 자신의 턴이 아닐 때도 발동되어 반격할 때도 도발할 수 있다.
고유 재프로그래밍된 제국군 드로이드 K-2SO가 반격을 시전할 확률을 97.6% 올려준다. [41]다만 K-2SO가 부정적 상태 효과를 지니고 있을 경우 반격 확률의 증가 폭이 절반이 된다. 또한 적에게 피해를 입을 때마다 최대 보호가 1% 올라간다.

K-2SO를 공격하면 도발 상태 효과를 없앨 수 있지만, 97.6%에 달하는 높은 반격확률 때문에 금새 다시 도발 상태 효과를 얻는다. 특히 카시안 안도르가 함께 있을 경우 인내 증가 상태 효과를 지닌 상태로 전투를 시작하기 때문에, 반격 확률을 반으로 줄이기도 힘들고, 반격 후 도발 상태 효과를 다시 얻을 확률이 100%가 된다. 긍정적 상태 효과를 없앤 다음 버프 면역을 거는 것이 최선. 잘못하면 K-2SO만 줄창 때려야 하는 사태가 벌어진다. 카시안의 인내 증가는 3턴 동안 지속되고 반격이 가능하다는 가정 하에는 무한 도발이 가능하다. 때문에 적 입장에서는 K-2의 버프가 끝나는 순간 버프 면역이나 감전을 걸어야 하는데 치루트가 그런 디버프를 지속 치유 효과로 바꿔주면 말 그대로 답이 없다.
설상가상으로 일반 스킬이 공격력 감소 상태 효과를 부여하는데다, K-2를 때릴수록 최대 보호가 조금씩 증가하기 때문에 매우 불리해진다. 다만, 치루트나 렉스 등의 디버프를 제거할 수 있는 유닛이 없다면 멍해짐과 버프 면역이 치명적임으로 주의하자.
여담으로 처음으로 추가된 라이트 사이드 진영 드로이드 캐릭터이다.

로그 원 덱의 컨셉과도 잘 맞물리지 않고, 캐릭터 자체의 성능도 저열하여서 자주 기용되지는 않는 캐릭터.
광폭화: 아군이 특별 능력을 쓸 때마다 턴 미터를 100% 획득한다. ||
특별 (3) 사격 전술 적을 공격 후 비스탄의 효력과 동일한 수치의 턴 미터를 제거한다.
고유 강화 비스탄은 반란군 동료와 디버프에 걸린 적 한 명당 효력이 10% 증가한다.
====# 레지스탕스[44] #====
레이, R2-D2를 제외한 모든 캐릭터들이 노출 상태이상과 관련 있다.

2017년 8월 시점에서 레지스탕스 진영은 제타 업그레이드 한 핀을 리더로, 광역 노출을 거는 포 대머론을 넣고, 레지스탕스 트루퍼 등을 추가해서, 노출 상태 효과를 이용해 일방적인 공격을 반복하는 팀이 대세를 점하고 있다. 레지스탕스의 효력을 늘려주는 만능 지원가 R2-D2, 노출 상태 효과를 부여하고 적의 버프를 날리는 레지스탕스 트루퍼가 자주 쓰인다. 레지스탕스 외의 캐릭터의 경우, 리더 스킬이 쉽게 발동되도록 다스 시디어스 등을 넣기도 하지만, 레지스탕스 캐릭터들이 일방적으로 적을 때릴 동안 자리만 차지하기 때문에, 웬만해선 볼 일이 없다.

2018년 후반부터는 대부분의 레지스탕스 소속 캐릭터가 메타에서 내려왔고, 한동안 별다른 리워크도 없어 육성 우선순위에서 상당히 뒷전이었으나, 2020년 3월 대망의 은하 전설 패치가 이루어지면서 육성 1순위 진영으로 올라섰다.
취약: 가능한 경우 치명타 공격을 당한다. ||
특별 (3) 시각 맹공격 대상 적에게 특수 피해를 주고 2턴 동안 멍해짐과 비틀거림을 건다. 레지스탕스 영웅 포가 각성되어 있다면 대상 적에게 1턴 동안 지속 피해 디버프를 3번 건다.
특별 (3) 허세 블라스터 대상 적에게 특수 피해를 주고 2턴 동안 기절시킨다. 레지스탕스 영웅 포가 각성되어 있다면 모든 버프를 해제하고 2턴 동안 버프 면역을 건다. 이 능력은 회피할 수 없다.
고유 레지스탕스의 불꽃 레지스탕스 영웅 포의 동료가 모두 라이트사이드라면 적이 디버프를 잃을 때마다 방어력이 5% 감소한다. 각성된 동료가 적에게 피해를 주면 대상의 최대 체력의 10%에 해당하는 추가 피해를 주며 이는 회피할 수 없다. 적이 각성된 동료에게 치명타를 가하면 턴 종료시 해당 적의 모든 버프가 해제된다. 레지스탕스 영웅 포가 자신의 턴 동안 특별 능력을 쓸 때 각성되어 있다면 다른 레지스탕스 동료를 각성시킬 수 있다.

취약이라는 치명타 면역의 반대되는 디버프를 가지고 나왔다. 각성 상태가 있을 때 스킬을 사용하면 다른 레지스탕스 동료를 각성시킬 수 있다. 레지스탕스 영웅 핀이 서포터로서의 성격이 강한데, 포는 딜러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유물까지 먹이면 그야말로 미친 딜을 볼 수 있다. 전투 시작부터 레지스탕스 영웅 핀과 둘이서 적 하나를 골로 보낼 수 있다.
====# 자와 #====
드로이드와 관련이 깊은 종족 특성상, 드로이드와 함께 있을 때 긍정적 영향을 받거나, 드로이드를 상대할 때 긍정적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

다만 라이트 사이드 소속 드로이드가 매우 적어서[54] 라이트 사이드 배틀에서는 드로이드와의 시너지를 살리기 힘들다는 점이 아쉬운 점이라고 할 수 있다.

'탱크 테이크다운' 레이드에서 모든 자와 캐릭터에게 보너스[55]가 붙는다. 레이드에서의 활약이 기대되는 동맹. 심지어 적도 죄다 드로이드다![56]

현재 다쓰챠를 리더로 하고 루크와 한솔로를 하는 팀 조합이 탱크 레이드 1단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시스레이드 T1에서도 효율적인 데미지를 낼수 있는 툰이다.
2023년 현재는 엄청난 고인물들이 지오노시안이나 카일 카탄 반란군 전사 팀 상대로 쓸 때 빼고는 볼 일이 없다. 그나마 초상화, 모델링 리워크를 받았기에 떡상의 신호인지 그냥 그래픽만 개선해준건지는 지켜봐야 하는 상황. 투스켄이 상향을 받았기에 자와덱도 가능성은 있다.
====# 이웍[58] #====
자주 쓰이지는 않지만, 캐릭터 부활 부분 최강자인 이웍 장로, 은신 상태이기만 하면 턴 미터를 100% 제거해버리는 티보 같은 쓸만한 캐릭터들이 있다.
이웍으로만 구성된 팀의 경우, 이웍 동료의 턴 미터를 올리는 스킬이 많아서, 속도감 있는 진행을 하게 된다. 처파 족장과 티보 중 하나를 리더로 삼을 수 있는데, 2017년 7월달에 로그레이, 파프루, 위켓이 추가되고, 이웍 장로, 이웍 정찰병, 처파 족장이 강화되었는데, 티보를 제외한 모든 이웍 캐릭터가 동료의 지원공격을 부를 수 있게 되면서, 일반 스킬에 버프를 주는 처파 족장이 리더인 팀의 입지가 늘어났다. C-3PO의 등장으로, 5명은 키워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 악당 #====준비 상태: 한이 준비된 경우 다른 대상 동료들도 준비하며 한은 준비가 사라진다. 준비된 동료들은 1턴간 치명타 피해가 증가하며 한은 피해 50%만큼 보호를 회복한다. ||
고유 모든 준비 한이 보호 증가 상태에서 턴을 시작하면 전투 끝까지 +10% 공격력(중첩됨), 10% 치명타 확률(중첩됨)이 증가한다. 한이 준비된 동안 다른 악당 동료가 그들의 턴에 공격하면 70% 지원 공격 확률이 증가한다(턴 당 1번 제한).

2018년 5월 14일에 추가된 5번째 한 솔로.이제 한 솔로만으로 팀을 짤 수 있다 안 쓰였다가 대쉬 렌더의 등장으로 대쉬 리더 밀수꾼 팀에 채택되는 등 사용률이 조금 늘어났다.
준비 상태: 모든 준비된 동료의 방어 관통력을 3턴간 증가시키며 그들에게 지원 공격을 요청하고 키라는 준비가 해제된다. ||
공격자 : 공격력 +10%(중첩됨, 최대 3회)
탱커: 치명타 회피 +20%(중첩됨, 최대 3회)
서포터 또는 치유사: 속도 +10(중첩됨, 최대 3회) ||
고유 부상에 대한 모욕 공격 중 목표에 디버프가 없다면 효력 +40% 증가하고 디버프 상태라면 치명타 피해가 +30% 증가한다. 다른 악당 동료는 효과의 절반을 획득한다. 각 턴이 끝날 때마다 이 턴에서 한 명의 적이 한 번 이상의 치명타로 적중당했으면 키라와 이 턴에 공격한 각각의 동료는 턴 미터 15%를 얻고 1턴간 체력 흡수가 증가하며 키라는 준비한다.

한 솔로 스타워즈 스토리 특집 캐릭터 중 하나. 캐릭터 자체는 그렇게 뛰어난 편이 아니지만, 중박은 치는 덱인 키라 덱(키라, L3-37, 벤더 츄바카, 엔피스 네스트, 젊은 한 솔로)의 리더로서 가치가 있다. 또 밀수꾼 태그의 유일한 리더라는 의의가 있어, 밀수꾼의 밀수품 이벤트를 위해서는 키우긴 해야 하는 캐릭터. 현재는 대쉬 렌더의 등장으로 밀수꾼 리더에서는 잘 안쓰이지만, 밀수꾼에는 리더가 둘 뿐인지라 아직은 그래도 쬐끔 쓴다.
====# 밀수꾼 #====
현상금 사냥꾼 덱처럼 모든 밀수꾼 캐릭터들은 악당에 속해있다.
캐릭터들을 묶어줄 리더가 키라밖에 없고, 그 조차 메타에서 좋은 수준은 아니어서 한과 츄바카는 반란군에 팔려가는 등 밀수꾼 팀 자체는 보기 힘들었으나 2021년 신캐릭터 대쉬 랜더의 등장으로 이들을 묶어줄만한 리더가 생겼다. 의외로 모드 슬라이스 재료를 얻을 수 있는 밀수꾼 캐릭터 전용 임무가 있는 등 미묘하게나마 대우를 받는다.
젊은 랜도는 밀수꾼이면서 원래 랜도는 밀수꾼이 아닌 괴현상이 생겨버렸다.
2022년 기준으로는 비은전 덱 중에서 꽤나 좋은 평가를 받고있다. 대쉬 렌더의 추가 이후로 밀수꾼 츄바카를 팀에 넣은 무한부활팀, 딜러들을 중점적으로 화력을 극대화시킨 팀 등 다양한 조합이 실험되고 있다. 그레나에서 만나면 결코 얕볼 수 없는 팩션이 되었다.
====# 드로이드 #====
스타워즈 세계관 내에서도 도우미 로봇 같은 존재였기에 서포터가 많다. 특히 스타워즈의 마스코트라 할 수 있는 C-3PO, R2-D2, BB-8는 우수한 서포터 능력을 자랑한다.====# 클론 트루퍼 #====
클론답게 얼굴이 비슷하게 생겼다. 클론 중사는 애초에 얼굴이 보이지 않고, 커맨더 코디는 복장 색이 다르고, 캡틴 렉스는 머리 색 등이 달라서 구분이 쉽지만, CT-5555와 CT-21-0408은 상당히 닮았다. 다만 복장이 미묘하게 다르기 때문에 주의깊게 본다면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스킬들이 클론 트루퍼가 동료일 때 이점을 부여한다. 모든 캐릭터들이 속도 감소, 턴 미터 증가, 감소 등 턴 미터와 관련된 기술이 있다.

클론 트루퍼만으로 구성된 분대의 특징은 다재 다능함에 있다. 우선 적에게각종디버프를 걸수있는데, 속도저하,기절,턴미터 감소등을 활용가능하다.적의 버프를 해제할 수도 있으며, 역으로 아군에게 걸린 디버프를 해제할수단도 있다. 또한 각종 턴미터 관련으로 적보다 빠르게 여러번 공격하는데 능하며 특히 다수대 1, 즉 레이드 등에 매우 유리하다. 적이 속도가 느리면 클론트루퍼만 계속해서 공격하는 모습도 보인다.

단점은 그 다재 다능함이 모든 클론트루퍼에게 고루 퍼져있기에 클론중 하나가 먼저 사망하면 파티에 빈틈이 생긴다는것. 클론트루퍼를 상대할때는 한두명을 집중공격하도록 하자

2017년 4월 기준 AAT 탱크 레이드 페이즈 2, 4에 사용하기 가장 좋은 팀이다. CC-2224 코디 제타강화 리더 능력 덕분에 바퀴벌레와 같은 생존성을 확보하고, 지원 공격을 통해 딜량 역시 확보할 수 있기 때문. 특히 아군 크리티컬 히트에 지원 공격 쿨타임이 줄어들기 때문에 차체를 쓰러트리면 밑도 끝도 없는 공격을 가할 수 있다.

레이드에서 사용할 경우, 페이즈 2의 경우 렉스를 자와 스캐빈저로, 페이즈 4의 경우 렉스를 레아 공주로 교체해 사용하는 편. 자와 스캐빈저를 활용한 페이즈 2 공략의 경우 딜량 8백만을 넘기는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2019년 8월 경 501군단 리워크가 이루어졌고 클론들의 속도를 35나 올려주는 샤크 티가 출시되면서 역대급 사기덱으로 위상이 급상승했다. 여기에 2019년 10월에는 스카이워커 장군의 출시로 기존의 다스 레반덱의 완벽한 카운터가 되면서 메타를 주름답는 최강의 덱이 되었다. 물론 샤크 티나 스카이워커 장군 모두 매우 파밍이 어려우므로 고인물들에게나 통하는 이야기다.

어느 순간 업데이트로 클론들을 뜯어고치면서 아예 초상화와 인게임 모델링이 헬멧을 쓴 상태로 바뀌었다. 파이브스와 에코가 헷갈릴 일은 줄어든 셈. 클론들 얼굴이 보고 싶다면 캐릭터 업그레이드 화면에서 볼 수 있다.

2021년 새롭게 배드 배치 덱이 등장했다. 신캐들답게 강력한 성능을 보여주어 더욱 클론들의 위상이 올라갔다.
====# 제501 군단 #====
사실상 스카이워커 장군 덱을 위한 캐릭터들이다.
====# 배드 배치 #====
2021년 4월 새롭게 공개된 클론 트루퍼 팩션. 분리주의자 및 드로이드에 강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했으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그냥 뭘 상대해도 다 강한 깡패 팩션. 2021년 7월 기준으로는 기존의 샥 티 클론 덱보다도 우수한 팩션으로 평가받고 있다. 배드 배치 덱에서 무엇보다 중요한건 공격 순서이다. 에코 > 테크 > 레커 > 헌터 > 오메가가 정석이며, 개인 취향에 따라 살짝 달라지겠지만 에코가 첫 번째, 테크가 두 번째는 필수이다.
그랜드 아레나에서는 공격용으로만 사용하고 방어용으로는 추천하지 않는다. 이유는 간단한데, 에코->테크로 돌아가면서 전원 기절을 먹이고 시작하는게 정석적인 운용법인데 반해, AI는 이 강력한 콤보를 잘 사용하지 않기 때문. 공격용으로도 잡을 수 있는 덱은 한정적이지만, 배드 배치로 카운터가 가능한 수비 덱들이 많기에(그리버스, 오미 콰이곤 등. 특히나 그리버스는 배드 배치로 담당일진 급으로 깔끔하게 잡아낼 수 있다.) 유용한 공격 덱으로 쓰인다.

리더로는 일반적으로 헌터가 쓰이며, 기본적으로 배드배치 4인(헌터, 테크, 에코, 래커) 구성에 나머지 1자리는 취향에 따라 구성된다. 최고의 조합은 오메가나 샥 티를 넣는 것이지만 오메가를 별도로 키우는 것이 부담스러운 유저들은 제마케 요구조건에 있는 코디나 클론 중사를 넣어서 대체하기도 한다.
배드 배치 동료가 방어력 증가를 갖고 있는 동안 능력을 사용하면 모든 적에게 고정 피해를 준다.
배드 배치 동료가 회피력 증가를 갖고 있는 동안 치명타 회피가 50%증가한다.

목표 고정된 적은 배드 배치 동료의 공격에 반격할 수 없다.
노출된 적은 배드 배치 동료에게 공격받을 때 턴 미터 50%를 잃는다. 분리주의자 드로이드라면 100%로 증가.(레이드 보스 및 은하 전설 제외) 이 턴 미터 제거는 회피하거나 저항할 수 없다. ||

배드 배치 덱의 유일한 리더이자 메인 딜러.

자체 성능은 높지는 않은 편. 하지만 리더 스킬이 매우 중요하다. '방어력 증가가 있을 시 모든 적에게 고정 대미지를 가함'과 목표 고정, 회피력 증가 시너지 덕에 배드 배치 아군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노출 발동시 턴 미터의 절반(분리주의 드로이드 상대로는 전부)를 날려버리는 효과 덕에 본인 평타와 에코의 광역 노출 스킬의 활용도가 굉장히 높아진다. 2번 스킬의 경우 버프를 4개씩이나 광역으로 뿌리기 때문에 팀원 전체가 풀피로 회복되는 부가 효과도 있고, 3번 스킬의 턴 미터 교환도 쓸만하다.
테크가 살아있는 동안 클론 트루퍼 동료는 특별 능력을 사용할 때마다 3턴 동안 분석을 얻는다(최대 3회 중첩). 분석은 복제할 수 없다. 캐릭터에게 이미 분석이 있는 경우, 해당 캐릭터의 모든 분석 중첩의 지속 시간이 3턴으로 초기화된다. 분석을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캐릭터가 쓰러지면 분석의 모든 중첩이 사라진다.
분석: 누적 개수에 따라 이로운 효과가 적용된다.
1개: 최대 체력 +30%.
2개: 치명타 확률 +15%.
3개: 분석을 부여하는 동료가 한 명만 있을 경우 해당 동료가 기본 능력을 사용할 때마다 이 캐릭터의 쿨다운 1 감소.(턴 당 1회 제한) ||

배드 배치의 서포터 1호이자 서브 데미지 딜러.

성능은 꽤나 특이하다. 기본 스킬의 매우 높은 기본 데미지와 목표 고정 시너지 때문에 서브 딜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테크는 '분석' 버프를 뿌리는데, 이는 C-3PO의 분석과 동일하며 아군의 쿨다운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3번 스킬은 멍해짐을 지닌 적을 전원 기절시킨다. 처음 나왔을 땐 주목을 못 받았지만, 에코의 '적 전원 멍해짐'과 합쳐지면 선턴에 모든 적을 기절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래커도 전원 기절이 있어 배드 배치에서는 적 전원 기절 능력을 무려 2명이나 가지고 있다.

분석 3중첩의 쿨다운 감소를 활용하려면 2번 스킬의 광역 분석 버프를 잘 사용해야 한다. 수류탄이 광역 스턴+아군 디스펠+예지와 인내 버프+은신 이라는 압도적인 범용성의 효과를 갖고 있어서 그렇지 2번 스킬도 상당히 좋다. 배드 배치 대상으로는 체력 80%회복인데 에코의 고유 능력과 합쳐지면 사실상 100%이고, 효력 버프도 헌터,래커,에코 누구에게 주더라도 낭비되는일 없이 효과를 톡톡히 누릴 수 있다.
래커는 적에게 피해를 입을 때마다 분노 중첩 1회를 얻는다. 분노가 10개 중첩되면 모든 중첩을 제거하고 2턴 동안 자신의 능력을 강화시켜주는 격노를 획득한다. 래커는 격노를 얻을 때 1턴 도발한다.
격노: 능력은 추가 효과를 얻는다. 분노를 얻을 수 없다. ||

배드 배치 덱의 메인 탱커이자 서포터 2호.

공격력은 그리 높지 않지만, 내구도가 사기적이며 5명 전원이 배드 배치일 경우 체력과 보호가 거의 2배 증가하는데, 이는 은레이의 칼던지기를 맞고도 빈사 상태로나마 살아남을 정도로 높다. 2번 스킬로 전원 회복, 3번 스킬로 적 전원 기절+헌터 리더 능력의 트루 데미지 조건 충족도 가능한 다용도 캐릭터이다. 강력한 내구도 덕에 배드 배치 덱의 체감 내구도를 크게 높였다.
오메가가 은신 상태일 때 치명타 피해가 10% 증가하며 다른 배드 배치 동료가 특별 능력을 사용하면 오메가는 60% 감소된 피해로 지원 공격한다. 오메가가 방어력 증가를 갖고 있다면 치명타 확률이 +10% 증가한다.
오메가의 공격은 그녀가 가진 각 버프마다 5%의 추가 피해를 주고, 적이 가진 디버프마다 5%의 추가 피해를 준다.
영역 전투 중: 전투 시작 시, 모든 배드 배치 동료들은 유물 증폭기 레벨 당 최대 보호의 10%만큼 최대 체력을 얻는다.(최대 100%) 그리고 모든 보호를 잃는다. 배드 배치 동료들은 체력 비례 피해 효과로부터 감소된 피해를 받는다. 이 보너스들은 오메가가 처음으로 쓰러질 때까지 지속된다.
각 전투 시작 시, 배드 배치 동료들은 2턴 동안 오메가의 유물 증폭기 레벨 당 보너스 보호 10%를 얻는다. 오메가가 기본 능력을 사용할 때마다, 그녀는 다른 배드 배치 동료 1명당 다시 피해를 가하고, 주는 피해가 50% 감소한다. ||

배드 배치 덱의 서브 딜러.

나머지 배드 배치 클론들은 2021년 4~5월에 나왔는데 혼자 7월에 조금 늦게 나왔다. 클론 중에서 유일하게 여성인데다, 클론 트루퍼 갑옷도 입지 않고 심지어 무기도 블라스터가 아닌 활인지라 굉장히 돋보인다.

성능은 전형적인 버프 캐릭터. 하지만 CG가 첫 출시 당시 설명에 'High Single Fire Damage', 즉 단일대상 폭딜이라는 문구를 걸어놨었다. 그런데 7유물 상태에서 버프 만땅 기준으로도 통곡의 벽 3만뎀을 넘지 못한다.... 그래서 영미권에서는 High Single Fire Damage라는 이 있다. 때문에 배드 배치 클론 중에서 유일하게 쓰레기 취급을 받고 있으며, 심지어 오메가가 들어가면 덱의 성능이 오히려 나빠진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다만 이 부분은 지나친 내려치기에 가까운 것이, 아무리 성능이 나빠도 아군 덱에 디버프라도 주는게 아닌 이상 유닛이 추가되면 덱의 성능이 좋아지면 좋아졌지 나빠질 이유가 없다. 실제로 swgoh.gg 통계를 보면 오메가가 들어간 배드 배치 덱은 4명만 존재하는 배드 배치 덱보다 근소하게 승률이 높고, 여타 은하 공화국 캐릭터가 대신 들어간 덱들보다도 승률이 높아 배드 배치 덱의 마지막 멤버로서의 성능 자체는 썩어도 준치라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특히 키 아디 문디 미션의 경우, 오메가가 있으면 그렇게 어려운 미션이였냐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쉽게 클리어가 가능하다. 다만 기대에 비해 성능이 워낙 실망스럽고, 제타도 2개나 먹는 주제에 가성비가 먹튀 수준이라 욕을 먹고 있을 뿐이다. 당장 다른 4명은 제타가 하나지만 등장할 때마다 덱을 강력하게 만들어줬는데 오메가는 제타도 2개인 주제에 두드러지는 역할이 딱히 없었다. 무엇보다 오메가 채용이 가장 망설여지는 이유는 함대 전투 어려움 파밍이라는 어려운 파밍 조건이 발목을 잡는다. 가뜩이나 함대 전투는 12+ 기어들을 파밍하기도 벅찬데, 오메가 파밍에 에너지를 또 쓰다보면 기존 캐릭터들 강화 및 유물작 또한 더뎌지기 때문이다.

오메가가 배드 배치 팀의 마지막 한 자리를 차지할 때 얻는 이득은 다음과 같다:
-헌터의 리더 능력과, 오메가의 지원 공격이 조합되어 적 전체에게 가하는 고정 피해가 늘어난다.
-테크의 속도가 1~2증가한다.
-에코의 고유 능력으로 적에게 피해를 주는 빈도 증가, 3번 스킬의 공격력 증진의 활용도 증가
-래커가 전투가 시작함과 동시에 도발과 격노를 얻고, 최대 체력과 최대 보호 +20%를 얻는다. 사실상 가장 핵심인 효과.

오메가가 들어가지 않고 다른 캐릭터가 들어간다면, 샤크 티 혹은 커맨더 코디 정도가 기용된다.
====# 피닉스 #====
스타워즈 반란군에 등장한 피닉스 팀이다. 케이넌이 눈 먼 상태인 것을 보아 시즌 2의 마지막화 이후 시점으로 추정된다. 다만 아소카 타노(펄크럼)은 피닉스 팀과는 관련 없는 캐릭터로 등장하면서, 사빈, 에즈라, 젭, 쵸퍼, 케이넌, 헤라 총 6명만 등장하게 되었다.

애초에 피닉스 팀이 한덩어리로 활동하는걸 전제로 캐릭터 능력을 만들었기 때문에, 단독으로는 그닥 쓸모가 없는 캐릭터도 팀을 짜면 상당히 강력해진다. 리더 능력을 지닌 캐릭터가 헤라 신둘라 뿐인데, 고유 능력을 전부 공유하기 때문에, 팀이 전원 생존해있을 경우 체력, 보호, 공격력 등 다양한 버프를 받게 된다. 다만 6명 전원으로 팀을 짜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불가능하니까, 팀에서 제외할 캐릭터를 잘 골라야 한다.

피닉스 팀 하나로 비틀거림, 버프 제거, 디버프 대책, 추가 보호, 도발 등 다양한 스킬 효과를 발동시킬 수 있는데, 이게 팀 전체에 골고루 배치되어있다,[78] 이런 다양한 스킬 효과들 덕분에 다양한 상황에 대처 가능하지만,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능력을 시전하는 전략적 안목이 필요하다.

쓰론 대제독 캐릭터를 얻는데 필요하기 때문에, 여유만 된다면, 적어도 5명은 별 7개까지 승급시켜두자. 반란군 소속이기 때문에 팰퍼틴 획득에도 쓸 수 있다. 덱 하나로 두 캐릭터를 얻을 수 있어 초반부 필수 덱으로 취급받는다.

다만 대체로 얻기 쉬운 캐릭터들이라서인지 아레나에서의 성능은 매우 저조하며 만렙 달성 이전의 초보 덱에서는 자주 보이지만 이후에는 거의 볼 수 없다. 만렙 달성 후 아레나에서 피닉스 덱을 만나면 전투력이 1만 이상 차이나도 간단히 격파하는게 가능할 정도. 전체공격, 전체버프, 전체디버프 등의 스킬이 없어 화력이나 방어력, 속도 등 어느것 하나 강점이 될만한게 없다보니 메타에 오를만한 강력한 덱을 당해내기 어렵다.
====# 현상금 사냥꾼 #====
원래 라이트사이드에는 현상금 사냥꾼이 없었으나 2020년 4월 만달로리안 패치로 라이트사이드에도 현상금 사냥꾼 캐릭터가 생겼다.
====# 헛 카르텔 #====
2022년 8월 18일 스키프 가드 (랜도 칼리지안) 추가로 라이트 사이드 헛 카르텔 분류가 추가됐다.
====# 은하 공화국 #====
대부분의 제다이(피닉스 팀 제외)와 클론 트루퍼들이 속해 있다. 라이트사이드 진영 중에서는 가장 성능이 좋은 진영으로 손꼽힌다. 제마케 + 커소카 팀이라는 은전 최강덱은 물론 배드 배치, 스장, 오미크론 콰이곤 등 훌륭한 팀 또한 많다.
====# 구 공화국 #====
2018년 하반기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본 게임에서는 꽤 젊은 축에 속하는 캐릭터들. 아무래도 새로 만든 캐릭터들이니만큼 성능이 후진 경우는 많지 않고, 잘 키워놓으면 대부분 메타나 그랜드 아레나 등지에서 한 몫할 수 있는 좋은 캐릭터들이다.
====# 만달로리안 #====
2021년 1월 신 캐릭터 아머러 업데이트로 새로 생겨난 분류이다.
영역 전투 중: 처음으로 각 라이트 사이드 만달로리안 동료들이 보호를 모두 잃으면, IG-12 & 그로구는 보너스 턴을 얻고 노. 노. 노.의 쿨다운이 초기화된다. IG-12 & 그로구가 특별 능력을 사용할 때마다 추가로 다른 동료가 지원 공격하며 사용된 능력에 따라 추가 효과를 얻는다.
예스.: 지원 공격하는 동료는 10% 추가 피해를 가하고 보호를 20% 회복한다.
노. 노. 노.: 지원 공격하는 동료는 턴 미터를 20% 얻는다. ||

C-3PO & 츄이에 이은 합체 캐릭터. 이 덕분에 그로구는 단독 캐릭터로 출시가 안 됐으면서 인게임 캐릭터로는 3번 등장하게 되었다. 스킬 이름들이 죄다 요상한데, 실제 스킬 이름들이 저거 맞다. 스킬 이름들이 저거 맞아요? 예스. 예스. 예스. 캐릭터 상태창에 들어가서 좀 기다려보면 그로구가 IG-12를 갖고 노는 모습과 IG-12가 예스. 예스. 예스.를 외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에픽 캐릭터인 만달로어 보카탄이 출시되면 힐러로써 역할을 기대해 볼 만하다.
IG-12 & 그로구인데 정작 초상화에는 IG-12의 얼굴이 안 나왔다.
====# 무소속 포스 사용자[95] #====
2021년 5월 은하 전설 제다이 마스터 케노비 및 지휘관 아소카 타노의 출시로 새로 생겨난 분류이다. 라이트사이드 포스 센서티브이지만 제다이 태그가 없는 등장인물/다크사이드 포스 센서티브이지만 시스 태그가 없는 등장인물들이 여기 속한다.
====# 우키 #====
2023년 4월 타풀의 추가로 새로 생긴 팩션. 꽤 옛날부터 추가해달라는 요구가 많았던 팩션이기도 하다. 새로 생긴지 얼마 안돼서 우키족으로만 이루어진 팀은 타풀을 제외하면 보기 힘들지만, 신캐나 리워크를 통해 얼마든지 부활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 건간 #====
2024년 2월 보스 나스의 출시로 새로 생긴 팩션이다. 이 팩션의 등장으로 인해 갤오히 초창기부터 루머로만 떠돌아 다니던 자자 빙크스의 출시가 거의 확정났으며, 마침내 자자가 등장함으로써 팬들을 환호시킴과 동시에 5인팀이 완성되었다.
====# 은하 전설 #====
은하 승천 이벤트로 획득하는 캐릭터들. 얻기도 어렵지만 캐릭터의 기본 스펙이 여타 캐릭터들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자타공인 게임 내 최강의 캐릭터들이다. 2019년 12월 등장이 예고되었고 2020년 3월 첫 은전인 레이와 슈프림 리더 카일로 렌이 등장한 이후 약 7개월에 한 번씩 주기적으로 신규 은하 전설 캐릭터가 출시되고 있다.
이전까지의 메타 캐릭터들과는 달리 공식적인 최강 캐릭터들이다보니 서로 간의 우열이 희미한 편이다. 물론 은하 전설 내에서도 홀대받는 캐릭터는 있고 강세인 캐릭터도 있으며 서로 간에 상성도 있지만 그래도 대략적으로는 은하 전설끼리는 동급으로 쳐주는 분위기. 하지만 3차 은하 전설인 제다이 마스터 케노비 출시 후로는 이전처럼 신캐 강세가 은전 내에서도 뚜렷해지고 있어 우려를 사고 있다.
은하 전설 캐릭터는 한 팀에 하나만 넣을 수 있다.
====# 미분류 #====
[1] 참고로 이 사이트는 EA공식 게시물에도 언급되는 사이트이다.[2] 실제로 베이즈의 기본 공격에 '지금 당장 상점으로 달려가서 로그 원 번들을 사세요!'라고 되어 있었다.[3] 초기에는 훌륭한 조치라는 이름이였다.[4] 다만 작정하고 속도에 투자하면 요다가 팰퍼틴에 비해 빠르기 때문에 우위를 점하기 쉽다. 황제의 쇼크 효과가 실패 확률이 있고 디버프다보니 저항력에 막힐 확률이 있는 반면 요다의 명상은 아군 버프라 실패 확률이 없는 것도 요다에게 웃어주는 요인. 실제 아레나에서 사용되는 덱 상으로도 요다가 포함되는 샨덱이 황제덱의 천적이기도 하다.[5] 다만 캐릭터별 최대 체력의 일정 비율을 추가적으로 회복하는 부분은 회복으로 취급하기에 치유 면역의 영향을 받는다.[6] 일반적인 치유 스킬의 경우, 체력이 거의 다 차있는 캐릭터 대상으로는 치유가 낭비되지만, 배리스 오피는 체력을 균등화 시키기 때문에 일부 캐릭터가 집중적으로 체력이 깎인 상황에 크게 유용하다.[7] 팀 전체가 균일하게 체력이 깎이는 경우는 15%밖에 회복되지 않기에 썩 좋지 않다. 하지만 일반 스킬로 조금씩이나마 치유를 해주고, 리더 스킬의 경우 매턴마다 자동으로 치유해주는데다, 고유 스킬은 매턴 1명의 부정적 상태 효과를 전부 제거해준다. 참고로 별 7개, 80레벨, 장비 레벨 IX만 되도, 팀 전체가 매 턴당 3000씩 체력을 회복하고, 일반스킬로는 2000씩 치유해준다.[8] 체력 균등화가 치유 면역을 무시하는 것도 장점이다. 치유 면역 상태 효과를 지닌 캐릭터의 체력을 회복시킬 유일한 방법이다. 참고로 은하 전쟁이나 분대 아레나 전투에 가면 웬만한 팀들은 치유 면역을 부여하는 캐릭터를 1명 이상 보유하고 있다. 특히 다스 시디어스는 분대 아레나 전투 상점에서 쉽게 구할수 있다.[9] 포럼에서 유저들이 추측한 바에 따르면, 골절 능력은 적 버프를 먼저 제거한 뒤 골절 효과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도발을 제거하는 순간 바로 도발이 다시 생겨나고, 그 후에야 골절 효과가 적용되는 것.[10] 탱커를 2명을 넣을 수 있다면, 포 대머론의 도발 효과가 사라지면 핀이 도발을 시전하는 포&핀 콤비가 나름 헌신적 수호자를 재현할 수 있다.[11] 회피 확률, 공격력, 방어력, 치명타 확률, 치명타 공격력, 속도, 방어력 관통, 체력(15%) 각각에 대한 긍정적 상태 효과.[12] 아레나, 레이드 등에서 탈출할 경우, 해당 전투를 패배한 것으로 취급하지만, 은둔자 요다를 넣은 새로운 팀을 다시 투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요약하자면, 레이드의 탈출 스킬과 동일하지만, 패시브로 적용된다. 단 영토 전투에서는 한 캐릭터 별로 한번씩만 투입 가능하기 때문에, 탈출하더라도 재투입이 불가능하다.[13] 다스 니힐러스의 리더 능력은 공격력을 60% 올려주지만, 치명타를 넣지 못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가할 수 있는 피해는 그다지 늘어나지 않는다.[14] 클론전쟁에 등장했던 닉토족 제다이 마스터이다. 시즌-3 에피소드 3 참고. 멋지게 전사하였다. 참고[15] 기본 속도가 109로 뒤에서 공동 5위이며 가장 낮은 속도(102)의 캐릭터와 7밖에 차이나지 않는다.[16] 아군 전체의 체력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발동하기만 하면 된다. 아소카 타노의 특별 능력은 상황에 따라 아군 전체의 체력을 회복시키거나, 공격력이 올라가는데, 전자의 효과가 발동될 때만 광역 치유 특별 능력으로 취급된다.[17] 50인 레이드인데, 한 솔로는 레이드 상위 20명을 제외하면 파편 1~3개씩만 주지만, 케노비 장군은 레이드 상위 3명을 제외한 전원에게 파편 6개를 준다.[18] 라이트사이드에서는 제다이 훈련생 레이와 함께 투탑 탱커이지만, 탱커로서의 성능은 케노비가 한 수 위, 다크사이드에서는 다스 시온이 최강탱커로, 케노비는 지원형 탱커, 시온은 공격형 탱커면에서 최강이다.[19] 배드 배치 덱이 그나마 비은전 중 그레나에서의 오미크론 콰이곤 덱을 잡을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20] 실제로 해보면 35% 확률로 은신 상태 효과를 제거하는 3등급 리더 스킬로도 대부분의 은신을 제거해준다.[21] 이제는 제다이 레반 덱에서 은전 카운터용으로 잘 쓰이고 있다.[22] 은전 레이도 그렇고 2020년부터 신캐들이 기존의 캐릭터들과 외모 디자인이 다소 다르게 출시되는 경우가 두드러지고 있다. 기존에 비해 좀더 사실적으로 원작을 잘 반영한 외모이기는 한데, 기존 캐릭터들과 차이가 있다보니 같은 게임상의 캐릭터가 맞는지 위화감이 들게 만든다. 다스 베이더의 경우 아예 2020년 리워크하면서 외모까지 바꿔버렸다.[23] 싱글만 없는 이유는 제일 기본적인 라이트세이버 폼이기도 하고 무소속 포스 사용자 칼 케스티스가 갖고 있어서 굳이 넣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24] 2021년 4월까지는 "저항군"으로 번역되어 있었는데, 사실 저항군이라는 표현은 옳지 않으며, "반란군"이 옳은 표현이다. 은하 제국에 반기를 일으킨 연합이기 때문, 저항군은 앞서 나온 레지스탕스가 진짜 저항군이다. 그리고 2021년 4월에서야 반란군으로 표기가 바뀌었다.애초에 영어로 레지스탕스가 저항군[25] 광역 공격은 은신 여부에 상관없이 타격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문제는 쿨다운, 낮은 공격력 등의 문제로 인해, 광역 공격만으로는 레아 공주를 잡기가 쉽지가 않다… 더군다나 공격시 일정 확률로 체력을 회복하기 때문.[26] 스킬의 효과를 받는 대상이 모든 캐릭터이며, 치명타 가할 때 추가로 이득을 보게된다. 자세한 것은 캐릭터 설명 부분 참조.[27] 제국의 역습에서 등장한 클라우드 시티에서 랜도 칼리시안과 같이 다니던 사이보그이다. 참고[28] 다크사이드 전투에는 라이트세이버를 쓰는 반란군 루크 스카이워커가 등장한다.[29] 아군이 부정적 상태 효과를 가지고 있을 때 아크바 제독이 "함정 발견!"을 사용하거나, 웨지 안틸레스가 리더일 때 치명타나 막타를 넣거나, 헤라 신둘라가 지원 계획을 사용해야 한다. 아크바 제독은 부정적 상태 효과가 없을 때는 방법이 없다. 웨지 안틸레스의 경우 다른 리더를 고를 수가 없으며, 시너지 때문에 빅스가 들어가면서 팀 구성 폭이 좁아지기 쉽다. 헤라 신둘라의 경우 잘해봐야 1명만 치유 가능한데 쿨다운도 5턴이나 된다.[30] 각 긍정적 상태 효과는 한 종류당 1개씩만 얻게 된다.[31] 헤라 신둘라의 리더 스킬이 피닉스 팀 캐릭터들이 서로의 고유 스킬을 공유하게 만든다는 점을 생각하면, 아소카 타노(펄크럼)이 피닉스 소속으로 나왔다면, 피닉스 팀이 시스나 제국 이상의 강세를 보였을 여지도 충분하다.[32] 반란군을 상대로 강한 모습을 보이는 캐릭터도 제법 있지만, 제다이를 상대로 강한 모습을 보이는 캐릭터보다 수가 적다.[33] 즉, 아크바가 전술의 천재를 사용하고 죽으면 누군가가 특별 능력을 쓸 때까지 계속 유지된다.[34] 2017년 10월 1일 시점에서 도발을 무시할 수 있는 캐릭터는 현상금 사냥꾼의 결의 효과를 지닌 보바 펫, 행동개시 상태 효과를 지닌 지휘관 루크 스카이워커 뿐이다. 예외적으로 한 솔로는 고유 스킬로 얻은 추가 턴 때에 도발을 무시할 수 있다.[35] 공격 정밀도 50%는 예지 말고는 회피가 불가능하다시피하며, 특히 회피 확률에 버프를 얻은 적을 상대할 때 공격 정밀도 상승의 효과를 쉽게 실감할 수 있다. 참고로 공격 정밀도는 리시버 모드 주요 능력치로 12%, 몇몇 고유 능력들로 조금씩 올려야 하는데, 리시버 모드는 속도를 올리는데 써야하고, 고유 능력들로 올라가는 정밀도로는 대부분 15%씩 올라가는 회피 확률을 못 따라잡는다.[36] 어느 순간부터 반란군 전사였다가 반란군 파이터로 명칭이 바뀌었다. 오역도 아닌데 왜 바뀌었는지 의문이다.[37] 기절 상태 효과를 얻지만, 턴 미터가 100% 올라가면서 기절 상태 효과의 유효기간이 지나가는 것이다.[38] 제다이 기사 보너스 시 그저 광선검을 가진 남자의 딜링은 물론 카일의 광역기는 갤오히 전체 광역기 중에서도 손에 꼽히는 데미지를 보유하고 있다는 소리가 있다.[39] Wedge와 Biggs, 즉 웨지 안틸레스와 빅스 다크라이터 콤비를 가리킨다.[40] Chirrut와 Baze, 즉 치루트 임웨와 베이즈 말버스를 가리킨다.[41] 2.4%로 반격하지 않아서 거의 100%인데 굳이 97.6%인 이유는 영화 대사 중 '실패 확률이 97.6%입니다.'라는 대사가 있기 때문인 듯 하다.[42] 참고로, 버프가 없을 때의 추가 피해와 제국에게 주는 추가 피해는 별개로 적용된다. 즉, 버프가 없는 제국은 최대 체력의 50%에 달하는 추가피해를 입는다.[43] 속도가 90인데[44] 과거 패치 전에는 Rebel Alliance 혹은 Alliance to Restore the Republic을 저항군으로 표기했고, Resistance는 저항력(...)이라는 괴상한 단어로 번역하는 참사를 일으켰다. 현재는 저항력을 레지스탕스로 일괄적으로 고침으로서 일단 1차적인 문제는 해결되었다.[45] 즉 상태 효과와 운에 따라 2~4번의 공격을 가한다.[46] 다만 시스템 상으로는 체력 피해가 여러번 들어갈 뿐이고, 공격은 1번만 들어간 것으로 친다.[47] 체력 피해를 여러번에 걸쳐서 가하기 때문에, 공격 대상을 쓰러뜨리더라도, 황실 경비대의 고유 스킬이 발동할 수 있다. 참고로 황실 경비대의 고유 스킬은 아군 캐릭터의 체력이 50% 이하로 떨어질 경우 자동으로 도발 상태 효과를 부여한다. 그러므로 50% 이상의 체력을 가진 캐릭터가 단 한번의 공격에 사망할 경우 도발 상태 효과를 부여하지 않는다.[48] 또한 반격 능력을 가진 캐릭터가 여러번의 공격을 받을 경우, 각각의 공격별로 반격을 하는데, 레이의 '연타' 스킬의 경우, 1번의 공격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체력은 여러번에 걸쳐서 줄어들지만, 반격은 1번만 가능하다.[49] 때문에 팰퍼틴 황제나 제다이 아나킨, 그리버스 장군은 레이의 카운터가 될 수 있다.[50] 쇼어트루퍼나 케노비 장군 보다도 높다.[51] 레지스탕스 트루퍼, 레지스탕시 파일럿, 핀은 적을 공격한 후 노출 상태 효과를 부여한다. 이러면 적을 공격하면서 기존의 노출 상태 효과가 소멸하고, 스킬 효과로 새로운 노출 상태 효과를 부여하게 되는데, 문제는 노출 상태 효과를 부여하지 않거나, 저항당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노출 된 적이 노출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생긴다. 그런데 포 대머론의 특별 스킬은 광역으로 노출 상태 효과를 뿌리기 때문에, "노출된 적 공격 → 쿨다운 감소 및 턴 미터 증가 → 적 새롭게 노출시킴" 콤보를 이어가기 수월해진다.[52] 다만 턴 진행 속도가 빠른 것은 레벨 50대에 들어간 후에 속도를 올려주는 장비를 착용한 후의 이야기이며, 그 전까지는 오히려 턴 진행 속도가 평범한 편에 속한다.[53] 물론 상대 팀에 한솔로가 있다면 시작하자마자 한솔로에게 최대 두대 맞고 시작하기야 한다. 하지만 아무리 한 솔로라 할지라도 보호와 체력이 가득 차있는 상대를 한번에 즉사시키기는 쉽지 않았고, 만약 레지스탕스 전원이 턴 미터가 100%인 상태로 전투에 돌입시켜서 한 솔로의 턴이 오지 않게 만드는 것도 가능했다.[54] 2017년 8월 12일 기준으로 R2-D2,K-2SO,차퍼 등이 있다.[55] 캐릭터의 턴에 자와 동맹 캐릭터가 스킬을 사용하면, 다른 자와 동맹 캐릭터 1명이 지원 공격을 가한다.[56] 근데 레이드 난이도가 올라갈수록 완벽에 가까운 레벨, 기어, 모드 세팅을 모두 만족시켜야 하는데 자와에게 그런걸 주기는 너무나 아깝다[57] 새로운 희망에서 R2-D2를 전기총으로 잡았던 자와다. 설정은 스타워즈 레전드로만 남아있다. 참고[58] 게임 내 표기이다.[59] 즉 턴을 2번 연속 얻을 확률은 50%지만, 그 후 3번째 턴을 또 얻을 확률은 10%라는 것.[60] HK-47은 처음으로 죽었을 때에만 일정 확률로 부활한다.[61] 보바 펫, HK-47, 스카리프 반란군 패스파인더는 자기 자신만 부활시킬 수 있고, 크레닉 감독은 데스트루퍼만 부활시킬 수 있고, 자와 엔지니어는 드로이드만 부활시킬 수 있다.[62] 올드 다카는 부활 확률이 35%이며, 진 어소는 적 전원을 공격해서 최소 1번은 치명타를 가해야만 아군이 부활한다.[63] 보바 펫은 '현상금 사냥꾼의 결의' 상태 효과를 가지고 있을 때에만 부활하고, 부활하면 그 상태 효과가 사라진다. 스카리프 반란군 패스파인더는 긍정적 상태 효과를 지니고 있을 때만 부활한다.[64] 정확히는 거의 무한 부활이다. 이윅 장로의 평타는 모든 이윅 동료들의 턴 미터를 많이 증가시켜 줄 수 있는데, 이러면 한 이윅 장로가 공격하고 곧바로 다른 이윅장로가 공격하며 이후 바로 세 번째 이윅 장로가 부활 스킬을 사용하니 이윅 장로가 턴을 가지기 전에 최대한 빨리 처리해야 한다. 그것도 한번에. 운 없으면 혼자 살아남은 이웍 장로가 다른 이웍 장로를 부활시키는 사태를 볼 수도 있다.[65] 자신의 턴이 끝날 때마다 쇼크 상태 효과를 지닌 적 1명당 턴 미터 15%를 얻는다.[66] 제다이의 귀환에서 등장한 엑스트라 이워크 사냥꾼이다. 참고[67] 처음 추가 보호를 얻을 때는 40%지만, 다음번에는 80%, 120%가 된다.[68] 엔피스의 턴이 오기 전까지 계속 보호를 채우니 턴을 안오게 하는 골절을 걸면 안된다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니힐러스가 있으면 상황이 달라진다. 엔피스 자체도 꽤나 번거로운 캐릭터라 골절로 봉쇄하고, 다른 애들을 패면서 니힐러스의 쿨을 줄인다음 전멸로 보내버리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69] 처음에는 스톰트루퍼 한이, 다음에 한 솔로가 등장했고 긴 시간 이후 선장 한 솔로가 등장하자 얼마 안 되어 나왔다.[70] 여담으로 이 능력은 영화에서 한이 추바카의 보우케스터로 FN-2199를 날리는 장면이다.[71] 참고로 이 츄바카가 처음 등장하는 단계에서 츄바카가 버그로 2~3번 이상의 턴을 가지며 아군을 죽이는치명적인 버그가 있었으나 다행이 패치되었다.[72] 스킬 설명 문구에는 "takes a bonus turn at the start of each encounter", 즉 전투 시작 때 추가 턴을 얻는다고 되어있지만, 실제로는 전투 시작 시점의 턴 미터가 무조건 100%라서, 전투 시작 때 추가 턴을 얻는 것이다. 아레나에서 한 솔로가 있는 팀을 한 솔로가 있는 팀으로 상대해보면, 두명의 한 솔로 중 한명이 스킬을 쓸 때, 다른 한명의 턴 미터가 100%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은하전쟁 등에서 턴 미터를 미리 100% 이상 채워둔 상태의 캐릭터를 전투에 투입시키면, 한 솔로보다도 그 캐릭터의 턴이 먼저 돌아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광경을 보려면 턴 미터를 추가로 획득하는 캐릭터를 반드시 써야하고, 전투 진행에서 운도 따라야한다.[73] 쿨다운이 없는게 아니라 조건부 발동이다.[74] 2019년 다스 말락 이래 신 캐릭터 이벤트들은 거의 대부분 12기어에서 유물 이상을 준 캐릭터들로만 깨는게 가능했다.[75] 이 공격은 영화에서 B-2 슈퍼 배틀 드로이드 두 개체한데 기름을 뿌리고 비행능력으로 불을 붙히며 탈출하는 그 장면이다.[76] 광역 공격을 하더라도, 지원 공격은 공격 대상 1명에게만 가해진다. 즉, 공격 대상이 (지원 공격 전의)본공격에 의해 사망하면, 지원 공격이 낭비된다.[77] 리더 스킬을 8단계까지 업그레이드 한 다스 몰. 리더 스킬 때문에, 시스 캐릭터들의 치명타 빈도가 매우 높아진다. 자세한 것은 캐릭터 설명 부분 참조.[78] 비틀거림은 사빈 렌과 개러젭, 버프 제거는 쵸퍼와 에즈라, 디버프 대첵은 케이넌과 개러젭, 추가 보호는 케이넌과 개러젭과 에즈라, 도발은 쵸퍼와 케이넌이 가지고 있다.[79] 제타 강화 전의 몰살 능력은 광역 공격+공격 대상에게 디버프를 거는 정도다. 팀 전체의 딜량을 올려주고 노출 효과를 뿌려대며, 능력 쿨다운이 줄어드는 것은 전부 제타 강화의 효과다.[80] 기본 스킬이 피닉스 동료에게만 버프를 주었고, 고유 스킬은 동료에게 지원공격을 해주는 일이 없었다. 덕분에 피닉스 팀하고만 시너지 효과가 있는데, 피닉스 팀에 넣어봤자 기본 스킬로 팀을 강화시키는 일도 드물게 일어났었고, 도발이나 적 버프 제거는 다른 캐릭터로도 할 수가 있었다.[81] 영어 원문은 Healthiest[82] 신캐릭터가 출시됐을 때 열리는 이벤트로, 캐릭터 능력 설명을 들을 수 있으며 매우 간단하게 조각 50개를 얻을 수 있는 쉬운 이벤트다.[83] 즉 지원 공격하면 아머 손상을 걸 수 있다. 문제는 지원 공격이 가능한게 코디 특별 능력밖에 없다.[84] 클론전쟁에 등장했던 닉토족 제다이 마스터이다. 참고[85] 심지어 은하공화국 진영이 생기기 전까지는 아무런 소속도 없었다.[86] 스장 덱은 샥 티 덱의 상위호환이므로 파드메에게 쥐약인 샥 티의 특징을 대부분 공유한다. 풀업하지 않으면 오히려 파드메에게 지는 경우가 많다.[87] 하지만 최초 사용 이후에도 쉬엔 폼과의 중첩 때문에 준즉사기급 딜링을 넣을 수 있는 기술이다. 특히 레이드 보스 상대로 쓸 경우 무려 1억 딜링(!)이 나오는 장면이 확인되기도 했다.[88] 원문은 Eh, You do it. 귀찮은 일을 떠넘긴다는 느낌이 있다. 영미권에서는 이 스킬명이 웃겨서 밈 처럼 받아드려지기도 하는 듯.[89] 스타워즈에서 자주 나오는 I have a bad feeling about this가 아니라 That looks pretty bad 다. 능력의 효과를 고려하면 예감이 안 좋다 보다는 현 상황이 안좋거나, 상처나 부상의 상태가 심각하다는 의미에 가깝다.[90] 요다나 레반을 때리면 반격딜과 구원 추가 턴 때문에 역공당해 죽을 수 있으니 샨을 추천한다.[91] 정작 4년이 지난 뒤, 혼도 오나카가 최초로 라이트도, 다크도 아닌 중립 진영을 갖고 출시되었다.[92] 제 성능을 위해서 팀원에 분리주의자 드로이드가 없어야 한다.[93] C-3PO의 변형처럼 3스택이 있어도 1,2스택의 기능이 모두 적용된다[94] 사실 객관적으로 봐선 그렇게까지 쓰레기는 아니다.[95] 2021년 9월까지는 "불안정한 포스 사용자"라는 명칭이었는데, 원어명은 Unaligned Force User로 제대로 번역하자면 "무소속 포스 사용자" 정도가 적당하다. 갤오히 특유의 발번역이 또 발생한 셈. 결국 2021년 9월 30일 패치로 현재 명칭으로 바뀌었다.[96] 피해를 입으면 높은 확률로 특별 능력 쿨다운이 즉시 초기화되기 때문에 칼이 끈기 중첩을 쌓기에 좋다.[97] 이건 심지어 인게임 사운드까지 재현했다고 한다.[98] 지휘관 루크의 3번 스킬로 얻는 그 버프이다.[99] 한 솔로와 츄바카가 팀원으로 채택되면 지휘관 루크 스카이워커 덱이 순식간에 실직하게 되며, 레아가 3번 스킬로 한 솔로에게 턴을 넘긴 뒤 기본 능력을 사용하면 은하 전설을 웃도는 폭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100] 제국의 역습에서 첫 등장한 외계인이다. 클라우드 시티에서 일하는 모습을 보여줬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