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order-right: 10px solid #d20000; border-left: 10px solid #d20000" {{{#!wiki style="margin: -10px 0 -8px" | <tablebordercolor=#d20000><tablewidth=10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e600> 통계 지방 / Регион | 지방자치단체 / Општина | |
<colbgcolor=#d0d0d0,#707070><colcolor=#000,#fff> 스코페 |
| ||
북동부 | |||
폴로크 | |||
남서부 | |||
바르다르 | |||
동부 | |||
남동부 | |||
펠라고니아 | }}}}}}}}} | ||
|
유럽의 국가별 수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서유럽 | ||
| | | |
| | | |
| | | |
| | | |
| |||
| |||
중부유럽 | |||
| | | |
| | | |
| | | |
| | | |
| | | |
| | | |
동유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남유럽 | |||
| | | |
| | | |
| | | |
| 바티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유럽 | |||
| | | |
| | | |
| | | |
| | | |
| | ||
| | ||
아메리카의 수도 | 아시아의 수도 | 아프리카의 수도 | 오세아니아의 수도 |
스코페 (북마케도니아) |
|
Скопје
1. 개요
마케도니아어·세르비아어: Скопје / Skopje (스코폐)알바니아어: Shkupi (슈쿠피)
라틴어: Scupi (스쿠피)
발칸반도에 위치한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수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시절에도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였으며 1991년 9월 8일 이후에는 신생 독립국의 수도로서 북마케도니아의 경제, 정치, 문화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인구는 50만이 넘으며 북마케도니아인이 인구의 2/3을, 알바니아인이 20%를 차지한다.
도시의 이름은 철자대로 쓰면 스코폐지만, 국립국어원에서는 스코페를 표준으로 정하고 있다.# 현재 마케도니아어의 정해진 표기법은 없지만, 다만 다른 슬라브어인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러시아어, 체코어 표기법을 보면 자음에 '예'가 결합될 경우에는 '예'가 아닌 '에'라고 적도록 되어 있는데, 'Скопје'를 '스코페'라고 적는 표기도 이를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국어에서도 '자음 + ㅖ'는 [자음 + ㅔ]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고 이것이 허용 발음으로도 인정된다는 점을 반영한 듯. 그래서 북한 문화어권에서는 스꼬뼤로 적고 있다.
2. 역사
사람이 산 흔적 자체는 기원전 4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나 실질적인 스코페의 설립 시기는 기원전 4세기 '스쿠피'라는 도시명이 역사에 기록되면서부터이다. 로마 제국 시대를 거치면서 그리스인, 로마인이 모여 사는 국제 도시로 번성하기 시작하던 스코페는 395년 테오도시우스 1세 사망 이후 로마 제국이 동서로마로 완전 분할되면서 동로마 제국으로 편입되었다. 그러나 518년에 발생한 규모 M 7.5, 최대진도 12(XII)급 의 지진으로 도시 전체가 완전 파괴되었다. 그 이후 유스티니아누스 대제에 의해 복구되었다. 7세기 이후 슬라브족이 발칸반도로 넘어오기 시작하면서 다른 발칸반도 지역과 함께 스코페도 슬라브화되었고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시의 인종적 구성의 뿌리가 되었다. 그러나 슬라브화 이후 스코페는 여러 차례 불가리아 제국, 세르비아 제국 등 인접 국가들의 침입을 받으면서 주인이 여러번 바뀌었다. 그중 주목할 만한 역사적 사실은 세르비아 제국의 건국자인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이 1346년 이곳에서 대관식을 치르면서 수도로 정한 것이 있겠다. 그러나 세르비아 제국 수도로서의 그 영화도 잠시, 아나톨리아 지방에서 무섭게 세력을 뻗쳐나가며 동로마 제국을 위협하던 오스만 술탄국이 발칸 도에 진출하면서 스코페도 1392년 오스만 술탄국에게 함락되었다.오스만 제국 시대를 거치면서 17세기의 스코페는 '위스퀴프(اسکوب / Üsküb)'라는 이름으로 제국 내에서 번영했지만 종교적으로는 정교회를 비롯한 기독교가 탄압을 받고 인구 구성 면에서도 기독교를 믿는 슬라브족 자리를 이슬람으로 개종한 보슈냐크인, 알바니아인, 튀르크인, 세파르드 유대인이 대신 채웠다. 이 시기 세워진 튀르크식 건축물들은 이후 오늘날까지 스코페의 구시가를 이루게 된다. 1683년 빈에서의 패배 이후 오스만 제국이 쇠퇴하기 시작하면서 스코페도 경제적으로 퇴락하게 되고 제국이 본격적으로 몰락의 길에 접어들게 된 19세기에 이르면 스코페를 비롯한 북마케도니아 지방에서도 불가리아인을 중심으로 슬라브 민족주의 열풍이 거세게 불었다. 이후 1908년 청년 튀르크당의 봉기에 이어 1912년 발칸 전쟁이 일어나자 아직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 하에 놓여있던 스코페도 전쟁에 휘말렸다. 개전 18일이 지난 1912년 10월 26일 세르비아 왕국군이 스코페에 입성하고 세르비아 왕국이 북마케도니아 지방을 합병함으로서 스코페는 500여년 만에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세르비아의 스코페 합병 이후 대다수의 튀르크인이 추방되어 스코페는 300여년 만에 또 한번 중대한 인구 구성 변화를 맞이하고 북마케도니아인, 알바니아인이 시의 인구 대부분을 구성했다.
스코페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Σκόπια"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관찰하다" 또는 "고지대의 사람들"를 의미하는 단어와 관련이 있다. 이는 도시의 지리적 위치가 주변 경관을 쉽게 볼 수 있는 언덕이나 높은 지대에 자리잡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사람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설립되면서 스코페는 다시 한번 경제 중흥을 맞이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와중에 유고슬라비아가 나치 독일의 침공을 받으면서 스코페에 살던 유대인들이 강제 수용소[1]로 끌려가 죽음을 맞게 되는 비극이 벌어졌다. 전쟁 전 북마케도니아에 유대인 약 7800명이 살았으나 전쟁후에는 단 2%에 불과한 약 362명만이 생존했다.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유격대가 나치 독일을 몰아내면서 스코페는 나치로부터 해방되었고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성립되면서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가 된다.
유고슬라비아 시절이던 1963년 7월 26일 스코페에 또다시 규모 M 6.9, 최대진도 10(X)의 대규모 지진으로 1천여 명이 사망하고 시가지의 80%가 완파되는 대참사가 벌어졌다. 이후 시가지가 현대적인 건축 양식으로 재건되면서 스코페는 일부 구시가지를 제외하고 예전의 모습을 거의 잃었다. 재건은 국제적인 관심을 끌며 일본의 저명한 건축가 단게 겐조를 포함한 UN 건축 팀이 주도했는데, 냉전기간 중 보기 드물게 서방과 공산권 건축가들이 같이 참여했고 일본의 건축 이론이 처음으로 자국 밖에서 실현되었다. 이들은 '현재가 아닌 미래의 도시'를 목표로 브루털리즘과 메타볼리즘을 구현하고자 했다.
1991년 9월 8일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유고 연방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면서 스코페는 신생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
3. 행정 구역
스코페의 행정 구역은 10개 지자체(општини)로 이루어져 있다. 각 지자체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구 | 면적(km²) | 인구(명) | 명/km² | |
가지바바 | Гази Баба | 111 | 69,626 | 628 |
부텔 | Бутел | 55 | 37,968 | 693 |
사라이 | Сарај | 229 | 38,399 | 168 |
슈토오리자리 | Шуто Оризари | 7.5 | 25,726 | 3,439 |
아에로드롬 | Аеродром | 22 | 77,735 | 3,558 |
조르체페트로프 | Ѓорче Петров | 67 | 44,844 | 670 |
차이르 | Чаир | 3.5 | 62,586 | 17,780 |
첸타르 | Центар | 7.5 | 43,893 | 5,837 |
카르포시 | Карпош | 35 | 63,760 | 1,811 |
키셀라보다 | Кисела Вода | 34 | 61,965 | 1,810 |
스코페 | 571 | 526,502 | 921 |
스코페의 구들 중 사라이·차이르는 알바니아인, 슈토오리자리는 롬인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4. 여담
그리스-마케도니아 분쟁에서 정통성을 내세우기 위해 북마케도니아 정부에서 스코페에 동상을 대규모로 건립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시 중심가에는 거대한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세워져 있을 정도. 그러나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정부가 동상 건립에 열을 올리고 실제로 시가지 내에 동상이 지나치게 많다. 이 때문에 북마케도니아 사회 일각에서는 어려운 경제 상황에 정부가 쓸데없는 일을 벌이고 있다고 비판하는 상황이다.알바니아계인 마더 테레사의 고향이기도 하다.
일국의 수도 임에도 코소보와 인접한 국경도시다. 스코페 시가지 외곽에서 코소보까지는 불과 10km 정도 밖에 안된다. 구 유고 시절에는 같은 나라였기 때문에 국경에 가까워도 크게 상관없었다. 어차피 현재 코소보의 국력으로는 북마케도니아를 군사적으로 위협, 압력을 가할 수도 없고 코소보의 입장에서는 남쪽의 북마케도니아보다는 오히려 북쪽에 위치한 세르비아가 더 큰 주적이기 때문에 딱히 안보상으로 위협이 되지 않는다.[2]
시내버스로 2층 버스가 굴러다니는 몇 안되는 도시인데, 사실 여기서 굴러다니는 2층 버스들은 중국에서 만든 런던 루트마스터의 짝퉁이다 (...)
[1] 대표적으로 트레블링카 절멸수용소에 대부분 죽음을 맞이하였다.[2] 비슷한 예로 카자흐스탄이 있다. 구 소련 밑에 있었을 때는 수도가 키르기스스탄 국경과 가까운 알마티 였다. 마찬가지로 구 소련 시기에는 별 다른 문제가 없었지만 독립 이후 안보 문제와 효율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수도를 아스타나으로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