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908 Steyr-Pieper M1908 슈타이어-피퍼 M1908 | |||
<nopad> | |||
M1908 | |||
<nopad> | |||
M1909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자동권총 | ||
원산지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09년~1939년 | ||
개발 | 니콜라스 피퍼 | ||
생산 | 슈타이어 만리허 | ||
생산년도 | 1909년~1911년[A]/1915년[B] 1919년~1929년[A]/1933년[B] | ||
생산수 | 60,000정[A] 130,500정[B] | ||
단가 | 40[A]/36[B]마르크 (1913년 기준) | ||
사용국 |
| ||
사용된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 ||
기종 | |||
파생형 | M1909 | ||
세부사항 | |||
탄약 | .32 ACP[A] .25 ACP[B] | ||
급탄 | 7발들이 박스탄창[A] 6발들이 박스탄창[B] | ||
작동방식 | 블로우백 싱글 액션 | ||
총열길이 | 92mm[A] 57mm[B] | ||
전장 | 162mm[A] 125mm[B] | ||
중량[17] | 630g[A] 300g[B] | }}}}}}}}} |
1. 개요
설명 영상 | 작동 원리 및 분해 영상 |
2. 상세
니콜라스 피퍼는 독일 출신의 기계공 앙리 피퍼[20]의 둘째 아들로, 1870년 리에주에서 태어났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 사이 리에주는 총기 생산의 중심 도시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는데, 한창 때에는 전 세계 생산 총기의 절반 이상이 리에주에서 생산된 것으로 추정될 정도였다. 앙리 피퍼는 리에주 내에서도 독보적인 위치였는데, 벨기에에서 가장 거대한 무기 공장의 소유주일 뿐만 아니라 훗날 FN 에르스탈이라고 불리는 국립 조병창의 창립 멤버였기 때문이다. 그의 사업은 더욱 다각화되어 자전거, 전기, 가스 및 전기자동차에까지 뻗어가고 있었으며, 앙리 피퍼 사망 이후에는 니콜라스를 포함한 3명의 아들들이 물려받았다. 그러나 3형제가 운영한 회사는 경영난을 겪었고, 1905년 이사회는 그 책임을 물어 니콜라스와 그의 형제 에두아르를 축출했다.아버지의 회사에서 쫒겨난 니콜라스 피퍼는 같은 해 리에주 교외에 자신의 이름을 딴 회사(Fabrique d'armes automatiques Nicolas Pieper)를 설립하고 자신이 발명한 자동권총을 생산하고자 했으나 그의 사업은 독자적인 대량생산 라인을 가지기에는 너무 영세했다. 다행히도 니콜라스는 전 회사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슈타이어 암즈 경영진과의 친분이 있었고, 슈타이어는 그의 이름을 딴 권총을 생산할 수 있게 해 주는 등 편의를 봐주었으며 나중의 그의 설계를 자체적으로 개량할 권리를 취득했다.
니콜라스 피퍼가 설계한 권총은 1905년에 이미 특허 출원되었던 장 워넌트(Jean Warnant)의 설계를 기반으로 했는데, 분리형 총열이 가장 큰 특징이었다. 워넌트의 원래 설계는 S&W M3처럼 총열이 탑 브레이크 방식으로 열리게 되어 있었는데, 피퍼가 처음 설계한 모델은 상부 슬라이드가 통째로 분리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피퍼의 총열 분리형 독자 설계는 모델 O로 불렸고, 워넌트의 총열 꺾임식 설계는 모델 P로 불렸다. 슈타이어가 구매한 피퍼의 설계는 모델 P이다. 따라서 슈타이어가 생산한 모델과 피퍼가 자신의 회사에서 생산한 모델은 그 구조가 상이한데, 계약 상 동일한 구조의 총기를 생산하지 않는다는 조건이 포함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M1908과 M1909 권총은 1909년에 슈타이어에서 생산되기 시작했으며, 1913년 당시 가격으로 각각 40마르크, 36마르크로 저렴한 가격이 아니었음에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및 경찰에서 특히 많이 구매하는 등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M1908은 1911년, M1909는 1915년 생산이 중단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19년에 생산이 재개되었다가 M1908은 1929년, M1909는 1933년에 단종되었다.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M1909
- V kvadrate 45
- World of Guns: Gun Disassembly
4. 참고 자료
5. 둘러보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54616c> 슈타이어 암즈의 제품 라인업 | ||
자동권총 | 만리허 권총 · M1907 · M1908 · M1909 · M1912 · GB · M 시리즈 | ||
기관단총 | MP34 · MPi 69 · TMP | ||
소총 | <colbgcolor=#54616c> 단발 | 벤츨 소총 · 베른들 M1867 · IWS-2000 · HS.50 | |
볼트액션 | 크로파첵 소총 · 만리허 소총 · 게베어 1888 · M1912 · VG-5 · SSG 69 · 스카웃 · SSG 08 | ||
자동 | StG 58 · AUG · ACR · STM556 | ||
기관총 | 슈바르츠로제 기관총 · MG30 | ||
관련 인물: 페르디난트 만리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