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세계 대전기의 동맹국 보병장비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b8a176,#897147> 제1차 세계 대전 동맹군의 보병장비 · · · |
개인화기 | <colbgcolor=#b8a176,#897147> 볼트액션 소총 | Gew71, 베르단, 그라 M1874, 크로파첵 M1881, M1893, Gew88, 마우저 M1890, 마우저 M1893, Gew98, 마우저 M1903, M1886, M1888, M1890, M1893, M1895, 만리허-쇠나워, 슈타이어 M.14, 모신나강 M1891 |
후미회전식 / 레버액션 / 리프팅블록 / 폴링블록 / 트랩도어 | 벤츨 M1854/67 & M1862/67, 베른들-홀룹 M1867, 스나이더 Mk.III, 마티니-헨리, 윈체스터 M1866, 크른카 M1867 |
반자동소총 | 젤프스트라더 M1906E, 몬드라곤 M1908, 젤프스트라더 M1916 |
기관단총 / 기관권총 | 헬리겔 1915E, M1912/P16, MP18, 슈바르츠로제 기관단총E |
권총 | <colbgcolor=#b8a176,#897147> 리볼버 | 가서 M1870, 라이히 M79, M83, 마우저 C78, 라스트&가서 M1898, 나강 M1895, S&W M3 |
자동권총 | 보르하르트 C93, 마우저 C96, FN M1900, 만리허 M1901, 만리허 M1905, FN M1903, 드라이제 M1907, 로트-슈타이어 M1907, 루거 P08, 마우저 M1910, 베르크만 M1910, 슈타이어 M1912, 프로머 슈토프, 베홀라 M1915, 마우저 M1914 |
조명탄 권총 | M1894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마드센 M1902, 호치키스 M1909, MG15nA, MG08/15, MG14/17, MG08/18, M.17, M.18 |
중기관총 | 몽티니, 호치키스 M1900, 스코다 M1909, 슈바르츠로제 M.07/12, MG08, MG14, 가스트 기관총 |
수류탄 | M15, M16, M17, 파이프 수류탄 |
대전차화기 | 탕크게베어 M1918, 집속수류탄 |
화염방사기 | 벡셀아파라트 M1917 |
박격포 | 그라나트베르퍼 16, 미넨베르퍼 |
※ 윗첨자E: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무기체계 둘러보기 : · · · | 대전기 보병장비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