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군의 명칭별 부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보병부대 | 수색부대 | 특공부대 | 공수부대 | 기동부대 |
특수부대 | 정찰부대 | GOP부대 | 경비부대 | 파병부대 | |
포병부대 | 기갑·기보부대 | 공병부대 | 통신부대 | 정보부대 | |
군수부대 | 수송부대 | 정비부대 | 탄약부대 | 화생방부대 | |
방공부대 | 항공부대 | 의무부대 | 방첩부대 | 군사경찰부대 | |
근무지원부대 | 행정부대 | 기행부대 | 군악부대 | 산악부대 | |
신병교육부대 | 예비군부대 | 훈련부대 | 군사학교 | ||
독립대대 | 독립중대 | 보충중대 | 예비대 |
1. 개요
수송부대는 수송을 담당하는 부대이다. 줄여서 수송부라고도 한다. 운전병, 차량 정비병 및 이들을 아우르는 수송 특기 간부들이 있으며, 수송관이 대장을 맡고 있다. 부대에 따라 일반 장비를 운전하는 조종수 역시 간간히 수송부에서 일과를 수행하는 경우도 있다.참고로 구한말과 구 일본군, 그리고 이들의 체제를 받아들인 국군에선 군수 및 이를 운반한다는 의미를 싸잡아 치중(輜重), 이를 전담하는 수송부대를 치중대(輜重隊)로 부르기도 한다. 자세한 건 병참 문서로.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모두 수송을 담당하는 부대가 있으며, 소속된 부대나 그 규모에 따라 역할이나 명칭, 편성도 제각각이다.
2. 수송부대 목록
2.1. 국직부대
- 국군수송사령부: 국방부 직할부대로 국군의 군수물자 수송 및 병력이동이 주된 임무이기에 업무상 각군 군수사령부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 국방부 근무지원단/정비수송대대: 국방부 근무지원단 부대로 국방부, 합참의 수송업무를 전담한다.
- 계룡대 근무지원단/수송대대: 계룡대에 주둔한 3군 본부 및 예하 부대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부대로 계룡대 근무지원단이 있다.
- 자운대 근무지원단/수송대대: 자운대에 위치.
2.2. 대한민국 육군
- 기행부대
- 전투부대
- 각 사단 수송대대: 사단급은 대대 규모의 보급수송대대가 직할대로 편성되어 예하 부대들에 보급 겸 차량 지원을 하고 있다. 다만 이 이상급부턴 군수부대로 분류된다.
- 각 여단 수송대: 여단급은 군수지원대대가 편성되어 예하 부대들에 보급 겸 차량 지원을 하고 있다.
- 각 연대 수송대: 연대급은 중대 규모의 수송대가 직할대로 편성되어 예하 부대들에 보급 겸 차량 지원을 하고 있다.
- 각 포병대대 수송부: 자주포병이 아닌 견인포병대대의 경우 대대특성상 포를 끌고 각종 지원(FDC,유선가설,측지 등)을 위해 ABC 각 포대에 1개 분대급의 수송분대 및 본부포대 안에 1개 소대 규모의 수송부가 설치된다. 대대 전체의 차량 보유 수는 50-60대 내외.
2.3. 대한민국 해군
- 진해기지사령부 시설전대, 근지전대: 재진지역 함정 및 부대의 수송지원
- 각 함대 공병대대
2.3.1. 대한민국 해병대
2.4. 대한민국 공군
2.4.1. 비행단
대한민국 공군의 경우에는 비행단의 경우(전투비행단, 기동비행단 모두 포함)에는 작전지원전대 산하 수송대대로 존재한다. 비행단 규모가 규모니만큼 많은 수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비행단 안에 있는 다른 부대(대대나 전대 등)에서 운용하는 차량도 관리한다. (즉, 비행단 내에 부대가 많다면 수송대대의 업무량도 그만큼 많다.)공군공중전투사령부와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부 산하 비행단의 경우 수송대대 안에 일반차량운영중대, 작전차량운영중대, 정비중대가 있다. 정비중대는 차량정비를 담당하며[1] 일반차량운영중대는 부대 내 운전 및 비행단과 관련된 장거리 수송 업무를 담당하는 중대이다. 작전차량운영중대는 라인(활주로) 내 조종사 수송 및 항공기 장비 수송 업무를 담당한다. 비전투비행단 작전중대는 근무가 편한 경우가 많다.
일반차량운영중대와 정비중대는 라인 밖에서 근무하고 통합생활관에서 생활하며, 작전차량운영중대는 라인 안에서 근무하고 라인 안에 있는 산재생활관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작전차량운영중대 병사들은 일반차량운영중대와 정비중대 소속 운전병, 정비병들과 만날 기회가 거의 없으며, 사실상 서로 아저씨 같은 존재나 다름이 없다. 분위기도 다르고 작전중대는 일반중대보다 분위기가 좋은 경우가 많다. 보통은 정비중대가 분위기가 좋지 않은 경우가 상당히 많아 통합생활관은 악폐습이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1비, 19비, 20비를 비롯한 대부분의 비행단이 이런 형태이다.
그러나 통합생활관에서 일반중대, 작전중대, 정비중대 병사들이 모두 함께 생활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일반중대와 작차중대는 근무 지역의 차이(라인 외부, 라인 내부)로 인해 마주칠 일이 적긴 하지만, 생활관은 같이 쓰기에 선후임 대우는 하면서 지내고 경우에 따라 악폐습에 시달리는 경우도 있다. (즉, 생활관 여건은 비행단마다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3훈비, 38전투비행전대가 이런 형태이다.
아니면 수송대대 병사들 모두가 산재생활관에서 생활하되, 일반중대와 정비중대 병사들은 라인 밖 수송대대 산재생활관에서, 작전중대 병사들은 라인 안 산재생활관에서 따로 생활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앞서 말한 것처럼 작전중대원들과 일반중대 및 정비중대원들이 전역 때까지 거의 일면식도 없이 따로 살게 되며, 라인 안에서 생활하는 작전중대 병사들은 보급대대 유류관리중대 항공급유반에 소속된 항공기급유차운전병들과 함께 지낼 수도 있다. 8비와 11비가 이런 형태다.
수송대대에는 주로 일반차량운전특기와 차량정비특기 병이 배치되며, 그 외에 특수차량운전특기 중 일부 특기(지게차, 항공기 견인차량)도 배치된다. 이 중 항공기 견인차 특기는 무조건 작전차량운영중대 소속이 된다. 그 외에 특수차량특기 중 항공기 유류보급차량운전, 지게차운전 특기는 비행단으로 자대배치를 받으면 수송대대가 아닌 보급대대 소속이 된다. 물론 이것도 부바부여서, 지게차 특기는 운이 좋으면 일반차량특기처럼 수송대대에서 운전하는 경우도 있다.
방공포차량운전특기는 각 비행단의 여건에 따라 영구파견 등의 형태로 수송대대가 아닌 대공방어대 소속이 되기도 한다. 20비의 경우에는 방공포차량특기 운전병은 수송대대 소속이며, 생활관은 수송대대에서 근무는 주로 대공방어대에서 하고 ORE, ORI훈련도 대방대에서 한다. 물론 대방대 병사간에는 아저씨 관계이다. 사람이 부족하면 일차특기도 대방대 근무를 뛰기도 하며, 운이 없으면 방공포차량 특기도 대방대와 일차중대 배차를 겸해서 뛰기도 한다.
비행단에 따라서는 대공방어대가 없는 대신 군사경찰대대 산하 휴대용유도탄소대가 그 역할을 맡기도 한다. 후방에 위치하거나 비전투부대가 이에 해당하는데 대표적으로 1비, 3훈비, 5비, 16비, 38전대에서 이러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방공포차량 특기는 군사경찰대대 쪽으로 출퇴근하면서 배차한다.
일반차량중대의 경우, 일반차량 특기라도 지게차 면허를 따서 지게차 배차를 나가거나, 대공방어대 운전병이 되는 경우가 생긴다. 사람이 부족해서 이러는 경우가 꽤 된다.
공군작전사령부의 경우 공군작전사령부 근무지원단 예하부대인 수송대대로 편성된다. 제38전투비행전대 같이, 단독으로 있음에도 단급 부대가 아니라 전대급 부대인 경우에는 수송대대가 아닌 수송중대로 편성되기도 한다. (즉, 단급 부대에서는 전대 예하 수송대대로, 전대급 부대에서는 대대 예하 수송중대 이런 식으로 한 단계씩 축소된다고 보면 된다.)
- 수송대대
- 운영통제실 - 운영병[2]
- 일반차량운영중대 - 일반차량운전병·특수차량운전병·방공포차량운전병[7] or 버스운전병·트럭운전병·경차량운전병[8] or 지휘관차량운전병[9]
- 중대본부 - 중대 행정지원병
- 경차량반 - 주로 승용차와 1t 트럭 등 소형 차량을 관리한다.
- 종합차량반 - 주로 중형·대형버스 차량을 관리한다. 이곳에서 기지버스를 운행한다.
- 특수차량반 - 주로 5t·9t 중대형 트럭이나 트레일러 트럭, 지게차, 렉카(자동차용 견인차), 기타 군용 차량을 관리한다.
- 작전차량운영중대
- 중대본부 - 중대 행정지원병
- 정비지원반 - TUG 또는 토잉카라고 하는, 항공기를 견인하는 견인차(군용차)들을 관리한다.
- 비행지원반 - 조종사들을 실어나르는 콤비라 부르는 중형버스들을 관리한다.
- 정비중대
- 중대본부 행정병
- 예방정비반 - 비행단 내 소속 차량들의 차량점검과 도장작업과 같은 업무들을 담당한다.[10]
- 차량정비반 - 비행단 내 소속 차량정비 업무를 담당한다.
- 보급대대 유류관리중대
- 항공급유반 - 옛 명칭은 '항공유류지원반(유지반)'. 주로 비행기에 연료를 보급한다. 이 외에도 여러가지 유류 관련 업무를 지원한다.
- 장비정비대대 탄약중대
- 여기에도 지게차 운전병이 배속된다. 다만 이곳으로 전입 온 지게차 운전병은 수송대대 소속이 아니며, 장비정비대대 소속이다.
배차실은 차량 요청 (일명 배차)를 받아서 차량 과/또는 운전병을 근무 편성하는 곳이다. 또한 비행단 내 모든 부서 (파입 부대 포함)의 운행증을 관리한다. 부대마다 다를 수도 있지만 일명 주유소를 관리하는 '유류계' 업무도 겸한다. 작전차량운영중대의 경우, 배차실을 거치지 않고 직접 중대에서 차량 배차를 관리하기도 한다. 배차병, 유류병은 운전병 특기에서 선발하며, 일부는 운영실 행정병으로 가기도 한다.
수송대대 중 작전중대는 악폐습이 적은 편이지만 일반중대는 차량정비병의 영향으로 악폐습이 꽤 있는 편이다.
2.4.2. 포대와 레이더 사이트
방공관제사령부 산하 레이더 사이트나 미사일방어사령부 산하 포대의 경우 부대 크기가 소규모라 기지중대 산하 수송반으로 존재하고 있다. 특기의 경우 주로 방공포차량특기가 배정되며 가끔식 일반차량특기 또는 특수차량특기가 배정되기도 한다. 보통 산 위가 아닌 소위 '행정지역' 이라고 불리는 산 아래에 보급반과 함께 자리하는 경우가 많다. 2010년대 중반까지는 수도권 북부 지역 일부 부대는 거리가 가까워 서로 다른 포대의 수송반이 같은 지역에 함께 거주하며 선후임 대우를 하며 지내기도 했지만, 호크 미사일을 전량 교체하며 점차 작전지역으로 올라가는 수송반도 많아지고 있는 듯. 물론 후방은 기본적으로 부대 운영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결국엔 복불복 근무를 서게된다. 인원이 적고 특기에 관격없이 배차를 나가게 되며, 비행단에 비해 배차가 적은 편이다.- 기지중대 수송반
3. 해외의 수송부대
4. 여담
육군을 기준으로 일반 운전병이 수송부대에 배치받으면 아주 높은 확률로 일반 보병부대 등에 배치받은 운전병보다 힘든 군생활을 하게 된다. 대대의 경우 운전병이 몇 없으므로 잡일을 잘 시키지 않으나 수송부대에서는 남는 게 운전병이므로 그냥 일반 보병이나 다를 바 없어지기 때문.독자적인 운전병들이 아닌 정보통신대대나 본부대 등지의 운전병들로 구성되어 있는 수송부도 있는데, 여기서는 아저씨가 통용되지 않는다. 같은 수송부 소속 운전병들끼리는 비록 실제 소속된 대대나 중대가 다르다고 한들 매일 보면서 같이 일하는 사이이기 때문. 수송부 한정 사실상 같은 부대인 거나 마찬가지기도 하다.
5. 관련 문서
[1] 수송대대 소속 군차량 뿐 아니라 기지내 다른 부대에 있는 군차량까지 모든 군차량을 정비한다.[2] 운영통제실에는 운영통제실 본부와 행정계, 배차실이 포함된다. 행정계와 배차실(배차계)은 편제상 운영통제실 소속이지만 업무공간은 따로 떨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운영통제실] 편제상 운영통제실 소속.[4] 보통 운영통제실과는 따로 떨어진 사무실에서 업무 처리를 한다. 병사 직책 구분에 따르면 운영통제실 본사무실에서 근무하는 병사를 '운영병', 행정계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행정계원을 '행정병'이라고 칭한다.[운영통제실] [6] 배차실(배차계)에 소속된 병사(배차계원)들은 배차 관리뿐 아니라 차량 주유를 지원하기도 한다. 사실상 모든 배차계원들이 두 업무 모두를 할 수 있고 실제로 하게 되지만, 업무 편제상 직책이 두 가지로 구분된다.[7] 보통 중대 소속 각 반이 형식적인 편제 구분에 불과할 때 병사 직책을 이렇게 지칭한다. 이 경우 반 편제는 실제 운전하는 차량의 차종과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보통 소형차 영내 운전교육·평가·운행부터 시작해 대형차 영외 운전교육·평가·운행까지 단계별로 성장시키는 시스템을 운용한다. 다만 방공포차량운전병은 소속만 일반차량운영중대이고, 예외적으로 대공방어대에 영구적 혹은 주기적으로 파견되어 중소형 군용차를 운행한다. 또 특수차량운전병은 일반 차량 외에 지게차 운전교육을 추가로 받고 지게차 배차를 나갈 수도 있다.[8] 중대 소속 각 반이 실질적인 편제 구분일 때 병사 직책을 이렇게 지칭한다. 이 경우 반 편제는 실제 운전하는 차량의 차종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이며, 특정 차종을 곧바로 운전교육받고 평가를 통과한 뒤 별다른 일이 없으면 전역할 때까지 그 차종의 차량만 몰다 군생활을 마치게 된다. 세 부류 중 가장 근무와 운행이 많은 건 단연 버스운전병이며, 1종 대형 운전면허를 소지하고 있거나 운전 실력이 뛰어난 병사들이 주로 배정된다. 야간 당직근무와 기지 순찰 운행은 경차량운전병이 도맡아 하는 경우가 많다.[9] 일명 'VIP 운전병'. 비행단장과 각 전대의 전대장 등 소위 '높으신 분'들을 모시는 차량을 운전하게 되는데, 이 경우 그 높으신 분들의 하루 일과에 거의 대부분 동행한다. 따라서 자신이 모시는 높으신 분의 성향과 업무 스타일에 따라 힘들 수도 있고 매우 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타 동료 운전병들에 비해 대체로 꿀보직인 경우가 많아 꿀벌 소리를 들으며 생활할 가능성이 높다. 기지 내 부지를 공유하는 특정 파입부대에 고위급이거나 중요한 간부들이 소속된 경우, 해당 인원들의 인솔을 도맡는 VIP 운전병 보직이 추가로 있을 수도 있다.[10] 도장 작업의 경우 도장반이 따로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