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4 17:33:00

세계 대학생 토론대회

파일:korea wudc 2021.jpg
세계 대학생 토론대회(WUDC)
개최 연도 1981~

1. 개요2. 진행 방법3. 역사
3.1. 개최3.2. 역대 대회3.3. 역대 우승 대학
4. Korea WUDC 2021
4.1. 공식 영상

1. 개요

World Universities Debating Championship, WUDC.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글래스고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미국의 하버드 대학교, 예일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다트머스 대학교, 브라운 대학교, 코넬 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호주의 시드니 대학교, 멜버른 대학교, 호주국립대학교, 모내시 대학교,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퀸즐랜드 대학교, 애들레이드 대학교, 캐나다의 토론토 대학교, 맥길 대학교,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싱가포르의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난양 공과대학교, 싱가포르 경영대학교, 아일랜드의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뉴질랜드의 오클랜드 대학교, 남아공의 케이프타운 대학교 등 전세계적 연구중심 대학의 학생들이 정기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1주일 간의 대회 기간동안 정치, 경제, 문화, 종교, 철학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토론을 진행한다.

최근 WUDC에는 약 80개국에서 400개의 팀이 참가하였다. 토론을 심판하는 judges와 대회 주최위원들을 고려한다면 통상 약 500에서 1,000여명의 사람들이 참여한다.

2. 진행 방법

매년 개회식 이후 3일~4일에 걸쳐 9 라운드로 구성된 예선전을 진행한다. 12월 31일까지 예선 라운드가 진행되며 새해 이브에는 본선에 진출하는 32개의 팀을 발표한다. 32개의 팀은 8강, 4강, 준결승, 결승의 순서로 토너먼트를 진행해 가며 최후의 챔피언을 발탁하게 된다. 영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는 사람들끼리 겨루는 'ESL'[1] 라운드와 영어를 외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끼리 겨루는 'EFL'[2] 라운드가 별개로 존재한다.

3. 역사

3.1. 개최

1981년 1월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대학교의 주최로 시작하였으며, 매년 세계 대학교 토론 협회에 의해 지정된 국가의 대학 및 단체가 대회를 개최한다.

대회는 통상 크리스마스 다음날 부터 시작된다. 이는 맨 처음 WUDC가 북반구의 국가들에 의해 창립되었을 때 성탄절가 휴일인 관계로 대회를 열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재는 크리스마스를 국경일로 정하지 않는 국가도 이 관습에 따라 크리스마스 며칠 후로 WUDC 개최 기간을 정한다. 12월 말부터 1월 초까지 대회가 진행되며 대회명은 1월달의 연도를 기준으로 한다. [3] 한국 디베이트코리아가 주최한 2021 WUDC는 2020년 12월 27일 부터 2021년 1월 4일까지 고양시 킨텍스에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연기되어 2021년 7월 킨텍스에서 개최되었다[4]. 이어 2022년 7~8월 베오그라드에서 개최된[5] 2022 WUDC까지 여름에 진행되었고, 2022년 12월 ~ 2023년 1월 마드리드에서 진행된 2023 WUDC부터 대면 전환과 함께 다시 기존의 겨울 일정으로 변경되었다.

3.2. 역대 대회

연도 개최 도시 주최 기관 우승 학교 결승 진출 팀 최우수 화자
2025 파나마, 파나마시티 파나마 토론 협회 다트머스 대학교 베이츠 대학교 A, 시드니 대학교 B, 옥스퍼드 대학교 C 매튜 투미 (시드니 대학교)
2024 베트남, 호찌민 FPT 대학교, RMIT 옥스퍼드 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A, 베오그라드 대학교 A, 시드니 대학교 B 테자스 수브라마니암 (스탠퍼드 대학교)
2023 스페인, 마드리드 레이 후안 카를로스 대학교, 마드리드 대학교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B, 텔아비브 대학교 A, 소피아 대학교 A 하다르 골드버그 (텔아비브 대학교)
2022 온라인 개최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대학교 브라크 대학교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 A, 프린스턴 대학교 B,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A 맷 케이토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2021 온라인 개최 대한민국 디베이트 코리아 자그레브 대학교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 1,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B,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 2 틴 풀리치 (자그레브 대학교)
2020 태국, 방콕 아썸션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베오그라드 대학교 A, 맥쿼리 대학교 B, 예일 대학교 A 리 친 위 (옥스퍼드 대학교)
2019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케이프타운 대학교 시드니 대학교 코넬 대학교 B, 시드니 대학교 A, 자그레브 대학교 A 제임스 스트래튼 (시드니 대학교)
2018 멕시코, 멕시코시티 멕시코 토론 협회 하버드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A, 스탠퍼드 대학교 A, 시드니 대학교 C 댄 라하브 (텔아비브 대학교)
2017 네덜란드, 헤이그 네덜란드 토론 협회 시드니 대학교 예일 대학교 A, 옥스퍼드 대학교 A, 베이츠 대학교 A 래피 마샬 (옥스퍼드 대학교)
2016 그리스, 테살로니키 그리스 토론 협회 하버드 대학교 토론토 대학교 A, 시드니 대학교 B, 베오그라드 비즈니스경제창업학부 A 마이클 던 고에크지안 (베오그라드 비즈니스경제창업학부)
2015 말레이시아, 샤알람 말라야 기술 대학교 시드니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A, BPP 대학교 A, 하버드 대학교 A 아시쉬 쿠마르 (케임브리지 대학교)
2014 인도, 첸나이 라잘락쉬미 공과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시드니 대학교 B, 글래스고 대학교 A, 케임브리지 대학교 B 엘리노어 존스 (시드니 대학교)
2013 독일, 베를린 베를린 토론 연합 모내시 대학교 오타고 대학교 A, 시드니 대학교 B, 오클랜드 대학교 A 크리스 비셋 (모내시 대학교), 팸 콘 (런던 대학교)
2012 필리핀, 마닐라 데 라 살레 대학교 모내시 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A, 옥스퍼드 대학교 B, 시드니 대학교 B 벤 울가 (옥스퍼드 대학교)
2011 보츠와나, 가보로네 보츠와나 대학교 모내시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A, 시드니 대학교 A,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A 빅터 핑켈 (모내시 대학교)
2010 터키, 이스탄불 코치 대학교 시드니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A,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A, 옥스퍼드 대학교 A 리 셩우 (옥스퍼드 대학교)
2009 아일랜드, 코크 코크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모내시 대학교 B, 하버드 대학교 A, 옥스퍼드 대학교 C 나오미 오렙 (시드니 대학교)
2008 태국, 방콕 아썸션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모내시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시드니 대학교 샘 블록 (케임브리지 대학교)
2007 캐나다, 밴쿠버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시드니 대학교 퀸즐랜드 대학교 A, 케임브리지 대학교 C, 옥스퍼드 대학교 D 제스 프린스 (옥스퍼드 대학교)
2006 아일랜드, 더블린 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토론토 대학교 예일 대학교 A, 이너 템플, 시카고 대학교 A 로리 길리스, 베스 오코너 (예일 대학교)
2005 말레이시아, 사이버자야 멀티미디어 대학교 오타와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A, 옥스퍼드 대학교 D, 토론토 대학교 B 카일리 레인 (모내시 대학교)
2004 싱가포르 난양 공과대학교 미들 템플 시드니 대학교 A, 싱가포르 경영대학 A, 이너 템플 알렉스 크로프트 (시드니 대학교)
2003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텔렌보스 스텔렌보스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모내시 대학교 B, 케임브리지 대학교 A, 멜버른 대학교 A 탄 우 멩 (케임브리지 대학교)
2002 캐나다, 토론토 토론토 대학교 뉴욕 대학교 더블린 대학교, 모내시 대학교 A, 더럼 대학교 B 이완 스미스 (옥스퍼드 대학교)
2001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글래스고 대학교 시드니 대학교 런던 대학교, 킹스 인스, 시드니 대학교 B 폴 허니어 (시드니 대학교)
2000 호주, 시드니 시드니 대학교 모내시 대학교 더블린 대학교, 글래스고 대학교 A, 라번 대학교 앤디 키드 (옥스퍼드 대학교)
1999 필리핀, 마닐라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 모내시 대학교 시드니 대학교 E, 옥스퍼드 대학교, 시드니 대학교 B 앤디 키드 (옥스퍼드 대학교)
1998 그리스, 아테네 데리 대학교 그레이스 인 옥스퍼드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 웨스턴 온타리오 대학교 닐 셸던 (그레이스 인)
1997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텔렌보스 스텔렌보스 대학교 글래스고 대학교 런던 대학교, 그레이스 인, 에든버러 대학교 앤디 조지 (그레이스 인)
1996 아일랜드, 코크 코크 대학교 맥쿼리 대학교 미들 템플, 시드니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 아담 스펜서 (시드니 대학교)
1995 미국, 프린스턴 프린스턴 대학교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치트라 제나다난 (난양 공과대학교)
1994 호주, 멜버른 멜버른 대학교 글래스고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바사 대학교, 오클랜드 대학교 벤 리처즈 (모내시 대학교)
1993 영국, 옥스퍼드 옥스퍼드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토론토 대학교 B, 호주국립대학교 A, 맥쿼리 대학교 A 대니얼 물리노 (호주국립대학교)
1992 아일랜드,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글래스고 대학교 호주국립대학교, 시드니 대학교 A, 시드니 대학교 B 제임스 훅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리처드 더글러스 (호주국립대학교)
1991 캐나다, 토론토 토론토 대학교 맥길 대학교 달하우지 대학교 스티브 비바스 (옥스퍼드 대학교)
1990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글래스고 대학교 예일 대학교
1989 미국, 프린스턴 프린스턴 대학교 시드니 대학교 토론토 대학교 존 개스틸 (스워스모어 칼리지)
1988 호주, 시드니 시드니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프랜시스 그린슬레이드 (애들레이드 대학교)
1987 아일랜드, 더블린 더블린 대학교 글래스고 대학교 마이클 홀 (옥스퍼드 대학교)
1986 미국, 뉴욕 포드햄 대학교 코크 대학교 브루스 미어 (시드니 대학교)
1985 캐나다, 몬트리올 맥길 대학교 킹스 인스 브라운 대학교 애슐리 블랙 (시드니 대학교)
1984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에든버러 대학교 시드니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데이비드 셀러마이어 (시드니 대학교)
1983 미국, 프린스턴 프린스턴 대학교 글래스고 대학교 오클랜드 대학교
1982 캐나다, 토론토 토론토 대학교 오클랜드 대학교 스튜어트 버그 (오클랜드 대학교)
1981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글래스고 대학교 토론토 대학교 맥길 대학교 앤드루 테일러 (토론토 대학교)

3.3. 역대 우승 대학

순위 국가 학교 총 우승 횟수 우승 연도
1 파일:호주 국기.svg 시드니 대학교 8 2019, 2017, 2015, 2010, 2007, 2001, 1989, 1984
2 파일:영국 국기.svg 옥스퍼드 대학교 5 2024, 2020, 2009, 2008, 1988
2 파일:호주 국기.svg 모내시 대학교 5 2013, 2012, 2011, 2000, 1999
2 파일:영국 국기.svg 글래스고 대학교 5 1997, 1994, 1992, 1987, 1983
5 파일:미국 국기.svg 하버드 대학교 4 2018, 2016, 2014, 1993
6 파일:캐나다 국기.svg 토론토 대학교 2 2006, 1981
7 파일:영국 국기.svg 케임브리지 대학교 1 2003
7 파일:미국 국기.svg 예일 대학교 1 1990
7 파일:호주 국기.svg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1 1995
7 파일:캐나다 국기.svg 맥길 대학교 1 1991
7 파일:미국 국기.svg 다트머스 대학교 1 2025
7 파일:미국 국기.svg 뉴욕 대학교 1 2002
7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오클랜드 대학교 1 1982
7 파일:호주 국기.svg 맥쿼리 대학교 1 1996
7 파일:캐나다 국기.svg 오타와 대학교 1 2005
7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코크 대학교 1 1986
7 파일:필리핀 국기.svg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 1 2023
7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자그레브 대학교 1 2021
7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브라크 대학교 1 2022
7 파일:영국 국기.svg 그레이스 인 1 1998
7 파일:영국 국기.svg 미들 템플 1 2004
7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킹스 인스 1 1985

4. Korea WUDC 2021

한국 월즈는 1981년 WUDC의 개최 이래 최초로 동북아시아에서 개최한다. WUDC는 한국 학생들이 전세계 토론 단체들과 교류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행사로서, 전지구적 문제에 대해 직접 생각해보게 하고, 의사소통 능력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사단법인 디스커버코리아 의 산하 단체인 디베이트코리아가 주최한다.

관광공사, 세계대학생토론대회(WUDC) 2021년 한국 유치
공사는 동북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이번 대회가 향후 지구촌을 이끌어 나갈 미래 지도자들에게 한류 발신지로서의 한국의 매력을 발산하고, 한반도 평화 무드를 매개로 한 대표적인 평화 관광지로 각인시키는 등 국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계 대학생 영어 토론대회' 국내서 열린다
그동안 대회는 호주와 싱가포르, 필리핀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영어권 도시에서 주로 열렸다. 1994년부터 대회에 참가한 한국은 지난해 12월 39회 대회 현장에서 유치 활동을 펼친 데 이어 올 1월 전체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투표를 통해 41회 대회 개최지로 선정됐다. 대회는 2020년 12월 27일부터 2021년 1월 4일까지 9일 동안 경기 고양 킨텍스 전시장에서 열린다. 대회 주최·주관사인 디베이트코리아 측은 한국 대회에 75개국 480개 팀, 2000여 명(외국인 1500명)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21년 세계대학생토론대회, 동북아 최초로 한국 유치
세계대학생토론대회(WUDC)는 1981년 영국에서 시작된 이래 매년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개최돼 왔으며,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고 유서 깊은 토론대회 중의 하나로 평가받는다. 그간 호주, 싱가포르, 필리핀 등 아시아태평양 영어권 국가 중심으로 몇 차례 행사가 열렸으나, 동북아시아에서의 개최는 이번이 처음이다.

자세한 사항은 디베이트코리아세계 대학생 토론대회를 참조

4.1. 공식 영상


[1] English as a Second Language[2]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3] 단, 코로나19로 인해 2021년 대회가 연기되어 2021, 2022 WUDC는 여름에 진행되었다.[4] 단, 개회식 등 진행을 제외한 토론 자체는 온라인 진행[5] 진행 관련 행사를 제외한 토론 자체는 온라인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