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개요2. 에피소드 및 고생물 목록
2.1. 첫번째 에피소드: Coasts(해안)
2.1.1. 티라노사우루스(Tyrannosaurus)2.1.2. 프로토스테가과(Protostegidae)2.1.3. 기타 바다거북류2.1.4. 알키오네(Alcione)2.1.5. 테티드라코(Tethydraco)2.1.6. 바르바리닥틸루스(Barbaridactylus)2.1.7. 포스파토드라코(Phosphatodraco)2.1.8. 투아랑기사우루스(Tuarangisaurus)2.1.9. 모사사우루스(Mosasaurus)2.1.10. 피크노두스류(Pycondontiformes)2.1.11. 스카피테스과(Scaphitidae)2.1.12. 카이카이필루(Kaikaifilu)
2.2. 두번째 에피소드: Deserts(사막)2.2.1. 드레드노투스(Dreadnoughtus)2.2.2. 모노니쿠스(Mononykus)2.2.3. 에난티오르니스류(Enantiornithes)2.2.4. 아즈다르코과(Azhdarchidae)2.2.5. 도마뱀2.2.6. 타르보사우루스(Tarbosaurus)2.2.7. 벨로키랍토르아과(Velociraptorinae)2.2.8. 바르스볼디아(Barsboldia)2.2.9. 몽골의 티타노사우리아(Titanosauria)2.2.10. 네메그토사우루스(Nemegtosaurus)2.2.11. 타르키아(Tarchia)2.2.12. 테리지노사우루스(Therizinosaurus)2.2.13. 바르바리닥틸루스(Barbaridactylus)2.2.14. 세케르노사우루스(Secernosaurus)
2.3. 세번째 에피소드: Freshwater(담수)2.3.1. 벨로키랍토르아과(Velociraptorinae)2.3.2. 아즈다르코과(Azhdarchidae)2.3.3. 트리케라톱스(Triceratops)2.3.4. 티라노사우루스(Tyrannosaurus)2.3.5. 데이노케이루스(Deinocheirus)2.3.6. 케찰코아틀루스(Quetzalcoatlus)2.3.7. 마시아카사우루스(Masiakasaurus)2.3.8. 베엘제부포(Beelzebufo)2.3.9. 남아메리카의 티타노사우리아(Titanosauria)2.3.10. 남아메리카의 엘라스모사우루스과(Elasmosauridae)
2.4. 네번째 에피소드: Ice Worlds(얼음 세상)2.4.1.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Dromaeosauridae)2.4.2. 에드몬토사우루스(Edmontosaurus)2.4.3. 남극의 하드로사우루스과(Hadrosauridae)2.4.4. 오르니토미무스과(Ornithomimidae)2.4.5. 올로로티탄(Olorotitan)2.4.6. 트로오돈과(Troodontidae)2.4.7. 키몰로돈(Cimolodon)2.4.8. 안타륵토펠타(Antarctopelta)2.4.9. 파키리노사우루스(Pachyrhinosaurus)2.4.10. 나누크사우루스(Nanuqsaurus)
2.5. 다섯번째 에피소드: Forest(숲)2.5.1. 아우스트로포세이돈(Austroposeidon)2.5.2. 트리케라톱스(Triceratops)2.5.3. 코리토랍토르(Corythoraptor)2.5.4. 첸저우사우루스(Qianzhousaurus)2.5.5. 에드몬토사우루스(Edmontosaurus)2.5.6. 아트로키랍토르(Atrociraptor)2.5.7. 아노돈토사우루스(Anodontosaurus)2.5.8. 카르노타우루스(Carnotaurus)2.5.9. 몽골의 티타노사우리아(Titanosauria)2.5.10. 테리지노사우루스(Therizinosaurus)2.5.11. 텔마토사우루스(Telmatosaurus)2.5.12. 잘목세스(Zalmoxes)2.5.13. 하체그 분지의 티타노사우리아(Titanosauria)2.5.14. 하체곱테릭스(Hatzegopteryx)
1. 개요
Apple TV+, BBC의 다큐멘터리 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에 출연한 공룡들 및 기타 고생물들을 정리한 문서.2. 에피소드 및 고생물 목록
2.1. 첫번째 에피소드: Coasts(해안)
2.1.1. 티라노사우루스(Tyrannosaurus)
드러난 세상: 티렉스는 정말 수영할 수 있었을까? |
2.1.2. 프로토스테가과(Protostegidae)
2.1.3. 기타 바다거북류
미리보기로 가장 초기에 공개된 생물들 중 하나로 극 중에선 알에서 갓 태어난 새끼들만 나온다. 어린 티렉스들이 사냥에 서툴러서 처음엔 잡다가도 내려놓거나 아예 놓치기까지 하지만 이후 한 마리가 사냥에 성공한다. 위에 나온 프로토스테가과 거북과는 다른 분류에 속하는데, 등껍질이 가죽질이 아니며, 대런 내이쉬가 트위터에서 딱딱한 등껍질을 지닌 다른 분류에 속하는 거북이라고 밝혔다.2.1.4. 알키오네(Alcione)
2.1.5. 테티드라코(Tethydraco)
다큐멘터리 내에서는 알키오네의 새끼와 딱히 상호작용이 없었지만, 컨셉아트에서는 추락한 알키오네 새끼를 노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바르바리닥틸루스나 포스파토드라코를 위험 요소로 묘사하는 것으로 충분해서 생략된 것으로 보인다.
2.1.6. 바르바리닥틸루스(Barbaridactylus)
2.1.7. 포스파토드라코(Phosphatodraco)
2.1.8. 투아랑기사우루스(Tuarangisaurus)
2.1.9. 모사사우루스(Mosasaurus)
유럽에선 늙은 수컷이 암초에 누워 작은 해양생물들의 도움으로 낡은 허물을 벗으며 머리를 수면에 내밀고 쉬고 있다가 영역을 차지하려는 한 젊은 수컷의 공격을 받게 된다. 가볍고 날랜 젊은 수컷에게 고전하는 듯 싶더나 이내 재빨리 수면 밖으로 머릴 내밀고 숨을 내쉬어 여유를 되찾은 다음 젊은 수컷을 물고 수면 아래로 내려가 질식시키는 전법을 이용해 항복을 받아낸다. 하지만 나레이션은 이 녀석이 이번에는 이 영역을 지킬 수 있었다는 살짝 불길할지도 모를만한 말을 던졌다.
자세히 보면 뱀목에 속하는 현생 파충류들처럼 혀가 갈라져있는데, 허물을 벗는 것과 수컷끼리의 영역 다툼까지 포함해서 실제 뱀과 도마뱀의 생태에서 영향을 따온 것으로 보인다.
2.1.10. 피크노두스류(Pycondontiformes)
2.1.11. 스카피테스과(Scaphitidae)
2.1.12. 카이카이필루(Kaikaifilu)
참고로 투아랑기사우루스와는 다른 지역에서 발견되었는데, 카이카이필루는 남극, 투아랑기사우루스는 뉴질랜드에서 발견되었다. 백악기 말의 뉴질랜드는 질란디아(Zealandia)라는 별개의 대륙으로 곤드와나 대륙과는 갈라져 있었지만, 둘 다 바다 생물인 특성상 만났을 확률이 없지는 않기에 오류라고 하기엔 애매하다.
2.2. 두번째 에피소드: Deserts(사막)
2.2.1. 드레드노투스(Dreadnoughtus)
대부분의 매체에서 용각류가 온화하게 묘사된 것과는 달리 본작에서 드레드노투스들은 격렬한 싸움을 하고, 특히 두 다리로 일어서 한쪽이 치명적인 부상을 입을 때까지 싸우는 호전적인 모습을 보여주는데, 자문위원인 대런 내이쉬가 말하기를 '온화한 거인' 이미지를 최대한 벗겨내고 싶었다고 한다.[9][10]
다큐멘터리 예고편에서 목주머니를 부풀리던 용각류가 바로 드레드노투스인데, 용반목 공룡들의 화석에서 발견된 기낭 구조룰 바탕으로 창작하였다. 오늘날의 군함조처럼 수컷에게만 있는 기관으로 묘사된다. 다만 그러한 공기주머니가 다닥다닥 붙은 것이 징그럽다는 이야기도 많다.
| |
수컷 | 암컷 |
2.2.2. 모노니쿠스(Mononykus)
안면판이나 긴 혀를 실제로 가지고 있었는지의 여부는 지금까지의 발견으로는 판단하기 어려우나 고생물학자 앨버트 첸(Albert Chen)에 의하면 알바레즈사우루스류 표본 중 잘 보존된 혀 화석 및 이빨 없는 입을 바탕으로 추측해보면 긴 혀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고 하며, 귀의 안쪽 부분이 가면올빼미의 것과 닮았다고 한다. 대런 내이쉬는 이를 바탕으로 가면올빼미처럼 안면판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한 것이라고 밝혔다.
2.2.3. 에난티오르니스류(Enantiornithes)
2.2.4. 아즈다르코과(Azhdarchidae)
2.2.5. 도마뱀
2.2.6. 타르보사우루스(Tarbosaurus)
2.2.7. 벨로키랍토르아과(Velociraptorinae)
극 중 벨로키랍토르로 언급되지만, 이후 대런 내이쉬가 트위터에서 밝히길, 동아시아의 마스트리히트절 지층들에서 불분명한 벨로키랍토르아과 화석들이 발견되었는데 이 종들의 분류가 불확실하기에 부르기 애매해서 그냥 "벨로키랍토르"의 이름을 부여해 출연시킨 것이라고 한다.[15] 또한 몽골의 지층들 연대가 서로 큰 차이가 없었을 지도 모르는 대신 그 층서단위들의 차이는 서로 다른 퇴적환경에서 기인한 것일지도 모른다는 주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2.2.8. 바르스볼디아(Barsboldia)
2.2.9. 몽골의 티타노사우리아(Titanosauria)
2.2.10. 네메그토사우루스(Nemegtosaurus)
2.2.11. 타르키아(Tarchia)
2.2.12. 테리지노사우루스(Therizinosaurus)
2.2.13. 바르바리닥틸루스(Barbaridactylus)
추가 영상에 따르면 이 장면은 캥거루, 갑오징어, 도마뱀, 많은 종의 조류 등 다양한 생물에서 관찰되는 'Sexual mimicry(성 모방)'를 참고한 것이다.
여담으로 해외 팬 커뮤니티에서는 이를 두고 펨보이 드립을 치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드러난 세상: 화려한 비행가들 |
2.2.14. 세케르노사우루스(Secernosaurus)[18]
2.3. 세번째 에피소드: Freshwater(담수)
2.3.1. 벨로키랍토르아과(Velociraptorinae)
드러난 세상: 벨로키랍토르는 깃털이 있었을까? |
2.3.2. 아즈다르코과(Azhdarchidae)
2.3.3. 트리케라톱스(Triceratops)
2.3.4. 티라노사우루스(Tyrannosaurus)
여담으로 나이 차이인지 성별 차이인지는 불확실하나 수컷의 눈 위에 난 돌기가 암컷의 돌기보다 더 크다.
2.3.5. 데이노케이루스(Deinocheirus)
깃털 복원이 오늘날의 에뮤나 화식조와 같이 덥수룩하게 묘사되었는데, 데이노케이루스는 미단골 등의 깃털 흔적이 화석에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커다란 몸집 때문에[27] 깃털의 배열이 제한적이었을 것으로 여겨져서 작중의 복원에서 깃털 묘사가 지나치다는 의견이 간간이 있다. 다만 데이노케이루스가 발견된 네메겟층은 평균 기온이 낮은 편이었다는 걸 감안하긴 해야 한다.[28]
2.3.6. 케찰코아틀루스(Quetzalcoatlus)
젊은 암컷이 땅에 알을 낳고 잠시 먹잇감을 찾으러간 사이 똑같이 알을 낳을 장소가 필요했던 늙은 암컷이 젊은 암컷의 둥지를 박살내고 12개의 알 중 3개만 남기고 다 먹어버린다. 이를 목격한 젊은 암컷은 늙은 암컷을 쫓아내지만 알이 줄어들어 자손들이 생존할 확률이 낮아졌다. 이후 남미에서 다른 개체가 엘라스모사우루스과 장경룡들을 바라본다.
2.3.7. 마시아카사우루스(Masiakasaurus)
2.3.8. 베엘제부포(Beelzebufo)
2.3.9. 남아메리카의 티타노사우리아(Titanosauria)
아우스트로포세이돈의 모델링의 팔레트스왑이다.
2.3.10. 남아메리카의 엘라스모사우루스과(Elasmosauridae)
투아랑기사우루스와 모델링의 팔레트스왑이다.
2.4. 네번째 에피소드: Ice Worlds(얼음 세상)
2.4.1.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Dromaeosauridae)
2.4.2. 에드몬토사우루스(Edmontosaurus)
무리가 드로마이오사우루스류들의 추격을 피하기 위해 앞뒤 안 보고 물로 뛰어드는 바람에 새끼 한 마리가 낙오되다가 물에 빠진다. 어미는 도울 수 없어 새끼가 떠내려가는 방향으로 최대한 다가갔고, 다행히 스스로 올라온 덕에 목숨을 부지하게 된다. 다만 무리에 짓밟혀 죽어 떠내려간 개체는 드로마이오사우루스류들이 포식한다.
여담으로 자세히 보면 성적 이형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진 가장자리에 있는 수컷들은 얼굴에 여러 색이 섞여있지만, 중앙에 있는 암컷들은 비교적 수수하다. 또한 성체의 몸이 전체적으로 회색에 가까운 것과는 달리 어린 개체들은 몸이 적갈색에 가깝다. 줄무늬가 마치 현생 오카피를 연상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2.4.3. 남극의 하드로사우루스과(Hadrosauridae)
2.4.4. 오르니토미무스과(Ornithomimidae)
2.4.5. 올로로티탄(Olorotitan)
2.4.6. 트로오돈과(Troodontidae)
실제 트로오돈류가 먹고 뱉은 펠릿에서 포유류의 뼈가 관찰되었기에 본작에서 포유류를 잡아먹는 묘사는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2.4.7. 키몰로돈(Cimolodon)
시즌 2의 아달라테리움(Adalatherium)과 함께 이 다큐멘터리 시리즈에서 유이하게 등장한 포유류. 다구치류에 속하며, 방영 당시에는 종에 대한 언급이 존재하지 않았지만 이후 대런 내이쉬가 트위터에서 이야기했다.2.4.8. 안타륵토펠타(Antarctopelta)
여담으로 본작에선 일반적인 노도사우루스류의 외형으로 묘사되었지만 다큐 제작 도중 노도사우루스류에 더 이상 속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고, 무엇보다 실제 외형도 꼬리 끝이 스테고우로스의 것과 닮았을 것이라고 한다.
2.4.9. 파키리노사우루스(Pachyrhinosaurus)
출연한 다른 각룡류 공룡인 트리케라톱스와 다르게 눈동자의 모양이 수평이다. 대런 내이쉬는 이에 대해 비조류 공룡도 조류나 다른 파충류와 마찬가지로 눈동자의 모양이 다양했을 수 있고, 같은 그룹에 속한 공룡들끼리도 눈동자의 모양이 서로 달랐을 수 있으며, 또한 파키리노사우루스는 트리케라톱스보다 더 탁 트힌 환경에서 살았을 가능성이 높아 이에 맞게 수평 눈동자로 고증했다고 한다.#, #
2.4.10. 나누크사우루스(Nanuqsaurus)
공룡덕후들 사이에선 나누크사우루스를 묘사할 때에 대부분 극지방 가까이에 서식했다는 점과 학명의 뜻 때문에[31] 흰색에 검은색 위주로 채색하는데, 본작에선 갈색과 검은색 위주로 표현했다는 점이 신선하다는 의견이 많다. 또한 작중에 출연한 다른 티라노사우루스과에 비해 깃털이 훨씬 더 풍성하게 복원되었다.
드러난 세상: 공룡은 무리를 지어 사냥했을까? |
2.5. 다섯번째 에피소드: Forest(숲)
2.5.1. 아우스트로포세이돈(Austroposeidon)
2.5.2. 트리케라톱스(Triceratops)
2.5.3. 코리토랍토르(Corythoraptor)
2.5.4. 첸저우사우루스(Qianzhousaurus)
2.5.5. 에드몬토사우루스(Edmontosaurus)
2.5.6. 아트로키랍토르(Atrociraptor)
2.5.7. 아노돈토사우루스(Anodontosaurus)
2.5.8. 카르노타우루스(Carnotaurus)
여담으로 암수 모두 등을 보면 악어의 등에서 볼 수 있는 뾰족한 비늘이 줄로 나열되어 있는데, 이 비늘은 실제로는 일정한 규칙 없이 몸 곳곳에 다양한 크기로 나있었다는 사실이 제작 도중에 밝혀졌다. 제작진들은 이를 라자사우루스와 같은 후속 시즌의 아벨리사우루스류들에게 적용하였다.
드러난 세상: 유혹의 무기 |
2.5.9. 몽골의 티타노사우리아(Titanosauria)
새끼 테리지노사우루스들이 지나갈 때에 자는 모습이 나온다. 에피소드 2에 나온 종이 아니라 다른 모습을 하고 있는데, 시즌 2의 이시사우루스 모델링의 재탕이다.2.5.10. 테리지노사우루스(Therizinosaurus)
| |
새끼들 | 성체 |
2.5.11. 텔마토사우루스(Telmatosaurus)
2.5.12. 잘목세스(Zalmoxes)
2.5.13. 하체그 분지의 티타노사우리아(Titanosauria)
2.5.14. 하체곱테릭스(Hatzegopteryx)
[1] 팬들 사이에서 행크라는 별명이 존재하는데, 이는 미리 보기 영상이 공개된 이후, 티라노사우루스 성체의 모습이 마치 애니메이션 킹 오브 더 힐에 나오는 행크 힐이라는 캐릭터 같은 느낌이 든다고 붙여진 것이다.[2] 목 뒷부분에만 적은 양의 솜털이 있는 성체와는 달리 새끼들은 전신에 복실복실한 솜털을 달고 있다.[3] 제작진은 기존에 묘사된 티라노사우루스와 차별되는 연출을 보여주기 위해 수영을 하는 장면을 만들었다고 한다.[4] 수컷 티라노사우루스가 모사사우루스의 존재를 인지하고 잠수하여 경계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별 대응 없이 재빨리 자리를 벗어난다. 바다는 모사사우루스의 홈그라운드인데다가 덩치도 모사사우루스가 더 크기 때문. 이후 새끼가 잡아먹히자 잠시 동요하지만, 이내 살아남은 새끼들을 데리고 간다.[5] 2t에 달하는 거구를 감안할 시 모티브가 된 종은 아르켈론일 가능성이 높지만 방영 시점에서 두 종이 동시대에 공존했다는 화석 증거가 없어 명확한 언급은 피한 것으로 보인다.[6] 한 마리는 바르바리닥틸루스를 피해 너무 낮게 날다가 숲에 도착하기도 전에 해변가의 익룡 군락지로 추락해 근처를 배회하던 포스파토드라코에게 잡아먹힌다.[7] 성체인 아비 티라노사우루스는 자신에게도 위협적이라 건들지 않았다.[8] 싸우는 과정에서 레슬링 타이탄트론 느낌의 웅장한 음악이 흘러나오는데, 드레드노투스의 크기와 합쳐져서 거인들의 레슬링 경기를 보는 것과 같은 경이로움을 자아낸다.[9] 또한 어느 정도 논쟁이 있는 용각류의 두발서기에 대해서도 드레드노투스가 속한 티타노사우루스류가 다른 용각류들보다 두 발로 일어서기 훨씬 용이했을 거라 대답하였다.[10] 현대의 기린이나 코끼리 같은 대형 초식동물들도 수컷들끼리 대단히 터프하게 싸운다는 걸 감안하면 충분히 있었을 법한 장면이다.[11] 해당 다큐멘터리의 해설도 데이비드 애튼버러다.[12] 타르보사우루스에 의해 사냥당한 건지 혹은 자연사 등 다른 사유인지는 불명.[13] 묘하게 감독의 작품 중 하나인 정글북에서의 평화의 바위 장면이 떠오르게 되는 부분이다.[14] 벨로키랍토르의 근연종인 아다사우루스(Adasaurus mongoliensis)라는 종이 타르보사우루스와 생존시기가 동일하며, 같은 네메겟층(Nemegt Formation)에서 발견되었다. 참고로 벨로키랍토르가 발견된 작독하(Djadochta Formation)에서 타르보사우루스의 것으로 추측되는 화석이 있기는 하지만 아직 정확히 분류된 화석은 아니다.[15] 이는 국내 고생물 다큐멘터리 공룡의 땅에서 화석으로 발굴 된 타르키아가 당시 정확한 종 판별이 되지 않아 친척 공룡의 이름인 안킬로사우루스로 나온 것과 비슷하다.[16]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031018217306892?via%3Dihub[17] 윗사진이 바로 구애장면이다.[18] 대런 내이쉬에 의하면 사실 본작의 세케르노사우루스는 한때 같은 속의 다른 종으로 분류되었던 후알라사우루스(Huallasaurus)를 바탕으로 복원되었다고 밝혔다. # 다만 둘이 독자적인 속으로 분류된 것은 2022년이기에 이해가 가능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19] 본래 에피소드 최후반부의 배경에 대해 언급이 없어서 같은 마다가스카르로 여겨졌으나 이후 대런 내이쉬가 남미로 정정하였다.[20] 위에 암컷 한마리와 아래에 수컷 두마리. 자세히 보면 성적 이형성이 존재하는데, 수컷의 몸에 갈색이 더 많고 암컷의 몸에 회색이 더 많다.[21] 현생 눈표범이 산양을 사냥하는 장면을 연상케 한다.[22] 이 늙은 수컷은 트리케라톱스에 의해 다리에 상처가 생겼고 이전에 싸움을 하다가 꼬리가 잘렸다고 언급되는데, 실제로 와이렉스(Wyrex)라는 별명을 지닌 티렉스 표본을 보면 동족에 의해 꼬리가 50% 정도 잘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23] 흔한 인식과 달리 프릴 뒷부분부터 먹어치우기 시작하는데 이 역시 티렉스가 트리케라톱스를 먹을때 머리를 뜯어내 프릴 뒷부분부터 먹었을 것이라는 연구결과에서 기인한 것이다.[24] 처음에는 암컷인 줄 몰라서 암컷을 경계했다.[25] 구애를 할 때 수컷이 목의 붉은 무늬를 암컷에게 선명하게 보여준다.[26] 나레이션의 언급에 의하면 건기에 많이 먹지 못했다고 한다.[27] 티라노사우루스와 체급이 비슷하다.[28] 유티란누스와 비슷한 사례다.[29] 날아다니는 동물인 익룡 특성상 먼 거리에 있는 장소에 도달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겠지만 직접적으로 대형 익룡이 대륙을 횡단했다고 증명할 만한 화석 증거는 없다. 다만 근연종들의 화석이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기록은 있으며, 친척인 아람보우르기아니아는 미국과 요르단 양 쪽에서 발견된 적이 있으며, 북아프리카 모로코의 화석 중 아람보우르기아니아의 것으로 추측되는 화석이 있다.[30] 모기 떼가 뿌옇게 앞을 가릴 정도로 발생하며, 일부는 새끼 등의 몸을 빼곡히 덮기도 한다.[31] 이뉴피아트 족에서 북극곰을 뜻하는 'nanuq'에서 따 온 학명이다.[32] 성적 이형성이 존재하는데, 수컷의 피부는 누런 갈색이고 암컷의 피부는 푸른빛의 회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