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1 16:12:30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현황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서울 지하철 전동차/현황 보기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열차번호 · 기타 서울 지하철 열차번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이적 전 차량번호)
파일:서울시메트로9호선 CI.svg
파일: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_logo.png 파일:남서울경전철 로고.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1000호대
저항
-
VVVF
2000호대
저항
초퍼(상세)
VVVF
3000호대
-
초퍼
VVVF
4000호대
-
초퍼
VVVF(상세)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6_icon.svg 파일:Seoulmetro7_icon.svg 파일:Seoulmetro8_icon.svg
5000호대 6000호대 7000호대
(상세)
8000호대
파일:Seoulmetro9_icon.svg 파일:UiLine_icon.svg 파일:SillimLine_icon.svg
9000호대 UL000호대 SL000호대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직각형
저항 · 초퍼
광폭형
GEC 초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WR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동북선|
동북
]]
차번 미정 DL000호대
}}}}}}}}} ||
인천 도시철도 전동차 · 인천공항 연계노선 전동차 · 기타 수도권 전동차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Seoul Metro 8000 Series EMU
}}}
파일:20240701_194640.jpg
801편성 (1차분)
파일:1584361585669.jpg
820편성 (2차분)
파일:보정 3.jpg
821편성[1] (3차분)
파일:20240908_164900.jpg
실내 모습 (1차분)
차량 정보
<colcolor=#e6186c> 열차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6량 1편성
생산량 186량 (총 31편성)[2]
운행 노선 파일:Seoulmetro8_icon.svg 수도권 전철 8호선
도입시기 1995 ~ 1996년 (1차분)
1999년 (2차분)
2023 ~ 2024년 (3차분)
2025 ~ 2027년 예정 (4차분)
2027년 예정 (5차분)
제작사 대우중공업 (1차분)
한진중공업 (2차분)
우진산전 (3, 5차분)
다원시스 (4차분)
소유기관 서울교통공사(801~820편성)
구리시(821~829편성)
남양주시(821~829편성)
운영기관 서울교통공사
차량기지 모란차량사업소
고덕차량사업소[중정비]
방화차량사업소[폐차작업]
편성번호 801 ~ 829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e6186c> 전장 19,500㎜
전폭 3,120㎜
전고 3,600㎜
궤간 1,435㎜
대차 에어스프링 DT50형 대차
재질 스테인리스 스틸(1~2차분)
알루미늄(3~4차분)
급전방식 직류 1,500V
운전보안장치 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ATO
제어방식 알스톰 VVVF-GTO
도시바 VVVF-IGBT
도시바 VVVF-IGBT
동력장치 3상 교류 유도전동기
도시바 완전밀폐형 영구 자석 동기전동기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최고속도 영업 90㎞/h
설계 100㎞/h
가속도 3.0㎞/h/s
감속도 상용 3.5㎞/h/s
비상 4.5㎞/h/s
MT 비 3M 3T (Tc-M1-T1-M1-M2-Tc) }}}}}}}}}

1. 개요2. 편성
2.1. 1~2차분2.2. 3~5차분
3. 특징4. 분류5. 기타
5.1.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5.2. 조성 변경

1. 개요

수도권 전철 8호선에서 운행하는 전동차.

현재 29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다. (801~829)

원래는 22개 편성이 재적됐으나 7호선 철산역 화재 사고로 3량 중 1량 반소, 2량 전소된 752편성을 복구하기 위해 822편성의 3량을 752편성으로 차출했다. 이후 822편성의 남은 객차를 활용하기 위해 822편성 남은 2칸과 821편성 6칸이 7호선으로 이동하였고 이후 9개 편성을 추가 도입하여 현재는 총 29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다. 현재 815편성은 중간객차 2량이 7호선 구 712편성 중간객차로 교체 조성되어 운행하는 차량은 29대이다.

2. 편성

2.1. 1~2차분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조성
(1~2차분)
<colcolor=#e6186c> ↑ 별내 방면
81## (1) Tc(축전지, SIV)
82## (2) M1(팬터그래프, HSCB, ACM, 인버터)
84## (3) T1(무동력객차, CM)
86## (4) M1(팬터그래프, HSCB, ACM, 인버터)
87## (5) M2(인버터, CM)
80## (6) Tc(축전지, SIV)
모란 방면

2.2. 3~5차분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조성
(3~5차분)
<colcolor=#e6186c> ↑ 별내 방면
81## (1) Tc(축전지, SIV, CM)
82## (2) M1(팬터그래프, ACM, L/B, 인버터)
84## (3) T1(무동력객차)
86## (4) M1(팬터그래프, ACM, L/B, 인버터)
87## (5) M2(인버터, L/B)
80## (6) Tc(축전지, SIV, CM)
모란 방면

3. 특징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도입 당시부터 LED 행선 안내판이 설치되었다. 출입문 위에 박힌 내부용 안내판도 도입 당시에는 LED 전광판이었지만 2010년부터 LCD 모니터로 교체되면서 현재는 전 편성에 적용되었다.

2003년 대구 중앙로역 참사 이후 불연재로 개조할 당시 구 서울메트로 전동차처럼 스테인레스 시트를 적용했다가 5~7호선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2010년 전 편성 안장 부분에 난연재 모켓 천을 덧씌우는 작업을 완료하였다.

2017년 7월 23일, 서울교통공사에서 8호선 1차분 전동차 90량(801~815편성)을 교체한다고 했고,[5] 2019년 교체 계획이 발표되었다.[6] 2021년 9월에 발주되어 12월에 다원시스가 낙찰되어 2026~2027년에 교체되며, 2차분 전동차 30량(816~820편성)은 2024년에 발주에 들어가게 되어 2027년 이후에 교체할 예정이다.

2017년 11월 초반부터 서울교통공사 로고가 부착됐다.

4. 분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도입 연식에 따라 4차로 분류된다.
<rowcolor=white> 분류 제어방식 도입
<colbgcolor=#E6186C><colcolor=white> 1차분 VVVF
GTO
알스톰
1995~1996년 (15편성)
2차분 VVVF
IGBT
도시바
1999년 (7편성)
5개 편성 운용
3차분 VVVF
IGBT
도시바
2023~2024년 (9편성)
4차분 2025~2027년 (15편성)
도입 예정
5차분 2027년 (5편성)
도입 예정

5. 기타

파일:Screenshot_20240613_173131_Gallery.jpg

5.1.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2003년 대구 중앙로역 참사 이후 1~2차분의 내장재를 교체했다.

5.2. 조성 변경

<rowcolor=#fff> 편성 교체투입된 차량 편성제외된 차량
815 7212, 7712 8215, 8715
교체투입된 차량 조성
타 차량으로부터 편입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rowcolor=#ffffff> 편성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T)
4호차
(M')
5호차
(M)
6호차
(Tc)
비고
815 8115 7212 8415 8615 7712 8015 [8]

[1] 원래는 2차분에 있었던 편성이었으나 후술한 방화 사건으로 인한 사정으로 7호선으로 이적한 후 거의 20년만에 3차분으로 넘어가서 재도입한 편성이다.[2] 2005년 1월 3일에 서울 지하철 7호선 철산역 부근에서 일어난 서울 지하철 7호선 방화 사건으로 피해를 입은 752편성의 복구 및 763편성의 신조를 위해 사용된 구 821~822편성을 포함한다. 현재는 815편성 중 8215, 8715호(7212, 7712호로 대체)와 구 822편성 중 8022호 휴차 상태이므로 8호선에서 172량, 7호선에서 11량으로 총 183량이 운행 중이다.[중정비] [폐차작업] [5] 「서울 5∼8호선도 20년 넘었다…"2024년까지 834량 교체 추진"」 연합뉴스, 2017-07-23[6] 「서울지하철 4·5·7·8호선 신형 전동차로 교체」 한겨레, 2019-07-25[7] 구 821~822편성도 7호선 이적전에 내장재를 교체해서 사실상 해당된다.[8] 2, 5호차: 712편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