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10:25:29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호선/경의·중앙선에서 운행하던 구 6000호대 전동차에 대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6000호대 전동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현황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서울 지하철 전동차/현황 보기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열차번호 · 기타 서울 지하철 열차번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이적 전 차량번호)
파일:서울시메트로9호선 CI.svg
파일: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_logo.png 파일:남서울경전철 로고.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1000호대
VVVF
저항
-
2000호대
VVVF
저항
초퍼(상세)
3000호대
VVVF
-
초퍼
4000호대
VVVF(상세)
-
초퍼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6_icon.svg 파일:Seoulmetro7_icon.svg 파일:Seoulmetro8_icon.svg
5000호대 6000호대 7000호대
(상세)
8000호대
파일:Seoulmetro9_icon.svg 파일:UiLine_icon.svg 파일:SillimLine_icon.svg
9000호대 UL000호대 SL000호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저항 · 초퍼 전동차 상세설명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초저항 직각형
저항 · 초퍼
광폭형
GEC 초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WR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동북선|
동북
]]
차번 미정 DL000호대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tablebgcolor=#fff,#111>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
Seoul Metro 6000 Series EMU
}}}
파일:6호선_6137.jpg
637편성 (1차분)
차량 정보
<colcolor=#cd7c2f> 열차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8량 1편성
생산량 328량 (총 41편성)
운행 노선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640~641편성)
도입시기 1999 ~ 2000년 (1차분)
제작사 현대정공 (601~613편성)
한국철도차량 (614~641편성)
소유기관 서울교통공사
운영기관
차량기지 파일:Seoulmetro6_icon.svg 신내차량사업소[1]
파일:Seoulmetro7_icon.svg 도봉차량사업소[2]
편성번호 파일:Seoulmetro6_icon.svg 601 ~ 639
파일:Seoulmetro7_icon.svg 640 ~ 641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cd7c2f> 전장 19,500㎜
전폭 3,120㎜
전고 3,600㎜
궤간 1,435㎜
대차 에어스프링 DT50형 대차
재질 스테인리스 스틸
급전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운전보안장치 GRS(현 알스톰) ATC/ATO
제어방식 미쓰비시 VVVF-IGBT
동력장치 3상 교류 유도전동기
기어비 14:99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편성출력 4,200㎾
최고속도 영업 80㎞/h
설계 100㎞/h
가속도 3.0㎞/h/s
감속도 상용 3.5㎞/h/s
비상 4.5㎞/h/s
MT 비 4M 4T (Tc-M1-M2-T1-T2-M1-M2-Tc) }}}}}}}}}
1. 개요2. 편성3. 특징4. 분류
4.1. 1차분 (1999~2000)4.2. 2차분 (2028~2029 예정)4.3. 3차분 (2029~2030 예정)
5. 7호선 이적 차량6.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7. 기타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6호선 위주로 운행 중인 전동차.

현재 41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으며, 640~641편성이 7호선으로 임시 이적하여 6호선에는 39개 편성이 운행 중이다.

2. 편성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 조성
<colcolor=#cd7c2f> ↑ 상시 변경, 장암 방면
61## (1) Tc(축전지, SIV)
62## (2) M1(팬터그래프, L/B, 인버터)
63## (3) M2(인버터, L/B, CM)
64## (4) T1(무동력객차)
65## (5) T2(무동력객차)
66## (6) M1(팬터그래프, L/B, 인버터)
67## (7) M2(인버터, L/B, CM)
60## (8) Tc(축전지, SIV)
상시 변경, 석남 방면

3. 특징

초기 제작사는 현대정공이었으나, 도중에 국내 철도차량 제작사 통폐합에 의해 KOROS(現 현대로템)로 바뀌었다. 현대정공에서는 601~613편성을, 한국철도차량(KOROS)에서는 614~641편성을 제작했다. 611~615편성은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되어 있는데, 그 중 615편성은 자전거 거치대가 있는 유일한 KOROS산 열차이다.

4. 분류

도입 연식에 따라 1차로 분류된다.
<rowcolor=#ffffff> 분류 제어방식 도입
<colbgcolor=#CD7C2F><colcolor=white> 1차분 VVVF
IGBT
미쓰비시
1999~2000년 (41편성)

4.1. 1차분 (1999~2000)

파일:6호선_6137.jpg 파일:1603koreaseoul.jpg 파일:6호선 전동열차 내부.jpg
<rowcolor=#fff> 서울교통공사 개편 이후 637편성 내장재 개조 이전의 내부 모습 내장재 교체 이후의 내부 모습

1999년 6월 28일부터 2000년 6월 23일까지 반입됐다. 그 전부터 도입됐던 7호선 2차분8호선 2차분은 통유리를 사용하는데 반해 이 전동차는 유리가 분할되어 있다. 원래는 신내차량기지 위로 지나가던 구 중앙선에서 인입선을 내어 전동차를 반입할 계획이었으나, 시공사 부도로 신내차량기지 완공이 지연되며 이 계획은 폐기되고 실제로는 1호선 도봉산역-7호선 태릉입구역 연결선로를 통해 반입했다. 신내기지 완공 전까지 초기 편성들은 도봉차량기지천왕차량기지에 유치했던 이력이 있다.

624편성부터 2000년 제작이다.

서울교통공사의 다른 전동차들과는 달리 좌석 중간에 쇠봉 2개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덕분에 쇠봉이 없던 기존의 전동차보다 좌석 공간이 약간 좁아졌고 좌석 아래 난방시설을 최소화하여 수납공간을 만들었다. 그 외 다른 내장재나 외형은 서울도시철도공사의 다른 전동차들과 거의 똑같다.

내장재 교체 이전의 6호선 전동차들은 다른 전동차들과는 달리 출입문 바로 위쪽에(행선 안내기와 노선도가 있는 곳에) 출입문 비상개폐장치가 있었다. 당시에는 출입문 위쪽의 노선안내도 부분을 열어서 그 안에 있는 레버를 돌려서 열어야 했지만, 키가 작으면 조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내장재 교체와 함께 다른 전동차들처럼 아래쪽으로 옮겨졌다.

가연재 시절 좌석은 롱시트에 1인용 좌석을 이어붙인 것으로, 이러한 방식의 디자인은 이 전동차가 최초이다.[3] 당시 롱시트는 좌석 구분선이 없거나 앉는 부분만 살짝 파여 있는 정도여서 7인석에도 6명만 앉는 경우도 많았다. 1, 2, 3, 4호선은 롱시트였고 5, 7, 8호선은 앉는 부분만 약간 파여 있는 게 전부였다. 이런 디자인은 가연재 사용 전동차 중에서는 6호선 전동차와 광주 1호선 전동차뿐이었다. 다만 내장재 개조전 1인용 좌석으로 영업운행을 한 노선은 6호선이 유일하다.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도입될 당시에는 출입문 위에 안내용 LED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2010년부터 LCD 모니터로 교체되기 시작해 현재는 전 편성에 적용되어 있다.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 내장재를 불연재로 개조할 때도 처음에는 구 서울메트로 전동차처럼 딱딱한 스테인리스 시트를 적용했으나, 5000호대와 마찬가지로 2010년에 전 편성의 안장 부분에 난연재 모켓 천을 덧씌우는 작업을 완료했다.

비슷한 시기 제작된 7000/8000호대 2차분과 다르게 측면 창문이 5000호대 2차분처럼 2분할 통유리인 게 특이한 점인데, 다만 창틀의 경우 5000호대의 두꺼운 창틀이나 7000/8000호대 1차분의 얇은 창틀과 달리 테두리가 아예 없는 구조이다.

2017년 11월에 서울교통공사 로고를 붙였다.

차호 각인이 3D엠블럼 형식이 아닌 얇은 스테인리스판에 검은색 전사지로 각인이 된 형식이다.

2020년 말, 객실 내부 선반 위에 공기청정기가 설치되었으며 2023년에 CCTV가 설치되었다.

중장기 발주 계획에 따르면 2025~2026년에 각각 한 차례씩 신형 전동차가 발주되어, 이르면 2028년부터 교체가 시작될 예정이다. 하지만 발주 상황과 제작사의 상황에 의해 지연될 여지도 있으며 발주 및 제작 이후 투입까지의 시운전 기간을 감안하자면 예정보다 1~2년은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 사정들을 감안하자면 수명을 총 29~32년을 채우고 교체하는 것이다.

4.2. 2차분 (2028~2029 예정)


1999년에 제작한 601~623편성을 대체할 예정으로 2025년에 발주 예정이다.[A]
<rowcolor=#ffffff> 편성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601 2028년 ~ 2029년 예정 도입 예정 미정 미정 경원선 도봉산역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4.3. 3차분 (2029~2030 예정)


2000년에 제작한 624~641편성을 대체할 예정으로 2026년에 발주할 예정이다.[A] 이 차량까지 도입되면 6호선 내에 공기식 출입문과 6호선 특유의 미쓰비시 IGBT 구동음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rowcolor=#ffffff> 편성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624 2029년 ~ 2030년 예정 도입 예정 미정 미정 경원선 도봉산역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641

5. 7호선 이적 차량

파일:IMG_2873.jpg
641편성
지금, 기지, 기지행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7호선 온수 ~ 부평구청 구간은 개통 이후 극심한 혼잡도로 이용객들의 지속적인 민원이 발생했고, 부천시인천광역시는 해당 구간의 출퇴근시간 배차 간격 단축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이를 위해 새로운 차량을 투입하려면 발주부터 영업 운행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단 차량 보유대수가 상대적으로 여유롭고 7호선 차량과 호환성이 높은 6호선 차량 2개 편성을 임차하여 7호선에 투입함으로써 당장의 배차 간격 문제를 해소하기로 결정했다. 640~641편성은 이적과 동시에 7호선 색상으로 재도색까지 받았으며, 2025년까지 7호선에서 운행되다가 이후 6호선으로 반환될 예정이지만 다원시스 차량 납기지연으로 인해 임차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6][7]

7호선에 임차하고 있는 6호선 전동차는 이적 초기부터 문제가 많기로 자자한데, 같은 컴퓨터 장치와 신호 체계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간간이 출입문이 자동으로 열리지 않거나 잘 운행하다가 순간 몇 초간 제한속도코드가 사라져 2~3초 FSB가 체결되는 등의 문제가 매우 다분하다. 또한 출입문이 자동으로 잘 열려도 안전문이 자동으로 열리지 못해 통과 사고의 위험이 매우 큰 여러모로 문제 있을 수 있다. 5~8호선 출입문은 자동개방, 수동폐방이다.

2021년 경, 640~641편성의 반환을 대비하여 5ㆍ8호선 대차분 298량 발주에 7호선용 신차 2편성을 추가하여 함께 발주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었으나[8], 298량의 제작사인 다원시스에서 수익 저하를 이유로 거절했고, 그 대안으로 2023년 5호선 대차분 200량과 함께 발주하였다.

파일:sddefault (1).jpg
7호선에 SR 전동차 7개 편성이 완전히 도입되지 않은 때가 있어서 604~606편성도 7호선에서 운행한 적이 있으며, 605편성은 꽤 오랫동안 7호선에서 운행했다. 현재는 604~606편성도 모두 6호선에서 운행 중이다. 운행 당시 승강장 정위치에 제대로 정차하지 못하거나 승강장 정차 시 반대쪽의 문이 열리는 사고가 빈번하다고 보도된 바 있다.[9]

6.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 1차분인 경우, 내장재를 교체했다.
* 주식회사 로템: 601~641편성(1차분) - 2004년 ~ 2005년 개조

7. 기타

귀신이 곡하는 소리 같은 구동음이 특징이며, 동기음은 VVVF-GTO 인버터와 약간 비슷하다.
파일:Bgw5668191a13e2f.jpg
도입될 당시에는 매우 희귀한 구동음을 가진 전동차가 있었는데 바로 현대정공에서 국산화 개발한 IGBT 인버터를 장착한 609편성으로 한국형 표준 전동차의 시험판으로 볼 수 있는 차량이다.[10] 609편성의 인버터는 GTO라고 알려졌으나 사실은 IGBT 방식이었고 지금의 전동차와 같은 2레벨 방식이다.[11] 허나 다른 IGBT 인버터를 장착한 다른 차량에 비해 잦은 고장과 회생제동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생겨서 문제의 추진제어장치는 결국 2005년에 다른 전동차와 동일한 인버터로 교체하면서 현재는 저 구동음을 들을 수 없다.

파일:c4ecfd60186738a1_S.jpg
2000년대 초반 디지털 테마 열차를 운행했었다.[12]

서울교통공사 출범을 앞두고 LCD UI 업그레이드를 해서 현재는 전 차량 모두 LCD UI 업그레이드를 완료했다.

전 차량 내부의 로템 패찰을 보면, 41편성 중 하나도 예외 없이 1999년 제작이라고 나와 있다. 2005년~2006년경 내장재를 불연재 소재로 교체할 때, 기존 패찰도 같이 사라지면서 이때 1999년 현대정공에서 제작된 차량과 2000년 KOROS에서 제작된 차량에 대한 구분 없이 모든 차량에 똑같은 패찰을 붙인 탓에 그리 된 듯하다. 가연재 내장재 시절에는 현대정공 제작 차량은 은색 바탕에 한자로 현대정공 사명과 로고가 박힌 패찰이, KOROS로 사명 변경 후 제작된 차량은 흰색 바탕에 영어로 파란색 KOROS 로고와 '한국철도차량(주)' 라고 쓰여진 패찰이 부착된 채로 출고됐다.

611~615편성은 자전거 전용칸이 장착되어 있다.

633편성 중 6633호에 현대로템에서 자체 개발한 230kW급의 치차감속식 영구자석 동기전동기(PMSM)과 1C1M VVVF 인버터가 시범 적용이 됐으며, 2019년 3월 중에 본선 영업운행에 투입 되어질 계획이었으나 연기된 바 있다. 소자는 ABB의 3300V/500A짜리의 2in1형 모듈을 사용하여 제작했다고 하며, 인버터는 현대로템에서 자체 개발하였다. 2달이 지난 5월 중순이 되어서야 PMSM 기술을 상용화하고 본선 영업운행에 투입된다는 기사가 나왔으며[13], 실제로는 2019년 5월 29일 첫차부터 본선 영업 운행(주로 평일 출근시간에 운행)에 투입됐다. 그렇기 때문에 시범 적용 기간은 2019년 11월 30일이 지나야 끝나게 되며, 이 이후에는 다시 원래의 추진 시스템으로 환원될 예정이라고 한다. 2019년 9월 19일에는 누적 주행거리 6000km를 달성했다.[14]
633편성 6633호의 구동음
2019년 12월, 시험을 모두 마치고 PMSM이 탈거되어 환원됐으며, 향후 도입될 4호선과 5호선, 7호선, 8호선의 신차에 도시바 PMSM이 도입될 예정이다.

해당 차량의 인버터를 교체할 예정이다.[15] 2021년 기준으로 606~615편성까지 인버터에 IPM 개조가 되어 있으며, 지속적으로 IPM 개조를 진행할 예정이다. 기존 IPM 단종으로 신형 IPM 교체작업을 하였다.[16]

601편성의 6101호는 선로 검측기가 달려있다.

618편성은 6호선에서 유일하게 6018호에 LED 전조등이 달려있었으나, 신내 연장 이후 605~606, 624, 626, 628편성 6128호, 631, 633~635편성, 636편성 6036호 등 다른 차량들도 LED 전조등을 달았다.

630편성은 U+ 5G 홍보열차로 랩핑되어 운행한 적이 있다.

2019년 11월, 6호선 신내 연장으로 전면부 LED 행선기 표출 글꼴이 맑은 고딕체로 변경됐다.

이 차량들은 2020년 6~9월경에 출입문 열림 안내방송이 은영선 성우에서 강희선 성우로 개정됐다.

5~8호선 중에서 유일하게 전기 경적이 탑재되어 있다. 버튼을 누르면 빵~ 하는 전자식 경적음이 반복해서 나오며 한번 더 누르면 꺼진다. 참고로 전기 경적은 편성마다 음 높낮이가 다르다.

현재까지 열차가 추가 도입되거나 관련 소식은 전혀없다. 이는 6호선이 신내역 신설을 빼면 연장이 아직까지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41대로도 남는 차량의 여유가 있는지 7호선에 차량을 위탁까지 하고 있다. 또 과거에 7호선 3차분이 완전히 투입되기 전까지도 6호선 차량이 7호선에 임시로 운행을 한 적도 있었다.[17]

앞서 언급한 이유로 6호선은 2기 지하철 노선들중 유일하게 서울교통공사 출범이후 새로운 방식의 신형 LCD 차내전광판이 아닌, 모든 차량이 기존 LCD[18]밖에 없는 노선이다.[19]


[1] 601~639편성[2] 640~641편성/중정비 및 폐차작업 실시[3] 사진관 → 갤러리 → 개조 전 차량 → 6호선 내부[A] 국토교통부 철도Biz > 사업정보 > 발주계획[A] [6] 「부천시, 지하철 7호선 연장구간 ‘시격 단축’ 추진」, 더부천, 2017-11-13[7] 관련 게시글[8] 「[Pick] 서울교통公, 4천억 규모 5ㆍ8호선 노후전동차 298량 교체사업 발주」, 철도경제, 2021-10-22[9] 「[앵커&리포트] 6호선 전동차로 7호선 돌려막기 아찔한 운행」, KBS, 2013-11-17[10] 관련 게시글[11] 정만규, 고영철, 방이석 외, "전동차용 IGBT형 추진제어장치의 본선시험에 관한 연구", 「전력전자학회논문지」 5권, 5호(2000): 515-521.[12] 6号線デジタル列車【2001年】, 2001년 3월 20일[13] 「현대로템, 열차 추진시스템 신기술 상용화…지하철 6호선 투입」, 매일경제, 2019-05-16[14] 「현대로템, PMSM 추진시스템 영업운행 6000km 달성」, 프라임경제, 2019-09-19[15] 관련 게시글[16] 관련 게시글[17] 단, 6호선이 8호선과의 환승을 위한 연장 추진시 열차의 추가 도입 가능성은 있다. 6호선 연장 관련은 동구릉역 항목 참조.[18] 서울도시철도 시절(정확히는 2010년 이후)부터 사용된 LCD.[19] 참고로 5호선은 4차분, 7호선은 5차분, 8호선은 3차분이 이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