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本選
대회(大會)에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심사. 참가자의 수를 한정(限定)하는 대회에서, 예선(豫選)을 거쳐 미리 참가자 수를 추린 후,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심사를 말한다.2. 本線 | Main Line
교통에 있어서 중요한 지역들을 연결하거나 여러 지선을 묶는 도로, 철도 등을 가리킨다.2.1. 일본의 간선과 지방교통선
나무위키에서는 간선 항목을 본선의 리다이렉션으로 처리하여 여기 기술한다.일본의 JR노선은 국철시대인 1981년 간선과 지방교통선으로 나누었으며, 이를 통한 법률적으로 구분된 단어의 사용이 된다. 일반적으로 지방교통선이 간선보다 요금표가 10% 더 비싸게 되어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아래는 간선의 분류기준.
- 철도 노선 중
- 1980년 3월 31일 시점에서 인구 10만명 이상의 도시(주요 도시)를 서로 연결하고
- 여객 영업 거리가 30km 이상
- 모든 인접 역 간에서 여객 수송 밀도 (일일 1km당 수송 인원)이 4,000명 이상인 구간을 가지는 선
- 철도 노선 중
- 1. 조건에 들어맞는 영업선에서 인구 10만명 이상의 도시(주요 도시)를 연결하고
- 1.1과 1.2의 조건을 충족하는 구간을 가지는 선
- 화물 수송 밀도가 4,000t이상인 선
2번은 도시-도시간 노선이 아니라 간선-도시간 노선을 뜻한다. 대표적 사례로 나라선이 있다. 나라선은 교토역-키즈역(교토)간 노선으로 1.1의 기준에는 들어가지 않지만, 교토시와 간사이 본선을 연결하는 선으로서 2번에 해당하는 것.
2.2. 철도의 본선(本線) 목록
2.2.1. 대한민국
정식 명칭이 "○○본선"으로 되어있는 노선이 있었지만 변경고시를 통해 "○○선"으로 하고 표를 한 칸 더 만들어 '본선'을 부기하는 방식으로 개정 중에 있다. 보통은 '본'자를 떼고 부른다. 2010년대 이후 개통하는 노선들은 "○○본선"이라는 이름이 아예 쓰이지 않는다. 예컨대 '수서평택고속본선'이나 '경강본선'은 존재하지 않는 표기이다.- 경부본선(441.7km)
- 경부고속본선(398.2km)
- 수서평택고속선(61.1km)
- 경원본선(94.4km)
(223.7km)[명목상] - 경의본선(56.0km)
(485.7km)[명목상] - 전라본선(180.4km)
- 경전본선(277.7km)
- 호남본선(252.5km)
- 호남고속본선(183.8km)
- 영동본선(188.9km)
- 태백본선(104.1km)
- 중앙선(331.3km) - 종전 '중앙본선'에서 개칭
- 경북본선(115.0km)
- 동해선(188.9km) - 특이하게도 역사는 길지만 '동해본선'이라는 명칭의 노선이 없이 동해남부선과 동해북부선만 있었다. 이후 차례로 개정고시되며 노선이 바뀌었다.
- 안산본선(26.0km)
- 경강선(176.5km)
2.2.2. 일본
여기서는 이름에 본선이 들어간 노선만 포함했다.
2.2.2.1. JR그룹
- 하코다테 본선(458.4km)
- 네무로 본선(362.1km)
- 무로란 본선(218.0km)
- 루모이 본선(50.1km)
- 소야 본선(259.4km)
- 센모 본선(166.2km)
- 세키호쿠 본선(234.0km)
- 히다카 본선(30.5km)
- 신에츠 본선(175.3km)
- 도호쿠 본선(572.0km)
- 오우 본선(484.5km)
- 우에츠 본선(271.7km)
- 도카이도 본선(720.7km)
- 츄오 본선(424.6km)
- 소부 본선(145.4km)
- 간사이 본선(179.6km)
- 키세이 본선(384.2km)
- 타카야마 본선(225.8km)
- 산요 본선(537.1km)
- 산인 본선(676.0km)
- 호쿠리쿠 본선(45.9km)
- 가고시마 본선(281.6km)
- 나가사키 본선(148.8km)
- 닛포 본선(462.6km)
- 치쿠호 본선(66.1km)
- 호히 본선(148.0km)
- 큐다이 본선(141.5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