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20 00:52:57

변선환

변선환
파일:21971_16948_620.jpg
한자명 邊鮮煥
영문명 Sun Hwan Pyun
일아(一雅)
생년월일 1927년 9월 23일
사망 1995년 8월 8일
종교 감리교[1]
배우자 (사별)
신옥희[2]
자녀 3남[3]
학력 평양 상공학교 기계과(졸업)
성화신학교(중퇴)[4]
감리교신학대학교 (신학사(B. Th.))
한신대 대학원 (신학석사(M. Th.))
미국 드류대학교 (신학석사(S. T. M.)
스위스 바젤대학교 (신학박사(D. Th.))
경력 대한민국 육군 군목
이화여고 교목
감리교신학대학교 강사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장
감리교신학대학교 학장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신학자, 교수, 목사. 1927년평안남도 진남포에서 출생하여 감리교 목사가 된 후, 미국독일에서 학위를 받은 후 귀국, 감리교신학대학교에서 1967년부터 1992년까지 교수로 재직하였다. 교수로서 기독교불교의 대화를 추구하며 토착화 신학을 연구하고 발전시키며, 후학 양성에 힘쓰다 1988년 감신대 학장에 취임하였다. 그러나 불교와의 대화, 토착화 신학 연구를 문제 삼은 교단 관계자들에 의해, 1992년 종교재판에 회부되어 출교 처분을 받았다. 1995년 8월 8일, 사망하였다.

2. 생애

변선환은 1927년 9월 23일 평안남도 진남포(지금의 평안남도 남포시)에서 태어났다. 진남포는 중국과의 교역으로 인해 번성하던 무역 도시이자 공업 도시로서 발전 중에 있었다. 변선환은 진남포 교외에 위치한 고향에서 숲과 산, 바다를 즐기며 자라났고, 진사였던 할아버지가 운영하는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다가 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보통학교 졸업 후 변선환은 평양 상공학교 기계과에 입학하여 1945년 졸업하였다.

상공학교 졸업반이던 그 해에 변선환은 신석구 목사의 설교를 접하고 신앙생활을 시작하였고, 신석구 목사로부터 세례를 받았다. 진남포 제련소에서 잠시 설계사로 일하던 변선환은 1948년 평양에 있는 성화신학교에 입학하였다. 성화신학교는 38선으로 사실상 남북이 분단된 후, 이북의 감리교 목회자를 양성하기 위해 신석구 목사 등이 세운 신학교였다. 당시 성화신학교에서는 정경옥의 "기독교 신학 개론"을 교과서로 사용하고 있었기에 변선환은 정경옥의 책을 통해 처음 신학에 입문할 수 있었다.

6.25전쟁이 터지고, 변선환은 1.4 후퇴 때 월남하여 1951년 부산으로 이동한 감리교신학대학교에 입학하였다. 열악했던 성화신학교와 달리, 이미 개교한 지 60년 정도 되던 감리교신학대학교에서 뛰어난 교수진으로부터 신학을 배울 수 있었다. 윤성범으로부터 폴 틸리히 신학을, 홍현설로부터 라인홀드 니버의 신학을 배웠다.

1953년 변선환은 육군 군목으로 임관하면서 목사 안수를 받았고, 군목으로 일하며 틈틈히 어학 공부를 지속했다. 제대 후인 1958년에는 한신대 대학원에 입학, 박봉랑 교수 밑에서 칼 바르트의 신학을 배웠으며, 1960년 석사학위를 받았다. 석사 논문은 존 웨슬리의 은총론을 주제로 하였다. 이 당시에 변선환은 신정통주의 신학에 강하게 매료되어 있었기에 존 웨슬리 신학도 신정통주의의 빛 아래에서 재해석하려고 하였다.

석사 학위 취득 후 잠시 이화여고 교목으로 지내다, 1962년 미국 드류대학교로 유학하여 실존주의 신학자인 칼 마이켈슨의 영향을 받았다. 칼 마이켈슨은 유럽 신학을 통해 미국 신학계에 큰 영향을 준 학자였으며, 이를 통해 변선환은 유럽 유학을 꿈꾸게 된다. 드류대학고에서 변선환은 프리츠 부리의 저서를 통해 동양 사상과 기독교 신학의 대화를 접하게 되었다. 드류대학교에서 다시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변선환은 귀국하여 감리교신학대학교에서 강사 생활을 하였다.

강사 생활 중 아내를 암으로 잃는 슬픔을 당하게 되었다. 변선환은 1968년 이화여대 철학 강사였던 신옥희 교수와 재혼하였다. 1971년에는 스위스 바젤대학교로 유학하였다. 바젤에서 변선환은 박사 과정을 밟으며 동양사상과 기독교 신학의 대화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변선환은 1975년 "기독교와 선불교의 만남에서 본 그리스도의 궁극성의 문제"라는 박사 논문을 제출하였고, 1976년 통과되어 박사 학위를 받고 귀국하여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명강의로 큰 인기를 끌었고, 동시에 많은 후학을 양성하면서 대학원장 등과 같은 행정직도 수행하였다.

1982년 현대사회연구소가 주최한 기독교와 불교의 대화 모임에서 한 주제 강연이 문제가 되어 변선환은 처음 이단 시비를 받게 되었다. 강연 내용은 "기독교인인 우리만 구원 받을 수 있다는 배타적 입장을 떠나 무신론자까지도 진리를 추구하는 이들에게 있어서 구원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하자."는 것이었지만 "무신론자도 구원 받을 수 있다."는 내용으로 와전되었다. 그리하여 변선환 교수에 대한 규탄 성명과 감리회 정회원 자격 정지 요구가 이는 등 큰 파장이 일었다. 당시 감독회장인 오경린 목사의 중재로, 변선환 교수가 해명서와 신앙고백서를 발표함으로써 사태는 일단락되었다.

1988년 변선환 교수는 감리교신학대학교 학장에 취임하였다. 학장 재임시 변 교수는 학교 발전을 위해 부지를 매입하는 등 행정가의 모습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1992년 변선환은 종교재판에 회부된다. 그의 기독교와 불교의 대화가 다시 문제시 된 것이다. 10년 전에는 변선환의 해명서와 신앙고백서로 일단락되었지만, 이번에는 달랐다. 이번에는 모든 각본이 변선환의 출교로 미리 짜여져 있었다. 변선환은 굴욕적인 종교재판을 받으면서도 차분하면서도 묵묵히 자신의 입장을 발표하였지만 1992년 출교 처분을 받았고, 동시에 정년 은퇴 및 임기 만료로 감리교신학대학교에서도 퇴임하였다.

종교재판의 울분 속에서도 변선환은 1994년 국제 아시아 철학 종교학회 고문으로 선임되었다.

하지만 그 이전부터 오랜 연구 등을 통해 건강이 좋지 않던 변선환은 종교재판의 충격 속에서 1995년 8월 8일 자택에서 갑자기 별세하였다. 유고인 "한일 양국의 근대화와 종교"라는 논문을 집필 중의 일이었다. 변선환은 책상 위에서 그렇게 하나님 나라로 떠났다.

사후 장례 방식을 놓고 논의가 분분했다. 응당 감리교신학대학교 주관 학교장으로 치러야 했지만, 종교재판의 후유증으로 학교 측이 겁을 낸 결과, 40여 년을 재직한 학교 측은 학교장을 치르길 주저했다. 결국 장례는 동문회장으로 치러졌다.

[1] 1992년 교단에서 제명되었다.[2] 이화여대 명예교수[3] 2남은 사별한 전처 소생, 1남은 신옥희 교수 소생이다.[4] 성화신학교는 1946년 개교하였다가 1950년 북한 정권에 의해 폐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