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21:06:22

법난

法難

1. 개요2. 역사 속 사례
2.1. 중국의 삼무일종법난2.2. 조선숭유억불(배불숭유)2.3. 일본의 폐불훼석2.4. 10.27 법난

1. 개요

불교에서 불교 탄압을 이르는 말. 즉 훼불(毁法)·폐불(廢佛)·멸불(滅佛)사건 등이 가장 큰 예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대한민국 제5공화국 출범을 앞두고 집권 신군부 세력이 불교계 정화를 명분으로 승려들을 고문, 감금하고 누명을 씌웠던 사건인 10.27 법난(1980년)이 유명하다.

2. 역사 속 사례

2.1. 중국의 삼무일종법난

중국 남북조시대당나라, 오대십국시대 때에 걸친 네 차례의 법난이 유명한데 이를 삼무일종(三武一宗)의 법난이라 한다. 항목 참조.

2.2. 조선숭유억불(배불숭유)

잘 알려졌다시피 성리학에 기초한 것. 물론 그 이면에는 고려시대 기성세력(권문세족)과 연계된 불교세력의 부정부패에 대한 신진사대부 세력의 반감도 포함되어 있었다. 다만 디테일하게 표현이 조금씩 다르다.

굳이 따지면 배불<폐불<척불<<파불이라고 할 수 있는데, 폐불, 배불, 척불은 혼용되는 편이며, 중종의 폐불은 최후의 법난이란 점에서 의미를 두기도 한다.

세조대에 일시적으로 숭유억불 정책이 폐지되어 상당수 불경들이 한글로 번역되기도 했으며, 성종대 이후로 숭유억불 정책이 부활했지만 명종대에 문정왕후가 수렴청청을 하면서 불교는 상당히 부활했으며, 문정왕후 사후에 다시 탄압을 받게 되었지만 임진왜란승병의병활동 이후로는 승려들에 대한 지위가 일부 격상되었고 비상시의 노동력으로도 썼기 때문에(...)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탄압은 찾아보기가 힘들어졌다.[4]

영조의 경우 도성 가까이 사찰이 지어지고 부녀자들이 출가를 한다며 불교를 배척하라는 승지 이정주의 말에 '나라가 망하는 것은 불교와 상관없고 백성들이 곤궁한 처지에 있으니 오죽하면 출가를 하겠는가?'라고 답하기도 했다. (승정원일기 영조 1년 5월 3일 기사)[5]

조선 시대에는 유림세력이 불교 사원에 행패를 부리는 등의 억압이 내내 존재했고 승려들은 천민의 신분으로 노동력과 공물 등을 착취당했다. 아울러 조선 말기까지 도성 안에 사찰을 짓지 못하게 하고 승려를 도성에 들이지 못하게 하는 등 불교에 대해서 억압이 항상 있었다. 예외적으로 실록을 보관/관리하거나, 왕실의 무덤을 관리하거나 위패를 모신 사찰에는 유생들이 함부로 행패를 부리지 못했고[6] 유학자들 가운데서도 승려들과 교류를 가지며 친분을 다지는 예도 종종 있었다. 초의선사와 친분이 두터웠던 정약용이나 김정희가 대표적인 예.

2.3. 일본의 폐불훼석

메이지 유신 직후, 국가신토를 창시하고, 국가신토에 의거해 천황의 권위를 높이고 일본이 신국이라는 사상 하에 이와는 배치되는 불교와 슈겐도를 탄압하였다. 불교는 그나마 두터운 신도층 덕분에 어찌어찌 넘어갔지만, 슈겐도는 그러지 못하고 불교에 사실상 완전 예속되었다.

이 때가 일본 불교에서 대처승과 육식이 현대의 일본불교 모습으로 완전히 정착되어 일반화된 시기다. 그 전에는 아무래도 걸리는 게 있다보니(?) 사상/교리적으로 면피할 해석/주장을 만들어놓았고 결혼하지 않는 승려도 많았지만, 이때 이후로는 그런 거 없고 일본 애니에 나오는 것처럼 "일본 스님=절대군주마누라와 자식 두고 고기도 자유롭게 먹는다"는 게 완전히 대중화/고착화되었다.

다만, 지금도 선종 계열 사찰에서는 교파에 따라 육식이나 결혼에 제한을 두는 경우가 많고, 대처와 육식이 완전히 퍼진 종파도 정진 기간에는 고기가 없는 정진요리만을 먹으며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7]

참고로 메이지 유신 이전에도 오다 노부나가에 의한 법난(?)이 있었다. 다만 그 때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원래 일본은 불교가 강세인 국가로 황실, 귀족, 무사 가리지 않고 불교를 우대하여 토지를 시주하였고 절은 그것을 기반삼아 승병을 일으켰는데 시라카와 덴노 때에 이르면 시라카와 덴노 본인이 자신의 힘으로도 어찌할 수 없는 3가지로 강물의 흐름, 쌍륙패의 운수 그리고 당대 잘나가는 절인 엔랴쿠지의 승병을 꼽을 정도로 승병의 힘이 세졌다.[8] 자연 현상과 도박의 운수 같은 정말 어쩔 수 없는 일만큼이나 제어할 수 없을 정도로 승병이, 불교 전체에 문제가 심각해졌는데 센고쿠 시대에 들어서자 거대 절들은 아예 영지와 승병을 기반으로 독립 세력화한다. 그냥 이걸로 끝났으면 또 모르겠는데 저 병력으로 타 종단과 싸우고 다이묘들과 싸우고 용병으로 승병을 보내고 민중을 약탈하는 등의 행위를 했다. 오다 노부나가는 저 꼬락서니를 보다 못해 이들 중 가장 오다에게 맞서던 엔랴쿠지를 밀어버린 것[9] 물론 아케치 미츠히데처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오다는 백성들이 원할 거라며 그냥 강행해버렸다.[10]

결국 시라카와 덴노가 그렇게도 손도 못대던 엔랴쿠지가 오다에게 공격당했는데 이 때도 어이없는 추태를 보여주어 절인데 여자들과 옷도 제대로 챙기지 않고 나오는 승려들이 많았다. 저 꼬락서니에 오다는 엔랴쿠지에서 나오는 승려들을 모두 죽여버리라고 명령한다.[11] 결국 엔랴쿠지는 완전히 불타 사라진다.[12] 이 외에 정토진종 역시도 공격대상이 되었는데 토벌 과정에서 동생이 전사하는 바람에 3족까지 멸해버리겠다고 하는 바람에 배교자들이 다수 나왔다고 한다. 결국 이들도 엔랴쿠지처럼 박살이 난다.

2.4. 10.27 법난

해당 문서 참조


[1] 경교, 마니교, 조로아스터교의 서방 전래 종교들[2] 정확히는 태종 때 11개 종파를 7개 종파로, 다시 세종 때 선종 / 교종2개 종파로.[3] 다만 세종대왕 개인은 말년에는 크게 불사를 일으키기도 했으며 이 때문에 유림의 비판을 받았다.[4] 다만 현종대에 승려의 도성 출입을 제한하는 등의 조치를 취한 적은 있다. 이 이후로는 이런 조치들을 찾아보기 힘들지만.[5] 놀랍게도 연산군이 즉위 초에 했던 말이기도 하다.[6] 하는 순간 왕실을 능멸하는 것으로 취급되어 대가를 아주 톡톡히 치르게 되었다. 또한 실록 관리 사찰의 경우 주지가 유사시 지방 군대를 동원할 수 있는 밀부도 갖고 있었다.[7] 다만 고기를 대신하기 위해 간장, 기름 등을 많이 써서 채소가 주 재료임에도 칼로리가 높다.[8] 이렇게만 보면 무력한 군주로 보이겠지만 실제로는 당대 최강의 권력을 쥐고 있던 후지와라 가문의 세를 꺾고 왕권 강화에 나섰던 일본사에 몇 없는 나름 강력한 군주였다. 근데 그런 사람조차 저런 말을 한 거다.[9] 심지어 오다는 처음에는 그 정도까지 할 생각은 없었다. 세금만 낸다면 별 상관도 없다 여겼지만 불교계에서 먼저 오다에게 불신자라느니 하는 소리를 하며 시비를 거는 바람에 일이 저렇게까지 커졌다.[10] 그리고 이 말은 맞아떨어졌다. 워낙 불교계의 행패가 심해서 민중들은 오히려 오다를 영웅시하기도 했다.[11] 물론 엔랴쿠지라고 멀쩡한 승려가 없던 건 아니었지만 그들 대부분은 모두 대다수 썩어빠진 땡중들에게 죽임을 당했고 소수만이 살아남아 오다에게 붙었는데 오다는 처음에 배신자로 여겼지만 이들도 엔랴쿠지가 너무 썩어서 확 밀어버리는 게 옳다는 것에 동조했기에 온 것이라고 말했다.[12] 이후 다케다 신겐 등이 후원하여 다시 복원되긴 한다. 실제로 앞서 말했듯 다이묘들과 손잡던 불교계도 있었기에 오다의 이런 행위는 다른 다이묘들의 공격대상이 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