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석 朴慶錫 | Park, Kyungsok | |
| |
<colbgcolor=#2A5034> 출생 | 1933년 1월 26일[1] ([age(1933-01-26)]세) |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읍 본정리 88번지[2] | |
거주지 | 대전광역시 유성구 |
국적 |
|
본관 | 밀양 박씨 (密陽 朴氏) |
종교 | 개신교 |
학력 | 충남부여은산심상고등소학교 (전학[3]) → 충남연기조치원심상고등소학교 (졸업 / 1회#) 충남대전고등보통학교 (졸업 / 31회) 육군종합학교 (생도 2기 / 6.25 한국 전쟁 발발) 육군사관학교 (생도 2기 /1956년 / 명예 졸업) 육군보병학교 (졸업) 육군포병학교 (졸업) 육군대학 (학사) 국방대학교 (행정학 / 학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4] (사회과학 / 석사 수료[5]) |
신체 | 170cm |
가족 | 3남 5녀(8남매) 가운데 삼남(三男)이자 막내 첫째 형 박규석[6] 둘째 형 박영석[7] 배우자 김혜린[8] 슬하 1남 3녀[9] 첫째 딸 박은희 둘째 딸 박은실 셋째 딸 박현비 막내 아들 박현우 |
필명 | 한사랑(韓史郞)[10] |
주요 경력 | 국방부[11] 인사과장 (1973년 3월 22일~1974년 8월 22일) 통일원[12] 정책자문위원 (1991년 1월 31일~1992년 2월 19일) |
문인 경력 | 국제펜클럽 대한민국본부 부이사장 한국문인협회 상무이사 한국소설가협회 상무이사 |
여타 경력 | 전우신문사 회장 (2002년 4월 8일 취임~2006년 7월 10일 퇴임[13]) 신민공 당무위원 자민련 당무위원 겸 국방외교행정특임고문 신한국당 상임고문 겸 당무위원 한국군사평론가협회 회장 한국군사학회 회장 대한민국 전쟁문학협회 회장 한국소설가협회 상무이사 국제펜클럽 대한민국 본부 부이사장 한국문인협회 상무이사 계간 군사논단 발행위원장 한국시문학평론학협회 회장 1992년 제1회 살신성인 육군 소령 강재구 선생 추모회 발기위원장 전우신문사 명예회장(2006년 7월 10일 취임[14]) 2007년 참 군인 귀감 육군 중위 조창호 선생 1주기 추모회 발기위원장 2007년 충남대 공과대학 출신 순절 육군 중위 권기중 육군 제21사단 예하 공병소대장 20주기 추모회 집행위원장 건양대학교 군사학과 석좌교수 한국군사평론가협회 명예회장 바른정당 상임고문 겸 당무위원 한국당 고문 겸 당무위원 |
링크 | |
군사 경력 | |
임관 | 육군종합학교 (생도 2기) |
복무 | 1950년 ~ 1981년 |
최종 계급 | 준장 |
최종 보직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차장 |
주요 보직 | 파월 제1진 맹호부대 제1연대 초대 在求大隊長[15] 제1보병사단 제12연대장 제6보병사단 작전부사단장 제3야전군사령부 인사처장 육군본부 기획처장 제1군단 참모장 대한민국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차장 |
병과 | 보병 |
참전 | 6.25 전쟁 베트남 전쟁 |
1. 개요
朴慶錫
1933년 1월 26일[16]~ ([age(1933-01-26)]세)
대한민국의 군인, 시인, 소설가. 육군사관학교 생도 2기 출신으로, 원래 육군종합학교 입교 직후부터 6.25 전쟁에 참전했고, 베트남 전쟁 때 초대 육군 재구대대장을 지냈으며, 최종적으로는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차장을 지냈고 1981년에 대한민국 육군 준장으로 예편하였다.
대한민국의 예비역 육군 장성 출신의 전쟁 문학 작가이며, 전쟁사(戰爭史)에 조예가 있는 저술가이자 문인이다.
1980년부터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차장 직을 지내다가 이듬해 1981년 육군 준장으로 예편한 그는 대한민국의 군인[17]으로 첫 출발 및 복무했었던 순수 전쟁 문학 작가 출신으로 그는 일평생 동안 시인·소설가·정치인[18]·군사평론가·문학평론가·언론기업인·저술가·시사평론가 등으로 상당히도 다방면에서 활약하였으며, 주로 그는 순수 군사 평론가 겸 전쟁 승전 기념 관련 역사 문학 작가 등으로 활약하였다.[19]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읍 본정리[20] 지역의 중농 농부 집안(中農家)에서 슬하 3남 5녀(8남매) 중 삼남(三男, 셋째아들)이자 막내로 출생하였다.[21]
1989년부터 보수주의 세력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하나회 출신의 정치군인들의 무공훈장 공훈 등을 삭탈 조처하는 것에 무던히 노력했다.
2. 경력
2.1. 주요 이력
- 1950년 육군종합학교 2기로 육군 소위 임관.
- 1950년 육군 수도사단 예하 보병장교.
- 1951년 육군 제9사단 예하 포병장교(1951년 7월).
- 1951년 육군 제9사단 제30연대 예하 소대장(1951년 8월).
- 1951년 육군 제9사단 보병장교(1951년 9월).
- 1951년 육군 중위 보임(1951년 10월).
- 1956년 육군사관학교 생도 2기 명예 문학 학사 졸업.
- 1956년 육군 대위 보임(1956년 2월).
- 1956년 육군 제9사단 작전장교.
- 1959년 육군 제9사단 제30연대 예하 보병중대장 및 육군 대위 시절 수주 변영로 작가의 추천을 받아 《등불》이라는 시집을 발표하여 시인으로 첫 입문.
- 1961년 장편 소설 《녹슨 훈장》을 발표하여 소설가로 첫 입문.
- 1963년 육군 제9사단 제30연대 예하 보병중대장 재직시 육군 소령 진급.
- 1965년 육군 제1사단 예하 제15연대 제2대대장 보임과 동시에 육군 중령 진급.
- 1966년 육군 제1사단 인사참모.
- 1967년 육군 제1사단 작전참모.
- 1968년 육군대학교 교수.
- 1969년 육군 수도사단 제1연대 예하 보병 대대장.
- 1970년 육군 제28사단 참모장 보임과 동시에 육군 대령 진급.
- 1973년 국방부 인사과 과장.
- 1974년 육군 제1사단 제12연대장.
- 1975년 육군 제1사단 제12연대장 재직 시에 육군 준장 진급.
- 1976년 육군 제6사단 작전과 과장.
- 1977년 육군 제6사단 부사단장.
- 1979년 육군 제1군단 참모장.
- 1979년 육군 제3군사령부 기획처 처장.
- 1979년 육군 제3군사령부 인사처 처장.
- 1980년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차장.
- 1981년 예비역 육군 준장 예편.
- 1982년 군사평론가로 첫 입문.
- 1983년 문학평론가로 첫 입문.
- 1986년 시사평론가로 첫 입문.
- 1987년 정치평론가로 첫 입문.
3. 주요 작품
3.1. 수필
- 십구번도로,대영사,1965
- 그대와 나의 유산,창우사,1967
- 在求大隊(재구대대),병학사,1982
- 어려운 선택,독서신문사,1987
- 미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서문당,1990
- 빛바랜 훈장(군사에세이집),홍익출판사,2001
- 빛 바랜 훈장(군사 에세이-중보판),홍익출판사,2001
3.2. 소설
- 녹슨 훈장(장편),대영사,1961
- 오성 장군 김홍일(장편),서문당,1984
- 그날(대하실록소설) - 동방문화원,1985
- 별(장편소설) - 독서신문사,1986
- 묵시의 땅(장편소설) - 홍익출판사,1987
- 나의 기도가 하늘에 닿을 때까지(장편) - 홍익출판사,1987
- 따이한(대하실록소설) - 동방문화원,1987
- 영웅들(장편) - 독서신문사,1988
- 육군종합학교(실록전쟁소설),서문당,1990
- 행복의 계절(장편) - 팔복원,1992
- 서울학도의용군(실록소설) - 서문당,1995
- 육사 생도 2기(실록소설) - 홍익출판사,2000
- 전쟁 영웅 채명신 장군 (실록소설) - 팔복원,2018.3
3.3. 시집
- 제1시집 등불,대영사,1959
- 제2시집 한강은 흐른다,병학사,1983
- 제3시집 꽃이여 사랑이여,서문당,1984
- 제4시집 나의 찬가,병학사,1985
- 제5시집 어머니인 내 나라를 향하여,거목,1986
- 제6시집 그리움에 타오르면서,서문당,1986
- 제7시집 별처럼 빛처럼,홍익출판사,1987
- 제8시집 시인의 눈물로,홍익출판사,1987
- 제9시집 기도속의 새벽빛이,한멋사,1988
- 제10시집 격정시대,홍익출판사,1988
- 제11시집 그대 가슴속 별로 뜨리라,한멋사,1988
- 제12시집 사랑으로 말미암아,홍익출판사,1989
- 제13시집 좋은 이의 이름은,해외로 가는 길,1990
- 제14시집 행복피는 꽃밭,서문당,1991
- 제15시집 사랑이 지핀 불꽃 재우며,서문당,1991
- 제16시집 눈물갈채,서문당,1992
- 제17시집 상록수에 흐르는 바람,팔복원,1994.10.
- 제18시집 부치지 못한 편지,서문당,1995.10.
- 제19시집 꽃처럼,팔복원,1997.3.
- 제20시집 이런날 문득 새이고 싶다(시선집),서문당,1999.3.
- 제21시집 흑장미 2012.10. 한용출판사
3.4. 저술
- 지휘관의 사생관(군교재),병학사,1978
- 지휘관의 조건(군교재),병학사,1981
- 지휘관의 역사관(군교재),병학사,1982
- 실록 육사 생도 2기(국군사실록),홍익출판사,2000
3.5. 평전
- 불후의 명장 채명신,팔복원,2014.2
4. 논저
4.1. 논문
- 지휘관의 사생관
- 지휘관의 조건
- 지휘관의 역사관
5. 가족 관계
- 첫째 형: 박규석(朴圭錫, 1921년 8월 15일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연기군 출생~2020년 6월 8일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계룡시에서 향년 100세로 별세. 법조인 겸 변호사. 1950년 고등고시 2회 사법과 출신으로, 충북청주지검 검사 등을 거쳐 전남광주지법 부장판사 역임.)
- 둘째 형: 박영석(朴榮錫, 1928년 2월 11일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연기군 출생~2014년 1월 5일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에서 향년 87세로 별세. 군인 겸 기업인. 전직 대한광업진흥공사 사장 등을 거쳐 전직 서울방림방적 사장 역임. 아우 박경석 장군럼 예비역 육군 준장 출신인 대한민국의 군인 겸 기업가이며, 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출신.)
6. 생애
1933년 1월 26일 충청남도에 있는 연기군 조치원읍 본정(현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원리 88번지)에서 태어났다. 이후 대전고등학교(31회)로 졸업하고, 만17세의 나이에 청운의 꿈을 꾸며, 첫 4년제 정규 육군사관학교에 진학했다. 이때 우수한 성적에도 불구하고 만17세라는 나이로 인해 자격 미달이 되었지만, 당시 헌병사령관으로 이승만의 총애를 받고 있던 원용덕 장군의 자제이자 나이 제한으로 합격 미달 대상이었던 원창희의 육사 입교 압력이 육사 심사위원들에게 들어오자, 성적은 우수했지만, 차라리 똑같이 나이제한으로 불합격한 박경석 생도도 원창희 생도와의 형평성 문제로 합격되었다. 국방일보 박정인 장군 회고록에서 발췌한 박경석, 원창희 생도 합격 비화입교 보름만에 6.25 전쟁이 발발했고, 노도와 같은 북한군의 남하를 막고자 박경석을 포함한 생도 2기생들은 채병덕 당시 육군참모총장의 어이없는 명으로 윗 기수인 육사 1기생과 함께 생도대대로 편성되어 포천 방면으로 이동, 내촌-태릉 전투를 치른다. 그런데 졸업 및 임관이 머지않은 육사 1기와 달리 박경석을 포함한 육사 2기는 입교한 지 보름째로 기껏 소총 영점을 맞춘 수준이라 당장 실전에 투입될 처지가 아니었다. 그러나 이들은 당장 북한군을 어떻게든 막아야 한다는 채병덕 장군의 오판으로 전투에 투입되어 애꿎은 생도 절반이 전사했고, 낙오된 일부는 불암산 자락에서 게릴라 활동을 펼쳤다.
이후 박경석을 비롯한 생존자들은 끊어진 한강 다리를 구사일생으로 넘어 후퇴, 임시 수도인 대전 원동 국민학교에서 1기 선배인 육사 10기생들의 철모에 일명 반창고 소위 계급장을 붙여 주며 눈물의 소위 임관식을 치러 주었다.육사 10기생의 눈물겨운 반창고 임관식과 비운의 육사 생도 2기생의 비화.동아일보1993년 軍 어제와 오늘 편
이후, 전장에서 더 많은 위관장교 자원을 필요로 하자 정부는 이들을 신설된 육군종합학교[22]에 입교시켜 단기 교육 후 소위로 임관시켰다. 박경석도 이 때 임관된 초임장교 중 하나였다. 이들은 생도 2기 출신 1명을 제외하고, 전부 새로 신설된 제9사단[23]의 소대장으로 갔다. 그 1명은 당시 권력자였던, 원용덕 헌병 총사령관의 아들 원창희 소위였다. 원창희는 임관과 동시 후방의 부산역 파견 헌병대장으로 배속받았다.[24]
새로 신설된 9사단의 30연대 3대대 10중대 3소대장 보직을 받은 박경석은 여러 전투에서 생사를 넘나들었으며, 평창전투에서 수류탄으로 인한 피폭으로 부상당하여 부대에서 낙오, 한 번은 북한군에 잡혀 포로가 되었다. 박경석 소위가 포로로 잡힌 북한군 내에서는 박경석 소위를 비롯한 많은 한국군 장교포로들을 해방군관이라는 이름으로 전향시키려 했지만, 많은 이들이 이러한 북한군의 회유에 넘어가지 않았으며, 포로 생활도 도망가든 말든 자유로웠다고 한다. 박경석은 포로 시절을 회고하며, 포로로 잡힌 북한군 사단의 사단장[25]이 적이었지만, 그의 리더십에 감명 받았다고 한다. 부대에 식량이 떨어지면 사단장도 부하들과 함께 굶는 등의 리더십에 영향을 받아 뒷날 한국군내 정치군인이 판을 칠때도 그들의 회유와 압력에 굴하지 않고 참군인으로써 군인의 본분과 사명을 다하는데 계기가 되었다.
한편 그가 포로 생활할 즈음 국군에서는 박경석이 전사한 줄 알고 가족에게 전사통지서 전달과 함께 전후, 현충원에 박경석 중위의 가묘를 설치해 기렸다. 물론 어찌어찌 생환해 나중에 자신의 묘지가 안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지만, 파묘하지 않고 불의에 마음이 흔들릴 때마다 자신의 가묘를 찾아 마음을 다잡으며 자신의 생애가 다해 현충원에 안장되는 날 파묘하겠다고 한다. 하지만 박경석 장군의 생존을 확인한 국립서울현충원에서 2020년 8월에 가묘를 철거했다.[26]
1951년쯤, 전쟁이 교착 상태가 되자, 이승만은 전쟁 초기 육사 생도들의 안타까운 죽음을 기려, 미 8군의 도움으로 육사를 재건하려고 했다. 그러나 당시 육군 수뇌부와 중위 신분이던 육사 생도 2기생들은 육사 생도 복귀를 놓고 논쟁하다가 결국은 새로운 모집 공고에 의한 육군사관학교 재건으로 전두환, 노태우등이 속한 11기생들이 첫 정규 4년제 육사 생도가 되었다.
전쟁이 끝나고, 1950년대 후반부터 위관, 영관급 등 연간 100명의 장교들이 미국 포트 베닝 보병학교에 군사학 유학을 떠나는데, 여기서 배운 자유진영의 선진 군사학은 귀국 후, 전술 교관으로서 후배 장교들의 군사 지식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한국군의 현대화에 있어 양적 팽창에 이어 질적 성장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후에 월남전에 대대장으로 참전하면서 전승 행진을 하는데 있어 많은 도움을 주었다.[27]
1965년 한국 정부는 미국의 요청과 월남의 파병 요청 형식으로 조문환 장군을 단장으로 하는 주월 한국군 군사원조단 비전투부대 비둘기부대가 파병되었고, 뒤이어 미국의 대 한국 군사원조 약조인 브라운 각서 체결과 야당의 반대 등 진통 끝에 전투병력의 파병이 결정되었다.[28] 이에 수도사단 내에 전 군의 고급 인력들을 모아 월남에 파병하기 위한 1진인 맹호부대가 창설됐고, 이에 박경석 중령도 1연대 재구대대[29]의 대대장으로 부임해#[30] 강원 홍천에서 월남에 투입되기 위한 준비훈련을 시작한다.
하지만 강재구 대위의 10중대가 훈련 도중 이등병 하나가 수류탄의 안전핀을 뽑은 뒤 이를 놓치는 일이 벌어졌고,[31] 부임 전 부사관학교에서 수류탄 교관으로 있었던 그는 주저없이 수류탄을 덮쳐 일대의 중대원들을 살리고 현장에서 순직했다. 그 뒤 박경석 대대장은 채명신 사단장에게 강재구 사건은 사고가 아니라 '살신성인'이라고 강하게 주장했고, 이에 채명신 사단장도 역시 재구상 재정에, 아예 부대 이름을 재구대대로 개명시키며 그를 기렸다.[32] 그리고 그의 희생이 헛되지 않게 재구대대는 월남전에서 용감무쌍하게 싸워 세계 만방에 자랑스러운 한국군의 용맹을 빛내었다.
이후 월남에서 귀국 후, 대령으로 진급하여 1970년 8월 육군 제 1사단 12연대의 연대장으로 부임해 1사단 내 DMZ와 GOP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는데 당시 휴전선 부근을 담당하던 미국 2보병사단 예하 4보병여단의 근무 지역을 인수 받았다. 이는 그동안 휴전선 지역을 관할하고 수비하던 미군의 임무를 한국군이 독자적으로 수행하는 계기와 선례가 되었다. DMG내 미군 관할 지역을 인수받은 육군 1사단 12연대와 연대장 박경석 대령이 말하는 비화
1972년 10월, 육군본부 인사운영감실 대령과장[33]으로 있던 박경석에게 당시 실세 중에 실세 육군 수경사령관 윤필용의 참모장 손영길이 찾아왔다. 육사 12, 13기 출신의 신참 대령들의 연대장 가용 청탁 쪽지였는데, 박경석은 이 쪽지의 명단의 인물들을 대차게 거절했다. 그에 대한 대가는 참혹했다. 한달 뒤, 박경석은 거의 확실시 되던 준장 진급에서, 진급에서 한참 밀리던 윤필용의 직속인 김성배로 준장 진급자 명단이 바뀌었다. 그후 2번이나 연거푸 준장 진급 누락 끝에 1975년에 간신히 진급이 된 박경석의 첫 보직은 6사단 부사단장 겸 DMZ 내에서 발견된 땅꿀 특수개척팀장이었다. 박경석 장군의 준장 진급 비화[34]
이후 박경석은 제1군단 참모장 직에 올랐으나 당시 제1군단장 양봉직 축출사건 당시 진종채 보안사령관의 사건 은폐 요청[35]을 거부하였으며, 1980년에는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차장으로 영전됐다. 사실 이 건 신군부 측의 회유에 가까운 영전이었는데 당시 인사참모부 차장이 겸임하던 자리는 육군공적심사위원장이었는데 당시 5.18과 12.12 당시 신군부 기준에서 공을 세운 장교들의 무공훈장 수여 심사 과제를 맡게 되었다. 그러자 박경석은 소장으로 진급할 수 있었음에도 양심에 따라 이를 차라리 거부하고 1981년 7월 31일. 12.12 이후 개정된 인사법에 따라 1년 단축한 만기 육군준장 7년 정년으로 군복을 벗었다. 당시 전두환은 박경석을 국영기업체 감사로 임명했지만 박경석은 이를 차라리 거부하고 전업 작가의 길에 들어섰고, 이후 2017년에는 전쟁영웅 채명신 장군, 2022년에는 정의와 불의 등을 저술하였다. 특히 정의와 불의는 역바연 소장인 황현필이 박경석과 따로 만남을 가지고 출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7. 업적
7.1. '12.12', '5.18' 관련 정치군인 수여 무공훈장 삭탈(1989)
박경석은 5.18 광주민주화운동 직후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차장으로 재직 중, 정치적 목적에 따라 수여가 추진된 무공훈장을 끝까지 거부한 인물이다. 당시 박경석은 공적심사위원장 직무를 수행하며, 육군총장 이희성, 차장 황영시로부터 '광주 소요 진압 유공자 및 12.12 관련 장병에게 무공훈장을 수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이에 대해 박경석은 “무공훈장은 적과의 교전에서 전공을 세운 장병에게 수여하는 것”이라며 반대 의사를 밝혔으나, 육군 지휘부는 “폭도는 적이 아닌가”라는 식의 논리로 밀어붙였다. 결국 태극무공훈장을 포함한 다수의 무공훈장 수여안이 제출됐으나, 박경석은 심사위원장을 끝까지 거부하며 서명하지 않았고, 그 결과 인사참모부 차장에서 해임되고 예정된 소장 진급도 무산되었다.
이후 박경석은 전우신문과 군사논단 등에서 지속적으로 훈장 수여의 부당함을 지적했으며, 상훈법상 공적이 허위일 경우 훈장 회수가 가능하다는 조항에 따라 문제 제기를 이어갔다.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관련 무공훈장이 모두 회수되는 결정을 이끌어냈고, 검찰 조사 과정에서 박경석은 심사 거부 사실을 명확히 진술해 법적 근거 마련에도 기여했다.
그 결과, 전두환의 태극무공훈장, 노태우·정호영의 을지무공훈장 등 정치군인에게 수여된 대부분의 무공훈장이 공식적으로 삭탈되었다. 이는 대한민국 군 상훈 역사상 이례적인 결정으로 기록된다.
[관련자료]
KBS 1TV - 뉴스초점 하나회 인맥 사라지는가
https://youtu.be/lA9QwE4ZLtg?si=fooIoqwlZaaFiq1Y
7.2. 육사 생도 2기 전사자 86명 추서 임관 및 기수 편입(1992)
박경석은 육군사관학교 생도 2기의 생존 동기로서, 한국전쟁 당시 전사한 동기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육사 생도 2기는 1950년 6월 1일 입교하여 불과 5개월 후인 같은 해 10월 23일 육군종합학교로 임관한 첫 4년제 생도 출신이다. 한국전쟁 발발 직후 편입 교육을 받으며 전선에 투입되었고, 임관 전후를 통틀어 전체 인원의 절반 가까운 86명이 전사해 '죽음의 기수'로 불렸다.
그러나 전쟁 중 임관 전에 전사한 생도들은 제대로 된 장례나 기록조차 남지 않았으며, 4년제 사관학교 체제의 정식 기수로도 인정받지 못한 채 오랫동안 역사에서 소외되어 있었다. 이에 생존 동기생들은 6월 1일 입교일을 기념해 '6.1회'를 결성하고 동기회를 중심으로 명예 회복 운동을 시작했다.
박경석은 전역 후 동기회 회장을 맡아 생도 2기 전사자에 대한 추서 임관과 육사 기수 편입을 본격 추진했다. 당시 국방부와 육군은 부정적 반응을 보였으며, 특히 전두환을 비롯한 하나회 출신 주류 세력은 자신들의 '첫 4년제 기수' 이미지에 손상이 갈 것을 우려해 이 같은 동정 여론을 차단하려 했다.
1991년 6월 1일, 동기회 명의로 육군참모총장과 국방부장관 앞으로 전사자 추서 임관을 공식 건의하였고, 이후 언론 보도와 지속적인 탄원 활동을 통해 여론을 환기시켰다. 이듬해 국방부는 전우 증언을 바탕으로 전사자 개별 확인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히며, 이에 따라 생존자들이 당시 상황을 증언한 문서를 제출했다.
그 결과, 1992년 10월 15일 국방부 인사명령 제335호에 의해 생도 2기 전사자 86명이 육군 소위로 추서 임관되었다. 이들은 모두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 위패 봉안실에 '육사 생도 2기' 육군 소위 자격으로 봉안되었으며, 역사 속에서 말소되었던 육사 생도 2기의 존재가 공식적으로 복원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박경석은 동기들과 함께 생존 생도 2기 전원의 명예 졸업과 육사 기수 편입까지 추진하였고, 마침내 이 역시 성사되었다. 생존자 전원은 육사 명예 졸업장을 수여받고 정식 육사 기수로 인정받았으며, 육사 총동창회로부터 '자랑스러운 육사인상'을 단체로 수상하는 영예도 얻었다. 단체 수상은 이례적인 사례로 기록된다.
[관련자료]
‘포천 372고지 539명’ [풀영상] | 창 470회 (KBS 24.06.25)
https://youtu.be/JLOXRt9UfO0?si=Tl9lz5MhbNj_4FJH
[창+] 야욕에 희생된 사람들...명예를 찾기까지 46년 (KBS 24.06.25)
https://youtu.be/I1oDKn-EdQY?si=aY1tDLsmWhX3R
잊혀진 전쟁 영웅, 육사생도 1·2기가 들려주는 ‘그 날’[창+] / KBS 2024.06.29.
https://youtu.be/i5Hf2bkfzJ0?si=SVPdAtCl0nM7zTRJ
[기념시]
《생도송(生徒頌)》 – 박경석 作
여기 화랑대 평화로운 생도의 요람
이 들과 언덕에 여름꽃 필 무렵
부푼 꿈 유월의 소망 가슴에 묻고
조국의 부름에 구국전선으로 달려간 생도
오 영롱한 젊음의 충정이여
그것은 정녕 타오르는 나라 사랑
정의와 자유 화랑도의 부활이어라
생도의 충절 온 누리에 떨쳐
선열의 얼 빛낸 숭엄한 발자취
그 거룩한 장거 어찌 잊으랴
이제 그날의 위훈 멀어져가고
역사의 저편에 시라진 영웅들
어디서 무엇이 되어 살아 흐르는가
새벽이면 떠오르는 찬란한 태양처럼
영겁으로 이어갈 새 생도들이여
누만 년 국운 짊어질 아기별들이여
7.3. 백선엽 명예원수 추대 저지(2009·2010)
박경석은 2000년대 후반 제기된 백선엽 장군의 명예원수 추대 시도를 실질적으로 저지한 인물로 평가된다. 백선엽은 전역 이후 국방부 산하 군사편찬연구소 자문위원장을 맡아, 약 30여 년간 사실상 ‘비공식 현역’ 대우를 받으며 활동했다. 그 기간 동안 현역 중령 보좌관, 사병 수행병, 고급 관용차량(에쿠스), 사무실과 예산 지원을 제공받으며, 6.25전쟁사를 재편찬하는 작업을 주도했다.그는 자신에게 불리한 전투기록은 제거하고, ‘6.25의 이순신’, ‘구국의 영웅’, ‘한국전쟁 4대 영웅’ 등 미화된 수식어가 가득한 전사(戰史) 11권을 제작했으며, 이후 보수 단체 및 일부 군 원로 인사들의 주도로 백선엽을 대한민국 최초의 명예원수로 추대하려는 움직임이 구체화되었다. 이명박 정부는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하며 인사법 개정 작업에 돌입했다.
박경석은 이에 반대하며 전우신문, 군사논단 등에서 백선엽의 간도특설대 복무 경력과 군사사 왜곡 시도를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특히 그는 백선엽이 일제 식민지 시절 만주 간도특설대 장교로 복무하며, 독립운동가 토벌작전을 지휘했던 이력을 은폐하거나 정당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박경석은 백선엽이 일본에 건너가 조선인 학살을 자랑스럽게 이야기한 대담을 가졌으며, 서로 다른 두 권의 일본어판 회고록에서는 "어쩔 수 없이 동포를 죽여야 했다", "천황에 충성하는 것이 명예로운 일이었다"는 내용을 직접 기술한 사실을 근거로 들었다.
이러한 발언은 단순한 역사 해석의 차원을 넘어, 식민지배에 대한 옹호 및 반민족 행위 정당화로 여겨졌고, 명예원수라는 상징적 지위와는 극명히 충돌하는 요소였다.
또한 박경석은 백선엽이 집필자를 고용해 전공을 과장하거나 왜곡한 저서들을 대량 출간하고, 자신이 작성한 전사에 본인을 허위 자문위원으로 등재해 권위를 부여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6.25전쟁사 1·2권에는 박경석이 ‘군사평론가협회 회장’ 자격으로 자문위원에 올라 있었지만, 그는 이에 대해 “식사 대접 한 번 외엔 접촉도 없었다”며 강하게 부인했고, 이후 해당 명단은 삭제되었다.
아울러 백선엽과 그의 동생 백인엽은 당시 사학 재단(인천 선인학원) 운영 및 대규모 부동산 소유로 수천억대 자산을 보유한 부정 축재자로도 알려져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중 여론 조작과 ‘영웅 만들기’ 작업에 자산을 적극 활용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박경석은 1년 이상 여론전을 펼치며 채명신, 김홍일, 박정인 등 한국전쟁 원로들과 연대하여 반대운동을 조직했고, 국방부 역시 박경석 자택에 실무자를 파견해 자료 검토와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청와대는 해당 추진이 부적절하다고 판단하고, 명예원수 추진을 공식 철회했다.
박경석은 “만약 간도특설대 출신 인물이 대한민국 첫 명예원수로 추대되었다면, 이는 독립운동의 정통성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념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일이었으며, 북한의 6.25 남침 명분에도 정당성을 부여하는 결과가 되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사안은 단순한 인사 논란이 아닌, 대한민국의 정체성·군사사·건국이념과 직결된 상징성 논쟁이었다는 점에서 높은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
[관련자료]
“백선엽은 조작된 영웅” 참전군인이 말한다
https://www.hani.co.kr/arti/area/chungcheong/954303.html
[한겨레TV] "백선엽 혼자 나라를 구했다?" 6.25전쟁 낙동강 전투의 진실 [논썰 EP.06]
https://youtu.be/b0oFxlvYxYw?si=iFluUDCjhC--LYpO
6.25 참전 박경석장군이 말하는 백선엽 낙동강 다부동에 무슨일이
https://www.youtube.com/watch?v=xEeppgLvUGk&list=PLw5vvMnVSzQlCh0oY-C4yYn7elJBdFAHJ&index=2
육사 출신 예비역 장군의 일갈 "백선엽은 가짜 영웅" 한설 예비역 준장, 페이스북 통해 백선엽 강도 높게 비판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957213
보수 정치인들의 ‘백선엽 영웅 만들기’ [프리스타일]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567
영웅?, 백선엽의 실체. 그는 독립군과 조선인에게 총칼을 겨눴다.
https://www.youtube.com/watch?v=3eT7ROrmPDE
한설장군 기고문 - 한국전쟁을 알기나 하고서 백선엽 운운하는가?: 백선엽은 가짜 영웅
https://www.facebook.com/seol.han.1253/posts/pfbid02pBvZb4XdmZ7EUscEs6D64VvyLD6ugEwiicCBK26Z8mKFgzuD4MPh9xhwxvGD6SJPl
백선엽 명예원수 추진 논란은 대한민국 군사사, 정체성, 건국 이념의 핵심 축과 충돌하는 중대한 사건이었다.백선엽은 친일부역자일 뿐만 아니라 정치군인이자 희대의 부정축재자였다. 그리고 무엇보다 한국전쟁의 역사를 왜곡한 역사왜곡자였다. 백선엽을 왜 한국전쟁의 영웅이라고 생각하는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백선엽은 한국전쟁 초기 제1사단의 붕괴에 직접적인 책임을 져야 하는 사단장이었다. 부대를 버려두고 농부옷으로 갈아입고 사라졌다 3일만에 나타난 사람이다. 한국전쟁 초기 단계에서 부대가 철수하고 무너지는 상황에서 자기 부대를 버리고 혼자 도망친사람은 백선엽밖에 없었다. - 한설장군 기고문中
백선엽은 제1사단의 모든 중장비를 상실했고 김종오의 제6사단이 동막리 전투에서 거둔 전리품인 북한군 장비로 겨우 무장을 할 수 있었다. 역사란 이상한 것이다. 다부동 전투로 낙동강 방어선을 지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원래 다부동 전투는 실패한 전투다. 백선엽의 제1사단이 방어를 잘못해서 북한군이 낙동강 전선 종심깊게 들어와서 위기가 발생했다. 결국 그 해결은 미군이 했다. 그런데 실패한 전투가 한국을 위기에서 구한 전투로 탈바꿈을 했다. - 한설장군 기고문中
백선엽은 한국전쟁이 끝나고 나서 한참이후에 전쟁영웅이 되었다. 한국전쟁 당시에 백선엽은 조소의 대상이었지 영웅이 아니었다. 그는 군단장과 군사령관을 하면서 미군고문관을 짚차의 상석에 앉히고 자신은 뒷자리에 앉았던 사람이다. 백선엽은 일본에 충성했고 미국인 고문관에게 충성했던 종자에 불과했다. 그는 전쟁사를 왜곡했다. 춘천전투에서 북한군 자주포를 맨손으로 파괴했다고 역사를 왜곡한 사람도 백선엽이다. 왜곡한 역사가 정사로 둔갑했다. - 한설장군 기고문中
[백선엽 명예원수 추대 저지에 기여한 예비역 장군]
김홍일(예 육군중장. 간도특설대 존재 최초 발의)
이형근(예 육군대장, 간도특설대 확인 자료 지원)
채명신(예 육군중장, 박경석의 퇴출운동에 동참 지원)
박정인(예 육군준장. 박경석의 퇴출운동에 동참 지원)
이대용(예 육군준장. 박경석의 퇴출운동에 동참 지원)
外 한국전 참전 예비역 장군 수십 명
8. 주요저서
8.1. 시집
제1시집 등불 (현역장교시절 필명 韓史郞으로 출간. 1959년.대영사)제2시집 한강은 흐른다 (1983년. 병학사)
제3시집 꽃이여 사랑이여 (1984년. 서문당)
제4시집 나의 찬가 (1985년. 병학사)
제5시집 어머니인 내 나라를 향하여 (1986년. 거목)
제6시집 그리움에 타오르며 (1986년. 서문당)
제7시집 별처럼 빛처럼 (1987년. 홍익출판사)
제8시집 시인의 눈물로 (1987년. 홍익출판사)
제9시집 기도속에 새벽빛이 (1988년. 한영출판사)
제10시집 격정시대 (1988년. 홍익출판사)
제11시집 그대 가슴속 별로 뜨리라 (1988.한영출판사)
제12시집 사랑으로 말미암아 (1989년. 홍익출판사)
제13시집 좋은이의 이름은 (1990년.해외로 가는 길)
제14시집 행복피는 꽃밭 (1991년. 서문당)
제15시집 사랑이 지핀 불꽃 재우며 (1991년. 서문당)
제16시집 눈물 갈채 (1992년. 서문당)
제17시집 상록수에 흐르는 바람 (1994년. 팔복원)
제18시집 부치지 못한 편지 (1995년. 서문당)
제19시집 꽃처럼 (1997년. 팔복원)
시 선 집 이런날 문득 새이고 싶다 (1999년. 서문당)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117754
제21시집 흑장미 (2007년. 한영출판사)
제21시집 흑장미 [개정판] (2008년. 한영출판사)
제21시집 흑장미 [증보판] (2012년, 한영출판사)
제22시집 귀향 (2020년 7월 25일, 문경출판사)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
8.2. 대하소설 및 장편소설
장편소설 녹슨훈장 (1961년.필명 韓史郞으로 출간. 대영사)장편소설 오성장군 김홍일 (1984년. 서문당)
대하실록소설 그날 전6권 (1985년. 동방문화원)
제1권 불타는 월남
제2권 맹호는 간다
제3권 언제나 빛나는 별
제4권 정글의 영웅들
제5권 1번도로
제6권 적을 찾는 전장
장편소설 별 (1986년. 독서신문사)
장편소설 묵시의 땅 (1987년. 홍익출판사)
장편소설 나의 기도가 하늘에 닿을 때까지 (장편소설'묵시의 땅'개작,개제.1987년. 홍익출판사)
대하실록소설 따이한 전작 11권 (1987년. 동방문화원)
제1권 장한 첫걸음
제2권 맹호의 포효
제3권 남십자성의 밤
제4권 고보이의 반월
제5권 야자수의 비밀
제6권 사이공 뎁블람
제7권 하나에서 열 까지
제8권 영광의 그림자
제9권 다가오는 비극
제10권 백마의 해
제11권 따이한의 불꽃
장편소설 영웅들 (장편소설 '별' 개작,개제.1988년. 독서신문사)
장편전쟁소설 육군종합학교 (1990년. 서문당)
장편소설 행복의 계절 (1992년. 팔복원)
장편실록소설 서울학도의용군 (1995년. 서문당)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117712
장편실록소설 육사 생도2기 (2000년 홍익출판사)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080424
장편실록소설 불후의 명장 채명신 (2014년 팔복원)
장편소설 구국의별 5성장군 김홍일 (2016년 서문당)
장편실록소설 전쟁영웅 채명신 장군 (2018년 개정판 팔복원)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348972
장편전기소설 5성장군 김홍일 (2018년 개정판 서문당)
장편전기소설 5성장군 김홍일 (2020년 개정판 서문당)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118026
8.3. 에세이집
19번도로 (1965년. 대영사)그대와 나의 유산 (1967년. 창우사)
재구대대 (1982년. 병학사)
역사에서 본 민족통일 (1983, 통일문고10)
어려운 선택 (1987년. 독서신문사)
미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1988년. 서문당)
빛바랜 훈장 (2001년. 홍익출판사)
채명신 리더십 (2015년. 광문각출판사 * Book Star)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93321602?query=%EC%B1%84%EB%AA%85%EC%8B%A0%20%EB%A6%AC%EB%8D%94%EC%8B%AD&NaPm=ct%3Dma9vkgrk%7Cci%3Dc02c18413df03538253cc660432d0c37617b0dbc%7Ctr%3Dboksl%7Csn%3D95694%7Chk%3D4027de53e4fab5a6f3fbac2edea627af75412381
박경석 에세이 정의와 불의 (역바연출판사)
https://smartstore.naver.com/yes24book/products/8710723739?NaPm=ct%3Dma9vjxh4%7Cci%3D11146c7950f8858cdb4e35438df10e6fd659560b%7Ctr%3Dboksl%7Csn%3D3145439%7Chk%3D6709ccbcd52de11040bead3945e7a7e8d53b1d7f
8.4. 장교 교재
야전지휘관 (1975년. 병학사)지휘관의 사생관 (1978년. 병학사)
지휘관의 조건 (1981년. 병학사)
지휘관의 역사관 (1982년. 병학사)
박경석 리더십 84강좌 (2009년 한영출판사)
https://smartstore.naver.com/rlagydud82/products/11713569848?NaPm=ct%3Dma9viphs%7Cci%3D34f1af3134893a9ef6011aef601c388e6620bcd5%7Ctr%3Dboksl%7Csn%3D12213344%7Chk%3D381acecfc446de7d5145638fc5c872a125316526
박경석 뉴리더십 특강 (2015년 팔복원)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504576877?query=%EB%B0%95%EA%B2%BD%EC%84%9D%20%EB%89%B4%EB%A6%AC%EB%8D%94%EC%8B%AD%20%ED%8A%B9%EA%B0%95&NaPm=ct%3Dma9vhcvs%7Cci%3D7575786484d77232ab2e0d0c05765cddea66d36a%7Ctr%3Dboksl%7Csn%3D95694%7Chk%3D7842c929f39ffab7868dcdae9a9efe1a9f6a8ca8
8.5. 원로 장군 및 명사 회고록 집필
김홍일(예 육군중장). 이형근(예 육군대장). 이한림(예 육군중장). 이병형(예 육군중장). 채명신(예 육군중장). 김영선(예 육군중장). 이건영(예 육군중장). 문홍구(예 육군중장). 박정인(예 육군준장).백행걸(예 육군준장). 이찬식(예 육군준장). 박보희. 주성로. 이동걸. 김주태. 김영선(2차).9. 상훈
9.1. 수상경력
국제 PEN 문학상 시부문한국전쟁문학상 소설부문
한국전쟁문학상 시부문
일봉문학상 소설부문
일봉문학상 시부문
세계시인인상
순수문학대상 시부문
충청문학대상 시부문
성호문학상 시부문
학농문학상 시부문
대한민국 전쟁문학대상 소설부문
9.2. 훈장
을지무공훈장을지무공훈장
충무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
보국훈장 천수장
보국훈장 삼일장
보국포장
10. 기타
2020년 들어 논란이 되고 있는 백선엽(육군 예비역 대장)의 사후 현충원 안장과 관련된 논란에 대하여, "현행법이 그러니 현충원에 안장되는 건 어쩔 수 없겠으나, 후과가 클 것이다"고 경고했다.#(링크기사: 오마이뉴스 취재) 그리고 자신이 후손이라면 극구 만류할 것이라며 차라리 가족묘에 묻히는 게 낫지 않냐는 인터뷰를 남겼다.그러면서 원희룡 제주도지사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에 대해 "미친 X들"이라는 표현을 쓰기까지 하면서 "무식하다"고 일갈했는데, 그는 "어떻게 대한민국 독립을 막으려던 사람(링크된 기사의 내용상 백선엽 장군으로 보임)을 이순신과 홍범도와 비교할 수 있나. 기가 막히다. 우파든 좌파든, 명백한 진실을 봐야 한다."라고 말했다. 다른 기사에서는 '나는 청춘을 야전에서 바친 군인으로서 스스로 보수라 자처하지만 나쁜 것까지 가지고 가는 보수는 참된 보수가 아니다. 차라리 가짜와 거짓은 모두 털고 가야지, 속이고 갈 순 없다.'란 말을 덧붙였다.#
또한 "6.25 전쟁 당시의 공적을 인정하더라도, 프랑스에서는 백선엽 장군의 간도특설대 복무 전적이라는 행동은 극형감이다"라며 "아무리 후사에 공적을 세웠더라도 조국을 배반한 행동이 하나라도 있다면 프랑스에서는 극형(사형)에 처해진다"[36]고 밝혔다. 물론 그도 "일본군 출신이라 해서 다 친일파라는 얘기는 아니지만, 최소한 간도특설대에서 독립군을 잡으러 다닌 사람을 국립묘지에 안장할 수는 없지 않겠나."라고 끝맺었다.[37]
박경석 장군 "'백선엽이 전쟁영웅?' 실체를 폭로한다", 2020.10.27 |
[1] 음력 1933년 1월 1일[2] 現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원리 88번지[3] 1학년 전체학기를 모두 마치자마자 전학.[4] 現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5] 1995년 8월 당시 석사 수료[6] 朴圭錫. = # = 1921년 8월 15일~2020년 6월 8일(향년 98세). 법조인 겸 변호사, 1950년 고등고시 2회 사법과 출신으로, 충북청주지검 검사 등을 거쳐 전남광주지법 부장판사 역임.[7] 朴榮錫. = # = 1924년 2월 11일~2014년 1월 5일(향년 89세). 1948년 육사 5기 임관 17년 이후 1965년 예비역 육군 준장 예편. 군 시절 육군 방첩부대장, 육군본부 정보참모부 차장 역임. 전역 후 대한광업진흥공사 사장, 방림방적 사장 역임.[8] 이혼한 이후에 재혼한, 지금의 두번째 부인. 서양화가 출신.[9] 모두 이혼한 이전 첫 부인 소생.[10] 등단시 및 육군 현역 장교 시절(1959~1981) 사용, 전역 후 본명 사용.[11] 당시 대통령 박정희, 총리 김종필, 당시 역대 국방부 장관 유재흥, 서종철, 당시 역대 국방부 차관 유근창, 최광수[12] 당시 노태우 정부 시대[13] #[14] #[15] 재구대대장, 現 제133기계화보병대대[16] 음력 1933년 1월 1일[17] 1981년 당시 예비역 육군 준장 예편.[18] 대한민국 국방부 예하 인사과 과장, 통일원 예하 정책자문위원 등을 역임.[19] 1933년생. 1981년 예편(전역)한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준장 출신. 충남 연기군(現 세종특별자치시) 출생자이고, 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이자, 한국 전쟁 당시의 대한민국 국군 포로이고, 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이기도 하며, 대한민국 국방부 특별보좌관 출신인데다가, 대한민국의 시인이고,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며, 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이고, 대한민국의 군사 평론가이며, 대한민국의 정치 평론가이고, 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이자, 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이며, 대한민국의 저술가이고, 대한민국의 작가이자, 대한민국의 수필가이고, 건양대학교 석좌교수 등을 지내며, 대한민국의 기업인이고, 신민주공화당·자유민주연합·신한국당·바른정당·옛 자유한국당 등에서 잠시 몸담았고, 대한민국의 개신교도이며, 밀양 박씨 후손이고, 대만(중화민국)과 미국에 잠시나마 거주한 대한민국인이며, 대한민국 제4공화국 및 노태우 정부 시대에 국방 통일 행정 등에 자문 협조를 했고, 그 이외에도 충남연기조치원교동국민학교(現 조치원교동초등학교)·충남대전고등보통학교(現 대전고등학교)·육군종합학교·육군사관학교·미국 육군야전포병학교·미국 육군포병학교·미국 육군보병학교·미국 육군헌병학교·미국 육군공병학교·대한민국 육군포병학교·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대한민국 육군공병학교·미국 버지니아 종합군사학원·미국 미주리 종합군사학원·대한민국 육군대학교·대한민국 국방대학교·대한민국 국방대학원 석사 과정· 대한민국 중앙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언론학 석사과정·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언론학 석사과정·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사회과학 석사과정 등의 동문으로 구분될 수 있음.[20] 지금의 대한민국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원리[21] 한사랑 박경석 장군의 아버지도 할아버지의 슬하 3남 7녀(10남매) 가운데 삼남(三男, 막내)이었고, 할아버지도 증조부(박홍영)의 슬하 3남 6녀(9남매) 가운데 삼남(三男, 막내)이었다.[22] 12.12사건 당시 육본 측에 있었던 장태완 수도경비사령관이 육군 종합학교 출신이다.[23] 사단장 장도영, 참모장 박정희[24] 원용덕도 최종 보직이 헌병 총사령부 사령관이었고, 아들 원창희도 전방의 부사단장 보직을 마지막으로 육군 준장으로 전역하였다.[25] 당시 인민군 10사단장이었던 '전문섭'으로 알려져 있다.[26] 1959년에 6.25 전쟁 당시 전사했던 장교전사자 354위를 합동으로 안장할 때 가묘도 함께 조성되었다.[27] 한국군 위관, 영관 장교들의 미국 군사 유학은 한국군의 현대화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한국 전쟁 전후, 전쟁으로 인한 양적으로 급성장한 한국군은 1950년대 장교들의 미국 군사 유학으로, 질적 성장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 영향도 있었지만, 미국의 선진 교육문화를 배워 온 일부 장교들의 엘리트심 발동으로 5.16이라는 쿠데타를 잉태하기도 하였다. 또한 채명신 장군의 회고록 '사선을 넘어' 박정인 장군의 회고록 '풍운의 별'에서 1950년대 한국군 장교들의 미국 군사 유학 도미를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28] 야당과 여당의 일부 소장파 국회의원들은 월남 파병에 있어 한국군의 처우에 대해 많은 불만을 나타내었다. 특히나 집권 여당 공화당의 초대 당 의장을 지낸 정구영 변호사는 "이 장관 엄밀히 따지면 호지명의 월맹은 민족주의 운동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같은 아시아인으로서 도와주지는 못할망정 왜 우리가 그들과 총칼을 맞대야 하는거요. 내가 보기엔 그간 프랑스는 자신의 식민지 정책의 일로 싸웠고, 지금 미국은 제국주의 위세를 떨치려 월남에서 군사적 시위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오. 그러니 도와주어야할 이유가 없지 않소. 물론 이 장관 말대로 우리는 가난하오. 월남전 파병으로 우리 경제를 살릴 수 있을지 모르겠소. 그러나 더러운 전쟁에다가 피를 뿌리며 돈을 벌기보다는 궁핍하지만 깨끗하게 사는 것이 옳다는 생각이오." 이동원 전 외무부 장관의 회고록, 대통령을 그리며에서 발췌. (대한 군사 원조의 약속인 브라운 각서)박정희 정부는 미국의 대한 군사원조를 포함한 경제적 원조와 월남이라는 특수 시장 개척에 한국 기업을 포함한다는 파병의 조건으로 협상하였다.[29] 초대 대대장 박경석 중령에 이어 정치군인 노태우, 박희도 등이 줄줄이 이 자리에 앉았다.[30] 사실 재구대대를 포함, 월남에 파병된 한국군의 활약상은 파병부대를 지휘한 장군들의 각종 수기에 나와 있지만 박경석의 재구대대장 시절의 회고부분은 월남전사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31] 사실 채명신 장군의 회고록에서도 이를 언급하는데, 해당 훈련장은 굴곡이 심해서 사고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다고 한다.[32] 여담으로 훗날 27사단에서 차성도 중위 역시 이렇게 순직했는데, 문제는 (전인범 후임 사단장이 총대를 메고 재발굴할 때까지) 사고사로 은폐돼 (아무리 같은 살신성인이라도) 윗선의 개념에 따라 그 처우가 달라진다는 씁쓸함을 자아냈다.[33] 현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대령운영과 대령과장.[34] 여기에서 잠깐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면 창군 및 초창기 한국군의 고질적인 병폐 중 하나 였던 진급 문제에 관해서다. 물론 후자에 기술하겠지만, 이 고질적인 진급 문제는 5.16과 12.12가 일어났던 원인이기도 했다. 창군과 한국전쟁으로 군은 양적 성장에 힘입어 장교들의 진급이 빠른 편이었다. 소위 달고 몇 개월 후에 대위, 소령, 더구나 전쟁으로 인해 단숨에 영관급에서 장성으로 진급하는 일이 많았는데, 전쟁이 끝나자 이러한 초고속 진급은 멈춰졌으며, 특히나 군사영어학교 출신 70여명 대부분이 장성으로 진급했고, 육군참모총장, 합참의장 자리를 계속하여 번갈아가며 앉는 사태가 생겼다. 대표적인 인간들이 정일권과 백선엽이다. 이들은 대장 진급 후에 육군 참모총장과 합참의장 자리를 번갈아 2번씩 그 자리에 앉았다. 이러니 아래 후배 장교들의 불만과 원성이 쌓여갔으며, 특히 육사 5기의 대령급과 육사 8기 중령급에서 그 불만이 많았다. 특히나 이런 경향은 1970년대 이후 정규 육사 출신들과 단기 육사 및 비육사 출신간의 진급문제가 두드러졌다. 박경석 장군 같은 경우에도 1950넌에 소위 임관후 전쟁이 끝나자 대위로 있었는데. 1955년 갓 소위 임관한 정규 육사 11기생들이 1970년 후반 영관급 대 장성급으로 진급이 역전되었다. 이 같은 내용은 이등병에서 장군까지 지낸 최갑석 장군의 증언과 그의 회고록에도 잘 나타나고 있다.[35] 진종채 보안사령관과 이희성 수기사단장이 양봉직 군단장을 경질시키기 위해 제1공병여단장이 남은 부대운영비 3,000만원을 군단으로 송금하자 이를 빌미삼아 비리혐의로 뒤집어씌우자 윗 선에서 양봉직 군단장을 경질한 사건.[36] 다만 파고보면 프랑스에서도 사면된 사례는 많긴 했다. 드골 정부의 공식 재판에서는 총 7,037명이 사형 판결을 받았으나 이중에서 791명에게만 실제 사형이 집행되었다. 피에르 라발처럼 대놓고 독일 앞장이 노릇을 한게 아니라면 사형 판결을 내렸어도 집행하지 않다가 몇년뒤에 슬그머니 감형시켰고 5~60년대를 지나면서 그때까지 감옥에 남아있던 사람들은 석방시켰다. 비시 프랑스 수반이었던 페탱도 사형 판결을 받았으나 집행은 되지 않다가 오히려 종신형으로 감형되었다.[37] 다만 백선엽은 일선에서 활약한건 아니고 화기부대에서 화력 지원 업무를 담당했다. 물론 본인도 자서전에서 인정했듯 독립군 때려잡으려고 조선인을 이용하는 부대에 들어가 차라리 본의 아니게도 일제의 이이제이에 말린 것은 사실이었기에, 간도특설대 복무 사실은 남이 비판해도 수용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오히려 오늘날 백선엽이 친일 행적을 한 적 없다는 일부 인사들의 주장과 달리, 백선엽 본인은 순순히 인정한 것이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박경석|박경석]]}}}{{{#!if external != "o"
[[박경석]]}}}}}}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박경석?uuid=8448a8dd-b957-4e1f-80d4-758a82c588de|r1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박경석?uuid=8448a8dd-b957-4e1f-80d4-758a82c588de#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박경석?from=11|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박경석|박경석]]}}}{{{#!if external != "o"
[[박경석]]}}}}}}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박경석?uuid=8448a8dd-b957-4e1f-80d4-758a82c588de|r1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박경석?uuid=8448a8dd-b957-4e1f-80d4-758a82c588de#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박경석?from=11|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