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미 요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공통·두 지역 이상 겹치는 음식 | ||||||||
엠파나다 | 파스텔 | 츄러스 | 알파호르 | 치차 | |||||
레촌 | 타말 | ||||||||
멕시코·중앙아메리카 | |||||||||
데킬라 | 타코 | 부리토 | 나초 | 마사 | |||||
토르티야 | 치미창가 | 치포틀레 | 미첼라다 | ||||||
카리브 | |||||||||
모히토 | 후후 | 커리 | |||||||
브라질·남아메리카의 히스패닉 국가들 | |||||||||
세비체 | 잉카콜라 | 페이조아다 | 슈하스쿠 | 페이조아다 | |||||
천사의 날개 | 카루루 | 쿠카 | 브로아 | 아카라 | |||||
아사도 | 밀라네사 | ||||||||
※ 문서가 있는 음식만 표기 | }}}}}}}}} |
미첼라다 Michelada |
|
1. 개요
맥주 베이스 칵테일. 블러디 메리와 비슷한 향신료나 재료가 많이 들어가 비슷하다. 멕시코의 해장술이며, 멕시코에서는 무척 유명한 술이라고 한다.변형 레시피가 하나 존재하는데, 본래 레시피는 클라마토 주스[1]와 멕시코 맥주를 넣어 만들지만, 이 둘을 모두 빼고 흑맥주를 넣어 만드는 방법도 있다.
2. 레시피
미첼라다 칵테일에 필요한 재료는 다음과 같다.3. 바리에이션?
미첼라다는 본래 칵테일 자체로서도 아주 유명하지만 최근 들어 이 음료에 추가로 얹어 올리는 재료들이 특이하다 못해 해괴하기 까지 해서 다른 의미로 시선을 끄는데, 칵테일 새우, 보드카, 생과일과 같이 평범한 재료부터 시작해서 소고기, 햄, 사탕, 젤리[5], 초콜릿 등등(…)[6] 처음 보는 사람들에게는 거부감이 크게 들수 있다.이렇게까지 만드는 이유는 화려한 비주얼과 더불어 의외로 궁합이 잘 맞기 때문이라고 한다.
[1] 토마토와 모시조개 엑기스를 혼합한 주스다.[2] 이 재료를 제외한 나머지 재료들을 모두 넣고 나서, 이 재료를 잔에 가득 채우라는 뜻이다.[3] 보통 코로나 맥주가 자주 사용된다.[4] 간장을 사용해도 좋다.[5] 젤리가 들어갈 경우 고미첼라 (Gomichela)로 불린다.[6] 심지어 젤리와 사탕은 멕시코 지방에선 흔하게 보일 정도로 자주 애용되는 재료다. 다만 섞어서 먹는다기보다는 곁들어 먹는 쪽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