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8 11:44:12

미국 대통령(킹스맨 시리즈)


킹스맨 시리즈의 등장인물
미국 대통령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d164a><colcolor=#ffc224> 우드로 윌슨 행정부 (1913년~1921년)
대통령
제28대
우드로 윌슨
인사
킹스맨 요원 & 스테이츠맨 수장
주영 미국대사
비서실장
더글러스
비서
마타 하리
제44대 미국 대통령 행정부 (2009년~2014년)
대통령
제44대
1편의 미국 대통령
인사
기타 대통령실 인사들
제45대 미국 대통령 행정부 (2014년~2015년)
대통령
제45대
2편의 미국 대통령
인사
비서실장
폭스
미국 공군 장교
맥코이
제46대 미국 대통령 행정부 (2015년~)
대통령
제46대
미국 대통령
인사
비서실장
폭스
}}}}}}}}} ||
<colbgcolor=#0d164a><colcolor=#ffc224> 킹스맨 시리즈의 등장인물
미합중국 대통령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파일:불명 등장인물.png
현직 불명 / 제46대
취임일 2015년 이후
정당 불명
관저 백악관

1. 개요2. 역대 미국 대통령
2.1. 28대: 우드로 윌슨2.2. 44대: 1편의 미국 대통령2.3. 45대: 2편의 미국 대통령2.4. 46대: 불명
3. 기타

1. 개요

킹스맨 시리즈미국 대통령.

첫 등장은 단역으로만 나왔다가 2편부터 본격적으로 서사가 부여되어 등장하기 시작했다.

2. 역대 미국 대통령

가장 최근 작품인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를 기준으로 대통령은 총 3명이 등장했고, 3명 전부 실존 인물을 모티브[1]로 하였으며, 만약 후속작이 나온다면 그 대통령 역시 실존 인물을 모티브로 삼을 가능성이 높다.

2.1. 28대: 우드로 윌슨

<colbgcolor=#0d164a><colcolor=#ffc224> 미합중국 제28대 대통령
우드로 윌슨
Woodrow Wilson
파일:킹스맨 3 우드로 윌슨.webp
본명 토머스 우드로 윌슨
Thomas Woodrow Wilson
출생 1856년 12월 28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버지니아주 스턴톤
나이
[ 나이 | 펼치기 · 접기 ]
61세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 1917년)
62세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 1918년)
신체 183cm
성별 남성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속 정당

(현직)
재임 기간 제28대 대통령
1913년 3월 4일 ~ 1921년 3월 4일
(8년 집권 / 퇴임)
등장 영화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배우 이안 켈리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불명
Douglas, get me a Statesman on the rocks, now!
더글러스, 스테이츠맨 온더락 가져와, 당장!

— 작중 스테이츠맨 양주를 자주 마시는 장면.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시점의 미국 대통령.

작중 옥스포드 공작 일행의 폴리 윌킨스치머만 전보의 사본을 해독하여 조지 5세를 통해 미국 백악관으로 전달하여 미국의 제1차 세계대전 참전을 유도하나 영국 국왕의 뜻이지만 원본이 아닌 이상 참전하지 않겠다고 선언한다. 이에 콘래드 옥스포드가 치머만 전보의 원본을 구해왔으나 이에 대해서도 묵묵부답인 상황이었는데 알고보니 백악관 안으로 잠입한 목자의 무리 스파이 마타 하리와 관계를 가지는 비디오 테이프가 녹화되어 협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었고, 참전을 하면 이 비디오 테이프가 공개당하고 선거 기간 중에 스캔들이 터지면 패배가 확정나기 때문에 참전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2]

그러나 이후 더글러스가 옥스포드 공작 일행의 지시로 원본 비디오 테이프를 쿠키 속에 몰래 전달하자 안심하고 기뻐하며 바로 난로에 비디오 테이프를 태운 후에 '우리도 참전한다!' 라고 공식적으로 선언하면서 협상국의 승리를 이끌게 된다. 여담으로 작중 내내 화가 나는 상황이면 스테이츠맨의 주류를 마시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세계대전의 종전 후에 주영 미국대사킹스맨 요원이 된 이후 그의 건의를 받아 스테이츠맨 에이전시의 창립을 적극적으로 도왔을 것이다.

2.2. 44대: 1편의 미국 대통령

킹스맨 시리즈의 등장인물
발렌타인 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462679><colcolor=#fecb5f> 수장 CEO
리치몬드 발렌타인
회원들
비서
가젤
교수
제임스 아놀드
제44대
미국 대통령
스웨덴 총리
모르텐 린드스트롬
킹스맨 수장
체스터 킹
킹스맨 지원자
찰리 헤스케스
발렌타인의 부하들
아르헨티나 납치범들
기타 인물
조력자
E-맨
}}}}}}}}} ||
<colbgcolor=#0d164a><colcolor=#ffc224> 미합중국 제44대 대통령
미국 대통령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파일:킹스맨 1 미국 대통령.jpg[3]
본명 불명
성별 남성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속 정당

(현직 / 추정)
재임 기간 제44대 대통령
2009년? ~ 2014년
(5년(?) 집권 / 재임 도중 사망)[4]
등장 영화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
배우 불명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불명 (기내 더빙)
파일:일본 국기.svg 불명
Go on, Mr. Valentine. I'm still listening.
말씀하세요, 발렌타인 씨. 듣고 있습니다.

— 작중 리치몬드 발렌타인의 계획에 동참하는 장면.[5]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 시점의 미국 대통령.

늦은 저녁에 리치몬드 발렌타인을 백악관으로 초대하여 얘기를 나누고 있었는데 그의 제안에 솔깃하여 계속 얘기해보라고 하면서 그의 일원이 되었음을 알려준다. 그 후 보안칩을 이식받고 자신의 주변 인사들과 같이 벙커 안에서 V-데이[6] 카운트 다운을 지켜보다가 멀린체스터 킹에게 이식되었던 보안칩을 에그시에게 받아내 보안칩을 해킹하여 오히려 보안칩을 이식받은 회원들의 머리가 폭발하기 시작했고, 본인 역시 머리가 폭발하여 사망하고 만다. 등장 자체는 짧았으나 그 역시 빌런의 회유에 넘어가 국가 원수로서 인류애를 저버렸기 때문에 결론적으로는 인과응보인 셈이다.

2.3. 45대: 2편의 미국 대통령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41c6HLD2mNL.jpg
킹스맨 시리즈
서브 빌런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오리지널 시리즈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

(2015)
킹스맨:
골든 서클

(2017)
킹스맨:
블루 블러드

(미정)
미정
▼ 프리퀄 시리즈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2021)
킹스맨:
트레이터 킹

(미정)
빌헬름 2세
미정
메인 빌런최종 보스중간 보스서브 빌런
}}}}}}}}} ||
<colbgcolor=#0d164a><colcolor=#ffc224> 미합중국 제45대 대통령
미국 대통령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파일:킹스맨 2 미국 대통령.webp
본명 불명
신체 182cm[7]
성별 남성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속 정당

(현직)
재임 기간 제45대 대통령
2014년 ~ 2015년
(1년 집권 / 탄핵)[8]
등장 영화 킹스맨: 골든 서클
배우 브루스 그린우드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불명 (기내 더빙)
파일:일본 국기.svg 불명
The fact is, this presidency has just won the war on drugs.
요점은, 우리가 마약과의 전쟁에서 이겼다는 거야.

— 작중 본심을 숨기고 기뻐하는 장면.
킹스맨: 골든 서클 시점의 미국 대통령이자 본작의 서브 빌런.

전세계 방영망을 해킹하여 방송을 내보낸 골든 서클의 CEO 포피 아담스의 홍보 광고를 시청하고, 전세계적으로 마약을 배포하였고, 그들은 곧 죽게 될 운명[9]이니 마약합법화 계약서에 싸인만 한다면 해독제를 배포하겠다며 자신에게 제안 및 협박을 한다. 하지만 오히려 본인은 그녀의 제안을 수락하는 척 하면서 마약 복용자들을 죽게 내버려두자는 마약 혐오자였다. 그러면서 우리가 드디어 마약과의 전쟁에서 승리했다며 자축하는 것은 덤. 영화 후반부의 포피와의 영상 통화에서는 해독제를 얻으려는 초조한 연기를 하다가 통화가 끊기자마자 포피를 욕하면서 시원하게 웃는다.

하지만 킹스맨이 골든 서클의 본부를 침투하여 조직을 괴멸시켰고, 해독제 코드를 입력해 전세계에 해독제 배포를 성공하게 되어 자신의 계획은 실패하게 되었고, 이에 비서실장 폭스는 대통령은 인류의 목숨을 저버렸다고 그의 행동을 폭로하며 그렇게 대통령직에 탄핵되어 감옥으로 들어가게 되는 최후를 맞이한다. 1편의 미국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인과응보적 엔딩인 셈이다.

여러모로 본작의 메인 빌런인 포피 아담스보다 더 잔인한 성격의 소유자로서 포피는 키워놓은 스케일[10]에 비해 대통령의 계획도 모르는 멍청함이 부각되는 반면, 2편의 미국 대통령은 마약 복용자들이 자의로 했든, 타의로 했든 상관없이 모두 군대를 동원하여 철창 안에 가두어 그대로 죽도록 냅두는 정신나간 짓을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서사적으로는 서브 빌런이었지만 본작의 진정한 메인 빌런은 미국 대통령이라고 여기는 팬들도 많다.

2.4. 46대: 불명

<colbgcolor=#0d164a><colcolor=#ffc224> 미합중국 제46대 대통령
미국 대통령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파일:불명 등장인물.png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재임 기간 제46대 대통령
2015년 이후 예정[11]
I will do everything I can to ensure a smooth transition of power.
최대한 차질 없이 권력을 이양하도록 하겠습니다.

— 대통령의 탄핵 이후 권력 이양을 발표하는 폭스 장관.
킹스맨: 골든 서클 엔딩 시점의 미국 대통령.

전임자가 약 1년 만에 불명예 퇴임을 하면서 그의 자리를 이어받게 될 인물이다. 본작에서는 일어난 사태의 수습이 먼저이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등장하지는 않았지만 작중 폭스 장관은 최대한 차질 없이 권력을 이양하겠다고 밝히면서 새로운 대통령 선거를 통해 대통령이 될 예정이다. 추후 당선된 차기 대통령이 별탈 없이 직무를 수행한다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1기 행정부를 열게 되고, 만약 2기 행정부도 재선에 성공한다면 최대 2023년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할 것이다.

3. 기타


[1] 1편의 대통령은 버락 오바마와 같은 흑인의 뒷모습이지만 감독 매튜 본은 버락 오바마를 연상시키게 연출했지만 오바마는 아니라고 언급했고, 2편의 대통령은 오리지널 캐릭터이긴 하지만, 빨간 넥타이를 매고 있다는 점과, 괴팍한 성격의 소유자로 도널드 트럼프를 대놓고 모티브 삼은 인물이다.[2] 물론 이는 영화 내의 설정 중 하나로, 실제로 우드로 윌슨마타 하리와 관계를 가지지도 않았고, 마타 하리 역시 미국과는 일절 관련이 없는 인물이었다. 실제로 우드로 윌슨은 선거 유세를 명목으로 참전을 하지 않고 있었는데, 치머만 전보가 공개되자마자 곧바로 독일 제국에게 선전포고를 하며 미국의 전쟁 참전을 선언했다.[3] 사진의 좌측 맨 앞에 있는 인물.[4] 현실에서 제44대 미국 대통령은 2009년 1월 20일 ~ 2017년 1월 20일 (8년)까지 집권한 버락 오바마였다.[5] 작중 유일한 대사이다.[6] 전세계적으로 유심을 배포하여 서로 죽고 죽이게 만드는 신경파를 작동시키는 날. 보안칩을 이식받으면 이 신경파의 영향권에서 벗어난다.[7] 배우 브루스 그린우드의 실제 프로필.[8] 현실에서 제45대 미국 대통령은 2017년 1월 20일 ~ 2021년 1월 20일 (4년)까지 집권한 도널드 트럼프였다.[9] 골든 서클의 마약 증상은 3단계로 나뉘는데, 1단계는 파란 발진이 일어나 온 몸에 파란색 발진이 일어난다. 여기까지는 신체에 이상이 없지만, 2단계 조증부터 바이러스가 뇌로 침투하여 쉴 세 없이 춤을 추게 된다. 마지막 3단계 마비는 온 몸의 내부 장기들이 마비되고 결국 호흡기관도 마비되어 눈알이 터져 사망하는 끔찍한 죽음이다.[10] 킹스맨 본부 괴멸, 전세계적으로 자체 생산 마약 배포, 마약 합법화 유도 등.[11] 현실에서 제46대 미국 대통령은 2021년 1월 20일 ~ 2025년 1월 20일 (4년)까지 집권한 조 바이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