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13:24:11

메탈브레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메탈카드봇 시리즈/설정
,
,
,
,
,

<colcolor=#fff>

1. 개요2. 목록
2.1. 의 메탈브레스2.2. 무카라의 메탈브레스
3. 기능
3.1. 금단의 힘
4. 위험성5. 완구6. 여담

1. 개요

메탈브레스, Pick up! ○○, Set up!
메탈카드봇 소환 시 대사
메탈카드봇 시리즈의 등장 장비. 메탈카드봇을 봉인/소환하고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브레스형 장비로, 마키나 행성의 마더 컴퓨터 데우스 마키나의 손에 만들어졌기에 데우스 마키나의 유산이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외형이나 기능 자체는 마키나 행성에서도 꽤 잘 알려져 있던 듯 하다.

2. 목록

2.1. 의 메탈브레스

파일:준의 메탈브레스.jpg
파일:메탈브레스 로고.png
1기에서 처음 등장한 메탈브레스. 마키나 행성 폭발 당시 스타 가디언이었던 블루캅이 데우스 마키나로부터 직접 건네받은 물건이다.

데우스 마키나는 블루캅에게 이 메탈브레스를 이용해 친구를 찾으라는 마지막 전언을 끝으로 생사불명이 되었고, 수만년 뒤 지구에 온 블루캅이 메가트러커와 싸우다 실수로 떨어뜨린 것을 준 그랜트가 주워 우여곡절 끝에 적합자로 인증받았다. 이후 처음부터 등록되어있었던 블루캅을 포함해 총 12대의 메탈카드봇이 이 메탈브레스에 봉인되었고 메탈카드봇S 이후 총 16대의 메탈카드봇이 봉인된다.[1]

메탈브레스의 문양은 블루캅이 가지고 있던 메탈브레스라 그런지 스타 가디언즈의 문양이다.[2]
메탈카드봇S 1화에서 현대에 부활한 레드블리츠가 이 메탈브레스를 준이 훔쳐간 물건이라 오해하였으며, 이에 강탈한 뒤 오거나이저를 사용해 다른 곳으로 전송시켜 행방을 찾을 수 없게 되었다. 이때 안에 들어있던 블루캅을 제외한 모든 메탈카드봇들[3]도 함께 행방불명이 되었다.
파일:메탈브레스 S 23화.jpg
이후 7화에서 머슬하이드가 스펠란자 호에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으며, 23화에서 사실로 밝혀졌다. 25화에서 스펠란자 호에 도착한 준이 딥바이트와 수색 끝에 되찾는 데에 성공한다.

2.2. 무카라의 메탈브레스

파일:메탈브레스/메탈카드봇S.jpg
파일:무카라 메탈브레스 로고.png
메탈카드봇S에서 처음 등장한 메탈브레스. 페루루의 먼 조상인 무카라가 4천년 전 소유하고 있던 물건이다.

4천년 전 기간트렉스가 무카라에게 양도했고 그와 레드블리츠, 시에로, 머슬하이드가 봉인되어 있었으나, 그들이 석판을 통해 별도로 봉인되어 있었기 때문인지 현대 시점에서는 연결이 해제되어 있었다. 4천년 전의 물건임에도 마치 새것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새로운 장착자인 준을 통해 블루캅을 새로운 형태로 강화시킨 것을 보면 기능도 기존 메탈브레스보다 뛰어난 듯하다.

레드블리츠는 준이 이 메탈브레스를 훔쳐간 것으로 오해하고 있으며, 기존 준이 가지고 있던 메탈브레스를 이것으로 착각하여 강탈했다. 이후 준은 페루루에게 이 메탈브레스를 건네받아 싸우게 되었다.

원래 주인이 무카라이기 때문에 그 후손인 페루루도 메탈브레스를 사용할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 2기 22화에서 준에게서 이 메탈브레스를 다시 건네받은 페루루가 직접 기간트렉스를 봉인시키려 했지만 플레임노바가 갑자기 본색을 드러내며 난입해 페루루를 납치한 후, 메탈브레스로 데우스 마키나에 의해 봉인되었던 자신의 힘을 해방시켜 또 다시 강탈해갔다.

다행히 메탈브레스 안에서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회복한 글로버 덕분에 페루루는 무사히 탈출에 성공했지만, 플래시벡터의 공격으로 메탈브레스의 연결 끈이 끊어지면서 끝내 메탈브레스 자체가 플레임노바 일행의 손에 들어가게 되었으나 2기 24화에서 플레임노바의 사상을 못마땅히 여긴 스카이갤럽이 그들을 배신하면서 다시 페루루에게 돌려주었고 준이 본인의 메탈브레스를 회수하면서 페루루가 사용하게 된다.

시즌 2의 웨폰카드가 시즌 1보다 훨씬 커진 만큼, 메탈카드 전체가 함께 형상화되었던 전 메탈브레스와는 달리 웨폰 카드를 제외한 앞면의 메탈카드만이 형상화된다.

작중 공식 명칭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중국판 완구에서는 '메탈브레스S\'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국내에서는 2기 메탈카드봇의 메탈카드에 NFC칩이 탑재되지 않은 것과 1기 메탈브레스의 수요 부족으로 인해서인지 발매되지 않았다.

3. 기능

===# 봉인된 메탈카드봇 #===
[패배] 전투에서 패배해 봉인된 메탈카드봇.
[투항] 봉인을 자청한 메탈카드봇.
[이전] 메탈브레스를 옮긴 메탈카드봇.
[금단의힘] 금단의 힘으로 강화된 형태.
취소선 본 메탈브레스에 봉인되어있지 않은/소환할 수 없는 메탈카드봇.
? 봉인 여부/소환 가능 여부가 불확실한 메탈카드봇.
준의 메탈브레스
<rowcolor=#fff> 메탈카드봇 봉인 시점 비고
블루캅 1화 [14]
메가트러커 2화 [패배]
메가앰블러 4화
피닉스파이어 5화
쉐도우X 7화
덱스터 14화
플레타Z 16화
와일드가디 17화
버팔로크러쉬 22화
버스터갤런 23화
블랙후크 24화
얼티밋 블루캅? 26화 [금단의힘]
헤비아이언 [패배]
블루캅S S 26화 [이전]
플래시벡터 [패배]
플레임노바
글로버 [이전]
록크러쉬
블래스트레인
무카라의 메탈브레스
<rowcolor=#fff> 메탈카드봇 봉인 시점 비고
플레임노바 특정 불가 [21]
기간트렉스 약 4천년 전 [22]
레드블리츠
시에로
머슬하이드
블루캅S S 1화 [23]
시에로 S 3화 [패배]
머슬하이드 S 6화 [투항]
록크러쉬 S 8화 [패배]
블루캅 트리니티? S 10화 [금단의힘]
레드블리츠 S 11화 [패배]
딥바이트 S 14화 [투항]
블래스트레인 S 17화 [패배]
글로버 S 21화 [투항]
스카이갤럽 S 25화 [패배]
스파크비트 S 26화
플래시벡터 [이전]
기간트렉스 [투항]

3.1. 금단의 힘

파일:금단의 힘의 빛.png
금단의 힘이 내뿜는 빛
블랙후크: 마키나 행성에서 전해지는 전설의 힘! 너무나 거대한 나머지 봉인되었다고 하는... 역시나, 그 메탈브레스 안에 존재했던 거야!
시즌 1 24화
마키나 행성에서 전설로 구전되어오는 정체불명의 엄청난 힘이 내부에 봉인되어 있다. 발동시 형형색색으로 빛나며 회전하는 카드들의 홀로그램이 나타난다.

금단의 힘이 처음 발동된 사례 모두 막강한 상대 앞에서 포기하지 않은 준과 블루캅의 마음이 공명한 순간이었는데, 모종의 발동 조건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4. 위험성

그거야! 메탈브레스. 그걸 써서 우리 메탈카드봇들을 네 멋대로 봉인하고, 소환하고! 꼭 대장인 척 굴고 있잖아!
쉐도우X
그 물건은 마더 컴퓨터인 데우스 마키나가 만든 시스템에 불과해요. 비록 메탈카드봇이 사용하지 못하게 잠겨져 있어도 시간을 들이면 방법은 있죠. 자, 메탈브레스를 넘겨주시죠. 이 버스터갤런님이 우주에 흩어져있는 메탈카드봇을 모아 이 우주에 대제국을 건설해드리죠!
버스터갤런

작중에서도 꾸준히 언급되지만 메탈브레스는 악용될 위험성이 대단히 높은 장비이다. 우선 지성이 있는 생명체가 가진 신체의 자유를 완전히 빼앗고 속박하여 맘대로 부릴 수 있다는 점에서 일종의 구속구와도 같으며, 만일 소유자가 악의를 품는다면 봉인된 메탈카드봇을 독자적으로 사용하여 각종 악행을 저지를 가능성도 존재한다. 다만, 선택 받은 자만이 사용할 수 있다는 언급으로 보아 나름의 안전 장치는 설계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마키나인들이 이 메탈브레스를 보는 시선은 마냥 곱지많은 않은데, 한 가지 예로 플레타Z의 경우 메탈브레스를 만들어낸 장본인인 데우스 마키나를 위대하다고 칭송하는 한편, 당사자의 의사 여부와 관계없이 행동을 제약하고 명령하는 메탈브레스의 기능에 대해서는 굉장히 큰 비판을 가하고 소유자인 준을 악의 우두머리라 칭하기까지 했다. 준이 적대한 다수의 메탈카드봇들 또한 메탈브레스에 반발을 품고 있었으며, 당장 데우스 마키나로부터 직접 메탈브레스를 건네받은 블루캅마저 이 장비의 위험성을 확실히 인지하고 있었다.

소수지만 이 메탈브레스를 긍정적으로 여기는 메탈카드봇도 존재한다. 버팔로크러쉬의 경우 아예 메탈브레스를 마키나 행성의 보물[35]이라고 언급하며 마치 국보 반환을 요청하듯 정중하게 반환을 요구했으며, 기간트렉스를 필두로 한 스펠란자 호 승무원들의 경우 메탈브레스를 무카라와의 우정의 증표로 여기며 적극적으로 되찾고자 했다.

5. 완구


메탈카드 삽입이 가능해야 하는 만큼 실제로 극중에서 준이 차는 수준으로 사이즈가 크며, 카드 내부에 삽입된 NFC를 읽어 음성 기능을 발동하는 사양이다. 카드 하나당 들을 수 있는 필살기 음성은 3개까지로, 극중에 등장하는 모든 필살기의 음성이 담겨있지는 않으며, 아예 극중에서 사용한 적이 없는 완구 한정 필살기 음성도 들을 수 있다. 메탈카드가 총 4개 들어있는 얼티밋 블루캅 완구의 경우 카드 하나당 들을 수 있는 필살기 음성이 4개[36]이나, 4개 모두 같은 음성을 내보낸다.

규격이 다른 만큼, 시즌 2 완구들의 메탈카드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6. 여담

선택을 받은 자만이 지닐 수 있는 메탈브레스. 이를 지닌 자는 메탈카드봇을 속박하는 왕이 된다고 알려져 있죠.
블루캅, 시즌 1 1화


[1] 메탈카드봇S에서 봉인된 메탈카드봇은 글로버, 록크러쉬, 블래스트레인, 플레임노바.[2] 블루캅의 모자의 심볼에 해당 문양이 새겨져 있다.[3] 메가트러커, 메가앰블러, 피닉스파이어, 쉐도우X, 헤비아이언, 와일드가디, 덱스터, 플레타Z, 블랙후크, 버팔로크러쉬, 버스터갤런[4] 주로 전투에서 메탈카드봇이 쓰러지면 웨폰 카드가 해제되지만, 본인이 스스로 웨폰 카드를 해제하거나 웨폰 카드가 강제로 뜯겨져도 봉인이 가능해진다. 또한 아예 웨폰 카드를 소환하지 않았는데 봉인된 사례도 있다.[5] 웨폰 카드 없이 메탈카드봇만 소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셋업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웨폰 카드를 소환하려면 셋업을 해야 한다는 점은 동일하다.[6] 블루캅은 이후 보스나 두목을 대신 언급하며 이 말을 정정했지만, 메탈브레스의 기능을 생각해보면 사실상 왕이라고 해도 부족하지 않다.[7] 가령 손발이 묶이거나 브레스를 도난당하는 등.[8] 플레임노바의 경우, 선택된 자만이 쓸 수 있다는 것을 역이용해 페루루를 통해서 자신의 봉인을 해체했다.[9] 마지막화의 언급을 보면 딥바이트도 오거나이저 수색이 끝나는 대로 준 쪽으로 넘어올 것으로 보인다.[패배] [투항] [이전] [금단의힘] [14] S 26화에서 블루캅S 형태로 봉인되었다.[패배] [금단의힘] [패배] [이전] [패배] [이전] [21] 데우스 마키나에게 반기를 들어 그 대가로 메탈브레스에 힘을 봉인당한다. 본체는 별개로 활동하고 있었으며 S 22화를 기점으로 잃어버린 자신의 힘을 완전히 되찾게 된다.[22] 4천년 전 무카라에게 봉인되어있었다. 석판 카드에 봉인되며 메탈브레스와의 연결이 끊어진 것으로 추정.[23] 기존 블루캅에서 강화되어 이 형태로 봉인되었다.[패배] [투항] [패배] [금단의힘] [패배] [투항] [패배] [투항] [패배] [이전] [투항] [35] 블랙후크가 메탈브레스를 보물이라 언급하며 손에 넣고자 했던 것과는 다른 맥락이다.[36] 라이트닝 오버 스트라이크, 엣지 엑셀레이션, 체이닝 기가 볼트, 인피니트 퍼니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