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08:58:06

마이데이(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마이데이(붕괴: 스타레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붕괴 스타레일 로고.png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
캐릭터별 여담
]]
{{{#!wiki style="margin: 0 -0px -10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ffffff,#e0e0e0>
## 구분선
[[개척자(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파멸척자 남.png

카일루스
파일:호요랩_파멸척자 여.png

스텔레
]][[히메코(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히메코.png

히메코
]][[웰트(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웰트.png

웰트
]][[Mar. 7th/여담|
파일:호요랩_Mar. 7th.png

Mar. 7th
]][[단항/여담|
파일:호요랩_단항.png

단항
]]
## 구분선
[[은랑/여담|
파일:호요랩_은랑.png

은랑
]][[블레이드(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블레이드.png

블레이드
]][[카프카(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카프카.png

카프카
]][[반디(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반디.png

반디
]]
## 구분선
[[아를란/여담|
파일:호요랩_아를란.png

아를란
]][[아스타(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아스타.png

아스타
]][[헤르타(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헤르타.png

헤르타
]][[완·매/여담|
파일:호요랩_완매.png

완·매
]][[더 헤르타/여담|
파일:호요랩_더 헤르타.png

더 헤르타
]]
## 구분선
[[브로냐(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브로냐.png

브로냐
]][[게파드(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게파드.png

게파드
]][[클라라(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클라라.png

클라라
]][[서벌(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서벌.png

서벌
]][[나타샤(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나타샤.png

나타샤
]][[페라/여담|
파일:호요랩_페라.png

페라
]][[삼포(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삼포.png

삼포
]][[후크(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후크.png

후크
]][[제레(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제레.png

제레
]][[루카(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루카.png

루카
]][[링스(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링스.png

링스
]]
## 구분선
[[연경(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연경.png

연경
]][[백로(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백로.png

백로
]][[청작/여담|
파일:호요랩_청작.png

청작
]][[정운(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정운.png

정운
]][[소상(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소상.png

소상
]][[경원(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경원.png

경원
]][[나찰(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나찰.png

나찰
]][[어공/여담|
파일:호요랩_어공.png

어공
]][[단항·음월/여담|
파일:호요랩_음월.png

단항·음월
]][[부현(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부현.png

부현
]][[경류/여담|
파일:호요랩_경류.png

경류
]][[계네빈/여담|
파일:호요랩_계네빈.png

계네빈
]][[곽향/여담|
파일:호요랩_곽향.png

곽향
]][[한아/여담|
파일:호요랩_한아.png

한아
]][[설의/여담|
파일:호요랩_설의.png

설의
]][[운리/여담|
파일:호요랩_운리.png

운리
]][[초구(붕괴: 스타레일)/여담|]][[비소(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비소.png

비소
]][[맥택/여담|
파일:호요랩_맥택.png

맥택
]][[영사(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영사.png

영사
]][[망귀인/여담|
파일:호요랩_망귀인.png

망귀인
]]
## 구분선
[[토파즈&복순이/여담|
파일:호요랩_토파즈.png

토파즈&복순이
]][[어벤츄린/여담|
파일:호요랩_어벤츄린.png

어벤츄린
]][[제이드(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제이드.png

제이드
]]
## 구분선
[[미샤(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미샤.png

미샤
]][[갤러거(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갤러거.png

갤러거
]][[로빈(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로빈.png

로빈
]]
## 구분선
[[아글라이아(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아글라이아.png

아글라이아
]][[트리비/여담|
파일:호요랩_트리비.png

트리비
]][[마이데이(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스타레일_은하.png | 은하
## 구분선
[[아젠티/여담|
파일:호요랩_아젠티.png

아젠티
]][[Dr. 레이시오/여담|
파일:호요랩_레이시오.png

Dr. 레이시오
]][[블랙 스완(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블랙 스완.png

블랙 스완
]][[스파클(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스파클.png

스파클
]][[아케론(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아케론.png

아케론
]][[부트힐/여담|
파일:호요랩_부트힐.png

부트힐
]][[라파(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 라파.png

라파
]][[선데이(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선데이.png

선데이
]]
}}}}}}}}}}}}}}} ||
{{{#!wiki style="margin: 0px 5px; background-color: #3c4150;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50px; text-align: center"

1. 개요2. 목록
2.1. 게임 내
2.1.1. 성격2.1.2. 모티브 캐릭터 관련
2.2. 게임 외
2.2.1. 단컷 만화
2.3. 성우 참여 공식 콘텐츠

1. 개요

마이데이에 대한 여담을 정리한 문서.

2. 목록

2.1. 게임 내

2.1.1. 성격

외형에 걸맞게 근육뇌스러운 면모가 있다. 첫등장부터 오크마를 박살내며 티탄 권속들과 싸우는 모습을 보고 파이논아글라이아가 시민을 지키라고 하지 않았냐며 핀잔을 주자, 거기엔 외적을 물리치라는 말도 있었다면서 최고의 방어는 공격 같은 논지로 말하고, 개척자의 이름을 물은 뒤 개척자가 "흥, 비밀이에요"라고 말하면 말그대로 비밀을 이름으로 알아듣기도 한다. 개척자가 늘 그렇듯 은하 방망이라고 대답하면 "네 이름도 만만치 않게 특이하다."라고 말한다. 앞서 개척자가 마이데이의 이름이 특이하다고 말했기 때문. 다만 전략에 있어선 무조건 밀어붙이는 스타일은 아니고 어느 정도 승산을 따지긴 한다.
크렘노스 성의 왕세자, 고르고의 자식이자 사자처럼 날카로운 전사
겉으로는 오만하고 자유분방해 보이지만, 사실은 의리를 중시하며 백성들을 잘 보살핀다
앰포리어스 로딩 스크린 텍스트
겉보기에는 과격하고 호전적인데다 사나워 보이고 말도 험한 편이지만, 실제 속내는 따뜻한 편이다. 묘하게 바보 같으면서도 의리 있는 모습 덕분에 현재까지 나온 황금의 후예들 중 가장 호감이 간다는 반응이 많다.
크라테로스: 마이데이모스, 해냈구나. 우리가 해냈어! 우리가 네 어머니, 고르고 왕후의 복수를 해냈다.
이제 딱 한 걸음 남았어──왕관을 쓰고, 네 어머니의 유언대로 새로운 크렘노스의 왕이 되거라.
난 한때 네 어머니께 목숨을 바쳐 네 왕관을 지키겠다고 맹세했다. 네가 왕이 되면 내가 너의 강철 날개가 되마.
네가 앰포리어스를 통일하고 싶다면, 난 영원히 맨 앞에서 돌진하는 사람이 되겠다!

마이데이: 스승님, 지금 우리의 위치를 잊어선 안 됩니다.

크라테로스: 난 잊은 적 없다. 그 금발의 참주가 휘두르는 검으로 사는 나날도 언젠가 끝이 있겠지.

마이데이: 하지만 절대로 지금은 아닙니다.

크라테로스: ...네 마음은 이해한다. 방금 네 손으로 친부를 죽여서 마음이 복잡하겠지. 하지만 이건 비난받을 일이 아니야.
하지만 아버지의 시체를 밟고 피로 물든 왕관을 쓰는 것, 이것은 크렘노스에 천 년간 이어져 온 전통이다......

마이데이: 스승님, 하나 묻겠습니다. 제 어머니께서는 정말 제가 이러길 원하셨습니까? 아버지를 죽이고 왕위를 빼앗아 이 끝없는 정벌의 길을 이어 나가길 바라셨나요?

크라테로스: ......
* 파이논의 말에 따르면 남들이 안 보는 곳에서 눈물을 흘리기도 하는 것 같다.* 니카도르를 쓰러뜨린 후 개척자 일행에게 정식으로 감사를 표했을 때 그동안 마이데이의 호전적인 모습만 봐 왔던 개척자가 놀라는 반응을 보이자, 크렘노스족 사람은 강인함과 무예를 숭상하긴 하지만 그게 예의가 없다는 뜻은 아니라고 말한다.* 오크마의 목욕탕에 있는 어린아이 NPC에게 말을 걸면 마이데이가 직접 어린이들의 훈련을 봐준다는 걸 알 수 있다. 덕분에 그 아이는 오크마인임에도 불구하고 크렘노스인에 대한 편견이 없는 편이다. 그리고 실제로 마이데이와 그가 데려온 크렘노스 고군들이 오크마 시민들을 보호해 준다는 언급이 나오기도 한다.

2.1.2. 모티브 캐릭터 관련

2.2. 게임 외

파일:마이데이.jpg

2.2.1. 단컷 만화

파일:마이데이 단컷 만화.png
폼폼 갤러리 | 제목
만화 내용

2.3. 성우 참여 공식 콘텐츠


[1] 따로 행동하고 있던 개척자와 파이논이 발견한 석판에 적힌 글로, 크렘노스성의 고대어로 적혀 있었기에 개척자와 파이논은 내용을 알아볼 수가 없어서 석판을 따로 챙겨 마이데이에게 해독을 부탁했다. 그 내용은 '검은 물결'에 오염된 권속들을 오크마 곳곳에 심어서 도시 전체를 오염시켜 혼란에 빠뜨린 뒤, 그 틈을 노려 오크마를 완전히 파멸시키려는 것이었다. 다행히 아글라이아가 이 오염된 권속들의 존재를 눈치채고 손을 써 두어서 오크마가 위험에 빠지는 것은 일단 면할 수 있었다.[2] 선혈 꿀 음료의 유래에 대해선 니카도르의 여담 항목 참조.[3] 황금 사자상을 '스승님'이라고 불렀다.[4] 사실 그 전에 이미 아버지 유리폰이 간신의 꼬임에 넘어가서 마이데이를 죽이려 한 일이 있었다. 다행히 마이데이는 살아남기는 했지만 이 과정에서 어머니 고르고가 유리폰과의 결투에서 패배해 참살당하고 말았다.[5] 개척 임무 1막 완료 후에 마모리얼 시장의 건물 옥상에 있는 마이데이와 대화를 해보면 자신에게 크렘노스인의 피가 흐르고는 있지만 왕좌에는 별 미련이 없다고 덤덤하게 말한다.[6] 소개문의 왕세자는 분쟁을 사냥하며 피를 왕관 삼아 쓴다.[7] 다만 실제로 오만방자한 길가메시와 달리 마이데이는 한때 왕세자였던 자로서의 위엄을 애써 갖추는 것에 가까우며, 막상 타인이 양보를 하면 오히려 화내면서 챙겨주는 츤데레에 가깝다.[8] 말 그대로 만명의 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4
, 8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