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08:03:22
1 . 개요2 . 역사3 . 지배구조4 . 역대 대표이사5 . 주요 제품6 . 노동조합7 . 사건사고8 . 참고 문헌
롯데그룹 계열의 알루미늄 가공 및 신소재 제품 개발업체다. 주로 알루미늄 가공 및 캔, 페트병, 포장지, 골판지 상자 제조 등을 하고 있으며, 대중들에게는 쿠킹호일, 비닐랩, 음향기기, 주방가전, 가스보일러 제조 회사로 알려져 있다. 2021년 이후 이차 전지 소재기업으로 탈바꿈했다. 1966년 일본 롯데 가 대한민국 사업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 에 '동방아루미공업'을 세웠다. 1968년 '동방물산'으로 상호를 바꾼 뒤 알루미늄 압연공장 및 인쇄/가공공장을 세우고 무역업에도 손을 뻗었다. 1970년 외국인투자기업으로 등록한 후 '롯데물산 '으로 사명을 변경했다가, 1974년 무역부를 분리해 '롯데상사 '로 출범시켰다. 1980년 '롯데알미늄'으로 사명을 변경한 뒤 1983년 부산공장, 1985년 반월공장을 각각 세웠고, 1993년 일화로부터 진천공장을 인수했다. 2000년에는 롯데전자 오디오사업부문까지 이관받았으나, 2003년 오디오 생산을 중지하고 2005년 사업 자체를 철수시켜 사업부를 산업용 음향기기 및 CCTV 제조로 전환했다. 그리고 2009년 롯데기공까지 합병시켜 지금에 이르고 있다. 2019년 헝가리 법인을, 2022년 미국 법인을 설립하는 한편, 2020년 12월 31일 부로 보일러사업부를 철수시켜 이후 2021년 1월 대성쎌틱에네시스로 팔았다.3. 지배구조 2022년 12월 31일 기준. 주주명 지분율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호텔롯데 38.2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제2투자회사 34.9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광윤사 22.84%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부산롯데호텔 3.89%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영자 0.13%
4. 역대 대표이사신춘호 (1966~1968)신격호 (1968~1974)김송환 (1968~1969) 최현열 (1969~1974) 이우용 (1974~1975) 엄요섭 (1975~1980) 이형규 (1980~1982) 전재덕 (1982~1992)하태준 (1992~1995) 손일권 (1995~1997) 고충준 (1997~2001) 김두봉 (2001~2003) 노경수 (2003~2009) 임종현 (2009~2011) 김치현 (2009~2011) 유원태, 최하진 (2011~2013) 김영순 (2013~2018) 조현철 (2018~2023) 최연수 (2024~ ) 5. 주요 제품알루미늄박, 2차전지용 양극박 인쇄 포장재 롯데호일 CAN 생활용품 핑키 시리즈 음향기기(붐박스 , 휴대용 라디오 등) - 일부 핑키 모델은 롯데하이마트 의 PB상품인 하이메이드 브랜드로 나오기도 한다. 대표적인 모델이 디지털 튜너 라디오 기능을 지원하는 CD 카세트인 핑키-960인데, 하이메이드 HCP-790B와 동형이다. 차이점으로는 하이메이드 버전에 리모컨이 없다는 것. 이 외에는 아날로그식 단파라디오 인 핑키 250/260이 있다. 주방가전(에어 프라이어 , 전자레인지 , 오븐 등) 자판기 - 기공사업부에서 제조한다. 코레일 역사에 설치된 자판기들은 대부분 롯데 제품이고, 특히 터치스크린으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자판기는 100% 롯데 제품이다. 6. 노동조합7. 사건사고 자세한 내용은 안산 롯데알미늄 직원 기계끼임 사망사고 문서#!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산 롯데알미늄 직원 기계끼임 사망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산 롯데알미늄 직원 기계끼임 사망사고#|]][[안산 롯데알미늄 직원 기계끼임 사망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