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22:36:09

듀나미스 램브란트(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

1. 개요2. 성능
2.1. 클래스2.2. 핵심 스킬과 초필살기2.3. 발현 스킬
3. 전용 무기와 추천 장비4. 평가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파일:창모 듀나미스.jpg


팬드래건성을 지키지 못한 기사... 저, 저는 앞으로 어떻게 고개를 들고 살아가야 할까요?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듀나미스 램브란트. 24년 4월 30일 적속성 탱커로 참전했다. 담당 성우는 안영미.[1]창세기전 4 오리지널 캐릭터 중에서는 세실리 나레쥬노에 이은 2번째 등장[2]. 이로 인해 4에 등장했지만 회색의 잔영에 등장하지 않은 다른 여캐들의 출시 가능성도 엿볼 수 있게 되었다.

머리카락 색이 빨간색으로 바뀌고 눈 색이 보라색으로 바뀌었고 눈썹과 눈꼬리가 내려가 얼굴 인상이 소극적으로 변한 반면, 가슴 사이즈가 대폭 증량되었으며 갑옷 디자인이 좀 더 두꺼운 중갑 스타일로 바뀌었다.

2. 성능

기본 직업은 디펜더. 티어 3 클래스는 화이트나이트/인퀴지터/어세틱. 초필살기는 축성간열파.

고유 패시브는 '해방된 정신'. 탱커에게 적절한 효과가 둘둘 말려있는 사기적 패시브다. 효과가 많은데 다음과 같다.방어력이 조건 없이 큰 배율로 증가하고, 체력이 튼튼한 상태라면 호위가 발동하지만 위험해지면 자동으로 호위 효과가 꺼지고, 디버프를 자신에게 전부 끌어모은 뒤 디버프 갯수만큼 체력을 회복하고, 행동 제어나 스킬 제어는 알아서 풀어버리는데 풀어버린 다음에는 도트뎀 피해도 반감되는 등 탱커에게 필요한 건 전부 패시브로 다 갖춰져있다. 각성 레벨에 따라 수치 상승이 굉장히 크기 때문에 고각이 추천되는 편. 다만 이는 역으로 보자면 명함 단계에서는 아쉽다는 뜻이기도 하다.

2.1. 클래스

티어 3 클래스의 경우 방어에 특화된 화이트나이트, 저항력 기반으로 강력한 마법 반격을 날리는 인퀴지터, 자체 힐이 가능하고 저항력 기반으로 공격력이 올라가는 공격적 클래스인 어세틱 셋이 있다. 듀나미스의 모든 클래스는 패시브에 자신에게 인접한 아군에게 엄폐를 주고 통제 영역을 발생시키는 성능이 붙어있다.어느 3티어 클래스도 써먹을 여지가 있지만, 탱커로 쓰겠다면 방어력과 저항력 상승량이 높고 도발기과 이동기를 습득할 수 있는 화이트나이트를 먼저 가는 것이 정석. 인퀴지터는 방어력 상승이 없는데다 심판 데미지를 위해 저항력 육성이 필요하고, 어세틱은 저항력에 기반해 공격력이 증가하고 공격 스킬인 고연섬을 배우는 만큼 탱킹보다는 공격 쪽에 무게를 두는 클래스이기 때문이다.

2.2. 핵심 스킬과 초필살기

핵심 스킬은 디펜더에서 배우는 '진격섬'과 '이충공파', 아머나이트에서 배우는 '도발의 외침', 화이트나이트에서 배우는 '영광의 횃불', 어세틱에서 배우는 '고연섬' 정도가 꼽힌다.
초필살기인 축성간열파는 주위 3칸 내 적들에게 방어력의 90~120%만큼 피해를 주는 광역기로, 자신에게 걸려있는 디버프 1개 당 피해량이 방어력의 5~10%만큼 더 증가한다. 또한 스킬 사용 후 자신에게 걸려있는 디버프를 모두 제거하며, 호위 범위가 2칸으로 증가한다.
방어력 배율 광역기인데 디버프 보유량에 따라 데미지가 더 오르는 초필살기. 듀나미스는 패시브로 아군의 디버프를 빨아들이기 때문에 쉽게 데미지를 늘릴 수 있다. 호위 범위가 넓어지는 것도 좋은 부분.

2.3. 발현 스킬

아우터 원이 아니기 때문에 발현 스킬은 패시브 강화, 초필살기 강화, 아티팩트 셋으로 정해져있다.

3. 전용 무기와 추천 장비

전용 무기는 라스트 판타즘. 전설 검/방패로, 추가 능력치는 체력과 받피감이다. 무기 스킬은 방어력의 10~15% 만큼 공격력이 증가하고, 착용자에게 걸려있는 디버프 1개당 체력의 3~5%를 회복하는 효과다. 듀나미스가 착용할 경우 공격력 증가량이 방어력의 15~25%로 증가하며 체력 회복량이 5%로 고정된다. 또한 턴 시작 시 착용자에게 디버프가 없다면 아무 효과도 없는 해제불가 디버프 '불안감'를 2턴 획득한다(쿨타임 4턴).
방어력 기반으로 공격력이 증가하고 디버프 갯수에 비례해 체력 회복을 제공해서 듀나미스에게 꽤 잘 맞는 전무. 듀나미스는 디버프 개수에 따라 클래스 패시브를 통한 회복과 초필살기 데미지가 강화되기 때문에 아무 효과가 없는 디버프를 얻는 것도 큰 이득이다. 하지만 탱킹 측면에서 볼 때는 체력 회복 말고는 이득 보는 부분이 없어서 다른 무기를 대신 채용하는 경우도 많다.

방어구의 경우 탱커 답게 방어력과 저항력에 몰빵하는 것이 답. 저항력 몰빵에 제대로 성공하면 반격 데미지가 훌륭하다. 3000 데미지를 입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 방어력과 저항력을 둘 다 13% 올려주는 역전 2에 다른 헤비 방어구 2셋을 갖춰주는 편. 체력 20%를 제공하는 인내2, 방어력10%+체력10%를 제공하는 강격2, 방어력 15%를 제공하는 선혈2 중 하나를 고르면 될 것이다.

악세사리는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제각각.

4. 평가

대체제가 없다고 평가될 정도로 강력한 전설 탱커. 아군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디버프를 죄다 빨아들이는데 자신은 디버프 갯수 만큼 회복하고 면역을 얻어 디버프를 무시하고 활동할 수 있다. 영광의 횃불을 확보하면 광역기로부터도 회복할 수 있다. 탱커에게 필요한 기능은 다 붙어있다고 봐도 좋을 정도로 패시브가 강력하고, 방어력과 저항력만 갖춰주면 3개 클래스 모두 유용하게 쓸 수 있다보니 전설 캐릭터 가운데서도 유저들의 빌드 연구가 가장 활발한 캐릭터 중 하나. 명함 단계에서는 다소 아쉬울 수 있으나 강화 단계의 효율이 매우 좋아 고각하면 돈 들인 값을 한다. 25년 이너브레이크 업데이트 이후로는 발현스킬로 맷집을 더욱 올릴 수 있게 되어서 돈을 들이면 더욱 단단해지게 되었다. 죽일 방법을 모르겠다던지, 흑태자로 건드려봤는데 역으로 흑태자가 인퀴지터 심판 데미지 입고 뻗었다던지 하는 증언이 보일 정도.

일정 체력 이하일 경우 호위가 발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아군 하나를 완벽하게 지키지는 못한다는 단점이 있긴 한데, 자신이 생존할 확률이 상승하는 것이기도 해서 일장 일단이 있다. 이너브레이크로 패시브 스킬을 강화하면 호위에 체력 조건이 사라진다.

5. 여담

6. 둘러보기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 활력의 나무
전설 아리아나 위버 낭천 한조 슈리 스탐가르드
랜담 켈빈스 카림 니디아 라시드 팬드래건(청년) 크리스
클라우제비츠 팬드래건 에밀리오 실버
영웅 라시드 팬드래건 데니스 알렌 카메오 보포트 카자 아미고
클라리스 아이올로스 루벤스 하이젠버그
희귀 아르시아 란디노
자유의 불꽃
전설 칼스 브란트 쿤 그리어 사라 란드그리드 알시온 블랙소드
듀나미스 램브란트 엘리자베스 팬드래건 에스메랄다 크리스티앙 데 메디치
영웅 달리아 이그리트 하야 벨 반 다이크 세실리 나레쥬노
슈안 노르 생기르
희귀 로카르노 스탠리 엔데 마버트 로벨 필즈
지성의 결정체
전설 크로우 베라딘 기쉬네 드리포드 모르가이나 쉴렌
메이 노틸런 코델리아 오스틴 캐서린 스펜서 메리 팬드래건
로베르토 데 메디치 아이스 팬드래건
영웅 니나 필로테스 일지매 로빈 보니르 에리히 슐츠
세실 루미너스 신디 로즐리
희귀 캐빈 헤이스팅스 아리아나 위버 Jr.
신념의 빛
전설 이올린 팬드래건 아이린 사르데스 듀란 램브란트 에리카 마이어스
리나 맥로레인 죠안 카트라이트
영웅 엔닐 디아 리오나 윌라드 백옥당 사이렌 우드빌
희귀 스트라이더 녹스
욕망의 그림자
전설-아우터 원 흑태자
전설 디아블로 빈센트 번스타인 카슈타르 귄터 이루스
오필리어 버킹엄 샤른호스트 제인 쇼어
영웅 G.S 비쉬누 만 카심
희귀 사키스키
}}}}}}}}} ||




[1] 듀나미스 직전에 출시된 캐릭터인 카림 니디아의 성우이기도 하다.[2] 회색의 잔영에서 세실리 나레쥬노와 룬 에오스가 직접 등장하므로, 세실리의 경우 4-회잔-아수라 3연속 등장이 된다.[3] 하필이면 군중 제어 저항 패시브를 가진데다 활발하던 성격이 소심해지고 말소리가 작아지는 등의 성격 급변이 일어난 것 때문에, 캐서린 스펜서처럼 성고문을 받았다는 걸 전제로 설정을 짠 게 아닌가 하는 해석이 팬덤 사이에서 대세가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