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20:30:04

베라딘(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

1. 개요2. 성능3. 평가4. 여담5. 둘러보기

1. 개요


난 보다 원대한 계획을 갖고 있다.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베라딘. 2024년 1월 23일 전설 등급 청속성 마법사 캐릭터로 참전했다.

2. 성능

파일:헥스 엘리멘탈 블래스트.gif
궁극의 필살 마법, 헥스 엘리멘탈 블래스트
"장난은 여기까지다."
기본 직업은 메이지. 티어 3 클래스는 프로스트메이지/로얄위자드/다크위자드. 초필살기는 없었다가 리워크를 통해 그 6중 마법이 '헥스 엘리멘탈 블래스트'라는 이름이 붙어 추가되었다.
전무는 음모의 콘스텔라인데 추가 능력치는 주문 관통이며, 범위 스킬로 피해를 입혔을 경우 25~50% 확률로 랜덤 버프[1]를 얻고 보호막을 가진 경우 주문력이 20~30%를 받는 무기 스킬을 갖고 있다. 버프의 랜덤성이 너무 강한데다[2] 고점이 높아도 보호막이라는 조건이 은근 귀찮다보니 리워크를 거친 후에도 그다지 호평받지는 못하는 편. 문 라이트 기준으로 공용 전설인 대마법사의 지팡이 3각, 옵시디안 스태프 5각과 명함 전무가 비슷한 데미지가 나오는 상황이라 굳이 무기 소환 가챠를 돌릴 필요까지는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고유 패시브는 '파멸의 고리'. 캐릭터 턴 종료시 인접한 적을 1칸씩 밀어내고 주변 2칸 내 적들에게 주문력의 20%만큼 피해를 준다.
또한, 적에게 피해를 주면 그 수 만큼 방어력과 저항력을 올려주는 '파멸의 고리' 버프를 얻는다. 해당 버프는 일정 수치 이상 중첩되면 베라딘에게 추가 행동을 부여하며, 부여시 해제된다. 패시브로 적에게 피해를 준 경우에도 중첩을 획득할 수 있으며, 각성 레벨이 올라가면 방어력/저항력 상승치가 높아지는 대신 요구 중첩수가 낮아져서 추가 행동이 좀 더 쉬워진다.
상승 수치는 각성 레벨과 동일하게 3에서 6까지 상승하며, 추가 행동에 요구되는 중첩수는 9에서 6까지 감소한다.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게 된다.
초필살기인 헥스 엘리멘탈 블래스트는 창2의 그 6중 마법으로, 주문력의 135%만큼 피해를 입히고 2턴간 냉기둔화, 감전, 화상에 무작위 디버프까지 거는데다 범위 내 아군이 있다면 주문력의 100%만큼 회복시키고 무작위 버프도 걸어주며, 자신에게는 1턴간 절대로 죽지 않는 '불멸의 안식' 버프를 거는 기술이다. 불멸의 안식 버프가 걸려있는 동안 베라딘은 스킬 사용도 반격도 할 수 없는 대신 체력이 1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는 일종의 불사 상태가 되며, 버프가 종료되면 모든 일반 스킬의 쿨타임이 1 감소하고 1 TP를 획득한다.
요컨대 적에게는 강력한 광역기+디버프를, 아군에게는 회복과 버프를 선물한 후 자신은 1턴 간 무적의 샌드백이 된 뒤 다음 턴에 TP 2가 된다는 것.

3. 평가

빙한계 마법의 스페셜리스트. 본작에서 등장하는 웬만한 빙한계 마법을 최고위 마법인 문 라이트까지 전부 구사한다. 덕분에 아이러니하게도 빙한계 검격기가 주력인 팬드래건 왕가 인물들인 이올린, 라시드(청년), 크로우, 아이스와 궁합이 좋다.

고유 패시브를 살리려면 적들과 어느 정도는 근접할 필요가 있고 전무에 보호막 보유시 주문력 상승 효과가 있기 때문에 종결 클래스는 행동 제어 효과만 구사하면 간단히 보호막을 얻을 수 있고 주문력 상승 조건 만족도 쉬운 로얄위자드가 추천되는 편. 프로스트메이지는 문라이트를 배울 수 있고 패시브가 부활기 씩이나 되지만 주문력 증강 옵션이 없어서 화력이 반토막나기 때문에 그다지 추천되지 않는다. 때문에 보통 프로스트 메이지에서 문라이트를 가져오고 로얄위자드로 정착하게 된다. 리워크 전에는 초필살기가 없다보니 고유 패시브와 궁합이 맞지 않는 다크위자드를 트엘블 얻겠다고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찍어야 했지만, 리워크 후에는 그다지 필요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에 다크위자드는 가장 후순위가 되었다.

단점으로 꼽을만한 부분이라면 추가 행동 획득시 방어력 버프가 증발해버리는 부분을 꼽을 수 있다. 기껏 광역기 열심히 날려서 추가 행동을 얻었더라도 방어력 버프가 증발해버린 상황에서 TP도 바닥난다면 맨몸으로 적의 공격을 맞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나마 인접한 적이 있다면 패시브로 밀쳐내면서 방어력 버프를 얻을 수는 있는데, 패시브로 얻을 수 있는 수치는 최대가 3중첩이기 때문에 최대 18%에 그치는데다 로얄 위저드 상태여도 보호막은 생기지 않는다. 적을 밀쳐내는 것은 일종의 행동 제어 효과라고 볼 수 있음에도 보호막이 생기지 않는 것은 아쉬운 부분. 애초에 라이트 아머 법사를 전방에 세울 필요는 없으므로, 방어 버프나 보호막은 보험으로만 생각하고 평범하게 거리를 벌리는 법사 플레이를 지향하는 것이 적절하다. 파멸의 고리 중첩을 굳이 패시브로도 얻겠다고 전방에 세울 필요도 없기도 하고. 굳이 그렇게까지 하지 않아도 본작은 마법의 사거리가 짧고 혼전이 벌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험이든 어쨌든 마법사치고 방어력이 강한 편인 것은 메리트긴 하다.

리워크 후에는 기사단전에서 주로 사용되는 편. 워런트 배리어를 받고 1턴간 숨어있다가 2턴째에 헥엘블을 날리고 몸빵으로 나서는 운용법이 제법 유효하다는 평이다. 아예 주문력 증강은 포기하고 프로스트메이지로 내보내서 위의 2턴 헥엘블 몸빵 전술을 쓰면 불멸의 안식으로 1턴, 부활 전에 1턴, 부활 후 1턴으로 대충 3턴 정도의 탱커 역할을 맡길 수도 있을 것이다.

4. 여담

5. 둘러보기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의 캐릭터
활력의 나무
전설 아리아나 위버 낭천 한조 슈리 스탐가르드
랜담 켈빈스 카림 니디아 라시드 팬드래건(청년) 크리스
클라우제비츠 팬드래건 에밀리오 실버
영웅 라시드 팬드래건 데니스 알렌 카메오 보포트 카자 아미고
클라리스 아이올로스 루벤스 하이젠버그
희귀 아르시아 란디노
자유의 불꽃
전설 칼스 브란트 쿤 그리어 사라 란드그리드 알시온 블랙소드
듀나미스 램브란트 엘리자베스 팬드래건 에스메랄다 크리스티앙 데 메디치
영웅 달리아 이그리트 하야 벨 반 다이크 세실리 나레쥬노
슈안 노르 생기르
희귀 로카르노 스탠리 엔데 마버트 로벨 필즈
지성의 결정체
전설 크로우 베라딘 기쉬네 드리포드 모르가이나 쉴렌
메이 노틸런 코델리아 오스틴 캐서린 스펜서 메리 팬드래건
로베르토 데 메디치 아이스 팬드래건
영웅 니나 필로테스 일지매 로빈 보니르 에리히 슐츠
세실 루미너스 신디 로즐리
희귀 캐빈 헤이스팅스 아리아나 위버 Jr.
신념의 빛
전설 이올린 팬드래건 아이린 사르데스 듀란 램브란트 에리카 마이어스
리나 맥로레인 죠안 카트라이트
영웅 엔닐 디아 리오나 윌라드 백옥당 사이렌 우드빌
희귀 스트라이더 녹스
욕망의 그림자
전설-아우터 원 흑태자
전설 디아블로 빈센트 번스타인 카슈타르 귄터 이루스
오필리어 버킹엄 샤른호스트 제인 쇼어
영웅 G.S 비쉬누 만 카심
희귀 사키스키




[1] 2턴간 이동력 +2/2턴간 스킬 사거리 +1/행동 종료시 TP 1 획득 중 하나[2] 심지어 베라딘 외 캐릭터가 들었을 경우 버프를 얻을 확률이 15~30%에 그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