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22:27:17

실버(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

1. 개요2. 성능
2.1. 클래스2.2. 전용기와 초필살기
3. 전용 무기와 추천 장비4. 평가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하하하! 배짱 한번 두둑한 이군. 마음에 들었어.
나를 이기면 평생 종노릇을 해주지!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실버. 2025년 2월 4일 업데이트를 통해 녹속성 관통계 전설 레인저로 참전했다. 성우는 김연우.

외모적인 면에서는 모델링과 포트레이트가 사전 공개된 이미지에 비해서는 조금 더 나이가 있는 느낌으로 다듬어졌는데, 목소리는 어린 느낌이 있어서 갭을 느끼는 유저도 있는 모양.[1] 또한 앞서 출시된 제인 쇼어와 거의 비슷할 정도의 거유로 나왔는데, 아마도 팔콤판의 거유 버전을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2. 성능

기본 직업은 레인저. 티어2에 전용 클래스인 '커세어'가 있으며, 티어 3 클래스는 하이마스터/캡틴/팔코니어팔코니아 아니다. 초필살기로는 애완 매인 제이제이를 날리는 '제이제이!'를 들고 나왔다.

고유 패시브는 '은빛 신념'. 아군 턴 시작 시에 자신에게 이동 제어 디버프가 없을 경우 50%~80% 확률로 이동력 1당 공격력 5%, 치명타 확률 20%을 얻는 1턴 짜리 해제 불가 버프 '은빛 신념'을 얻는다. 캐릭터 행동 종료시에 이 버프가 있으면 턴 당 1회 한정으로 추가 행동을 얻으며, '전투 공격' 후 해제된다. 또한, 이동력이 1 이하인 모든 아군에게 이동력 감소 수치를 무시하는 '자유로운 바람' 버프를 부여한다.

실버의 기본 이동력은 4이므로 조건부로 매 턴 1회 한정이긴 하지만 공격력 20%에 치명타 확률 80% 상승 버프를 얻는데다, 해제 조건이 전투 공격이니 범위기 공격을 쓰면 공격 후에도 버프가 유지되서 치확과 추가 행동을 얻을 수 있으므로 매우 강력한 패시브. '자유로운 바람' 버프를 통해 아군 전체에 이동력 감소 계통 디버프를 무효화하는 효과를 부여하는 것도 추후 활용을 기대해볼만 하다. 다만 은빛 신념의 확률 놀음이 심하다. 5성이면 보통 확정을 줬던 기존과는 달리 6성을 찍어도 80%에서 끝나며, 무려 발현 4단계의 고유 스킬을 찍어야 확정이 된다.

2.1. 클래스

티어 3 클래스의 경우 매턴 주변의 랜덤한 적 둘을 크게 약화시키는 하이마스터, 단독 행동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캡틴, 공격력과 TP 약탈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팔코니어의 셋이 있다. 모든 클래스는 통제 영역 무시 이동 기능을 갖는다.

2.2. 전용기와 초필살기

전용기는 커세어에서 배우는 은뢰일섬, 캡틴에서 배우는 선풍난검, 팔코니어에서 배우는 하늘길이 있다.월영인은 짤렸다
초필살기인 '제이제이!'는 주변 5칸 내의 적 1체를 지정해 적이 보유한 모든 TP를 약탈하며, 공격력의 160% ~ 190% 배율로 반격 및 호위가 불가능한 데미지를 입히는 단일기다. 사거리가 긴데다 실버는 TP 획득 수단이 많아서 다른 단일 대상 초필살기에 비하면 쓸 기회가 생기는 편. 또한 TP를 전부 빼앗아서 자신의 TP를 채우므로 유틸 측면에서도 좋고, 초필살기 사용 후의 상황 전개도 좋다. 배율은 발현 스킬을 찍어주면 최대 220%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3. 전용 무기와 추천 장비

전용 무기는 해적왕의 보물검. 추가 능력치는 공격력 증가. 무기 스킬은 조건 없는 치명타 확률 상승이며, 실버의 전용 효과는 아군 턴 시작 시에 '불공정 거래'라는 해제 불가 버프를 얻는 것이다. 여기서 얻는 불공정 거래 버프는 효과가 무기 각성 레벨에 따라 크게 상승한다.6각까지 찍어주면 디버프는 죄다 적 주고 적 버프는 죄다 빼앗아버리는 미친 물건이 나오게 된다. 게다가 이 훔치기는 보호막이나 방어 관련 버프도 빼앗는데 전투 시 공격 전에 훔치기 때문에 무기가 3각 이상인 실버의 공격은 실질적으로 맨몸으로 얻어맞을 수 밖에 없다. 클래스 패시브에만 의지해 맞아야 하는 신세. 무기 스킬인 척 하고 있는 조건 없는 치명타 확률 상승도 좋은데다 버프 무시 공격이 가능하고 잘 하면 버프 로또도 노릴 수 있는 무서운 무기.
전무 외의 추천 무기는 월광검이 꼽힌다. 치확 1% 당 공격력이 0.1% 증가하기 때문에 치확 80% 상승을 갖고 있는 실버는 공격력 8% 상승을 받을 수 있기 때문. 세검은 공격력이 낮은 것도 있어서 딜 고점은 월광검이라는 평이다.

방어구의 경우 운용 방법에 따라 다른데, 딜 측면에서는 기본 치확이 너무 높아 치확이 100% 이상으로 필요 이상 높아질 수도 있으므로, 치확과 치피 옵션인 암살자나 크로우 복장 모티브인 까마귀 세트보다는, 공격력과 치피 옵션인 한조 복장 모티브인 살수 세트나 물리 관통과 깡공을 올려주는 위한 낭천 복장 모티브인 일기당천이 적절한 선택이 될 것이다. 탱킹 위주로 간다면 G.S 복장 모티브인 풍운 세트도 좋을 것.

악세사리 역시 운용 방법에 따라 다르다. 뎀딜의 고점을 노린다면 치확이 높은데 착안해 화살촉을 줄 수도 있고, 밸런스 좋은 고영반을 택하면 탱킹과 뎀딜 양쪽을 챙길 수도 있을 듯.

4. 평가

도적보다도 이것 저것 잘 훔치는 날쌘 해적 누님.

패시브에 달린 추가 행동과 스킬들 덕에 기동력이 매우 뛰어나서 치고 빠지기에 능하면서도 탱커로 쓸 수도 있고, 스킬과 초필살기에 TP 약탈이나 페이백이 갖춰져 있는 덕에 꽤나 트리키한 활용이 가능한 캐릭터다. 가령 활기 버프가 있다면 [하늘길(TP1)로 진입 → 추가행동 → 선풍난검(TP2 반환) → 활기 → 은뢰일섬(TP1)으로 후퇴]를 한다던지, 반대로 [은뢰일섬(TP1) 진입 → 추가행동 → 선풍난검(TP2 반환) → 활기 → 하늘길(TP1)로 후퇴] 하는 등의 콤보가 가능. 스킬의 배율들이 낮아서 얕보기 쉽지만 전무를 들고 기본 콤보인 은뢰일섬-추가 행동 선풍난검 콤보를 넣게되면 선풍난검이 노버프 상태의 상대에게 확정 크리로 꽂히게 되는데 [하늘길 → 은뢰일섬 → 선풍난검] 식으로 쓸 경우 확률만 잘 터져주면 적에게 관통 피해량 50% 증가까지 묻혀서 선풍난검을 때려박을 수 있다. 만약 옆에 아크나이트 캐릭터가 있어서 클래스 패시브까지 무효화된다면 더 말할 것도 없다.

다만 적진에 투입해야 하는 캡틴 클래스는 뎀딜기를 배우고 공격 성향이 강한 팔코니어는 이동기를 배운다는 습득 스킬 세팅 때문에 제대로 써보자면 클래스를 양쪽 다 찍을 필요가 있는데다 패시브 확정 발동이 발현 스킬 4단계에 있는 등 발현을 권장하는 설계가 되어있어서 제대로 쓰려면 육성에 상당한 자원을 투자할 필요가 있는 캐릭터.

5. 여담

6. 둘러보기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의 캐릭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 활력의 나무
전설 아리아나 위버 낭천 한조 슈리 스탐가르드
랜담 켈빈스 카림 니디아 라시드 팬드래건(청년) 크리스
클라우제비츠 팬드래건 에밀리오 실버
영웅 라시드 팬드래건 데니스 알렌 카메오 보포트 카자 아미고
클라리스 아이올로스 루벤스 하이젠버그
희귀 아르시아 란디노
자유의 불꽃
전설 칼스 브란트 쿤 그리어 사라 란드그리드 알시온 블랙소드
듀나미스 램브란트 엘리자베스 팬드래건 에스메랄다 크리스티앙 데 메디치
영웅 달리아 이그리트 하야 벨 반 다이크 세실리 나레쥬노
슈안 노르 생기르
희귀 로카르노 스탠리 엔데 마버트 로벨 필즈
지성의 결정체
전설 크로우 베라딘 기쉬네 드리포드 모르가이나 쉴렌
메이 노틸런 코델리아 오스틴 캐서린 스펜서 메리 팬드래건
로베르토 데 메디치 아이스 팬드래건
영웅 니나 필로테스 일지매 로빈 보니르 에리히 슐츠
세실 루미너스 신디 로즐리
희귀 캐빈 헤이스팅스 아리아나 위버 Jr.
신념의 빛
전설 이올린 팬드래건 아이린 사르데스 듀란 램브란트 에리카 마이어스
리나 맥로레인 죠안 카트라이트
영웅 엔닐 디아 리오나 윌라드 백옥당 사이렌 우드빌
희귀 스트라이더 녹스
욕망의 그림자
전설-아우터 원 흑태자
전설 디아블로 빈센트 번스타인 카슈타르 귄터 이루스
오필리어 버킹엄 샤른호스트 제인 쇼어
영웅 G.S 비쉬누 만 카심
희귀 사키스키
}}}}}}}}} ||




[1] 창세기전 4에서는 그럭저럭 나이대가 있는 중간 톤의 목소리로 연기했기에 상대적으로 역체감이 큰 편이기도 하다.[2] 원작의 '선풍열참'을 의식한 기술명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