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5 16:41:48

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도쿄 지하철 4호선에서 넘어옴
도쿄 지하철
파일:도쿄메트로 로고.svg
파일:도쿄도 교통국 아이콘.svg
파일:도쿄메트로 긴자선 로고.svg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로고.svg 파일:도쿄메트로 히비야선 로고.svg 파일:도에이 아사쿠사선 로고.svg 파일:도에이 미타선 로고.svg
긴자선 [[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마루노우치선
]]
[[도쿄메트로 히비야선|
히비야선
]]
[[도에이 아사쿠사선|
아사쿠사선
]]
미타선
파일:도쿄메트로 도자이선 로고.svg 파일:도쿄메트로 치요다선 로고.svg 파일: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로고.svg 파일:도에이 신주쿠선 로고.svg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
[[도쿄메트로 도자이선|
도자이선
]]
[[도쿄메트로 치요다선|
치요다선
]]
[[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유라쿠초선
]]
[[도에이 신주쿠선|
신주쿠선
]]
[[도에이 오에도선|
오에도선
]]
파일:도쿄메트로 한조몬선 로고.svg 파일: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로고.svg 파일: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로고.svg
[[도쿄메트로 한조몬선|
한조몬선
]]
[[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난보쿠선
]]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후쿠토신선
]]
파일:도쿄메트로 로고.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로고.svg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분기선 로고.svg [ruby(丸, ruby=まる)]ノ[ruby(内, ruby=うち)][ruby(線, ruby=せん)]
마루노우치선
Marunouchi line
}}}
파일:Tokyometro2001.jpg
도쿄메트로 2000계 전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Marunouchi_Line_Vroutemap.png
노선 정보
분류 지하철
기점 오기쿠보역(본선)
나카노사카우에역(분기선)
종점 이케부쿠로역 (본선)
호난초역 (분기선)
역 수 28
노선기호 M (본선)
Mb (분기선)
노선번호 4호선
개업일 1954년 1월 20일
소유자 도쿄메트로
운영자
차량기지 나카노 차량기지
나카노 차량기지 코이시카와 분실
사용차량 도쿄메트로 2000계 전동차
노선 제원
노선연장 24.2㎞ (본선)
3.2㎞ (분기선)
궤간 1435mm
선로구성 전구간 복선
사용전류 직류 600V 제3궤조집전식[1]
폐색방식 속도제어식
보안장비 CBTC[공통]
ATO[본선], TASC[분기선]
최고속도 75㎞/h(본선)
65㎞/h(분기선)
개통 연혁 1954. 1. 20. 오차노미즈이케부쿠로
1956. 3. 20. 아와지초오차노미즈
1956. 7. 20. 도쿄아와지초
1957. 12. 15. 긴자도쿄
1958. 10. 15. 카스미가세키긴자
1959. 3. 15. 신주쿠카스미가세키
1961. 2. 8. 신나카노신주쿠
나카노후지미초나카노사카우에
1961. 11. 1. 미나미아사가야신나카노
1962. 1. 23. 오기쿠보미나미아사가야
1962. 3. 23. 호난초나카노후지미초
1964. 9. 18. 히가시코엔지
1996. 5. 28. 니시신주쿠
파일:Marunouchi_Line_linemap.png
실측지도 상의 마루노우치선
본선 하행 전구간 주행영상 분기선 호난초 방면 전구간 주행영상

1. 개요2. 소개3. 역사4. 역 목록
4.1. 본선4.2. 마루노우치선 분기선 (호난초 지선)
5. 기타
5.1. 오차노미즈역 구간의 풍경5.2. 안내방송5.3. 대중매체에서
6. 차량
6.1. 현역 차량6.2. 퇴역 차량
7. 사건 사고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도쿄메트로 소유의 지하철 노선. 이름의 유래는 도쿄역 부근의 비즈니스 지역인 마루노우치(丸ノ内). 그 이름에 걸맞게 도쿄 지하철 노선 중 유일하게 도쿄역에 정차하는 노선이다.[5]

노선 색깔은 빨간색. 영국의 담배갑, 런던 버스의 색상에서 영감을 받았다. 런던의 영향을 받아 차량을 빨간색으로 칠하고, 1970년에 차량 색깔을 노선의 상징색으로 정하면서 마루노우치선의 상징색은 빨간색이 되었다.

2. 소개

도쿄의 3대 부도심 중 2곳인 이케부쿠로, 신주쿠와 도쿄 도심을 이어주며 야마노테선 내부의 이동 수요를 담당하는 중요한 노선이다. 오기쿠보역에서 출발, 신주쿠역아카사카미츠케역, 긴자역, 도쿄역, 오테마치역을 거쳐 종점 이케부쿠로역까지 ⊃ 모양의 노선을 형성한다. 이러한 선형은 2개의 노선(신주쿠~도심 노선, 이케부쿠로~도심 노선)을 합쳐놓은 것에 가깝다. 3대 부도심 중 나머지 1곳인 시부야는 먼저 개통한 도쿄메트로 긴자선을 통해 도심과 연결되므로, 긴자선과 마루노우치선 두 노선을 통해 3대 부도심과 도심 간의 네트워크가 완성된 것이다.[6]

한편 오기쿠보~신주쿠 구간은 츄오선의 혼잡 완화[7]를 목적으로 건설된 구간으로서, 개업 당초에는 '오기쿠보선'이라는 별도의 명칭으로 불리다 1972년 마루노우치선으로 통합되었다.

제3궤조방식이고 표준궤에 수송량도 수요에 비해 좀 후달리는 관계로 긴자선오에도선과 마찬가지로 다른 사철 노선들과의 직통이 전혀 없다.

영업거리는 본선(이케부쿠로↔오기쿠보) 24.2㎞, 분기선(나카노사카우에↔호난초) 3.2㎞, 궤간은 1435㎜, 역수는 본선 25역과 분기선 3역을 포함해 28개역. 전선 복선에 직류 600V, 긴자선과 같이 제3궤조집전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선을 기준으로 최고 속도 시속 75㎞, 평균 속도 37.2㎞, 표정 속도 29.2㎞.

일본에서 가장 짧은 배차간격로 유명하다. 러시아워에 1분 50초 간격이며 평소에도 4분의 간격으로 운행한다. 모든 역사에 TASC와 난간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돼 있다.

철도요람상 4호선이라는 번호가 붙어있지만 아무도 번호로 부르지는 않는다. 긴자선에 이어 두 번째로 개통한 노선인데 번호가 4호선인 이유는 도쿄 지하철 문서 참조.

일본에서 실드TBM 공법을 적용한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다.[8] 시공된 구간은 아카사카미츠케역~콧카이기지도마에역간 230m로 국회의사당의 밑을 관통하였다. 당시에 사용되었던 반원형 TBM

도쿄메트로 노선들은 주로 도쿄역이 아닌 근처의 오테마치역을 지나가는 관계로 도쿄역과의 환승이 애매한데[9] , 마루노우치선은 고맙게도 도쿄역에도 정차해준다. 또한 신주쿠역에 정차하는 유일한 도쿄메트로 노선이기도 하다. 신주쿠를 지나는 노선은 후쿠토신선도 있지만, 이쪽은 동쪽의 신주쿠3쵸메역을 지난다.

분기선은 2004년, 본선은 2009년부터 1인 승무를 실시 중이다.

마루노우치선인데 마루노우치역이 없다. 오히려 마루노우치라는 부역명이 붙은 역은 치요다선니주바시마에역이다. 이는 '마루노우치'가 도쿄역 서쪽 출구 일대를 뜻하는 명칭이기 때문. 도쿄역을 마루노우치역이라 보면 된다.

도에이 아사쿠사선과 접하지 않는다. 아사쿠사선은 도쿄역 동쪽만 훑고 바로 아사쿠사로 빠지는 반면 마루노우치선은 도쿄역 서쪽을 지나 좌회전하여 도쿄 돔과 이케부쿠로 쪽으로 가기 때문. 둘 사이의 간접환승 거리가 가장 짧은 동선은 마루노우치선 긴자역과 아사쿠사선 히가시긴자역간 환승이다. 이 둘은 히비야선이 이어주고 있다.

3. 역사

사철로 시작한 긴자선과 달리, 마루노우치선은 처음부터 정부 측에 의해 계획된 노선이었다. 최초 계획은 내무성에 의해 1925년에 잡혔다. 당시 계획은 현재의 노선과 차이가 있는데, 히비야 이후 도쿄역을 뚫고 지나가는 지금의 노선과는 달리 긴자 쪽으로 좀 더 깊숙이 들어가 츠키지, 닌교초, 오카치마치를 지난 뒤 코히나타로 향하는 형태였다. 이 히비야 이후의 구간은 히비야선과 선형이 유사하다.

이렇듯 계획 자체는 굉장히 일찍 잡혔지만, 실제 착공은 1942년에나 이루어졌고, 그나마도 1944년에 공사가 중지되었다. 있던 것도 뜯어가는 판이었으니 당연한 일이었다. 전후인 1946년에야 오늘날의 선형과 굉장히 유사한 형태로 계획이 수정되었다. 다만 이 때의 계획은 지금의 분기선 방면이 본선이었고, 이케부쿠로에서 끊긴 지금과 달리 유라쿠초선 - 후쿠토신선과 유사하게 무카이하라까지 노선을 뽑을 예정이 있었던 모양. 특히 이케부쿠로 - 무카이하라 구간 계획은 1968년까지 살아남았다. 이 계획은 전술한 것처럼 유라쿠초선 - 후쿠토신선으로 실현되었다.

이후 1949년에야 이케부쿠로 - 칸다 구간의 착공이 결정, 51년에 기공식을 열었으나 삽을 뜨고 2년이 지나고 나서야 칸다 방면으로 가는 게 무리라는 게 밝혀져서 칸다 대신 오테마치를 경유해 도쿄역으로 내려가는 선형으로 결정된다.

결국 30년을 질질 끈 이 노선은 1954년에야 오차노미즈 - 이케부쿠로 구간이 첫 개통하면서 겨우겨우 문을 열게 된다. 이후 차례차례 여러 구간들의 개통을 거쳐, 1959년 신주쿠 - 카스미가세키 구간의 개통으로 마루노우치선이 완공된다. 신주쿠 서쪽 구간은 1961년 개업과 함께 오기쿠보선이라는 별도의 호칭을 갖게 되었지만 1962년 오기쿠보까지의 연장 완공과 분기선(애칭: 호난초 지선)의 완성이 이루어진 뒤, 1972년에야 전 구간이 마루노우치선으로 호칭이 통일되었다.

2021년 발표된 도쿄메트로 중기 경영 계획인 도쿄메트로 플랜 2021에 따르면, 2024년부터 CBTC 사용을 계획하였다.[10] 실제 CBTC 주행 시험은 2022년부터 시작했으며, 2024년 12월부터 사용을 개시하였다. #

4. 역 목록

4.1. 본선

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번호 역명 km 환승노선 소재지
M-01 오기쿠보
(荻窪)
0.0 JR 동일본 파일:JRE-JC.svg츄오 쾌속선 (JC09), 파일:JRE-JB.svg츄오-소부 완행선 (JB04) 스기나미구
M-02 미나미아사가야
(南阿佐ケ谷)
1.5
M-03 신코엔지
(新高円寺)
2.7
M-04 히가시코엔지
(東高円寺)
3.6
M-05 신나카노
(新中野)
4.6 나카노구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분기선 로고.svg마루노우치선 분기선 호난초까지 직통
M-06 나카노사카우에
(中野坂上)
5.7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분기선 로고.svg마루노우치선 분기선 (직통운행)
도영 지하철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오에도선 (E-30)
M-07 니시신주쿠
(도쿄의대병원 앞)

(西新宿)
(東京医大病院前)
6.8 신주쿠구
M-08 신주쿠
(新宿)
7.6 ¶JR 동일본 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야마노테선 (JY17), 파일:JRE-JB.svg츄오-소부 완행선 (JB10),
파일:JRE-JC.svg츄오 쾌속선 (JC05), 파일:JRE-JA.svg사이쿄선 (JA11), 파일:JRE-JS.svg쇼난신주쿠라인 (JS20)
오다큐 전철 파일:ODK-OHb.svg오다와라선 (OH01)
케이오 전철 파일:Keio-KO.svg케이오선 (KO01)
(신선)신주쿠역: 케이오 전철 파일:Keio-KO.svg케이오 신선 (KO01)
신주쿠니시구치역: 도영 지하철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오에도선 (E-01)[11]
세이부신주쿠역: 세이부 철도 파일:Seibu-SS.svg신주쿠선 (SS01)
M-09 신주쿠산초메
(이세탄 앞)

(新宿三丁目)
(伊勢丹前)
7.9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로고.svg후쿠토신선 (F-13)
¶도에이 지하철 파일:도에이 신주쿠선 로고.svg신주쿠선 (S-02)
M-10 신주쿠교엔마에
(新宿御苑前)
8.6
M-11 요츠야산초메
(四谷三丁目)
9.5
M-12 요츠야
(四ツ谷)
10.5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로고.svg난보쿠선 (N-08)
¶JR 동일본 파일:JRE-JC.svg츄오 쾌속선 (JC04), 파일:JRE-JB.svg츄오-소부 완행선 (JB14)
M-13 아카사카미츠케
(赤坂見附)
11.8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긴자선 로고.svg긴자선 (G-05)[연결선로있음]
나가타쵸역: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로고.svg유라쿠초선 (Y-16), 파일:도쿄메트로 한조몬선 로고.svg한조몬선 (Z-04), 파일: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로고.svg난보쿠선 (N-07)[13]
미나토구
M-14 콧카이기지도마에
(国会議事堂前)
12.7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치요다선 로고.svg치요다선 (C-07)
타메이케산노역: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긴자선 로고.svg긴자선 (G-06), 파일: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로고.svg난보쿠선 (N-06)
치요다구
M-15 카스미가세키
(霞ケ関)
13.4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히비야선 로고.svg히비야선 (H-07), 파일:도쿄메트로 치요다선 로고.svg치요다선 (C-08)
M-16 긴자[14]
(銀座)
14.4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긴자선 로고.svg긴자선 (G-09), 파일:도쿄메트로 히비야선 로고.svg히비야선 (H-09)
긴자잇초메역: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로고.svg유라쿠초선 (Y-19)
주오구
M-17 도쿄
(東京)
15.5 ¶JR 동일본 파일:JRE-SKS.svg도호쿠 신칸센, 파일:JRE-JO.svg요코스카선·소부 쾌속선 (JO19), 파일:JRE-JE.svg케이요선 (JE01),
파일:JRE-JT.svg파일:JRE-JU.svg파일:JRE-JJ.svg우에노도쿄라인(도카이도선-우츠노미야선-타카사키선-조반 쾌속선) (JU01·JT01),
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야마노테선 (JY01), 파일:JRE-JK.svg케이힌토호쿠선 (JK26), 파일:JRE-JC.svg츄오 쾌속선 (JC01)
JR 도카이 파일:JRC-SKS.svg도카이도 신칸센
치요다구
M-18 오테마치
(산케이 앞)

(大手町)
(サンケイ前)
16.1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도자이선 로고.svg도자이선 (T-09), 파일:도쿄메트로 치요다선 로고.svg치요다선 (C-11), 파일:도쿄메트로 한조몬선 로고.svg한조몬선 (Z-08)
¶도영 지하철 파일:도에이 미타선 로고.svg미타선 (I-09)
M-19 아와지초
(淡路町)
17.0 신오차노미즈역: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치요다선 로고.svg치요다선 (C-12)
오가와마치역: 도영 지하철 파일:도에이 신주쿠선 로고.svg신주쿠선 (S-07)
M-20 오차노미즈
(御茶ノ水)
17.8 ¶JR 동일본 파일:JRE-JC.svg츄오 쾌속선 (JC03), 파일:JRE-JB.svg츄오-소부 완행선 (JB18) 분쿄구
M-21 혼고산초메
(本郷三丁目)
18.6 ¶도쿄 도영 지하철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오에도선 (E-08)
M-22 코라쿠엔
(後楽園)
19.4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로고.svg난보쿠선 (N-11)
카스가역: 도영 지하철 파일:도에이 미타선 로고.svg미타선 (I-12),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오에도선 (E-07)
M-23 묘가다니
(茗荷谷)
21.2
M-24 신오츠카
(新大塚)
22.4
M-25 이케부쿠로
(池袋)
24.2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로고.svg유라쿠초선 (Y-09), 파일: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로고.svg후쿠토신선 (F-09)
¶JR 동일본 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야마노테선 (JY13), 파일:JRE-JA.svg사이쿄선 (JA12), 파일:JRE-JS.svg쇼난신주쿠라인 (JS21)
¶세이부 철도 파일:Seibu-SI.svg이케부쿠로선 (SI01)
도부 철도 파일:Tobu-TJ.svg토죠 본선 (TJ01)
도시마구

4.2. 마루노우치선 분기선 (호난초 지선)


분기선 구간 전구간 측면 운행 영상 (나카노사카우에~호난초, 2022년 8월 촬영)

정식 명칭은 마루노우치선 분기선으로, 호난초 지선은 통칭.

호난초 분기선은 지도상에서 보면 케이오선과 츄오선이 신주쿠에서 멀어질수록 벌어지면서 삼각지대가 생기는데 이 수요를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본적으로 나카노사카우에 ~ 호난초 구간을 반복운행하나, 평일 아침시간대에는 이케부쿠로 ~ 나카노후지미초 구간을 운행하기도 한다. 단 첫차 시간대에는 나카노후지미초발 호난초행 열차가 있고, 평일 막차시간대에는 오기쿠보에서 출발하여 나카노사카우에에서 오리카에시 하여 나카노후지미초로 가는 열차가 있다.

마루노우치선의 차량기지인 나카노 차량기지가 이 노선과 연결되어있다. 이케부쿠로 ~ 나카노사카우에 구간에서 오기쿠보행과 호난초행은 번갈아가며 운행하지 않는다. 역번은 기존에는 m으로 표기했으나 기존의 소문자 표기방식은 발음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 구분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2016년에 소문자 m 대신 Marunouchi branch를 줄인 Mb로 표기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종점인 호난초역은 플랫폼의 유효장이 3량 뿐이어서, 6량 편성인 본선 열차가 진입할 수 없었기 때문에 호난초 분기선 반복용으로 3량편성의 분기선 전용 차량이 있었다. 그러나 연선의 수요증가와 2020년 도쿄 올림픽 대비로 호난초역의 승강장을 6량으로 증설하는 공사로 인해 6량편성의 본선열차가 2019년 7월 5일부터 호난초까지 진입하기 시작했다.# 이때 평일 NH시간대 기준으로 이케부쿠로 ~ 나카노사카우에 구간에서 호난초행과 오기쿠보행의 비율은 1:4이며, 호난초행은 2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2022년 8월 27일부로 호난초 지선의 모든 차량은 6량으로 운행한다. #

지선의 종점인 나카노사카우에역은 (ㅣㅁ ㅣ ㅁ ㅣ) 구조로 되어있으며 지선열차는 가운데 승강장으로 진입해 양쪽문 모두를 개방한다.

혹여나 마루노우치선을 이용하는 여행객들은 분기하는것을 꼭 알고 가는것을 추천한다.

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분기선 (호난초 지선)
번호 역명 km 환승노선 소재지
Mb-03 호난초
(方南町)
0.0 스기나미구
Mb-04 나카노후지미초
(中野富士見町)
1.3 나카노구
Mb-05 나카노신바시
(中野新橋)
1.9
M-06 나카노사카우에
(中野坂上)
3.2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로고.svg마루노우치선 본선 (직통운행)
¶도영 지하철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오에도선 (E-30)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로고.svg본선 이케부쿠로까지 직통

5. 기타

5.1. 오차노미즈역 구간의 풍경

파일:Hijiribashi.jpg


오차노미즈역에 진입하기 전에 지상구간에 나와 칸다 강을 건넌다. 바로 위에서 강을 접하고 있는 JR 동일본의 오차노미즈역과 츄오 쾌속선츄오-소부 완행선의 열차, 간다가와, 주변의 건물이 모두 어우러져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사진촬영 장소로도 인기가 높다. 하지만 마루노우치선 차내에서 보는 건 그리 추천하지 않는다. 한 3초 정도 더러운 강만 보이다가 그냥 끝이다. 스즈메의 문단속에 나오면서 더욱 유명해졌다.

5.2. 안내방송

과거의 특이사항으로는 안내방송이 있었다. 다른 노선은 열차 접근 안내방송이 '곧(まもなく)'혹은 '다음은(次は)’으로 시작하는데 마루노우치선에서는 여전히 '오래 기다리셨습니다.(お待たせ致しました。)' 로 시작하는 구형 자동방송을 사용한다.[15] 또한 열차가 역에 도착했을 때 환승안내를 하는데 JR의 노선이 있을 경우 보통은 다 싸잡아서 'JR선'이라고 칭하지만 오기쿠보역, 오차노미즈역, 이케부쿠로역에서는 각 노선명을 안내해준다. 이는 국철 민영화 당시 '국철선'을 각 노선으로 바꿔부르기 시작한 걸 그 이후로 거의 수정 없이 계속 사용해온 것이다.

2017년 3월 현재, 마루노우치선도 '곧(まもなく)' 로 시작하는 멘션으로 개정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신주쿠산초메역의 방송만 개정한 이후 더이상 개정되지 않고 있었지만, 2019년 1월부터 방송 개정이 재개되었다.
오기쿠보역: 中央線はお乗り換えです。
오차노미즈역: 中央線総武線はお乗り換えです。
이케부쿠로역: 有楽町線副都心線山手線埼京線西武池袋線東武東上線はお乗り換えです。
1987년 방송개정 이후 후쿠토신선 개업 때 추가한 것 말고는 건드리질 않았기 때문에 JR의 쇼난신주쿠라인은 여전히 안내하지 않는다. 어차피 요코하마쪽 갈거면 JR댁 말고 우리꺼 타세요

도자이선, 난보쿠선, 미타선 일부역[16], 유라쿠초선, 후쿠토신선은 2020년 경 방송을 교체했다. 다만, 전광판 및 방송 장비 회사가 일본신호에서 미츠비시로 바뀌었다. 이로 인해 난보쿠선에서는 성우가 같지만 타 노선과 다른 방송을 사용하는데, 타 노선에 적용된 방송에 비해 어색해졌다.

5.3. 대중매체에서

6. 차량

6.1. 현역 차량

6.2. 퇴역 차량

7. 사건 사고

8. 관련 문서



[1] 일단은 2018년 이후로 반입되는 신차가 전부 도입되면 750V로 올릴 계획이라고 한다.[공통] [본선] [분기선] [5] 나머지 노선들은 도쿄역 근처여도 오테마치역이나 유라쿠초역 혹은 니혼바시역 같이 좀 많이 걸어야하는 위치에 있다.[6] 참고 자료: 東京メトロ丸ノ内線 なぜ「コ」の字型? 見方を変えると放射状 都心を目指した2路線.[7] 오기쿠보선 개통 전 츄오선의 혼잡을 볼 수 있는 영상.[8] 최초로 실드TBM공법을 적용한 일반 철도터널은 1942년에 시공한 해저터널칸몬 철도터널이다.[9] 도자이선의 경우 오테마치역 승강장이 도쿄역과 인접하여 도쿄역 환승 안내가 나온다.[10] CBTC를 같이 도입하는 히비야선은 2023년부터, 한조몬선은 2024년부터 사용할 계획이었다.[11] 도에이 신주쿠선·케이오 신선의 (신선)신주쿠역과 오에도선의 신주쿠역과는 환승이 인정되지 않는다.[연결선로있음] [13] 난보쿠선 환승은 앞의 역인 요츠야역에서 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유라쿠초선도 도찐개찐이지만 얘는 달리 어쩔 수가 없으니 뭐...[14] 원래는 니시긴자역이었으나 히비야선 개통 이후 긴자역에 통합됐다.[15] 한일합작 도중하차인 타비에마키의 후쿠토신선 파트에서 "오래 기다리셨습니다"라는 멘트가 나왔다고 서술된 적이 있는데, 사실 이건 모리야 마유미 성우의 차내 방송이다.[16] 시로카네다이역, 시로카네타카나와역[17] B수선 공사차량 한정, B수선 공사에서 제외된 모든 차량들은 2022년 12월까지 전부 폐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