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 | ||||||||||||||||||||
| | |||||||||||||||||||
| | 양이재 | | |||||||||||||||||
| | |||||||||||||||||||
┏ | ━ | ┓ | ||||||||||||||||||
┃ | 돈덕전 | ┗ | ━ | 생양문 | ━ | ━ | ━ | ━ | ━ | ━ | ━ | ━ | ┓ | |||||||
┃ | | | 정관헌 | | | |||||||||||||||
| ┃ | 석조전 | 준명당 | 즉조당 명례궁터 | 석어당 | | | ┃ | ||||||||||||
중명전 | 석조전 서관 | 정원 | 중화전 | 덕홍전 | 함녕전 | | | | ┃ | |||||||||||
ㅣ | 광명문 | | ||||||||||||||||||
| | 중화문 | | 금천교 | 대한문 | |||||||||||||||
┗ | ━ | | ━ | ━ | ㅡ | | ━ | ━ | ━ | ━ | ━ | ━ | ┛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대한민국 사적 제124호 덕수궁 | ||
<colbgcolor=#e3ba62> 덕수궁 흥덕전 德壽宮 興悳殿 | ||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덕수궁길 (정동) | |
건축시기 | 1896년 (창건) / 1901년 (이전 중건) 1921년 (철훼) |
<colbgcolor=#e3ba62> 덕수궁 흥덕전 |
[clearfix]
1. 개요
덕수궁의 빈전이다. 빈전은 왕과 왕비, 대비가 죽은 후 발인할 때까지 관을 모시던 곳이다.덕수궁 서북쪽, 지금의 구세군회관과 덕수초등학교 맞은 편에 있었다.
2. 역사
1896년(건양 원년) 2월, 아관파천으로 고종은 경복궁을 떠났다. 고종은 러시아공사관에서 환궁할 곳을 경복궁이 아닌 경운궁[1]으로 정했다. 그런데 경운궁은 애초 임진왜란 때 선조가 머물 곳이 없어 월산대군[2]의 집과 그 주변 민가 몇 채를 아우른 임시 궁이었기에 인조 때 거의 대부분의 건물을 원 주인에게 돌려준 상태였다. 따라서 그런 경운궁에 머물려면 대공사가 필요했고 이에 따라 1896년부터 경운궁 공사를 시작했다.이때 흥덕전은 빈전으로 덕수궁 서북쪽에 지어졌다.
<colbgcolor=#e3ba62> 선원전 영역의 정문이 된 영성문. 순명효황후(당시 황태자비)의 국장 때 촬영한 사진이다. |
일제강점기 이후에도 남아있었지만 1919년 고종이 승하한 이후 일제가 1921년에 덕수궁(경운궁)의 선원전을 옮겨다 창덕궁 서북쪽 옛 대보단 자리에 짓고 새로운 선원전으로 사용하게 하면서 흥덕전은 같이 헐리고 만다.
<colbgcolor=#e3ba62> 선원전 터에 들어선 조선저축은행 중역 사택 |
<colbgcolor=#e3ba62> 고종의 길 |
<colbgcolor=#e3ba62> 덕수궁 선원전 복원계획을 담은 그림 |
2024년 7월, 흥덕전의 원형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흔적들이 발굴되었다. 왕실의 주요 장례 때 왕이나 왕비의 관을 모시던 빈전으로 주로 사용했던 흥덕전의 대문에 해당하는 흠사문으로 차곡차곡 쌓아 올린 돌 옆으로 나무 기둥이나 벽이 들어섰던 자리가 선명하게 발견했다. 대문 주변의 좁은 도랑의 물이 빠져나가도록 만든 배수로도 확인되었다.
여담으로 사진에서 보다시피 흥덕전 마당에는 회화나무가 있었는데 현재까지 그 나무 그대로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