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09:14:04

종교 개혁

대항종교개혁에서 넘어옴

1. 개요2. 전개3. 영향4. 대중매체5. 둘러보기

1. 개요

종교 개혁(, the Reformation)은 통상적으로, 1517년 마르틴 루터95개조 반박문을 발표한 것을 계기로 시작된 기독교 내부의 대규모 개혁 운동을 일컫는 말이다. 이 사건은 단순히 기독교의 역사뿐만 아니라 유럽사에 거대한 영향을 끼친 사건으로 평가되며, 보통 이 시기를 기준으로 중세근대를 구분한다.

종교 개혁의 결과로 가톨릭에서 분리된 교회들을 통틀어 개신교라고 부른다. 다만 마르틴 루터 이전에도 개신교라고 할 수 있는 종파는 여럿 등장했었다. 그리고 가톨릭도 개혁 시도를 했다.[1] 그렇기에 마르틴 루터 개인의 공헌이 매우 큰 사건이라고 할 수는 있어도, 루터 한 사람에 의해서만 촉발된 사건이라고는 할 수 없다. 당대의 사회적, 종교적 모순 등의 여러 요소가 결합되어 그로 인해 일어난 사건이라고 보는 쪽이 타당하다.

'종교 개혁'이라고 불리는 이 사건은 유럽사에서 워낙 큰 사건이었기에 'the Reformation'으로 표기하며, 고유명사로 쓰인다.[2] 다른 종교의 개혁에 대해서는 정관사 the가 빠지고 소문자만으로 'reformation'라고 표기되었는데 현대에 와서 이 단어가 기독교, 유럽 중심적이란 비판이 일어나자 일부에서는 'Protestant Reformation'이라는 대체 용어를 쓰려는 추세다. 그러나 기존 용어가 상당히 오랜 시간에 결쳐 관습적으로 쓰여 왔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폐기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둘을 병용하고 있다.[3] 역사적 관점에서 보면 종교'개혁'이 아닌 종교'분열'이 전체적인 맥락에 맞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한국에서는 이러한 번역 용어들도 대부분 개화기 일본 학자들이 한 번 번역해 놓은 것을 별다른 논의 없이 가져다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큰 문제의식을 지니지 못하는 편이다.

2. 전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종교 개혁/전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종교 개혁/전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종교 개혁/전개#|]][[종교 개혁/전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영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종교 개혁/영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종교 개혁/영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종교 개혁/영향#|]][[종교 개혁/영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대중매체

5. 둘러보기

근세 및 근대 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중세 신학 근세 및 근대 신학 현대 신학
종교 개혁 <colbgcolor=#fafafa,#191919>루터 · 카를슈타트 · 츠빙글리 · 칼뱅 · 불링거
살라망카 학파 비토리아 · 수아레스 · 몰리나 · 라스 카사스 · 바녜스
청교도주의 그린햄 · 로저스 · 퍼킨스
급진 종교개혁 카를슈타트 · 시몬스 · 후터 · 뮌처 · 재세례파 · 메노나이트
이냐시오 영성 이냐시오
가르멜 신비신학 테레사 · 요한
칼뱅주의 베자 · 오웬 · 하이퍼 칼빈주의
아르미니우스주의 아르미니우스
구개신교 정통주의 후터 · 케커만 · 게르하르트 · 알스테드 · 보에티우스 · 볼레프 · 코케이우스 · 칼로비우스 · 무조이스 · 크벤슈테트 · 쾨니히 · 하이데거 · 뢰셔
영국 이신론 허버트 · 로크 · 틴들 · 울스턴 · 톨런드 · 아넷
계몽주의 신학 데카르트 · 라이프니츠 · 볼프 · 라이마루스 · 칸트 · 레싱 · 헤겔
경건주의 슈페너 · 프랑케 · 랑에 · 진젠도르프 · 퀘이커
과도기 신학 부도이스 · 파프 · 발히
신학적 볼프주의 볼프 · 칸츠 · 슈미트 · 바움가르텐
뉴잉글랜드 신학 에드워즈 · 벨라미 · 테일러 · 아마사 팍
웨슬리주의 웨슬리
신신학 에르네스티 · 예루살렘 · 슈팔딩 · 퇼너 · 젬러 · 뤼트케 · 슈타인바르트 · 에버하르트 · 가블러
초자연주의 신학 슈토르 · 티트만 · 베크
합리주의 신학 티프트룽크 · 벡샤이더
사변신학 다우프 · 마르하이네케 · 비더만
낭만주의 신학 슐라이어마허 · 콜리지
폰드레이 · 묄러 · 폰쿤
신루터파 하름스 · 토마시우스 · 폰하를레스 · 뢰헤 · 클리포트 · 폰호프만
중재신학 베테 · 니치 · 트베스텐 · 뤼케 · 울만 · 움브라이트 · 로테 · 도르너
부흥신학 네안더 · 톨룩 · 뮐러
신 튀빙겐 학파 바우어 · 젤러 · 슈베글러
신스콜라주의 페로네 · 파살리아 · 프란첼린 · 지글리아라 · 가리구라그랑즈
프린스턴 신학 하지
키르케고르주의 키르케고르
리츨 학파 리츨 · 폰 하르낙
신칼뱅주의 카이퍼 · 바빙크 · 흐레이다누스 · 헤프 · 흐로스헤이더 · 드흐라프 · 도예베르트 · 볼렌호벤
성공회 가톨릭주의 키블 · 뉴먼 · 퓨지 · 프루드 · 고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0,#e5e5e5><colbgcolor=#FAED7D,#514f36> 역사 <colcolor=#000,#fff>역사 · 프랑크 왕국(중프랑크 · 동프랑크) · 부르군트 왕국 · 랑고바르드 왕국 · 독일 왕국 · 이탈리아 왕국 · 합스부르크 제국 · 오스트리아 제국
현대 국가 독일 · 이탈리아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벨기에 ·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리히텐슈타인 · 이탈리아 · 모나코 · 산마리노 · 바티칸 · 체코 · 슬로베니아 · 크로아티아 · 프랑스 · 폴란드
주요 가문 카롤루스 가문 · 오토 가문 · 잘리어 가문 · 호엔슈타우펜 가문 · 벨프 가문 · 룩셈부르크 가문 · 비텔스바흐 가문 · 합스부르크 가문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
왕국 독일 왕국 · 이탈리아 왕국 · 부르군트 왕국 · 보헤미아 왕국
선제후국 <colcolor=#000,#e5e5e5><colbgcolor=#fff8b4,#514f36> 초기 부족 공국 프랑켄 공국 · 슈바벤 공국 · 바이에른 공국 · 로렌 공국 · 초기 작센 공국
1356년~1623년 마인츠 선제후국 · 쾰른 선제후국 · 트리어 선제후국 · 작센 선제후국 · 팔츠 선제후국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 · 보헤미아 왕국
16세기 추가 바이에른 선제후국 · 하노버 선제후국
1803년 이후 추가 레겐스부르크 선제후국 · 잘츠부르크 선제후국 · 뷔르츠부르크 선제후국 · 뷔르템베르크 선제후국 · 바덴 선제후국 · 헤센 선제후국
정치 역대 황제 · 로마왕(독일왕) · 황제선거 · 선제후 · 금인 칙서(1356년판) · 제국의회 · 제국대법원 · 제국궁정원 · 제국추방령 · 저지대 국가 · 변경백 · 방백 · 팔츠 · 궁정백 · 주교후 · 제국백 · 자유도시 · 부족 공국 · 영방국가
주요 종교 가톨릭(국교) · 발도파 · 후스파 · 개신교(루터교회 · 개혁교회)
관련 유물 레갈리아/신성 로마 제국 · 롬바르디아 철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금인 칙서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군사 제국군 · 황제군 · 란츠크네히트 · 도펠죌트너 · 슈바르체라이터
주요 사건 카노사의 굴욕 · 십자군 전쟁 · 대공위시대 · 이탈리아 전쟁 · 후스 전쟁 · 종교 개혁 · 독일 농민전쟁 · 슈말칼덴 전쟁 · 30년 전쟁(베스트팔렌 조약) · 7년 전쟁 · 나폴레옹 전쟁(제국의 해체)
오해 오해와 반박 }}}}}}}}}

[1] 때문에 오늘날 '종교 개혁'이라는 말은 대개 개신교의 등장과 팽창을 위시한 개혁을 의미하나, 넓게 보면 가톨릭의 개혁까지 포함한다. 본 문서에도 가톨릭 중심으로 개혁이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널리 퍼진 것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종교 개혁'이라고 하면 개신교가 가톨릭(천주교)에서 갈라져 나간 그 사건을 가리키는 것이 맞다.[2] 이는 유럽 내 다른 언어들도 마찬가지였다. 가톨릭 국가인 스페인도 예외는 아니며, 이를 'la Reforma로 표기했다.[3] 한국어로 굳이 번역하면 가톨릭을 포함하는 의미로 쓸 경우엔 '기독교 개혁', 개신교의 출현만을 의미한다면 '프로테스탄트 개혁' 정도로 번역해야겠지만, 그러면 또 번역상의 난제가 생기는 탓에(예를 들어, '개신교 개혁'이라고 하면 한자어 특성상 겹말처럼 보일 수 있다. 개신교라는 명칭은 한자로 '개혁된 새 교회'라는 뜻이기 때문.) 오래 쓰인 종교 개혁이란 번역을 사용하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