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09:55:07

대구 도시철도 5호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초기 대구 도시철도 계획에서 계획되었던 노선에 대한 내용은 대구 도시철도 5호선(구 계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경전철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AGT
철제 차륜
부산김해경전철 인천 2호선 우이신설선
{{{#!wiki style="margin: -16px -11px"
김포 골드라인 동북선 }}}
대구 4호선 대구 5호선
고무 차륜
부산 4호선 신림선
부산 5호선 광주 2호선
<colbgcolor=#6f606e,#9f909e> 모노레일
대구 3호선
LIM
용인 에버라인
노면전차
대전 2호선 위례선 수원 1호선
주안송도선 송도트램 영종트램
부평연안부두선 제물포연안부두선 인천 3호선
오륙도선 C-BAY-Park선 울산 1호선
울산 2호선 울산 3호선 울산 4호선
성남 1호선 성남 2호선
창원 1호선 창원 2호선 창원 3호선
김해 1호선 김해 2호선 김해 3호선
국토교통부의 차종 형식승인을 기준으로 함 (2017년 9월 5일 발표)
경기도 트램추진 발표 참고(2016년 11월 30일 발표)
취소선: 미개통 노선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파일:경상북도 휘장.svg 대구 도시철도 및 연계 광역전철 노선
파일:Daegu1.svg 1호선 파일:Daegu2.svg 2호선 파일:Daegu3.svg 3호선
{{{#!wiki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style="margin:-5px -1px -11px"
건설·시운전 중인 노선 설계 중인 노선
파일:Daegu4.svg 4호선 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 대구산업선
추진 중인 노선
{{{#!wikistyle="margin:-16px -11px;"
파일:Daegu5.svg 5호선 파일:대구신공항철도아이콘.svg 대구경북신공항 광역철도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333> 파일:Daegu5.svg대구 도시철도 5호선
大邱 都市鐵道 五號線
Daegu Metro Line 5
}}}
노선 정보
분류 도시철도
유형 AGT
기/종점
역 수
구성 노선 대구 도시철도 5호선
개업일 2033년
소유자 대구광역시
운영자 대구교통공사
사용차량 대구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차량기지
노선 제원
노선연장 약 36km
궤간
선로구성 복선
사용전류
신호방식
최고속도
표정속도
지상 구간
통행 방향 우측통행
개통 연혁 2033. ??. ??. 전구간

1. 개요2. 차량3. 연혁4. 역 목록5. 역할6. 문제점7. 여담

[clearfix]

1. 개요

대구 도시철도의 5번째 노선. 색상은 연두색.

'순환선' 형태의 노선은 1990년대 계획에서는 4호선, 2000년대 구상에서는 5호선, 2010년대 계획에서는 '순환선'으로 불렸다가 2023년에 5호선으로 확정되었다.

2. 차량

3. 연혁

파일:20171018_053013.jpg
파일:external/frdb.dothome.co.kr/3113.jpg
파일:대구광역시 제2차 대중교통기본계획.gif
파일:daegu metro plan.jpg
파일:대구순환선brt.png 파일:대구순환선brt2.png
2013 ~ 2020 계획 2018 ~ 2027 계획

파일:대구도시철도 순환선.png
파일:대구순환선공청회노선도.png

4. 역 목록

원래 3차 순환선을 따라가는 노선으로 계획됐지만 홍준표 시장이 '더 큰 순환선'으로 계획을 바꾸면서 현재로서는 구체적인 노선 경로와 역 위치, 역명을 알 수 없다.

2023년 3월 대구시 긴급브리핑의 내용에 따르면 노선의 일부는 불가피하게 지하화할 수 있다고 한다.

현재까지 나온 정보로는 서대구역, 두류공원, 군부대[6] 후적지, 대구스카이시티, 캠프워커, 대구종합유통단지 등을 통과하는 순환선이라는 정도다. 그리고 신서혁신도시를 통과하는 방안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역번 역명 승강장 환승노선 소재지
형태 횡단
서대구역 西大邱驛 파일:대구권 광역철도 아이콘.svg 대구권 광역철도
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 대구산업선
파일:대구신공항철도아이콘.svg 대구경북신공항 광역철도
서구 대구광역시

5. 역할

서대구역의 접근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심에만 환승역이 몰려 있는 대구 도시철도 노선들을 연결하여 도시철도간의 연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구 경계에만 역이 있어서 도시철도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 하는 서구의 대중교통 음영지역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예전 순환선의 안대로 개통할 경우 기존 대구 3차 순환도로를 따라 운행하고 노선 중복도가 높은 순환3(-1)번은 폐선될 가능성이 매우 컸다. 어떻게 변경될진 모르겠으나 지금으로서는 순환3번의 건재는 확실해보인다.

6. 문제점

현재 5호선에게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수요 부족이다. 특히 대구시청 신청사, 침산동, 경북대학교를 모두 1km 남짓한 거리로 비껴가는 것이 뼈아픈 부분. 고가 AGT 경전철을 기준으로 대구시가 추산한 순환선의 B/C(비용편익비)가 1을 못 넘긴다는 점(0.76)만으로도 설정된 순환선의 수요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7][8]#

7. 여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이 계획은 대구권 광역철도로 일정 부분 계승된다.[2] 고령군 다산면이 성주군으로, 평리네거리가 중리네거리로 잘못 표기되어 있다.[3] 2021년 공청회에서 다시 캠프워커 부지 터널통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4] 여기서 검토된 후보 노선은 하단 문단 참조.[5] 공단역~와룡로 경유-죽전역~상인역[6] 제2작전사령부, 공군방공포병학교, 제50보병사단, 제5군수지원사령부[7] 출처 : 2018년 7월 대구광역시 중장기 도시철도망 공청회에서 공개된 자료. 대구광역시가 자체적으로 산정한 B/C값이 저 지경이면 실제 기획재정부에서 하는 B/C값 산정이나 AHP 평가는 더욱 나쁠 가능성이 크다.[8] 다만 현재와 달리 대구스카이시티서대구역을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지금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9] 재미있는 것은 대구광역시의 경우 한때 조선의 모스크바로 불렸던 아이러니한 과거가 있다. 물론 도시 구조 때문에 그리 불렸던 것은 아니고, 당대 대구에 좌익 운동이 활발하였기 때문에 나온 별명으로써 그 맥락이 다르긴 했다. 그 당시 평양은 반대로 조선의 예루살렘으로 기독교 세가 강했으나 남북분단으로 인해 정반대가 되었다.